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670B1 - Method for protecting privacy of terminal us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tecting privacy of terminal u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0670B1 KR100580670B1 KR1020040059895A KR20040059895A KR100580670B1 KR 100580670 B1 KR100580670 B1 KR 100580670B1 KR 1020040059895 A KR1020040059895 A KR 1020040059895A KR 20040059895 A KR20040059895 A KR 20040059895A KR 100580670 B1 KR100580670 B1 KR 1005806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vacy
- file
- code
- privacy code
- p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0—Pattern transformations or operations aimed at increasing system robustness, e.g. against channel noise or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통신상의 프라이버시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fficiently protecting communication privacy according to an intention of a calling terminal user.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의 의도대로 단말기 사용자간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은, 수신된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전송 패킷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tecting privacy between terminal users as the intention of a sender, the method comprising: reading a privacy code included in a received transmission packet;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privacy code is in a protected mode; And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transport packet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무선 단말기, 프라이버시(privacy), 기지국, 교환기, CID 패킷, SMS 패킷Wireless terminal, privacy, base station, exchange, CID packet, SMS packe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ID 패킷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ID p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MS 패킷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SMS p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가 직접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를 나타낸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caller directly generates a privacy cod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상황에서 프라이버시 코드가 전달되는 방식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how privacy codes are delivered in the context of FIG. 6.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웹에서부터 무선단말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낸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web to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측 무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lled-sid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무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lling party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발신측 단말기가 전송한 전송 명령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transmission command transmitted from a calling terminal to a base station.
도 12는 도 11에서 기지국을 통하여 수신한 프라이버시 키 값을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에 상기 전송 명령에 따른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a transport packe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mmand to a called terminal using a privacy key value received through a base station in FIG.
도 13은 착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서버로부터 수신한 프라이버시 코드에 따라서 해당 전송 패킷의 열람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o view a corresponding transport packet according to a privacy cod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server at a called terminal;
도 14는 착신측 단말기에서 도 13의 후속과정으로 일어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보호 동작과정으로서, 수신된 전송 패킷의 종류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ivacy protection that may occur in a subsequent process of FIG. 13 in a called terminal, and illustrates a flowchart of each received transport packet. FIG.
도 15는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번호 별로 프라이버시를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lying privacy for each phone number by a called terminal user.
도 16은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전화번호 검색 요청을 받은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a specific telephone number search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of the terminal.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Symbol description of main part of drawing)
10, 11 : 기지국 20, 21 : 교환기10, 11:
30 : 방문자 위치 등록기 40 : 홈 위치 등록기30: Visitor Location Register 40: Home Location Register
50, 71, 91 :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 60 : CID 패킷 생성부50, 71, 91: privacy code generation unit 60: CID packet generation unit
70 : 단문메시지 서버 72 : SMS 패킷 생성부70: short message server 72: SMS packet generation unit
80 : 망 연동 시스템 90 : MMSC80: network interworking system 90: MMSC
92 : 확인 패킷 생성부 100, 200 : 무선 단말기92: confirmation
140 : 제어부 160 : 메모리140: control unit 160: memory
180 : 패킷 판독부 190: 프라이버시 관리부180: packet reading unit 190: privacy management unit
191 : 사용자 인증부191: user authentication unit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단말기 사용자 중, 특히 발신측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에 관한 프라이버시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tecting the privacy of a terminal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ore effectively protecting the privacy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erminal user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user, particularly the calling party user. It is about.
최근 들어 유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증하고 단말기를 통한 메시지 전달도 급증하고 있어, 단말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단말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특성상 그 관리가 소홀하면 수신측 단말기의 사용자 이외의 자가 통화 호 신호에 응답하거나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등의 내용을 열람하게 됨으로써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프라이버시(privacy)가 침해될 수 있다.Recently, users of wired / wireless terminals are rapidly increasing, and message delivery through the terminals is also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the necessity of protecting the privacy of terminal users is also increasing. However, if the management is negle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especially a mobile terminal, the privacy of the caller or called party is violated by responding to a call signal or reading a short message other than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Can be.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간단하게는, 수신측 단말기의 적절한 설정을 통해, 통화 호 신호나 단문메시지 도착 신호가 전달될 때에 먼저 수신측 단말기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야 상기 신호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신되는 모든 신호에 대하여 착신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발 신자별 프라이버시 정책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As a countermeasure, there is a method of simply responding to the signal only after inputting the password of the receiver terminal when the call signal or the short message arriva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proper setting of the receiver terminal. . However, this method is cumbersome because the receiver must enter a password for every signal receiv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privacy policy management by the sender is not performed.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0006304호는 발신자 측으로부터 통화 호 신호를 착신하고 상기 발신자가 착신측 단말기에 착신보호모드로 저장된 전화번호의 발신자와 일치하면, 착신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 받고, 착신측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 판단하는 방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송신측 사용자와 수신측 사용자간의 프라이버시를 보호는 방법을 게시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06304 receives a call signal from the caller and if the caller matches the caller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callee protection mode, the caller receives a password from the called party. A method of selectively protecting the privacy between a transmitting user and a receiving user by a method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is disclosed.
상기 공개특허에서 착신자는 자신의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된 전화번호부에서 특정한 전화번호만을 선택하여 설정하면, 상기 특정한 전화번호로 통화 호 신호 등이 전달되는 경우에만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 받는다.In the disclosed patent, when the called party selects and sets only a specific phone number from a phone book recorded in the memory of his terminal, the called party is asked to input a password only when a call signal or the like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phone number.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의 기술과 같이 착신측 단말기에서 프라이버시 정책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발신자가 전송하는 메시지와 무관하게 특정 발신자에 대해서는 항상 비밀번호를 요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프라이버시 정책을 설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determining a privacy policy in a called terminal, as in the technique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there is a problem that a password is always required for a specific sender regardless of a message sent by the send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privacy policy cannot be set for a phone number not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of the called terminal.
사실, 프라이버시 정책은 전달하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결정되어야 할 것이고, 일단 그 정보의 내용은 정보를 전송하는 발신자만이 알고 있으므로, 발신자가 프라이버시 정책을 결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극히 사적인 내용이어서 타인에게 보여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 메시지라든가, 개인신상 정보 또는 업무상 정보 등과 같이 누출되었을 때 발신자나 수신자 또는 제3자가 피해를 볼 수 있는 중요한 메시지를 특정인에게만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메시지를 전송 할 때에 개별적으로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발신자는 전송할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때로는 보호 모드(착신자의 인증을 요하는 모드)로 때로는 해제 모드(착신자의 인증을 요하지 않는 모드)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정보의 선택적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In fact, the privacy policy would have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to be conveyed, and once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is known only to the sender of the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ender determine the privacy policy. For example, a message that is extremely private and you do not want it to be shown to others, or you want to provide only important messages to someone who may be harmed by the sender, recipient, or third party when leaked, such as personal or business information. In this case, it should be possible to apply privacy protection individually when sending the message.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e sender can selectively protect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sometimes transmitting in protected mode (mode requiring authentication of the called party) and sometimes in release mode (mode not requiring the authentication of the called party). do.
한편, 발신자 스스로가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주지된 종래기술로 '발신자 표시 제한'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발신자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착신자가 보지 못하게 하는데 불과하며, 발신자가 원하지 않는 제3자가 착신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과는 거리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ller display restriction' as a known prior art related to how the caller protects his or her privacy. However, this simply prevents the called party from seeing information such a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is far fro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called party from receiving a third party.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 착신자에게 전송할 정보(음성 통화, 단문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일반 파일 등)에 대하여 발신자가 프라이버시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ethod for a caller to determine a privacy policy for information (voice call, short message, multimedia message, general file, etc.) to be transmitted to a called party.
또한 본 발명은, 전송할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메시지 별로 각각 프라이버시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rmining a privacy policy for each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전송 방법은, (a) 통신망과 결합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 명령과, 상기 전송 명령에 대한 프라이버시 키 값, 및 목적지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프라이버시 키 값을 대응하는 프라이버시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명령에 따른 전송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생성 된 전송 패킷을 상기 목적지 전화번호를 갖는 착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ivacy protec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ceiving a transmission command, a privacy key value for the transmission command, and a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from a calling terminal coupled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 (b) converting the received privacy key value into a corresponding privacy code; (c) generating a transmission packe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mmand including the privacy code; And (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ransport packet to a called terminal having the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전송 패킷에 포함되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에서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은, (a) 상기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b)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전송 패킷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tecting a sender's privacy at a called terminal by using a privacy code included in a transport packet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Reading a privacy code; (b)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privacy code is in a protected mode; And (c)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transport packet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전송 패킷에 포함되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에서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은, (a)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부 테이블의 전화번호에 대한 제1 프라이버시 코드를 설정 받는 단계; (b) 상기 전화번호를 갖는 발신자로부터 상기 전송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전송 패킷에 포함된 제2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c) 상기 설정 받은 제1 프라이버시 코드와, 상기 판독된 제2 프라이버시 코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전송 패킷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tecting the sender's privacy in the called terminal by using a privacy code included in the transport packe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 from the called terminal user Receiving a first privacy code fo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directory table; (b) reading a second privacy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transport packet when receiving the transport packet from a sender having the telephone number; (c)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set first privacy code and the read second privacy code is a protected mode; And (d)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transport packet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파일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에서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은, (a) 상기 수신된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b)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파일을 단말기의 메모리에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tecting the sender's privacy at the called terminal by using a privacy code record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fil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 the received Reading the privacy code recorded in the header of the file; (b)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privacy code is in a protected mode; And (c) downloading the file to a memory of the terminal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한 플래그 파일을 함께 수신하고, 상기 플래그 파일에 기록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에서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은, (a) 상기 수신된 플래그 파일에 기록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b)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파일을 단말기의 메모리에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e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flag file for the file are received together, and using the privacy code recorded in the flag file, the sender's privacy at the called terminal. A method of protecting a network includes: (a) reading a privacy code recorded in the received flag file; (b)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privacy code is in a protected mode; And (c) downloading the file to a memory of the terminal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이메일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소정의 위치에 기록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에서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은, (a) 상기 수신된 플래그 파일에 기록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b)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이메일을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메모리에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ai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s received, and a privacy code recor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is used to send a caller's message at the called terminal. A method of protecting privacy includes: (a) reading a privacy code recorded in the received flag file; (b)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privacy code is in a protected mode; And (c) downloading the email to a memory of the called terminal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의 전송 명령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이에 따라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프라이버시 모드를 선택 받는 단계; (b)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 따른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는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열람 정보에 송신 보안 모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transmitting a privacy code in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command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us protecting the privacy at the calling terminal, (a) selecting a privacy mode from the user Receiving step; (b) generating the privacy code according to the privacy mode; (c) transmitting a transfer command including the generated privacy code; And (d) applying the transmission security mode to the brow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command when the privacy mode is the protection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은, 무선단말기(100, 200)와, 기지국(10, 11)과, 교환기(20, 21)와,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30)과,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40)와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50)와, CID(caller ID) 패킷 생성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00, 200), a base station (10, 11), a switch (20, 21),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30, a home loc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40, a privacy code generator 50, and a caller ID (CID) packet generator 60.
