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237B1 - Grid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Google Patents
Grid arrangement of test socke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1237B1 KR100581237B1 KR1019997011192A KR19997011192A KR100581237B1 KR 100581237 B1 KR100581237 B1 KR 100581237B1 KR 1019997011192 A KR1019997011192 A KR 1019997011192A KR 19997011192 A KR19997011192 A KR 19997011192A KR 100581237 B1 KR100581237 B1 KR 100581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vities
- package
- socket
- burn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리드선(lead)선을 갖는 집적 회로 패키지의 번-인 테스트(burn-in test)를 위한 소켓이 제공된다. 이 소켓은 내부의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단자-수용 공동부로 이루어진 열과 행의 배열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단자-수용 공동부 각각은 더 긴 치수에 해당되는 길이 방향, 및 집적 회로 패키지의 리드선과 접촉하기 위한 단자-수용 공동부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를 구비한다. 이 배열의 각 열과 행은 첫 번째와 마지막 공동부를 제외한 순서(sequence)의 각 공동부에 대해서 세 개 이상의 인접한 공동부의 순서를 포함하되, 공동부의 길이 방향은 실질적으로 인접한 양 측면상의 공동부 순서 속의 두 개의 공동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다A socket is provided for a burn-in test of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with electrical lead wires. The socket has an array of columns and rows of generally rectangular terminal-receiving cavities therein, each of which is generally rectangular in length, corresponding to a longer dimension, and a lead wire of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in the terminal-receiving cavity for contacting. Each column and row of this array includes a sequence of three or more adjacent cavities for each cavities in the sequence except for the first and last caviti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vities being substantially within the order of the cavities on both adjacent sid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wo caviti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히는 집적 회로(IC) 패키지의 테스트에 적합한 번-인(burn-in) 소켓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electrical connectors, and more particularly to burn-in sockets suitable for testing of integrated circuit (IC) packages.
종래 기술의 번-인 소켓은 전형적으로 다수의 해당 단자-수용 공동부에 끼워진 다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자들은 일반적으로 집적 회로 패키지로부터의 리드선(lead)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분, 다른 전자 구성 요소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테일 부분(tail section), 및 단자를 통해 확실한 전기적 경로를 보장하기 위한 접촉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테일 부분 사이의 탄성 부분을 포함한다.Prior art burn-in sockets typicall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fitted in a number of corresponding terminal-receiving cavities. These terminals typically have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a lead from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a tail section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other electronic components, and a contact pressure to ensure a secure electrical path through the terminal. And an elastic por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to provide.
가장 일반적으로, 단자-수용 공동부는 직사각형이며 단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경사지게 정렬되거나 또는 임의적인 무정렬 상태의 직사각형 공동부와 같은 예가 존재하지만, 직사각형 공동부는 전형적으로 소켓 하우징의 측면에 대해서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일정하게 정렬된다.Most commonly, the terminal-accommodating cavities are rectangular and aligned in a single direction. Examples such as obliquely aligned or arbitrary misaligned rectangular cavities exist, but the rectangular cavities are typically consistently aligned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sides of the socket housing.
그렇지만 정렬 상태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전기 구성 요소의 소형화 및 계속되는 더 높은 속도와 병렬 경로에 대한 요구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켓에 걸쳐서 단자의 조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테스트되는 IC 패키지와 반복적으로 접속되고 분리되는 반복 응력(cycled stress)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소켓 본체내의 단위 면적 당 증가된 단자의 조밀도를 허용하는 번-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However, regardless of the alignment, it is generally desirable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terminals across the sockets due to the continued miniaturization of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continuing demand for higher speeds and parallel paths. Thu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for increased densities of terminals per unit area within the socket body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strength to withstand cycled stresses that are repeated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IC package being tested continuously. To provide a burn-in socket.
