KR100573932B1 - Repeater system with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function when no subscriber is present and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Repeater system with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function when no subscriber is present and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3932B1 KR100573932B1 KR1019990033923A KR19990033923A KR100573932B1 KR 100573932 B1 KR100573932 B1 KR 100573932B1 KR 1019990033923 A KR1019990033923 A KR 1019990033923A KR 19990033923 A KR19990033923 A KR 19990033923A KR 100573932 B1 KR100573932 B1 KR 1005739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output
- receiver
- power level
- repe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진 방지 기능 및 가입자가 없을 경우 역방향 출력 자동 차단 기능을 갖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기지국과 연결된 제1 듀플렉서; 제1 듀플렉서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 주파수로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의 출력신호를 해당 서비스 지역의 이동국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듀플렉서; 상기 제2 듀플렉서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에 커플링되어 상기 수신부의 파워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파워 레벨이 제1 시간동안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2 시간동안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수신부의 출력을 제1 듀플렉서로 전달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중계기 서비스 지역에 가입자가 없는 시간대 및 역방향 발진이 감지된 때에는 역방향 출력을 차단하여 기지국 용량 감소를 방지하고, 수신경로를 보호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system having an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 reverse output automatic shutoff function when there is no subscrib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omprising: a first duplexer connected to an external base station; A transmitter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duplexer and outputting the signal at a service frequency; A second duplex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to a mobile station in a corresponding service area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A receiv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duplexer; Is coupled to an output signal of the receiver to sense a power level of the receiver, and if the power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for a first time or equal to or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for a second time,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receiver to a first duplexer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oes not transmit to, and when the time zone and the reverse oscillation is detected in the repeater service area and the reverse oscillation is detected, the reverse output is blocked to prevent the base station capacity decrease and to protect the reception path.
중계기, 고주파, 중간 주파수, 이동전화, 단말기Repeater, high frequency, intermediate frequency, mobile phone, terminal
Description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pea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1.
도3은 제어부의 하이 리미트 체크부 로직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high limit check logic of the controller.
도4는 하이 리미트 로직을 프로그램화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4 i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for programming the high limit logic.
도5은 제어부의 로우 리미트 체크부 로직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5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low limit check logic of the controller.
도6은 로우 리미트 로직을 프로그램화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6 is an operational flow for programming low limit logic.
본 발명은 발진 방지기능을 갖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연동되어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system having an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eat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ed in conjunction with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기지국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a base station controller, a mobile switching center, and a mobile station.
기지국과 이동국은 일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각 기지국은 일정한 통화반경을 가진다. 따라서, 다수의 기지국을 적절히 배치하여 각 기지국의 통화반경을 서로 겹치게 함으로써 통화 가능한 지역을 넓힌다.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communicate in a constant frequency band, and each base station has a constant call radius. Therefor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ppropriately so that the call radius of each base station overlaps each other, the area where the call is possible can be expanded.
그러나, 이러한 다수의 기지국의 배치에 의해 도시 전체를 커버(cover)한다고 하더라도 대형 건물 지하공간 및 고층 빌딩의 내부 등에서는 통화가 가능하지 않는 통화 음영 지역(blanket area)이 발생한다.However, even when the entire city is cover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a call shadow area is generated in which the call is not possible in the underground space of a large building and the inside of a high-rise building.
이러한 통화 음영 지역의 발생으로 인해 이동 전화기 사용자는 통화 음영 지역 내에서 원활한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통화 음영 지역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음영 지역내에 중계기를 설치하였으며, 중계기는 기지국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가 있다.Due to the occurrence of the call shadow area, the mobile phone user may not receive smooth call service within the call shadow area.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occurrence of the call shadow area, a repeater is conventionally installed in the shadow area, and the repeater can solve the shadow area at a lower cost than the base station.