상기 동작은 같은 셀(cell) 영역 내에 발신측 단말기(100)와 착신측 단말기(200)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양자가 같은 기지국(10)과 같은 교환기(20)를 거쳐서 통신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발신측 단말기(100)와 착신측 단말기(200)가 각각 다른 기지국(10, 11) 및 다른 교환기(20, 21)를 통하여 통신로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In the above operation, when both the calling
발신측 단말기(100)는 발신자로부터 착신측 단말기(200)의 전화번호(이하, 목적지 전화번호라 함) 및 프라이버시 키(privacy key) 값을 입력 받고, 착신측 단말기(200)가 속하는 기지국(10)에 상기 착신측 단말기(200)에 대한 통화 호 신호 설정 요청(통화 연결 요청)을 한다. 통화 호 신호 설정 요청시에는 송신측 단말기(100)는 기지국(10)에 상기 전화번호, 프라이버시 키 값, 및 자신의 단말기 고유번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고유번호로는, 예를 들어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이 있다.The calling
이하 본 명세서에서, 통화 호 신호 설정 요청,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 파일 전송 요청 등, 발신측 단말기가 통신서비스 제공업자에게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 명령'으로 통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ignal requested by a calling terminal to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ch as a call call signal setting request,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a file transmission request, etc.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transmission command'.
프라이버시 키는 단말기에 별도의 키를 추가하여 특정 문자 또는 기호를 발생시키는 키로서 제작될 수도 있고 단말기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나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별도 메뉴로 특정 문자 또는 기호를 발생시키게 할 수도 있지만, 기존의 무선단말기에 존재하는 '# 키', 또는 '* 키'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간단한 방법이 될 것이다.The privacy key may be produced as a key that generates a specific character or symbol by adding a separate key to the terminal, or may generate a specific character or symbol through a separate menu implemented by the system software or application software of the terminal. Using the '# key' or '* key' existing in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a simpler method.
이와 같이 물리적인 키를 의미하는 '프라이버시 키'와 구별되어야 할 개념으로서, '프라이버시 키 값'은 상기 프라이버시 키에 의하여 발생되는 키 코드 값이며, 실제로 기지국, 교환기 등에 전송되는 값이다.As a concep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privacy key' meaning the physical key, the 'privacy key value' is a key code value generated by the privacy key, and is actually a value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an exchange, and the like.
발신자는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에 그 말미나, 선두 또는 기타 위치에 프라이버시 키 값을 함께 첨부하고 단말기의 전송 키를 누르면, 상기 전화번호와, 프라이버시 키 값, 그리고 발신측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기지국(10)을 거쳐 교환기(2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착신측 전화번호가 '0105556789'일 경우에, 발신자가 단말기(100)에 '0105556789#'을 입력하고 단말기의 전송 버튼을 누르면, 이를 수신한 교환기(20)는 착신측 단말기(200)의 전화번호(0105556789)와, 프라이버시 키 값(#의 키 코드 값)이 존재함을 알게 된다. 물론, 발신자가 프라이버시를 요하지 않는 일반적인 통화 호 발신(해제 모드)을 원하는 경우에는 프라이버시 키 값을 부가하지 않고 착신측 전화번호만을 기입하여 전송하면 될 것이다.When the calling party enters the called party's telephone number, attaches the privacy key value to the end, head or other position together and presses the transmission key of the terminal, the telephone number, the privacy key value,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are displayed. It is transmitted to the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프라이버시 모드를 '변경불가', '변경가능', '해제' 모드의 3가지로 나누고, '변경불가' 모드에 해당하는 프라이버시 키 값(이하, 제1 프라이버시 키라고 함)를 '#'로, 변경가능 모드에 해당하는 프라이버시 키 값(이하, 제2 프라이버시 키라고 함)를 '*'로, 그리고, '해제' 모드인 경우에는 프라이버시 키 값은 할당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전체적으로 보아서, 변경불가 모드 및 변경가능 모드는 해제 모드에 대비하여 '보호 모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 불가' 모드는 발신자가 보낸 통화 호 신호나 메시지 등에 대하여 정한 프라이버시 코드를 착신자가 변경할 수 없도록 하는 경우이고, '변경 가능' 모드는 상기 메시지 등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를 착신자가 수신한 이후에 '해제 모드'로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경우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vacy mode i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unchangeable', 'changeable', and 'off' modes, and a privacy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unchangeable'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ivacy key). ) Is set to '#', the privacy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difiable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privacy key) to '*', and in the 'release' mode, the privacy key value is not assigned. Will be explained. As a whole, the immutable mode and the modifiable mode may be defined as a 'protection mode' in preparation for the release mode. Here, the 'non-modifiable' mode is a case in which the called party cannot change a privacy code defined for a call signal or a message sent by the caller, and in the 'modifiable' mode after the receiver receives a privacy code for the message. This is the case where you can change to 'off mode'.
그러나, 프라이버시 키 값을 지정하는 것은 이외에도 얼마든지 다른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키 만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는 변경불가 모드를, '#'는 변경가능 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프라이버시 모드의 수도 사용자 또는 단말기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서 더 많거나 적은 모드 수를 채택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re are many other ways to specify the privacy key value. For example, as a method of using only one key, '##' may indicate an unchangeable mode and '#' indicates a changeable mode.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mber of privacy modes can be adapted to more or fewer modes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or terminal manufacturer.
본 명세서에서, 변경불가 및 변경가능 모드는 현재 보내는 통화 호 신호나 메시지에 대해서만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해제' 모드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요청하지 않는 종래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on-changeable and changeable mode means a case of requesting user authentication only for a call signal or a message that is currently sent, and the 'release' mode means a case in which transmission is generally performed as in the prior art, which does not request privacy protection. Indicates.
기지국(10)은 무선단말기(100)로부터 호 설정 요청을 전송 받아 채널을 검색한다. 기지국(10)은 담당하는 무선셀의 일정 반경 내에서 무선단말기(100)와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기지국(10)은 다시 BSC(Base Station Controller)와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으로 나뉠 수 있지만, 통상 기지국(Base Station)으로 통칭하여 상기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10)은 상기 형성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단말기(10)로부터 전송 받은 전화번호, 프라이버시 키 값, 그리고 단말기 고유번호를 교환기(20)로 통보한다.The
교환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전송 받은 고유번호를, 홈 위치 등록기(40)에 등록된 고유번호 중에서 검색하여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하고, 미등록된 단말기인 경우 서비스를 중지하면서 기지국(10)으로 호 종료를 지시한다.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라면, 이번에는 착신측 단말기(200)가 도 9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지원하는지(즉, 프라이버시 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측 단말기(100)에 그 사실을 메시 지로 즉시 통지한다. 그러면, 발신자는 다시 일반적인 방법(해제 모드)으로 다시 호 신호를 요청해야 할 것이다. 이는 모든 단말기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지는 않는다는 전제에서 필요한 과정이며 만약 모든 단말기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지 과정은 생략된다.The
여기서 착신측 단말기(200)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지는,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착신측 단말기(200)의 고유번호를 통하여 단말기(200)의 기종을 파악함으로써 알 수 있다.Here, whether the called
만약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이고 착신측 단말기(200)가 본 발명의 기능을 제공한다고 판단된다면,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50)에서는 전달된 프라이버시 키 값을 변환하여 이에 대응하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한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코드는 문자 또는 식별 비트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식별 비트로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프라이버시 키 값 '#'(변경불가 모드)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는 '11'로, 프라이버시 키 값 '*'(변경가능 모드)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는 '10'으로, 그리고 프라이버시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해제 모드)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는 '00'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코드 '01'은 예비 비트(reserved bit)로 남겨진다. 이와 같이 하면, 두 비트 만으로 프라이버시 모드의 종류를 표현할 수 있다.If the calling
다른 예로서,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위와 같이 프라이버시 코드를 설정하고, 해제 모드인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아예 프라이버시 코드를 기재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해제 모드시 프라이버시 코드 비트가 생략되므로 보호 모드인 경우와 데이터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서, 해제 모드도 프라이버시 코드('00')를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지만, 이와 같이 해제 모드에 대하여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As another example, a privacy code may be se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tection mode, and a privacy code may not be described at all in the release mode. In this case, since the privacy code bit is omitted in the release mode, the length of the data may be different from that in the protected mod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n example, the release mode will also be described as having a privacy code ('00'), bu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ivacy code may not be allocated to the release mode.
이와 같이 프라이버시 코드를 정하는 것은 비트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이외에 하나의 8비트 문자로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자 'p'는 변경불가를 나타내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문자 'q'는 변경가능을 나타내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문자 'r'은 해제를 나타내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라이버시 코드를 표현하는 방법은 실제 구현 예에 따라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두 비트로 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자 한다.In this way, the privacy code may be expressed in bits, but may be expressed in one 8-bit character. For example, the letter 'p' may mean a privacy code indicating unchangeability, the letter 'q' may indicate a privacy code indicating changeable, and the letter 'r' may mean a privacy code indicating release. In addition,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privacy code may vary depending on the actual implement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vacy code is expressed as two bits.
한편, CID 패킷 생성부(60)는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여 CID 패킷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러한 CID 패킷의 일 예는 도 2에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링 신호와 함께 전송되며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는 어떠한 신호도 본 발명에서의 CID 패킷에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ID packet generator 60 generates the CID packet including the privacy code. An example of such a CID packe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y signal transmitted with a ring signal and including a privacy code may be included in the CID p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환기(20)는 이와 같이 생성된 CID 패킷을 착신측 교환기(21)와 착신측 기지국(11)을 거쳐서 착신측 단말기(200)에 링 신호와 함께, 예컨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통하여 전송한다. 이 때 홈 위치 등록기(4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The
도 1에서,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50)와 CID 패킷 생성부(60)는 교환기(20)와 별도의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 표현하였지만, 교환기(20) 내에 포함된 모듈로 구현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FIG. 1, the privacy code generator 50 and the CID packet generator 60 are represented as components that function separately from the
상기 CID 패킷의 구성의 일 예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CID 패킷은 통상, 제1 링 패턴(1)과 제2 링 패턴(7) 사이에서 전송되지만, 표준 방식에 따라서는 제1 링 패턴(1)이 나타나기 이전에 전송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1 링 패턴(1)이 지나고 500ms 이상 경과한 후, 채널 점유 신호(channel seizure signal; 2) 및 마크 신호(mark signal; 3)가 나타나고, 이후 뒤 따라서, CID 정보 필드(4) 및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5)가 착신측 단말기(200)로 전달되며, 마지막으로 체크섬 필드(checksum; 6)가 전달된다.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ID packet is as shown in FIG. The CID packet is typically transmitted between the
채널 점유 신호(2)는 300개의 연속비트(0과 1이 교대로 반복됨)로 표현되는데, '0'으로 시작하여 '1'로 끝난다. 채널 점유 신호(2)가 지나가면, 바로 이어서 180비트의 연속된 마크 신호(3)가 전달된다. 이러한 채널 점유 신호(2) 및 마크 신호는(3) 착신측 단말기(200)가 데이터 전송의 시작을 감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채널 점유 신호(2) 및 마크 신호(3)가 지난 후에는, CID 데이터 영역인 CID 정보 필드(4)와, 프라이버시 코드가 기록되는 2비트의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5)가 착신측 단말기(200)에 전달된다.After the
CID 정보 필드(4)에는 발신자에 관한 각종 정보가 기록되는데, 이러한 정보에는 발신 시각과,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발신자의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ID 정보 필드(4)는 아스키 코드에 따를 때 각 문자는 8비트(1바이트)로 표현되지만, 선두에 시작 비트(start bit; 예를 들어, 공백 문자)와 마지막에 멈춤 비트(stop bit)를 포함하여 각 문자는 10비트로 표현될 수도 있다.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aller is recorded in the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5)에는 프라이버시 키 값에 대응하는 프라이버시 코드가 기록된다.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5)가 전달된 이후에는 전달된 CID 정보(4) 및 프라이버시 코드(5)의 에러 유무를 체크하는 체크섬 필드(6)가 전달된다. 이후 소정 시간(200ms) 이상이 경과된 후에 제2 링 패턴(7)이 전송된다.The privacy code corresponding to the privacy key value is recorded in the
착신자는 상기 전송된 CID 패킷의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값이 프라이버시 보호를 요하는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야 소정의 '프라이빗(private) 행위'를 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빗 행위란 앞으로 호 신호에 대한 응답, 통화기록의 열람,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열람, 확인 패킷에 대한 응답,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및 열람, 및 다운로드된 데이터 파일에의 억세스 등 프라이버시를 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called party can read a privacy code of the transmitted CID packet and perform a predetermined 'private behavior' only after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code value indicates a mode requiring privacy protection. The private action is an action that may impair privacy, such as a response to a call signal, a view of a call log, a view of a stored short message, a response to a confirmation packet, reception and viewing of a multimedia message, and access to a downloaded data file. It is defined as meaning.
이러한 CID 패킷을 수신한 착신측 단말기(200)에서 상기 패킷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보다 자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도 9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A more detailed process of protecting the sender's privacy by using the privacy code included in the packet in the receiving
교환기(20)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착신자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착신측 교환기(21) 및 착신측 기지국(11)을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200)와 통화 음성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통신로를 형성한다.When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called party that has been authenticated by the user, the
방문자 위치 등록기(30)는 해당 교환기에 로밍(roaming)된 무선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무선단말기가 다른 교환기의 영역으로 벗어나게 되면 저장된 정보를 삭제한다. The
홈 위치 등록기(40)는 이동통신 단말 가입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40)는 해당 교환기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와,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이동 통신 단말의 상태 정보 등을 관리하며, 착신 호에 대한 경로 지정을 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40)는 교환기(20)에 상기 정보들을 제공한다.The
이상에서, 호 신호 전송시 프라이버시 보호를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프라이버시 코드를 CID 패킷에 함께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로서 CID 패킷과 별도의 패킷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실어서 전달하는 등의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as a method of applying privacy protection when transmitting a call signal, the privacy code is recorded together in the CID packet. However, this is one example of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a privacy code carried in a separate packet from the CID packe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mplementation is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은, 무선단말기(100, 200)와, 기지국(10, 11)과, 교환기(20, 21)와,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30)과,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40)와, 단문메시지 서버(SMS center, SMSC; 70)와,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71)와, SMS 패킷 생성부(72), 및 메시지 큐(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00, 200), a base station (10, 11), a switch (20, 21),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30, a home location It includes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40, a short message server (SMS center, SMSC) 70, a privacy code generator 71, an SMS packet generator 72, and a
여기서, 도 1에서와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도 3에서 더 포함되는 단문메시지 서버(70),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71), SMS 패킷 생성부(72), 및 메시지 큐(73)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at in FIG. 1 will be omitted, and a short message server 70, a privacy code generator 71, an SMS packet generator 72, and a message queue may be further included in FIG. 3. 73) will be described.
기지국은(10, 11)는 무선단말기(100, 200)과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The base station (10, 11) is a handoff fun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erminal (100, 200) using a wireless section, controlling the wireless link and wired link, and maintains the durability of the call even while the subscriber is moving Do this.
교환기(20, 21)는 이동 통신 단말(100, 200)로부터 발신, 착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 하여 다른 교환기와 망 연동을 하며, 홈 위치 등록기(40)로 가입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한다. 그리고 교환기(20, 21)는 다른 유선망(미도시됨)과도 망 연동을 할 수 있다.The
일반적으로, 발신자가 발신측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착신자는 소정의 크기(통상 80 바이트)로 제한된 단문메시지를 작성한 후, 착신측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기록하고 전송 키를 누르면 메시지가 전송된다. In general, when a caller sends a short message using the calling
프라이버시 모드를 적용하고자 하면 일례로 상기 전화번호 기록시에 전화번호와 함께 프라이버시 키 값(예컨대, '#' 또는 '*')를 함께 기록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키 값에 따른 프라이버시 모드에는 '변경불가', '변경가능', '해제' 모드가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If the privacy mode is to be applied, for example, a privacy key value (for example, '#' or '*') is recorded an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telephone number when the telephone number is recorded.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unchangeable', 'changeable', and 'release' modes in the privacy mode according to the privacy key value.
기지국(10)은 발신측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화번호와, 단문메시지와, 프라이버시 키 값, 및 발신측 단말기의 고유번호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을 교환기(20)로 전송한다.The
교환기(20)는 홈 위치 등록기(40)에 등록된 고유번호 중에서, 기지국(10)으로부터 전송 받은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하고, 미등록된 단말기인 경우 해당 전송 서비스를 중지한다.The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라면, 이번에는 착신측 단말기(200)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판단하고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측 단말기(100)에 그 사실을 메시지로 즉시 통지한다. 그러면, 발신자는 다시 일반 적인 방법(해제 모드)으로 다시 단문메시지를 전송해야 할 것이다. 이는 모든 단말기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지는 않는다는 전제에서 필요한 과정이며 만약 모든 단말기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지 과정은 생략된다.If the calling
만약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이고 착신측 단말기(200)가 본 발명의 기능을 제공한다고 판단된다면, 교환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전송 받은 착신측 전화번호, 단문메시지, 프라이버시 키 값, 및 발신측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단문메시지 서버(70)로 전달한다.If the calling
단문메시지 서버(70)는 무선단말기(100)로부터 기지국(10) 및 교환기(20)를 거쳐서 전달되는 단문메시지뿐만 아니라, 교환기(10)가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문메시지를 메시지 큐(73)에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단문메시지로부터 SMS 패킷을 생성하고, 교환기(20)로부터 상기 단문메시지와 함께 수신되는 착신측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홈 위치 등록기(40)에 의뢰하여 해당 착신측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에 SMS 패킷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러한 SMS 패킷의 일 예는 도 4에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문메시지 내용 및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는 어떠한 신호도 본 발명에서의 SMS 패킷에 포함될 수 있다.The short message server 70 stores not only a shor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또한, 단문메시지 서버(70)는 단문메시지 송수신시 현재 착신측 단말기(200)가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이면, 상기 단문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메시지 큐(73)에 저장하였다가 후에 착신측 단말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단문메시지를 포함하는 SMS 패킷을 착신측 교환기(21)로 전달(forward)한다.In addition, when the short message server 70 cannot receive the short message at the current receiving
그러면, 착신측 교환기(21)는 상기 SMS 패킷을 수신하면 이를 착신측 기지국(11)으 로 보내 페이징 채널을 통해서 SMS 패킷이 착신측 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destination exchange 21 receives the SMS packet and sends it to the
상기 단문메시지로부터 SMS 패킷을 생성하는 데에는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71)와, SMS 패킷 생성부(72)가 관여한다.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71)는 단문메시지 서버(70)으로부터 프라이버시 키 값을 전달받아 이를 변환하여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를 SMS 패킷 생성부(72)에 제공한다. 여기서, 프라이버시 키 값으로부터 생성되는 프라이버시 코드의 일 예는 도 1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The privacy code generation unit 71 and the SMS packet generation unit 72 are involved in generating an SMS packet from the short message. The privacy code generator 71 receives the privacy key value from the short message server 70, converts the privacy key value, generates a privacy code, and provides the generated code to the SMS packet generator 72. Here, an example of the privacy code generated from the privacy key value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in FIG. 1 and thus will be omitted.
SMS 패킷 생성부(72)는 프라이버시 코드 및 단문메시지를 포함하는 SMS 패킷을 생성하여 이를 단문메시지 서버(70)에 제공한다.The SMS packet generator 72 generates an SMS packet including a privacy code and a short message and provides it to the short message server 70.