일반적으로 이러한 중계기는 하나의 기지국에 수개 또는 수십개가 접속되는데, 접속되는 중계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기지국 역방향으로 인입되는 잡음의 양도 그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기지국의 용량감소를 초래한다.In general, several or dozens of such repeaters are connected to one base station, and as the number of repeaters connected increases, the amount of noise introduc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also increases in proport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또한, 설치 장소 또는 상황에 따라 중계기 자체 발진이 일어날 수가 있는데, 순방향의 발진은 해당 서비스 지역만 서비스 이상이 발생하지만, 역방향의 발진은 그 중계기가 접속된 기지국의 수신 경로에 치명적인 결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peater itself oscillation may occu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or situation. In the forward oscillation, service failure occurs only in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but the reverse oscillation causes a fatal defect in the receiving path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repeater is connected. There is thi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계기 서비스 지역에 가입자가 없는 시간대 및 역방향 발진이 감지된 때에는 역방향 출력을 차단하여 기지국 용량 감소를 방지하고, 수신경로를 보호하는, 발진 방지기능 및 가입자가 없을 시 역방향 출력 자동 차단 기능을 갖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oscillation that prevents the base station capacity is reduced by protecting the reception path by blocking the reverse output when there is no subscriber in the repeater service area and when the reverse oscillation is detected It is to provide a repeater system having a protection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function when there is no subscrib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은,Repeater system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증폭하여 서바스 주파수로 변환하여 해당 서비스 지역의 이동국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A transmitter for amplifying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base station, converting the signal to a sub-servo frequency,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ata to a mobile station in a corresponding service area;
상기 이동국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수신부;A receiver which amplifi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상기 수신부의 파워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파워 레벨이 제1 시간동안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2 시간동안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수신부의 출력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d a control unit which senses a power level of the receiver and does not transmit an output of the receiver to the base station if the power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for a first time or equal to or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for a second tim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 제어방법은,Repeater system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중계기 발진 신호와 통화 신호, 엑세스 신호등을 구분하여 중계기 발진시는 상기 중계기의 역방향 출력을 차단하고, 제1시간후에 상기 파워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Dividing a repeater oscillation signal, a call signal, an access signal, and the like and blocking the reverse output of the repeater when the repeater oscillates, and detecting the power state after a first time;
상기 파워가 발진 상태이면, 상기 중계기의 역방향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Blocking the reverse output of the repeater if the power is oscillated;
상기 파워가 발진 상태가 아니고, 엑세스 및 통화 신호이면, 상기 중계기의 역방향 출력을 다시 유지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If the power is not an oscillation and is an access and call signal, maintaining the reverse output of the repeater again.
그러면, 본 발명을 이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지닌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개인 휴대 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hereinafter,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system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pea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은,As in Figure 1, the repea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경로로 전달하는 듀플렉서(400);A
듀플렉서(40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 주파수로 출력하는 송신부(100);A
송신부의 출력신호를 해당 서비스 지역의 이동국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듀플렉서(600);A duplexer (600) which wirelessly transmits an output signal of a transmitter to a mobile station of a corresponding service area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듀플렉서(6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수신부(500);A
수신부(500)의 출력신호에 커플링되어 수신부(500)의 파워 레벨을 감지하고, 파워 레벨이 제1 시간동안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2 시간동안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수신부(500)의 출력을 듀플렉서(400)로 전달하지 않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When the power level is coupled to the output signal of the
도2는 도1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1.