도 3에서,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71), SMS 패킷 생성부(72), 또는 메시지 큐(73)는 단문메시지 서버(70)와 별도인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 표현하였지만, 단문메시지 서버(7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FIG. 3, the privacy code generator 71, the SMS packet generator 72, or the
도 4는 이와 같은 SMS 패킷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채널 점유 신호(31) 및 마크 신호(32)가 지난 후에는, CID 데이터 영역인 CID 정보 필드(33)와, 프라이버시 코드가 기록되는 2비트의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34)와, 단문메시지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시지 필드(35)가 착신측 단말기(200)에 전달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필드들에 기록된 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점검하기 위한 체크섬 필드(36)가 뒤따른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such an SMS packet. After the
CID 정보 필드(33)에는 발신자에 관한 각종 정보가 기록되는데, 이러한 정보에는 발신 시각과,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발신자의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ID 정보 필드(33)는 아스키 코드로 표현되며, 선두에 시작 비트(start bit; 예를 들어, 공백 문자)와 마지막에 멈춤 비트(stop bit)를 합하여 각 문자는 10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aller is recorded in the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34)에는 발신자가 입력한 프라이버시 키 값에 대응하는 프라이버시 코드가 기록되며,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34)가 전달된 이후에는 메시지 필드(35)가 나타난다. 메시지 필드(35)에는 발신측 단말기(100)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가 기록되며, 이러한 단문 메시지는 소정의 크기로 제한된다.In the
착신자는 상기 전송된 SMS 패킷의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값이 프라이버시 보호를 요하는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야 발신자 정보 확인 및 단문메시지의 열람이 가능하다. 착신측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보다 자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도 9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The called party reads the privacy code of the transmitted SMS packet, and if the code value indicates a mode requiring privacy protection, caller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and the short message can be read only after user authentication. A more detailed process of protecting the sender's privacy using the privacy code received by the called party's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이상에서, 단문메시지 전송시 프라이버시 보호를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프라이버시 코드를 SMS 패킷에 함께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로서 SMS 패킷과 별도의 패킷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실어서 전달하는 등의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as a method of applying privacy protection when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the privacy code is recorded together in the SMS packet. However, this is an example of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ransferring a privacy code in an SMS packet and a separate packe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mplementation i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은, 무선단말기(100, 200)와, 기지국(10, 11)과, 교환기(20, 21)와,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30)과,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40)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multimedia message center, 이하 MMSC라 함; 90)과,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91)와, 확인 패킷 생성부(92)와,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93)와, 망 연동 시스템(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vacy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00, 200), a base station (10, 11), a switch (20, 21),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30, a home location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40, a multimedia messag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MSC) 90, a privacy code generator 91, an
여기서, 도 3에서와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도 5에서 더 포함되는 MMSC(90),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91), 및 확인 패킷 생성부(92),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93), 및 망 연동 시스템(8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at in FIG. 3 will be omitted, and the
일반적으로, 발신자가 발신측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발신측 단말기(1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MMSC(90)에 업로드 한 후에 MMSC(90)가 이를 다시 착신측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발신측 단말기(100)가 MMSC(90)에 요청하여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93)에 저장된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착신측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경우이다.In general, there are two cases in which a caller transmits multimedia data using the
따라서, 양자는 처음 데이터 전송이 어디서부터 시작되는가만 차이가 있을 뿐이고, 전자의 경우도 발신한 데이터가 일단 MMSC(90)의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93)에 저장된 후의 동작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후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only where the first data transmission starts. In the former case, since the transmitted data is the same after the data is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93 of the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모드를 적용하고자 하면 발신자는 발신측 단말기(100)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발송할 착신측 전화번호 및 프라이버시 키를 선택하고 기지국으로 '파일 다운로드 확인 요청'을 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의 대용량 데이터는 상기 단문메시지와는 달리, 착신자 가 자신의 단말기에 별도의 웹 서버, FTP 서버 등 임의의 시간에 파일을 전송 받을 수 있도록 서버를 구축하고 있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발신자가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는 없다. 따라서, 발신자는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의 내용을 알리고 파일 다운로드 여부를 확인 받는 '파일 다운로드 확인 요청'을 먼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발신측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착신측에서 이를 삭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In the transmission of such multimedia data, if the privacy mode is to be applied, the caller selects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calling
그러면, 발신측 단말기(100)로부터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식별 정보와, 착신측 전화번호와, 프라이버시 키 값, 및 발신측 단말기의 고유번호 등의 정보는 기지국(10)을 거쳐 교환기(20)로 전송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식별 정보란 상기 데이터의 제목, 종류, 또는 설명 등 상기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낼 수 있는 간단한 메시지를 의미한다.T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data selected from the calling
교환기(20)는 발신측 단말기(100)로부터 전송 받은 고유번호를, 홈 위치 등록기(40)에 등록된 고유번호 중에서 검색하여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하고, 미등록된 단말기인 경우 해당 전송 서비스를 중지한다.The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라면, 이번에는 착신측 단말기(200)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판단하고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측 단말기(100)에 그 사실을 메시지로 즉시 통지한다. 그러면, 발신자는 다시 일반적인 방법(해제 모드)으로 다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것이다. 이는 모든 단말기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지는 않는다는 전제에서 필요한 과정이며 만약 모든 단말기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지 과정은 생략된 다.If the calling
만약 발신측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이고 착신측 단말기(200)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한다고 판단된다면, 교환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전송 받은 식별 정보와, 착신측 전화번호, 프라이버시 키 값, 및 발신측 단말기의 고유번호 등을 망 연동 시스템(80)을 통하여 MMSC(90)로 전달한다.If the calling
MMSC(90)는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91)가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확인 패킷 생성부(92)가 확인 패킷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삼아 저장하였다가, 이를 확인 패킷을 생성하는 데 제공한다. 이러한 확인 패킷의 구조는 메시지 필드(도 4의 35)에 발신자의 단문메시지가 기록되는 대신에 전송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서의 SMS 패킷의 구조와 마찬가지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다운로드할 파일의 정보 및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는 어떠한 신호도 본 발명에서의 확인 패킷에 포함될 수 있다.The
상기 확인 패킷을 생성하는 데에는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91)와, 확인 패킷 생성부(92)가 관여한다.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91)는 교환기(20)로부터 전달된 프라이버시 키 값을 변환하여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를 확인 패킷 생성부(92)에 제공한다. 여기서, 프라이버시 키 값으로부터 생성되는 프라이버시 코드의 일 예는 도 1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확인 패킷 생성부 (92)는 프라이버시 코드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확인 패킷을 생성하여 이를 MMSC(90)에 제공한다.The privacy code generator 91 and the
확인 패킷을 제공받은 MMSC(90)는 교환기(20)로부터 전달된 착신측 전화번호를 홈 위치 등록기(40)에 의뢰하여 해당 착신측 단말기(2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착신측 단말기(200)가 확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확인 패킷을 전송한다. The
착신측 교환기(21)가 망 연동 시스템(80)을 통하여 MMSC(90)로부터 상기 확인 패킷을 수신하면 이를 착신측 기지국(11)으로 보내 확인 패킷이 착신측 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alled side exchange 21 receives the acknowledgment packet from the
착신자는 상기 전송된 확인 패킷의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값이 '보호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야 확인 패킷 내용의 열람이 가능하다.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착신자는 메시지를 열람하고 자신이 특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게 된다. 착신측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보다 자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도 9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The called party reads the privacy code of the transmitted acknowledgment packet and can read the acknowledgment packet contents only after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code value indicates the 'protection mode'. After authenticating the user, the called party reads the message and finds out that he or she is able to download certain multimedia data. A more detailed process of protecting the sender's privacy using the privacy code received by the called party's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이 후, 착신자가 원하는 시각에 상기 확인 패킷에 응답하여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1)과 교환기(21) 및 망 연동 시스템(80)을 거쳐서 MMSC(90)에 전송하면, MMSC(90)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9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망 연동 시스템(80), 착신측 교환기(21), 및 착신측 기지국(11)을 거쳐 착신측 단말기(200)로 전송한다.Thereafter, when the called party transmits a download request message to the
이와 같이, MMSC(90)와 연동되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93)는 MMSC(90)에서 부가한 컨텐츠와 당해 부가 컨텐츠에 상응하는 발신 번호나 착신 번호를 저장하는 기능, 부가 컨텐츠,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저장된 내용을 업데이트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As such, the content database 93 interworking with the
한편, 상기 착신측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는 MMSC(90)에서 제공하는 그림, 사진, 이모티콘, 아바타, 동영상, 멜로디, 벨소리, 멀티미디어, 발신자가 작성한 텍스트 등의 자원이나 각 자원이 결합된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게임 기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발신 번호와 함께 표시되거나 단독으로 표시될 수 있고, 착신자 단말기(200)의 화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media data transmitted to the called
이상에서 설명한 망 연동 시스템(Inter-Working Function, IWF; 80)은 유선 인터넷 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 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을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망 연동 시스템(80)은 WAP 프로토콜과 인터넷 TCP/IP(Transfer Internet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상호간에 변환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MMSC(90)와 망 연동 시스템(80) 간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고, 무선단말기(100, 200)와 망 연동 시스템(80) 간에는 W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망 연동 시스템(80)은 WAP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웹 사이트 주소(URL) 요청을 HTTP 요청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망(95)을 통해 HTTP 프로토콜에 따라 MMSC(90)에 웹 사이트 주소(URL)를 요청한다. 또한, 망 연동 시스템(80)은 MMSC(90)로부터 수신한 HTML 형식의 컨텐츠를 무선단말기(100, 2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하여 전달한다.The inter-working function (IWF) 80 described above performs a process such as communication code conversion or protocol convers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d internet network so as to quickly retrieve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wired internet. And interconnects the wired Internet network. For example, the
이상에서,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91), 확인 패킷 생성부(92), 또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93)는 MMSC(90)와 별도인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 표현하였지만, 이들은 MMSC(9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식별 정보 전송시 프라이버시 보호를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프라이버시 코드를 확인 패킷에 함께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로서 확인 패킷과 별도의 패킷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실어서 전달하는 등의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ivacy code generator 91, the
지금까지 도 5의 설명에서, MMSC(9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5에서 MMSC(90)를 파일 전송 서버(미도시됨)로 대치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아닌 일반 파일(텍스트 파일, 프로그램 실행 파일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파일 전송 서버를 이용하는 실시예는 당업자라면 도 5의 설명을 참조하여 충분히 구현할 수 있을 것인 바,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hough the example of providing multimedia data using the
지금까지의 설명 이외에도, 발신자가 미리 자신의 프라이버시 정책을 설정하여 서비스 제공업자의 서버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후에 호 신호나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에는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가 상기 설정된 프라이버시 정책에 따라서 도 2, 도 4와 같이 프라이버시 코드가 포함된 패킷을 착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웹 서버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프라이버시 정책(프라이버시 코드)를 서버에 설정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caller sets his or her privacy policy in advance and stores it in the server of the service provider, and later transmits a call signal or a message, the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the set privacy policy is shown in FIGS. There is also a method of transmitting a packet including a privacy code to the called terminal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erminal user can set his or her privacy policy (privacy code) to the server using a web server or the like and change it if necessary.
이상에서, 발신자가 전송 명령과 함께 프라이버시 키 값을 전송하면, 기지국(10), 교환기(20) 등을 담당하는 통신사업자 등이 이 키를 프라이버시 코드로 변환하여 전송 명령에 따른 전송 패킷(전송 명령에 대응하여 착신측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통칭하여 '전송 패킷'이라고 정의함)과 함께 프라이버시 코드를 착신측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발신자가 직접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 명령(통화 호 설정 요청,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 일반 파일 전송 요청 등)에 포함하여 기지국(10), 교환기(20) 등의 통신사업자 영역(300)으로 전송하면, 통신 사업자 영역(300)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동작으로(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별도의 동작 없이),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으로 상기 전송 명령에 대응하는 '전송 패킷'(착신측 단말기가 수신하는 CID 패킷, SMS 패킷, 확인 패킷, 일반 파일 데이터 등을 의미함)을 전달한다. 그러면,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에서는 상기 전송 패킷의 소정의 위치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읽고 그에 따른 프라이버시 정책을 적용하게 된다.In the above, when the sender transmits a privacy key value together with a transmission command,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responsible for the
도 7은 도 6과 같은 상황에서 발신측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무선단말기(200) 간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전달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a)와 같이 발신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고 할 때, 발신자는 단문 메시지 중 소정의 위치(본 예에서는 선두 부분)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기록하여 통신사업자 영역(300)으로 전송하면 통신사업자는 프라이버시 코드가 포함된 전체를 단문메시지로 인식하여 이를 소정의 과정을 거쳐 착신측으로 전송한다. 전체 단문메시지는 n비트(통상 80 바이트)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실제 발신자가 단문메시지로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은 n-2비트가 된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ransferring a privacy code between the calling
마찬가지로, (b)와 같이 발신자가 파일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할 때, 발신자는 파일 데이터 중 소정의 위치(본 예에서는 선두 부분)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기록하여 통신사업자 영역(300)으로 전송하면 통신사업자는 프라이버시 코드가 포함된 전체를 파일 데이터로 인식하여 이를 소정의 과정을 거쳐 착신측으로 전송한다. 통신사업자 영역(300)에서 파일 데이터로 인식하는 크기가 m비트라고 할 때, 실제 발신자가 전송할 수 있는 파일 데이터의 크기는 m-2비트가 된다.Similarly, when the sender transmits the file data as shown in (b), when the sender records the privacy co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ead part in this example) of the file data and transmits the privacy code to the service provider area 300, the service provider It recognizes the whole including the privacy code as file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alled party after a predetermined process. When the size recognized by the service provider area 300 as file data is m bits, the size of the file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actual caller is m-2 bits.
통신사업자로부터 단문메시지 또는 파일데이터를 수신한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에서는 미리 약속된 프라이버시 코드가 기록된 영역을 읽음으로써, 발신자가 의도한 프라이버시 모드를 판독하고 이에 따라서 프라이버시 정책을 적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라이버시 코드가 선두 부분에 기록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프라이버시 코드가 말미 부분, 또는 다른 특정 부분 등 미리 약속된 어떠한 부분에 기록되는 가는 실제 구현에 따라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페이로드(payload) 영역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발신측으로부터 착신측으로 전달될 수 있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라면, 헤더(header) 등 기타 영역에도 기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일 것이다.The receiving
이와 같이 하면, 도 1, 도 3, 및 도 5에서 사용한 방법에서 통신 사업자 또는 컨텐 츠 제공자 측은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지 않고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은 동작만을 수행하여도 프라이버시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사업자 등의 개입 없이도 종래 무선단말기 만을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In this way, in the method used in FIGS. 1, 3, and 5, the carrier or the content provider may apply the privacy policy even if only the operation as in the related art is performed without generating the privacy code.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changing only the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telecommunications provider.
지금까지는, 무선단말기 간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웹으로부터 무선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이러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주는 도면이다. So far,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etween wireless terminals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data transmitted from the web to the wireless terminal.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such a case.
웹 클라이언트(97)의 사용자는 인터넷 망(98)을 통하여 웹 서버(96)에 접속하고, 웹 서버(96)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서 통화 설정 요청(web to phone 방식),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 또는 일반 파일 전송 요청 등의 전송 명령을 웹 서버(96)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웹 서버(96)는 인터넷 망(99)을 통하여 접속된 망 연동 시스템(80)에 상기 전송 명령을 전달하고, 망 연동 시스템(80)은 교환기(20)에 상기 전송 명령을 전송한다.The user of the
웹 클라이언트(97)는 사용자가 웹 서버(96)에 접속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웹 브라우저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기기로서,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단말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웹 클라이언트(97)와 웹 서버(96)가 연결되는 인터넷 망(95)은 유선, 무선 네트워크를 불문한다.The
이와 같이 웹 클라이언트(97)로부터 교환기(20)로 전송 명령이 전달되는 과정은, 도 1, 도 3, 또는 도 5에서 발신측 무선단말기(100)로부터 기지국(10)을 거쳐서 교 환기(20)에 전송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에 대응되는 과정으로서, 이후의 과정은 양자가 동일하므로, 이후 과정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발신측이 무선단말기(100)인 경우와는 달리 발신측의 CID 정보(발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성명 등)는 직접 웹 클라이언트(97)에서 기재하여야 하거나 미리 웹 서버에 저장해둬야 하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착신측 무선단말기(200)는 키 입력부(110)와, 음성처리부(120)와, 표시부(130)와, 제어부(140)와, RF부(150)와, 메모리부(160)와, SIM(170)과, 패킷 판독부(180)와, 프라이버시 관리부(190)와, 사용자 인증부(1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lled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지며 타 구성요소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기능을 처리한다.The
키입력부(11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40)로 해당 키 신호를 출력한다. 즉, 키 입력부(110)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The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호 신호, 메시지 등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함과 아울러 프라이버시 키를 입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10)에 별도의 프라이버시 키를 부착할 수도 있지만, 기존에 존재 하는 특수문자 키인 '# 키', 또는 '* 키'를 사용하는 것이 간단한 방법이 될 것이다. 여기서 '# 키'는 변경불가 모드를, '* 키'는 변경가능 모드를 의미하는 프라이버시 키이다.When the user wants to transmit a call signal, a message, etc. in the privacy mode, the user inputs a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and a privacy key.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privacy key may be attached to the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버시 키는 단말기에 별도의 키를 추가하여 특정 문자 또는 기호를 발생시키는 키로서 제작될 수도 있고 단말기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나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별도 메뉴로 특정 문자 또는 기호를 발생시키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privacy key may be manufactured as a key for generating a specific character or symbol by adding a separate key to the terminal or generating a specific character or symbol with a separate menu implemented by the system software or application software of the terminal. You can also let them do it.
음성처리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음성을 합성하거나, RF부(150)를 통하여 입력되는 통화 음성을 처리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무선단말기(100, 200)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발신자 정보, 메모리 내의 각종 DB로부터 검색된 결과 등을 표시한다.The
RF부(150)는 신호정합을 통해서 RF 신호를 무선안테나(101)를 통하여 입력 받거나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무선안테나(101)를 통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메모리부(160)는 통상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ROM)인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be made of an EEPROM, a flash memory, or the like, which is typically an electrically erasable nonvolatile memory (ROM).
메모리부(160)는 무선단말기(100, 200)의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인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가 설치되는 OS영역(166)과,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단말기 제작시 미리 그 내부에 설치되는 엠베디드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가 위치하는 엠베디드 소프트웨어 영역(165)과,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단말기 내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가 위치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영역(168)과,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DB(162)와, MMSC(90)로부터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하는 MMS DB(169)와,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통화기록 DB(163)와,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는 전화번호부 DB(164)와, 기타 다운로드된 일반 파일을 저장하는 예비 영역(161) 또는 별도의 메모리 영역(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includes an OS area 166 in which an operating system, which is a program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systems of the
통상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영역들이 위치하는 물리적 메모리 주소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메모리부(160) 상의 그 영역들의 위치나 크기를 가변적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In general, the memory unit 160 of the wireless terminal often has a physical memory address in which the areas are located in advance. However, the memory unit 160 of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메모리부(160)는 운영체제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RAM; 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volatile memory (RAM) (not shown)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an operating system or a software program.
가입자 정보 저장부(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161)는 단말기의 고유 번호를 저장하고 신호 전송시 상기 고유 번호를 제공한다.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161 stores a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and provides the unique number in signal transmission.
패킷 판독부(180)는 CID 패킷, SMS 패킷, 확인 패킷, 파일 데이터 등의 전송 패킷이 RF부(150)를 통하여 수신되면, 각종 패킷을 판독하여 CID 정보, 프라이버시 코드, 메시지, 또는 파일 등을 추출하여 이를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를 프라이버시 관리부 (190)에 제공한다.When the
단문메시지 DB(162)는 상기 패킷 판독부(180)에서 SMS 패킷을 판독하여 추출한 발신자의 전화번호, 프라이버시 코드, 단문메시지 내용 등과, SMS 패킷이 수신된 시간이 기록되는 단문메시지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러한, 단문메시지 테이블은 다음의 표 1의 예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The
표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문메시지 테이블은 전화번호 필드와,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와, 메시지 내용 필드와, 메시지 수신 시각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short message table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field, a privacy code field, a message content field, and a message reception time field.
여기서, 프라이버시 코드 '11'은 변경불가 모드를, 프라이버시 코드 '10'는 변경가능 모드를, 프라이버시 코드 '00'은 해제 모드를 각각 나타낸다.Herein, the privacy code '11' indicates an unchangeable mode, the privacy code '10' indicates a changeable mode, and the privacy code '00' indicates a cancel mode.
표 1에서, 1행 및 2행을 보면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온 메시지도 프라이버시 코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발신자가 메시지 별로 다른 프라이버시 정책을 사용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표 1 내지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 테이블, 통화기록 테이블, 전화번호부 테이블, 주소 테이블 등의 테이블 중에서 하나의 행(row)에 기록된 내용을 '항목'이라고 약칭하여 사용하기로 한다.In Table 1, looking at
한편, 통화기록 DB (163)는 상기 패킷 판독부(180)에서 CID 패킷을 판독하여 추출 한 발신자의 전화번호, 프라이버시 코드 등과, 상기 CID 패킷이 수신된 시각, 통화 시간이 기록되는 통화기록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화기록 테이블은 다음의 표 2의 예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화기록 테이블은 전화번호 필드와,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와, 호 수신 시각 필드와, 통화 시간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the call log table may include a phone number field, a privacy code field, a call reception time field, and a call time field.
전화번호부 DB (164)는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화번호부 테이블을 저장한다. 전화번호부 테이블은, 표 3의 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화번호 필드와,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와, 각 전화번호 별 입력 사항(성명, 주소 등)이 기록되는 입력 사항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특정한 타 단말기 사용자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보호를 선택하여 전화번호부 테이블의 한 행을 추가 입력할 수 있 는데,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보호 모드는 '10' 즉 변경 가능 모드만 존재한다. 착신자가 변경할 수 없는 변경 불가 모드를 착신자 스스로 지정할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물론, 착신자가 프라이버시 코드를 기록하지 않고 항목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프라이버시 코드는 디폴트 값인 '00'(해제 모드)가 된다.As shown in Table 3, the called terminal user can select privacy protection for a specific other terminal user and enter an additional row of the phonebook table. The protection mode designated by the called terminal user is '10'. That is, only changeable modes exist. This is because there is no reason for the called party to specify the unmodifiable mode which the called party cannot change. Of course, when the called party inputs an item without recording the privacy code, the privacy code becomes '00' (release mode) which is the default value.
한편, RF부(150)를 통하여 발신자로부터 프라이버시 보호가 요청된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기타 일반 파일을 수신하고 이 파일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문메시지 열람이나 통화기록의 열람과는 그 구현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단문메시지 또는 통화기록은 전화번호와 함께 기록되므로 표 1, 표 2에서와 같이 그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프라이버시 코드를 덧붙여 기록함으로써 프라이버시 정책을 적용할 수 있지만, 다운로드된 파일은 발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되는 경우(전자)와 발신자 전화번호와 상관없이 파일만 저장되는 경우(후자)가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된 파일은 메모리부(160)의 예비 영역(161)에 저장되거나 별도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예비 영역(161)에 저장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a multimedia file or other general file requested for privacy protection from the sender through the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단문메시지나 통화기록과 마찬가지로 전화번호와 함께 기록하여 관리하면 될 것이지만, 후자의 경우라면 저장된 파일과 연계하여 상기 소정의 파일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In the former case, as in the short message or the call log, it may be recorded and managed together with the telephone number. In the latter case, the privacy code for the predetermined file needs to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stored file.
후자의 경우에 대하여, 몇 가지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 주소 테이블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둘째로 태그 파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기에 탑재되는 운영체제(OS)가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에 따른 파일 속 성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주소 테이블을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For the latter case, some embodiments can be considered. First, there is a method of using an address table, and second, a method of using a tag file.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changing a file attribute according to a file system managed by an operating system (OS) mounted in a wireless terminal. First, let's look at how to use the address table.
소정의 소프트웨어가 상기 파일을 실행할 수 있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단말기에 사용되는 운영체제는 특정 파일의 명칭과 그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의 주소를 테이블로 관리한다. 만약 소정의 소프트웨어가 상기 파일을 억세스 하고자 할 때는 주소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모리 상의 시작 주소로부터 상기 파일 크기만큼의 데이터를 읽음으로써 상기 파일에 대한 억세스가 가능하다.In order for a given software to execute the file, an operating system generally used in a terminal maintains a table of names of specific files and addresses in memory where the files are stored. If a given software wants to access the file, it can access the file by reading the data of the file size from the start address in memory by referring to the address table.