도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2, the
수신부(500)의 출력에 커플링 되어 수신부(500)의 하이 파워 레벨을 감지하 는 하이 레벨 디텍터(220);A
수신부(500)의 출력에 커플링 되어 수신부(500)의 로우 파워 레벨을 감지하는 로우 레벨 디텍터(230);A
하이 레벨 디텍터(220)에서 감지된 파워 레벨이 제1 시간동안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로우 레벨 디텍터(230)에서 감지된 파워 레벨이 제2 시간동안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수신부(500)의 출력을 듀플렉서(400)로 전달하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집적회로부(210);If the power level sensed by the
집적회로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부(500)의 출력신호를 듀플렉서(400)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SW1)를 포함한다.The switch SW1 transfers or blocks the output signal of the
상기한 송신부(100)는,The
듀플렉서(40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 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110),
믹서(110)의 출력신호에서 원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얻기 위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표면탄성파(SAW: surface acoustic wave) 필터(120), A surface acoustic wave (SAW) filter 120 for filtering to obtain a signal of a desired intermediate frequency band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표면탄성파 필터(120)의 출력신호를 다시 고주파 대의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130);A
믹서(13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듀플렉서(600)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140)를 포함한다.And a
상기한 수신부(500)는,The
듀플렉스(600)를 통해 입력된 고주파수 대의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550),
저잡음 증폭기(550)의 출력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의 신호로 변조하는 믹서(540);A
믹서(540)의 출력에서 원하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표면탄성파 필터(530);A surface
표면탄성파 필터(530)의 출력신호를 고주파 대의 신호로 변조하는 믹서(520);A
믹서(520)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510)를 포함한다.And a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n, the operation of the repeate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고주파대 즉, 1.8~1.9 MHz 대의 신호가 듀플렉서(400)로 수신된다. 여기서, 중계기에 따라서 유선신호를 받는 경우도 있다.First, a signal of a high frequency band, that is, 1.8 to 1.9 MHz band, is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by the
듀플렉스(400)를 통해 입력된 고주파수 대의 신호는 믹서(110)에서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믹서(110)에는 오실레이터(300)로부터 중간 주파 변조를 위한 주파수대의 신호가 입력된다.The signal of the high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다음, 이 신호는 표면탄성파 필터(120)에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이 통과되고, 나머지 대역은 필터링된다.Next, only the signals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re passed through the surface
다음, 믹서(130)는 표면탄성파 필터(120)의 출력신호를 다시 고주파 대의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이때, 믹서(130)에는 오실레이터(300)로부터 고주파 변 조를 위한 주파수대의 신호가 입력된다.Next, the
그러면, 믹서(130)의 출력신호는 전력 증폭기(140)에서 증폭이 되어 듀플렉서(600)로 전달된다.Then, the output signal of the
그러면, 듀플렉서(600)는 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가입자의 이동전화기로 송출한다. 그러면, 해당 서비스 지역내의 가입자가 이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The
한편, 가입자의 이동 전화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듀플렉서(600)로 수신되고, 저잡음 증폭기(550)에서 증폭된후, 믹서(540)에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ubscriber's mobile phone is received by the
그러면, 표면탄성파 필터(530)는 믹서(540)의 출력신호에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도록 한다.Then, the surface
다음, 믹서(520)는 표면탄성파 필터(530)의 출력신호를 고주파 대의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게 된다.Next, the
그러면, 고주파 대의 신호는 전력 증폭기(510)를 통해 증폭되고, 제어부(200) 및 듀플렉서(400)를 통해 기지국으로 무선으로 송신이 된다.Then, the high frequency signal is amplified by the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이동 전화기와 기지국을 연결하게 된다.This process connects the mobile phone with the base station.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해당 서비스 지역에 가입자가 없게 되면, 전력 증폭기(510)의 파워는 매우 작고, 발진의 경우에는 파워가 발진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어부(200)가 역방향 채널쪽 즉, 전력 증폭기(510)의 출력신호를 듀플렉서(400)로 전달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자는 스위치(212, 216)를 이용하 여 로우 및 하이 리미트에 해당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고, 발진 방지하는 기능과 가입자가 해당지역에 없을 때 역방향 출력을 자동 차단하는 상기 기능 전부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Enable/Disable) 할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re is no subscriber in the service area in this process, the power of the
그러면, 도3 및 도4를 참조로 하여 제어부(200)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도3은 제어부의 내부 로직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internal logic of the controller.