다음의 표 4는 상기 주소 테이블에 프라이버시 코드 열(column)을 삽입한 것으로, 파일을 억세스 할 때 프라이버시 정책을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프라이버시 코드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기 전에 전달되는 확인 패킷의 프라이버시 코드 필드를 읽음으로써 알 수 있고, 이후에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저장할 때 주소테이블에 파일명(파일의 식별자로서의 한 예임), 메모리 주소, 파일크기 등과 함께 프라이버시 코드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소 테이블은 파일 주소 DB 영역(167)에 파일과는 별도로 저장된다.Table 4 below inserts a privacy code column into the address table to apply a privacy policy when a file is accessed. The privacy code can be known by reading the privacy code field of the acknowledgment packet passed before downloading the file, and the file name (an example of file identifier), memory address, file size, etc. in the address table when the file is subsequently downloaded and saved. Record the privacy code together. As such, the address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separately from the file in the file
둘째로, 태그 파일을 이용하는 실시예로서, 특정 파일(예: A.mpg)과 함께 동일한 파일명에 소정의 확장자(예: flg)를 붙인 플래그 파일(예: A.flg)에 프라이버시 코드를 기록하여 두었다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억세스할 때는 그전에 항상 플래 그 파일을 먼저 읽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면, 그 플래그 파일에 기재된 프라이버시 코드 값에 따라서 해당 파일을 억세스하게 할 것인지가 결정되는 것이다.Secondly, as an embodiment using a tag file, a privacy code is recorded in a flag file (for example, A.flg) with a specific file (for example, A.mpg) and a predetermined extension (for example, flg) to the same file name. When accessing the multimedia file, there is a way to always read the flag file first.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access the file according to the privacy code value described in the flag file.
셋째로, 파일 시스템에 따른 파일 속성을 변경하는 방법은, 해당 파일에 대한 모드가 프라이버시 모드인 경우에 해당 파일의 속성을 '숨김(hidden)'으로 지정하여 해당 파일의 존재 자체를 알 수 없도록 할 수도 있고, 해당 파일의 속성을 '억세스 불가'로 지정하여 해당 파일의 존재는 알 수 있지만 파일을 실행하거나 오픈(open)하는 등의 파일 억세스는 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파일 억세스는 단지 해당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억세스 뿐만이 아니라, 해당 파일을 제3자에게 재전송하기 위하여 억세스 하는 것도 당연히 포함된다. Third, the method of changing the file attribute according to the file system is to set the attribute of the file as 'hidden' when the mode for the file is privacy mode so that the existence of the file itself is unknown.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specifying the property of the file as 'not accessible' so that the existence of the file can be known, but the file access such as executing or opening the file is not possible. Such file access not only includes access to execute the file, but also of course to access the file for retransmission to a third party.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억세스에는 사용자 인증을 요하지만, 파일을 재전송하는 데에는 사용자 인증을 요하는 것이 아니라 재전송 자체를 금지한다. 단말기 사용자가 파일 전송 명령을 내리면 프라이버시 관리부(192)는 해당 파일의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가를 판단하여,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표시부(13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없음'을 표시하고, 제어부(140)가 파일 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If the privacy code is in 'protected mode', access to execute the file requires user authentication, but retransmission does not require user authentication, but prohibits retransmission itself. When the terminal user issues a file transfer command, the
한편,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CID 패킷, SMS 패킷, 확인 패킷, 또는 파일 데이터가 RF부(150)를 통하여 수신되면, 패킷 판독부(180)에 의하여 판독된 상기 패킷의 프라이버시 코드를 읽어서 보호 모드('00' 이외의 값)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부(191)에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고,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패킷에 기록된 내용을 표시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 사용자 인증을 요 구하는 화면에는 '암호를 입력하세요' 또는 착신측 사용자가 기 저장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ID packet, the SMS packet, the acknowledgment packet, or the file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이러한 사용자 인증부(191)가 사용자 인증을 하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착신자가 자신의 단말기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일치하는가 여부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을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착신측 단말기의 비밀번호는 이미 사용자가 단말기 별로 지정(또는 초기에는 공장 디폴트 값)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이용할 수가 있다.As a method of authenticating the user by the
그러나, 사용자 인증에 있어서 이러한 비밀번호 입력은 일 예에 불과하며 단말기 사용자와 동일인임을 나타내는 모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 사용자의 지문, 음성, 또는 홍채 등을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데이터와 입력되는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in the user authentication, such a password input is just an example, and any method representing that the same person as the terminal user can be used. For example, a method of recognizing a fingerprint, voice, or iris of a terminal user and storing the same in a memory of the terminal and comparing the stored data with the input data may be used.
이와 같이, 인증이 되면 전송 패킷의 내용을 표시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일반적인 '해제 모드'일 때 표시부(130)가 표시하는 것과 같은 내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송 패킷이 CID 패킷인 경우에는 발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성명 등을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링 신호음과 함께 표시하고, 전송 패킷이 SMS 패킷, 확인 패킷, 또는 파일 데이터인 경우에는 착신자가 소정의 버튼을 누를 때까지 발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성명 등을 표시한다.As such,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e content of the transport packet is displayed through the
이하에서는, 무선 단말기(200)에 기 저장된 단문메시지, 통화기록, 멀티미디어 메시지, 일반 파일 등을 사용자가 열람하고자 할 때에 프라이버시 모드에 따라서 발생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 privacy mode when a user attempts to read a short message, a call log, a multimedia message, a general file, and the like previously stored in the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DB(162)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테이블, 통화기록 DB(163)에 저장된 통화기록 테이블, MMS DB(169)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예비 영역(161) 등에 저장된 일반 파일(이하, '열람 정보'라 함)을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프라이버시 관리부(192)는 각 테이블 또는 파일의 프라이버시 코드를 읽어서 그 값이 '00'(해제 모드)인 항목만을 표시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사용자는 열람 정보 중에서 표시되지 않은 항목이 표시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부(191)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그러면,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모드에 상관 없이 표시부(130)에 열람 정보의 모든 항목이 표시되도록 하고, 표시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그 내용에 억세스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display an item not displayed among the reading information, the user may perform the user authentication normally through the
그러나, 이것은 사용자 인증을 거치더라도 이것은 해제 모드인 항목만 표시된 상태에서 전체 항목을 표시하고 열람하기 위한 일시적 동작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전체 항목을 항상 열람할 수 있는 상태로 둔다는 것은 아니므로, 이후에 사용자가 다시 열람 정보의 열람을 요청하면 마찬가지로 해제 모드인 항목만 표시부(130)에 출력되는 것이다.However, this is only a temporary operation for displaying and viewing the entire item in the state where only the item in the release mode is displayed even though the user is authenticated. Therefore, the entire item is not always left in a state that can be viewed. Therefore, when the user requests to view the read information again later, only the item in the release mode is output to the
해제 모드인 항목만을 표시하는 방법 외에도, 해제 모드인 항목은 그대로 표시하고 보호 모드인 항목은 사용자가 미리 메모리에 기록해 둔 문자(예: '사생활')(이하, '사용자 문자'라고 한다)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문자에 해당되는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부(191)는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게 되고,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때, 사용자가 상기 항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o displaying only items in the unlocked mode, items in the unlocked mode are displayed as they are, and items in the protected mode are printed out in the memory (for example, 'privacy') (user text), which the user has previously recorded in memory. You can also do that. If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user character is selected, the
열람 정보가 단문메시지 테이블인 경우, 통화기록 테이블인 경우, 멀티미디어 메시지인 경우, 또는 예비 영역(161) 등에 저장된 일반 파일인 경우 등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정책이 적용되는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in which the privacy policy is applied to each case, for example, when the reading information is a short message table, a call log table, a multimedia message, or a general file stored in the spare area 161, is as follows.
표 1의 단문 메시지 테이블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표시를 요구한 경우에는 표시부(130)에는 다음의 표 5와 같이 해제 모드인 항목만 표시하거나, 전체 항목을 표시하되 보호 모드인 항목은 사용자 문자 만 표시하고 그 내용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short message table of Table 1 is present, when the user requests the display of the stored short message, the
해제 모드인 항목만 표시되는 예에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야 전체 항목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문자가 표시되는 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문자가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부(191)는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증을 수행하면, 프라이버시 관리부(190)가 표시부(130)를 통하여 해당 메시지 내용 등을 표시하게 된다.In the example in which only the item in the release mode is displayed, the user may make the entire item display only after user authentication, and if necessary, select the corresponding item to check the details. In the example in which the user text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n item on which the user text is displayed, the
그리고, 표 2의 통화기록 테이블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저장된 통화기록의 표 시를 요구한 경우에는 표시부(130)에는 다음의 표 6과 같이 해제 모드인 항목만 표시하거나, 전체 항목을 표시하되 보호 모드인 항목은 사용자 문자만 표시하고 그 내용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l log table of Table 2 is present, when the user requests the display of the stored call log, the
해제 모드인 항목만 표시되는 예에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야 전체 통화기록 내용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문자가 표시되는 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문자가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부(191)는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증을 수행하면, 프라이버시 관리부(190)가 표시부(130)를 통하여 해당 통화기록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In the example in which only the item in the release mode is displayed, the user may allow the entire call log content to be displayed only after the user is authenticated. In the example in which the user text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n item on which the user text is displayed, the
마찬가지로,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일반 파일의 억세스를 위하여 파일 주소 DB(167)에 저장된 파일 리스트를 요구한 경우에는, 표시부(130)에는 해제 모드인 파일의 항목만을 표시하거나, 전체 파일의 항목을 표시하되 보호 모드인 항목은 사용자 문자만 표시하고 그 내용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해제 모드, 보호 모드의 판단은 파일 주소 DB(167)에 저장된 주소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되는 항목의 프라이버시 코드 값을 읽음으로써 알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user requests a list of files stored in the
해제 모드인 항목만 표시되는 예에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야 전체 파일의 항목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파일의 항목을 선택하여 그 파일을 실행하거나 내용 확인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문자가 표시되는 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문자가 표시된 파일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부(191)는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증을 수행하면,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응용 소프트웨어 영역(168)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또는 엠베디드 소프트웨어 영역(165)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해당 파일이 실행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한다.In the example in which only the items in the release mode are displayed, the user may make the items of the entire file displayed only after the user is authenticated. The user can select an item in the file to execute the file or to check its contents. In the example in which the user character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 file item in which the user character is displayed, the
그리고,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 DB(164)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테이블로부터 특정 전화번호를 열람하고자 요청할 때, 실제로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 항목이라도 프라이버시 코드가 해제 모드('00')가 아닌 경우에는 표시부(130)에 그 검색 결과가 없는 것으로 표시한다.When the user requests to view a specific phone number from the phone book table stored in the
표 3과 같은 전화번호부 테이블을 갖는 경우에, 사용자가 검색어로서 '홍길동'을 입력하면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검색어로 전화번호부 DB(164)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테이블을 검색하고 해당되는 전화번호 등을 응답으로 받아서 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검색어로서 '장길산'이나 '임꺽정'을 입력하면 실제 전화번호부 테이블에 존재하는 항목이지만 프라이버시 코드가 '00'이 아니므로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표시부(130)로 하여금 '검색 결과 없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는 '검색 결과 없음' 대신에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메모리에 기록해 둔 문자, 즉 '사용자 문자'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예를 들어 '사생활(privacy)'이라고 표시되게 하거나, 실제 성명이 아닌 사용자가 기록한 다른 성명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case of having a phone book table as shown in Table 3, when a user inputs 'Hong Gil-dong' as a search word, the
그리고,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전화번호부 테이블의 프라이버시 코드를 '00'(해제 모드)에서 '10'(변경 가능 모드)으로, 또는 '10'(변경 가능 모드)에서 '00'(해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Then, the
이와 같이, 전화번호부 테이블의 프라이버시 코드가 착신자에 의하여 변경된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테이블을 기준으로 단문메시지 테이블, 통화기록 테이블, 또는 주소 테이블의 프라이버시 코드 값도 연동하여 변동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ivacy code of the phone book table is changed by the called party, the privacy code value of the short message table, the call log table, or the address table may be changed in association with the phone book table.