먼저, 제어부(200)의 하이레벨 디텍터(220)는 커플러(240)를 통해 전력 증폭기(510)의 출력에서 하이 레벨 즉, 최대의 가입자가 접속했을 때의 엑세스 신호 또는 발진상태의 파워 레벨이 되었을때를 감지한다. 여기서, 하이레벨 디텍터(220)는 가입자의 역방향 엑세스(Access) 신호 및 통화 신호, 발진 신호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량이 일정 기준 값 이상(High level detect, 아주 큰 Access 신호 혹은 발진)이 되면 파워 디텍트(Power detect) 신호가 하이가 되고 그 파워 디텍트 신호와 동일하면서 일정 시간 지연된 신호(DELAYED DETECT)를 발생시킨다. 이때, 도3에서와 같이,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는 하이이면서, 지연된 신호(DELAYED DETECT)는 로우인 시간동안 라이징(RISING)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반대인 경우는 폴링(FALLING)을 발생시킨다. 이 라이징 신호(RISING)와 폴링 신호(FALLING)는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이다.First, the
그러면, 디텍터 체크 로직부(210)의 하이 리미트 체크부(215)는 라이징 신호(RISING)가 발생된 후로부터 설정시간 T1 시간후 바로 스위치(SW1)를 오프하고, 스위치 오프 시간(T2) 동안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의 레벨을 체크한 다. 만일, 그 시간(T2)동안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의 레벨이 하이로 감지 되면, 이 경우는 발진이 아니므로, 스위치(SW1)를 온시킨다. 또한, 만일 그 시간동안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의 레벨이 로우로 감지되면, 이 경우는 발진이므로, 스위치(SW1)를 오프시킨다. 이때, 라이징 신호(RISING) 후 T1 시간이 되기 전에 폴링 신호(FALLING)가 발생되면 다시 라이징 신호(RISING)가 발생되어 T1 시간이 될 때까지는 스위치(SW1)를 오프시키지 않는다. 그 이유는, 통화 신호는 계속해서 하이로 CDMA 특성상 감지되지 않으며 또한, 발진 신호는 계속해서 하이로 감지되기 때문이다. 발진으로 스위치(SW1)를 오프시킨 후, 가입자가 엑세스하게 되면 다시 스위치(SW1)를 온시키게 된다. 이런 경우에도, 몇번의 발진신호가 계속 감지되면 완전히 시스템을 다운 시킨다(기지국 보호 차원-계속해서 발진이 있으면 뭔가 잘못된 것임-가입자기 엑세스 해도 스위치(sw1)을 온하지 않음). 이렇게 하이레벨이 감지 되면, 발진 신호와 단말기 엑세스 신호, 단말기 통화 신호 등이 완벽히 구분된다.Then, the high
이와 같은 과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두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프로그램화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4에 도시하였다.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either hardware or software, and an operation flowchart for programming it is shown in FIG.
도4에서와 같이, 하이 리미트 체크부(216)는 파워 디텍트 신호가 0에서(S1) 1 즉, 하이로 되는지를 판단한다(S402).As shown in FIG. 4, the high
다음, 하이 리미트 체크부(216)는 라이징 신호(RISING)를 생성하고, 스위치(SW1)가 온상태인지 판단하여(S404), 온 상태가 아니면 온 상태로 만들고, T1시간 동안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405).Next, the high
다음, 하이 리미트 체크부(215)는 라이징 신호(RISING)가 발생된 후로부터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가 0인지를 판단하여(S407), 0이면 폴링 신호를 생성하고 타이머를 리셋한다(S408). Next, the high
하이 리미트 체크부(215)는 라이징 신호(RISING)가 발생된 후로부터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가 0이 아니면서 설정된 시간 T1이 지나면(S409), 바로 스위치(SW1)를 오프하고, 스위치 오프 시간(T2) 동안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의 레벨을 체크한다(S410).The high
즉, 그 시간(T2)동안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의 레벨을 감지하여(S411) 하이로 감지 되면, 이 경우는 발진이 아니므로, 스위치(SW1)를 온시킨다(S412).That is, when the level of the power detection signal POWER DETECT is sensed during the time T2 (S411), if it is detected as high, in this case, since the oscillation is not performed, the switch SW1 is turned on (S412).
또한, 만일 그 시간동안 파워 디텍트 신호(POWER DETECT)의 레벨이 로우로 감지되면, 이 경우는 발진이므로, 스위치(SW1)를 오프시킨다.Also, if the level of the power detect signal POWER DETECT is sensed low during that time, the switch SW1 is turned off since it is an oscillation in this case.
이하, 도5 및 도6를 참조로 하여 제어부(200)의 로우 리미트 체크부(213)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ow
도5은 제어부의 로우 리미트 체크부 로직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5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low limit check logic of the controller.