이러한 프라이버시 코드를 연동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전화번호부 테이블의 프라이버시 코드를 '00'에서 '10'으로 변경되면,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이에 따라 이미 단문메시지 테이블, 통화기록 테이블, 또는 주소 테이블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해당 프라이버시 코드를 '10'로 변경하고, 변경 후 수신되는 해당 호 신호, 메시지 등에 대하여 상기 변경된 코드를 적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게 된다.In the method of interlocking the privacy code, when the privacy code of the phone book table is changed from '00' to '10' in response to the user's input, the
따라서, 해제 모드에 있던 프라이버시 코드를 '10'으로 변경한 후에 CID 패킷, SMS 패킷 또는 확인 패킷 등이 수신되면,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먼저, 수신된 전송 패킷의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그리고, 그 코드가 '해제 모드'인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테이블의 해당 항목의 프라이버시 코드 값을 판독하여, 그 값이 '10'이면 역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00'이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지 않는다.Therefore, if a CID packet, an SMS packet, or an acknowledgment packet is received after changing the privacy code in the release mode to '10', the
한편,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이와 같이 전화번호부 테이블과 무관하게, 표 1의 단문메시지 테이블 또는 표 2의 통화기록 테이블에서 프라이버시 코드가 '00'인 값 을 '10'으로 변경함으로써 개별적인 메시지나 통화기록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보호를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called terminal may change the value of the privacy code '00' to '10' in the short message table of Table 1 or the call log table of Table 2 regardless of the phone book table. Privacy protection can be applied against.
상기 프라이버시 관리부(190)가 수행하는 여러 경우들에 대한 프라이버시 적용은 각각 선택적으로 또는 각각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지 반드시 함께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호 신호 응답시 인증만을 위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고, 단문메시지 확인 및 통화목록의 열람시 인증을 위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Application of privacy to various cases performed by the
지금까지,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발신자가 각 전송 패킷 별로 정한 프라이버시 정책에 따라서 착신측 단말기가 연동될 뿐만 아니라, 발신측 단말기도 상기 프라이버시 정책에 연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발신자도, 프라이버시 보호를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 발신자 단말기에서 그에 관한 기록이 남지 않기를 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So far, the configuration of the called
도 10은 발신측 무선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9의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패킷 판독부(180)가 존재하지 않으며,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193)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에서의 설명과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발신측 무선단말기(100)의 특징적인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10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calling
발신자가 전송 패킷에 프라이버시 정책을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도 1,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발신자가 착신측 전화번호에 프라이버시 키 값('#' 등)를 첨부하여 전송 명령을 전송하면 이를 교환기(20)에서 해석하여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 하고 상기 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전송 패킷과 함께 프라이버시 코드를 착신측에 전달하는 경우와, 도 6과 같이 발신자 스스로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고, 교환기 등을 관리하는 통신사업자는 단순히 발신자가 생성한 프라이버시 코드 및 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패킷을 생성하여 착신측으로 전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As a method of applying a privacy policy to a transmission packet, the sender sends a transmission command by attaching a privacy key value ('#', etc.)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number, as shown in FIG. 1, 3, or 5. In this case, the
전자의 경우라면 키 패드에 존재하는 키 중의 하나를 이용하면 되므로 별도의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193)가 필요 없지만, 후자의 경우라면 발신측 무선단말기(100)에서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여야 하므로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193)가 필요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 발신자가 키 패드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키와 별도의 프라이버시 키를 선택함에 의하여 또는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특정 메뉴를 선택함에 의하여 프라이버시 모드를 결정하면,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부(193)는 해당 프라이버시 모드에 따른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RF부(150)에 제공한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코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제 모드'인 '00'과, '변경불가' 모드인 '11'과, '변경가능' 모드인 '10'으로 나뉠 수 있다. 발신자가 특별히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해당 데이터는 자동으로 '해제 모드'로 지정될 것이다.In the former case, since one of the keys existing in the keypad is used, a separate
특정 통화 호 설정 요청,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MMS 메시지 전송 요청, 또는 일반 파일 전송 요청 등의 전송 명령이 프라이버시 모드 중 '보호 모드(변경불가 모드, 또는 변경가능 모드)'로 적용되어 전송된 후에는 해당 명령에 대응되는 열람 정보, 즉 통화기록 DB(163)에 기록된 통화기록, 단문메시지 DB(162)에 기록된 단문 메시지 내용 및 그의 전송 기록, MMS DB(169)에 기록된 MMS 메시지 내용 및 그의 전송 기록, 그리고 예비 영역(161) 등에 기록된 일반 파일 내용 및 그의 전송 기록에는 모두 자동으로 '송신 보안 모드'가 적용된다.After a transfer command such as a specific call setup request, a short message transfer request, an MMS message transfer request, or a general file transfer request has been applied in a 'protected mode' (a changeable mode or a changeable mode) among privacy modes, Rea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hat is, the call log recorded in the
송신 보안 모드가 적용된 열람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부(193)에 의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프라이버시 관리부(192)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야 해당 열람 정보의 내용을 열어 보거나, 파일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order to view the browsing information to which the transmission security mode is applied, as described in the called party's
물론, 발신자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상기 '송신 보안 모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송신 보안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사용자 인증 없이 상기 열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9 및 도 10의 설명에서, 무선단말기(100, 200)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software component)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는 그 기능상 일 예로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블록화하여 표시한 것이며,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복수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가 기능별로 세분화된 복수의 모듈들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측 무선단말기(100)와 착신측 무선단말기(200)의 기능은 개념적으로 분리할 수 있지만, 하나의 무선단말기는 양자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Of course, the sender may release the 'transmission security mode' after the separate user authentication, and when the transmission security mode is released, the sender may view the reading information without user authentication separately. In the descriptions of FIGS. 9 and 10 so far, each component of the
그리고 지금까지, 발신측 단말기(100), 및 착신측 단말기(200)는 모두 무선단말기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구성을 갖는 단말기는 모두 해당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 폰(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유선 단말기, 통신이 가능한 개인용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모드가 적용되는 분야도 통화 연결 요청,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및 일반 파일 전송뿐만 아니라, 이메일(email)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통신사업자들은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POP3(Post Office Protocol 3) 등의 이메일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무선단말기를 통하여도 이메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분야와 마찬가지로, 발신자가 이메일을 전송할 때 프라이버시 키 값을 함께 첨부하여 보내고 통신사에서 프라이버시 코드를 이메일의 소정의 위치(헤더 등)에 기록하여 착신측 무선단말기에 전송하는 방식, 또는 발신자가 프라이버시 코드를 직접 생성하여 이메일의 소정의 위치(헤더 또는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고 이를 통신사업자를 통하여 착신측에 전달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And so far, the calling
도 11은 발신측 단말기(100)가 전송한 전송 명령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자는 단말기의 소정 메뉴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전송 명령을 결정한다(S10). 이러한 전송 명령에는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호 설정 요청(통화 연결 요청)과,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과,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 파일 전송 요청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 즉 목 적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S11), 프라이버시 키 값 또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생성하는 키를 입력한다(S12).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transmission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calling
상기 키의 입력은 '# 키', '* 키'와 같이 키패드에 존재하는 키를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표시부에 나타나는 메뉴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다만, 프라이버시 키 값의 경우에는 그 입력된 키 값 자체로 통신사업자 영역으로 전송될 것이지만, 프라이버시 코드의 경우에는, 특정 키나 메뉴에 의한 입력이 있으면 이로부터 단말기 내부에서 소정의 프라이버시 코드('11', '10' 등)로 변환되고 전송 명령에 포함되어 통신사업자 영역으로 전송된다.The input of the key may be input by selecting a key existing on the keypad, such as '# key' and '* key', or by selecting one of menus appearing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vacy key value, the input key value itself will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er area.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vacy code, if a certain key or menu is input, a predetermined privacy code ('11' , '10', etc.), and ar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command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er area.
그 다음, 단말기의 '전송 키'를 누르면(S13), 기지국(10)으로 상기 전송 명령, 발신자의 고유번호, 프라이버시 키 값 등이 송신된다(S14). 만약, 프라이버시 코드로 입력된 경우라면, 기지국(10)으로 프라이버시 키 값을 제외한 상기 전송 명령, 발신자의 고유번호가 송신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는 상기 전송 명령의 일부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Then, when the 'transmission key' of the terminal is pressed (S13), the transmission command, the unique number of the caller, the privacy key value, etc. ar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 (S14). If the privacy code is input, the transmission command except for the privacy key value and the sender's unique number will be transmitted to the
도 12는 도 11에서 기지국을 통하여 수신한 프라이버시 키 값을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에 상기 전송 명령에 따른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 서버(통신사업자 영역)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통신사업자의 통신 서버(교환기, 단문메시지 서버, MMSC 등이 될 수 있음)는 통신망과 결합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명령과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전화번호를 기지국(10)을 통하여 수신한다(S19). 이 경우 도 11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키 값이 전송된 경우에는 이도 함께 수신한다.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server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rea) that transmits a transport packe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mmand to a called terminal using a privacy key value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in FIG. First, a communication server (which may be an exchange, a short message server, an MMSC, etc.) of a telecommunications operator receives at least one transmission command and at least one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from the calling terminal coupled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프라이버시 키 값이 수신되는 경우에는(S20의 아니오), 발신자가 '해제 모드'로 하여 전송 명령을 송신하였거나, 발신측 단말기에서 프라이버시 코드를 직접 생성하여 전송 명령에 포함시킨 경우일 것이므로 별도의 프라이버시 코드 생성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으므로, S23 단계로 진행한다.If a privacy key value is received (NO in S20), the sender may have sent a transmission command in 'release mode', or the privacy code may be generated by the calling terminal directly and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command. Since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the generation process, the flow proceeds to step S23.
만약, 프라이버시 키 값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S20의 예),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프라이버시 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 즉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여 지원하는 경우에는(S21의 예) 다음 단계로 진행하며, 만약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S21의 아니오) 발신측 단말기에 이를 통지하고(S25) 해당 전송 명령에 대한 서비스를 종료한다.If the privacy key value is not transmitted (YES in S20), if the called terminal can decode the privacy code, that is, if it supports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21). Yes) proceed to the next step, if not supported (NO in S21) notifies the calling terminal (S25) and terminates the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command.
다음으로, 상기 수신된 프라이버시 키 값을 소정의 대응하는 프라이버시 코드로 변환한다(S22). 이 과정은 상기 프라이버시 키 값, 예를 들어, '#', '*' 등의 문자를 소정의 프라이버시 코드(비트, 문자 등으로 표현 가능)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프라이버시 키 값이 보호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예를 들어, 변경불가 모드 또는 변경가능 모드)에는 각 프라이버시 키 값에 대응하는 프라이버시 코드로 변경한다.Next, the received privacy key value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corresponding privacy code (S22). This process is a process of converting the privacy key value, for example, characters such as '#', '*', into a predetermined privacy code (which can be expressed as a bit, a character, etc.). When the privacy key value indicates a protection mode (for example, an unchangeable mode or a changeable mode), the privacy key value is changed to a privacy code corresponding to each privacy key value.