먼저, 제어부(200)의 로우레벨 디텍터(230)는 커플러(240)를 통해 전력 증폭기(510)의 출력을 감지하여 로우 레벨 즉, 가입자가 전혀 없을 때의 출력을 감지한다(중계기 출력은 일반적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전혀 없어도 무신호시 출력레벨이 존재함- KTB + 중계기 이득 + 중계기 잡음지수). 여기서, 로우레벨 디텍터(230)는 가입자의 역방향 엑세스(Access) 신호 및 통화 신호, 그리고 무신호 출력레벨등을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그 검출량이 일정 기준값 이하가 되면 가입자의 역방향 엑세스 신호 및 통화 신호가 없다고 보고(무신호시 출력만 있다고 봄) 역방향 출력을 오프하여 기지국 역방향을 보호한다. 그 방법은 일정 기준 값 이상이 되면, 역시 지연된 신호(DELAYED DETECT2)와 비교하여 라이징 신호(RISING2)와 폴링 신호(FALLING2)를 발생하고, 폴링 신호(FALLING2) 발생 후 T3 시간이 지나면 스위치(SW1)를 오프시킨다.First, the
이후, 다시 라이징 신호(RISING2)가 있을 때 스위치(SW1)를 온시킨다. 이렇게 되면, 가입자가 없을 때는 중계기 역방향 출력이 없으므로 중계기에 의한 기지국 역방향 용량 감소는 개선된다.Thereafter, the switch SW1 is turned on when the rising signal RISING2 is present. This reduces the base station reverse capacity reduction by the repeater because there is no repeater reverse output when there are no subscribers.
이와 같은 과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두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프로그램화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6에 도시하였다.Such a process can be executed in hardware or software, and an operation flowchart for programming the same is illustrated in FIG. 6.
도6에서와 같이, 로우 리미트 체크부(213)는 로우 레벨 디텍트 신호(LOW LEVEL DETECT)가 0에서(S601) 1 즉, 하이로 되는지를 판단한다(S602).As shown in FIG. 6, the
다음, 로우 리미트 체크부(213)는 라이징 신호(RISING2)를 생성하고, 스위치(SW1)가 온상태인지 판단하여(S604), 온 상태가 아니면 온 상태로 만들고, 로우 레벨 디텍트 신호(LOW LEVEL DETECT)가 0인지를 판단한다(S606).Next, the low
로우 레벨 디텍트 신호(LOW LEVEL DETECT)가 0이면, 폴링 신호(FALLING2)가 발생되고, 그 후 T3시간 동안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607).When the low level detect signal LOW LEVEL DETECT is 0, the falling signal FALLING2 is generated, and then a timer is operated for a time T3 (S607).
다음, 로우 리미트 체크부(213)는 폴링 신호(FALLING)가 발생된 후로부터 로우 레벨 디텍트 신호(LOW LEVEL DETECT)가 1인지를 판단하여(S608) 1이면 라이징 신호(RISING)를 생성하고 타이머를 리셋한다(S609). Next, the low
로우 리미트 체크부(213)는 폴링 신호(FALLING)가 발생된 후로부터 로우 레벨 디텍트 신호(LOW LEVEL DETECT)가 1이 아니면서 설정된 시간 T3이 지나면(S610), 바로 스위치(SW1)를 오프한다(S620).The
이상의 본 발명은 PCS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CS, but can be applied to and used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계기 서비스 지역에 가입자가 없는 시간대 및 역방향 발진이 감지된 때에는 역방향 출력을 차단하여 기지국 용량 감소를 방지하고, 수신경로를 보호하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a decrease in base station capacity by protecting the reception path by blocking the reverse output when a time zone and a reverse oscillation without a subscriber in the repeater service area are detected. Can be provid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33923A KR100573932B1 (en) | 1999-08-17 | 1999-08-17 | Repeater system with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function when no subscriber is present and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33923A KR100573932B1 (en) | 1999-08-17 | 1999-08-17 | Repeater system with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function when no subscriber is present and control method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17065A Division KR20060019633A (en) | 2006-02-22 | 2006-02-22 | Repeater system with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reverse output automatic shutoff func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18104A KR20010018104A (en) | 2001-03-05 |
| KR100573932B1 true KR100573932B1 (en) | 2006-04-25 |
Family
ID=196075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33923A Expired - Lifetime KR100573932B1 (en) | 1999-08-17 | 1999-08-17 | Repeater system with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function when no subscriber is present and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7393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93672B1 (en) * | 2001-06-19 | 2003-08-06 |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 device for detecting oscillation in two-w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100442332B1 (en) * | 2001-10-08 | 2004-07-30 | (주)하이게인안테나 | Repeater using an active filter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 KR100509687B1 (en) * | 2002-02-15 | 2005-08-23 | 주식회사 위다스 | Apparatus for testing isolation status in RF repeater and method thereof |
| KR100549454B1 (en) * | 2002-08-22 | 2006-02-10 | 한넷텔레콤(주) | Mobile communication re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
| US7308025B2 (en) | 2003-07-23 | 2007-12-11 | Intel Corporation | Transmitters providing cycle encoded signals |
| KR100694631B1 (en) * | 2003-11-25 | 2007-03-1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resence of RF signal for use of RF repeater in time division duplex method |
| KR101048537B1 (en) * | 2004-11-05 | 2011-07-1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to automatically cut off transmission power in case of reverse error of optical repeater |