그 다음,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명령에 따른 전송 패킷을 생성하고(S23), 이를 착신측 단말기에 전송한다(S24). 상기 전송 명령이 통화 연결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 패킷은 링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CID(caller ID) 패킷이 될 것이므로, 상기 CID 패킷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전송 명령이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 패킷은 SMS 패킷일 것이므로, 상기 SMS 패킷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기 록된다. 또한, 상기 전송 명령이 멀티미디어 메시지 다운로드 확인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 패킷은 착신자에게 소정의 파일을 다운로드할 것인가 여부를 확인하는 패킷일 것이며, 상기 확인하는 패킷(예: 도 4의 SMS 패킷과 동일한 포맷의 확인 패킷)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전송 명령이 일반 파일 데이터 전송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 패킷은 일반 파일 데이터가 될 것이고 상기 일반 파일 데이터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프라이버시가 기록된다.Next, a transmission packe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mmand including the privacy code is generated (S23), and transmitted to the called terminal (S24). If the transmission command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the transmission packet will be a CID (caller ID) packet transmitted with a ring signal, so that the privacy code is recor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ID packet. When the transmission command i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the transmission packet may be an SMS packet, and thus the privacy code is recor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MS packet. In addition, if the transmission command is a multimedia message download confirmation request, the transmission packet will be a packe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download a predetermined file to the called party, the confirmation packet (for example, the same as the SMS packet of FIG. The privacy code is recor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format confirmation packet). And, if the transfer command is a normal file data transfer, the transfer packet will be normal file data and the privacy is record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general file data.
이와 같이 프라이버시 키 값은,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직접 전송 받을 수도 있지만,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통신서비스 제공업자의 웹 서버나 여타 포털(portal) 업체 등의 웹 서버 등에 등록하고, 이 등록된 값을 읽어 들임으로써 수신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privacy key value may be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calling terminal, but the calling terminal user registers in advance with a web server of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 a web server such as another portal company, and registers the registered value. It can also be received by reading.
도 13은 착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서버로부터 수신한 프라이버시 코드에 따라서 해당 전송 패킷을 열람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o view a corresponding transport packet according to a privacy cod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server in a called terminal.
먼저, RF부(150)를 통하여 상기 통신서버가 전송하는 전송 패킷을 수신한다(S30). 그리고, 패킷 판독부(180)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한다(S31).First, a transmission packet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server is received through the RF unit 150 (S30). Then, the privacy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transmission packet is read through the packet reading unit 180 (S31).
다음으로,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프라이버시 코드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S32의 예) 사용자 인증부(191)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33). 그 결과 정상적으로 인증된 경우에는(S34의 예), 전송 패킷의 내용을 표시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착신자가 그 내용을 열람하거나 그에 따른 응답을 할 수 있도 록 한다(S35).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은 비밀번호 입력, 지문인식, 음성인식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Next, when the privacy code is in the protection mode (YES in S32), the
도 14는 착신측 단말기에서 도 13의 후속과정으로 일어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보호 동작과정으로서, 상기 수신된 전송 패킷의 종류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ivacy protection operation that may occur in a subsequent process of FIG. 13 in a called terminal, and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received transport packets according to types.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수신된 전송 패킷이 링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CID(caller ID)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CID 패킷에 포함되는 발신자 전화번호와,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는 항목을 메모리부(160)의 통화기록 DB(163)에 저장된 통화기록 테이블에 추가한다(S41).When the received transmission packet is a CID (caller ID) packet transmitted along with a ring signal, the
이후에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통화기록 열람 요청 명령이 있으면(S42), 상기 통화기록 테이블 중 해제 모드로 지정된 항목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S43), 보호 모드로 지정된 항목은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숨긴다(S54). Thereafter, if there is a call log viewing request command from the called terminal user (S42), the contents of the designated item in the release mode of the call log table are displayed (S43), and the item designated in the protected mode is hidden without displaying (S54). .
다른 예로서,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자 문자를 키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하여 미리 메모리부(160)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보호 모드로 지정된 항목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부(130)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S45).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alled terminal user inputs a user character through the
한편,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수신된 전송 패킷이 SMS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SMS 패킷에 포함되는 발신자 전화번호와, 프라이버시 코드,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항목을 메모리부(160)의 단문메시지 DB(162)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테이블에 추가한다(S51).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transmission packet is an SMS packet, the
이후에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단문메시지의 열람 요청 명령이 있으면(S52), 상기 단문메시지 테이블 중 해제 모드로 지정된 항목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S53), 보호 모드로 지정된 항목은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숨기거나(S54), 기 지정된 사용자 문자를 표시부(130)를 통하여 표시한다(S45).Thereafter, if there is a request for reading a short message from the called terminal user (S52), the contents of the item designated in the release mode of the short message table are displayed (S53), and the item specified in the protection mode is hidden without being displayed ( S54), the predetermined user character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S45).
반면에,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전송 패킷이 확인 패킷,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운로드할 것인가 여부를 확인하는 패킷인 경우 또는 일반 파일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내용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부(110)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파일을 다운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 받는다(S61).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다운로드의 확인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RF부(150)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S62).When the user selects confirmation of the download, the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저장된 소정의 파일과 연계하여 상기 파일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를 메모리부(160)에 저장한다(S63). 이후에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억세스가 있고(S64), 그 억세스가 파일 실행을 위한 것인 경우에(S65의 예)는 사용자 인증부(191)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66).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된 경우에, 제어부(140)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해당 파일을 실행한다(S67).In addition, the
S64 단계의 억세스가 파일 실행 이외에 파일 재전송을 위한 것일 때에는(S65의 아니오),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재전송 명령을 차단함으로써(S68), 제어부(140)는 상기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When the access of step S64 is for file retransmission other than file execution (NO in S65), the
도 15은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번호 별로 프라이버시를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alled terminal user applies privacy for each phone number.
먼저,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부 테이블의 각 전화번호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를 키 입력부(110)를 통하여 설정 받는다(S70). 이러한 프라이버시 코드는 특정인에 대한 전화번호를 처음 입력하면서 함께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이미 입력된 전화번호와 프라이버시 코드를 포함하는 항목에서 프라이버시 코드를 수정함으로써 설정이 변경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프라이버시 코드를 변경가능 모드와 해제 모드 간에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First, a privacy code for each phone number in the phone book table is received from the called terminal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S70). The privacy code may be set by first inputting a phone number for a specific person, or may be changed by modifying the privacy code in an item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a privacy code already entered.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privacy code between the changeable mode and the release mode.
상기 설정에 의하여 프라이버시 코드가 변경된 경우에는, 기 저장된 통화기록 테이블, 단문메시지 테이블, 주소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에서 해당 항목의 프라이버시 코드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과 연동하여 변경한다(S71). 이 단계는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므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privacy code is changed by the setting, the privacy code of the corresponding item is changed in at least one of a pre-stored call log table, a short message table and an address 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phone number table (S71). This step is not essential and can be performed selectively.
이후에 발신자로부터 RF부(150)을 통하여 상기 전송 패킷을 수신하면, 패킷 판독부(180)는 상기 수신된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코드를 판독한다(S72).After receiving the transmission packet from the sender through the
그리고,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설정 받은 프라이버시 코드 중 상기 전송 패킷의 발신자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와, 상기 판독된 프라이버시 코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S73의 예 또는 S74의 예인 경우), 사용자 인증부(191)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75).In addition, when the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전송 패킷의 내용을 표시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77).As a result of the user authentication, when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he content of the transport packe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S77).
도 16는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전화번호 검색 요청을 받은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특정 전화번호 검색 요청을 받은 경우에 (S80), 프라이버시 관리부(190)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프라이버시 코드가 해제 모드인 경우에는(S81의 예), 표시부(130)를 통하여 상기 전화번호 검색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S83)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a specific telephone number search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of the terminal. First, when receiving a specific phone number search request from the user (S80), the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보호 모드인 경우에는(S81의 아니오), 보호 모드 항목 표시 방법에 따라서, 사용자가 기 지정하여 메모리부(160)에 저장한 사용자 문자를 표시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S84), 상기 검색 결과 해당되는 전화번호가 없다고 표시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85). 다른 예로서 사용자 문자의 저장 여부와 관계없이 검색 결과가 없다고 표시하거나, 단말기에서 디폴트(default)로 지정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If the searched phone number is in the protected mode (NO in S81), the user character previously design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s displayed o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전송하는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정책을 발신자가 결정하게 함으로써 발신자가 원하는 수신자 이외의 자가 상기 정보에 억세스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송신하는 메시지 별로 프라이버시 정책을 별도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der determines a privacy policy fo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nder, thereby preventing the sender from accessing the information by anyone other than the intended recipi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ivacy policy can be applied separately for each message sent by the sender.
Claims (2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44219 | 2004-06-15 | ||
| KR20040044219 | 2004-06-15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85089A KR20040085089A (en) | 2004-10-07 |
| KR100580670B1 true KR100580670B1 (en) | 2006-05-16 |
Family
ID=3736820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598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0670B1 (en) | 2004-06-15 | 2004-07-29 | Method for protecting privacy of terminal us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8067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97761A (en) * | 2006-03-29 | 2007-10-05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Encryp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829253B1 (en) * | 2006-08-21 | 2008-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with categorized item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m |
| KR100827185B1 (en) * | 2006-11-24 | 2008-05-02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Security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for privacy protec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
| US9338645B2 (en) | 2012-06-08 | 2016-05-10 | Sk Planet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service in multi-device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
| CN117439818B (en) * | 2023-12-20 | 2024-02-20 | 北京北科融智云计算科技有限公司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ivacy calculation |
-
2004
- 2004-07-29 KR KR1020040059895A patent/KR10058067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85089A (en) | 2004-10-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890083B2 (en) | Method of tracking stolen mobile device connected to wireless or wired network | |
| US815563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stations | |
| US8208910B2 (en) | Spam control for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 |
| KR100854333B1 (en) | Method for processing call establishment by using character string | |
| US803670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instant messaging | |
| US20170208164A1 (en) | Mobile terminal apparatus | |
| CN101110853B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loss protection function and its loss protection method | |
| JP4282237B2 (en) | How to access the server computer | |
| US20060281407A1 (en) | Methods for controlling contac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and program products | |
| EP1519600B1 (en) | Providing property data on mobile terminal for services | |
| KR100313464B1 (en) | Method for informing by e-mail service for voice mail system | |
| KR100580670B1 (en) | Method for protecting privacy of terminal user | |
| US20080278286A1 (en) |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User Terminal | |
| EP1236367B1 (en) | Safe information interchange between a user of a terminal and a sim application toolkit via wap | |
| US7664487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anaging data recep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 |
| US2009004121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 |
| KR100878073B1 (en) | Lost ph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 KR100646377B1 (en) | Spam call rejection system and method | |
| KR20070122379A (en) | Lost mobile terminal tracking method | |
| KR10069237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messenger service using phone book lis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80986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information from a wireless device | |
| KR20050017549A (en) |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of Short Message's Receiving State to Sender's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WO2003077140A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publishing and accessing rich content via a wireless device | |
| KR20090037728A (en) | International calling number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terminal | |
| KR10052333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hone Number Management Service by Using Interne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50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5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51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