| TW200814584A (en) * | 2006-09-07 | 2008-03-16 | Softbank Bb Corp | Radio repeat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adio repeater device |
| US8452232B2 (en) * | 2009-08-18 | 2013-05-28 | Intel Corporation | Automatic on-off switching repeater for MIMO networks |
| KR101993178B1 (en) * | 2019-04-10 | 2019-06-27 | 주식회사 에프투앤디 | Multi-signal repea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by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75514A (en) * | 1991-09-13 | 1993-03-2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adio repeater |
| KR19990046700A (en) * | 1999-04-16 | 1999-07-05 | 박종희 | Control circuit of repeater |
| KR20000037670A (en) * | 1998-12-01 | 2000-07-05 | 전주범 | Operation Control Method of Power Amplifier and Its Apparatus |
| KR20000059962A (en) * | 1999-03-10 | 2000-10-16 | 김대기 | Repeater having apparatus for slecting c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1999
- 1999-08-17 KR KR1019990033923A patent/KR10057393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75514A (en) * | 1991-09-13 | 1993-03-2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adio repeater |
| KR20000037670A (en) * | 1998-12-01 | 2000-07-05 | 전주범 | Operation Control Method of Power Amplifier and Its Apparatus |
| KR20000059962A (en) * | 1999-03-10 | 2000-10-16 | 김대기 | Repeater having apparatus for slecting c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9990046700A (en) * | 1999-04-16 | 1999-07-05 | 박종희 | Control circuit of repeater |
| KR100324027B1 (en) * | 1999-04-16 | 2002-02-19 | 박종희 | Control circuit of repea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18104A (en) | 2001-03-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51119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boosting and monitoring | |
| US6343213B1 (en) | Method to protect against interference from mobile radios | |
| EP097627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the disturbance caused b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
| KR100573932B1 (en) | Repeater system with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function when no subscriber is present and control method | |
| US6748194B2 (en) | Repeater system having oscill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disabling function for non-subscri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0385611B1 (en) | Wireless intercha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EP1145448B1 (en) | Radio communications unit | |
| KR970007608B1 (en) |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transmission error control device | |
| KR20060019633A (en) | Repeater system with oscill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reverse output automatic shutoff function | |
| EP1237298B1 (en) | Control Method for a Repeater System Having Oscill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Disabling Function for Non-Subscriber | |
| KR20010104241A (en) | Upstream channel overload detection circuit and base station apparatus | |
| GB2258586A (en) | Radio signal enhancer | |
| KR20090041193A (en) |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wireless repeater | |
| JPH11355246A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frequency hopping method | |
| KR20030050540A (en) | RF-repeater having a function of oscillation protection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 |
| JP3582485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radio base station | |
| KR20010017992A (en) | System for rf monitoring a repeater | |
| JP3063891B2 (en) | mobile phone | |
| JP3369995B2 (en) | CDMA mobile station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and CDM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se devices | |
| CA1316217C (en) | Radio communications signal extender | |
| KR101288607B1 (en) | Mobile repeater | |
| JPS58187032A (en) | Controlling system of mobile radio | |
| JP2004193952A (en) | Circuit and method for protecting radio base station receiver | |
| JPH10135901A (en) | Wireless relay system | |
| JPH01180131A (en) | Transmission power controll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1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5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8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2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6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417 Appeal identifier: 2006101001575 Request date: 20060222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8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 B701 | Decision to grant |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6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0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0021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