집적 회로 패키지의 번-인 테스트를 위해 설계된 소켓의 품질과 관련되는 다른 요인은 집적 회로 패키지를 테스트하는 효율이다. 그래서, 번-인 소켓에 삽입된 집적 회로 패키지가 테스트를 위한 소켓 내에 적절하게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잘못 정렬된 패키지는 집적 회로 패키지로부터의 리드선이 번-인 보드와 같은 전기적 테스트 요소에 대해 확실한 전기적 경로를 갖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테스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집적 회로 패키지를 소켓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낮추는 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번-인 테스트용 소켓은 종종 패키지의 측 방향 위치를 보장하는데 만족스럽지 못한 수단을 구비하며, 그래서 만족스럽지 못한 번-인 테스트 결과 및 만족스럽지 못한 효율을 야기할 수 있다.Another factor related to the quality of sockets designed for burn-in testing of integrated circuit packages is the efficiency of testing the integrated circuit package. Thu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integrated circuit package inserted into the burn-in socket is properly aligned in the socket for testing. In particular, a misaligned package can provide incomplete test results because the leads from the integrated circuit package may not have a reliable electrical path to electrical test elements such as burn-in boards. Conventional burn-in test sockets comprising a device for lowering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socket often have unsatisfactory means to ensure the lateral position of the package, and thus unsatisfactory burn-in test results. And unsatisfactory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의 물리적 강도 및 성능에 해를 주지 않으면서 증가된 조밀도로 내부에 단자가 있도록 허용하는 번-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적 회로 패키지의 보다 더 효율적인 번-인 테스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단자가, 삽입된 집적 회로 패키지의 적합한 리드선에 확실한 접촉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rn-in socket that allows terminals to be internally at increased density without harming the physical strength and performance of the socket.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sure that each terminal is in firm contact with a suitable lead of the inserted integrated circuit package in order to provide a more efficient burn-in test of the integrated circuit package.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기적 리드선을 갖는 집적 회로 패키지의 번-인 테스트를 위한 소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켓은 외측 소켓 하우징, 상기 외측 하우징에 대해서 상부 한계 위치와 하부 한계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는 내측 소켓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상기 내측 하우징은 집적 회로 패키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 내부에 다수의 단자-수용 공동부를 구비한다. 소켓은 집적 회로 패키지의 리드선에 접촉하기 위해서 내측 하우징의 단자-수용 공동부 내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 외측 하우징에 대해서 상부 한계 위치와 하부 한계 위치 사이에서 내측 하우징을 올리고 내리기 위한 캠 메커니즘, 및 내측 하우징에 대해서 집적 회로 패키지를 고정시키고 해제(release)시키기 위한 래치(latch)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socket for burn-in testing of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with electrical leads is provid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ocket comprises an outer socket housing, an inner socket housing capable of sliding between an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housing, the inner housing supporting the 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a plurality of terminal-receiving cavities therein. The socket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disposed within the terminal-receiving cavity of the inner housing for contacting the lead of the integrated circuit package, a cam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inner housing between an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relative to the outer housing, and an inner A latch mechanism is further included to secure and release the integrated circuit packag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소켓은 IC 패키지의 삽입을 위한 개구부, 외측 소켓 하우징, 및 외측 하우징에 대해서 상부 한계 위치와 하부 한계 위치의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는 내측 소켓 하우징을 포함한다. 내측 하우징은 그 내부의 다수의 단자-수용 공동부, 내측 하우징의 단자-수용 공동부 내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는 캠 메커니즘, 및 캠 메커니즘과 동일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래치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캠 메커니즘 및 래치 메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는 귀환 바이어스용 장치(return biasing apparatus)를 포함하며, 래치 메커니즘은 래치 암을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ing for insertion of an IC package, an outer socket housing, and an inner socket housing capable of sliding between an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housing. The inner housing has a plurality of terminal-receiving cavities therein, a plurality of terminals disposed within the terminal-receiving cavities of the inner housing, a cam mechanism having an actuator, and a latch mechanism having an actuator identical to the cam mechanism. It is provided. At least one of the cam mechanism and the latch mechanism includes a return biasing apparatus, and the latch mechanism includes a latch arm.
단자-수용 공동부 및 단자의 고유한 격자 배열은 테스트 소켓의 강도와 물리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단자 조밀도가 증가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게다가, 집적 회로의 삽입/제거 시의 캠 메커니즘과 래치 메커니즘의 고유한 상호 작용, 및 캠 표면과 캠 종동자 표면(cam follower surface) 사이의 상호 작용의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 부분 및 가파른 경사 부분은 집적 회로의 번-인 테스트에 신뢰할만한 소켓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래서 집적 회로가 떨어지거나 잘못 위치되는 것이 최소화된다.The unique grating arrangement of the terminal-receiving cavities and the terminals allows for increased terminal density without compromising the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test socket. In addition, the inherent interaction of the cam mechanism and the latch mechanism during insertion / removal of the integrated circuit, and the relatively gentle slope and steep slop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m surface and the cam follower surface It provides a reliable socket and method for burn-in 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so that integrated circuits are dropped or misplaced.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번-인 소켓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burn-in socket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P가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번-인 소켓의 측면도.FIG. 2 is a side view of the burn-in socket of FIG. 1 taken along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P shown in FIG.
도 3은 도 1의 화살표 Q가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취해진 도 1의 번-인 소켓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burn-in socket of FIG. 1 taken from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Q of FIG.
도 4는 도 1의 '4-4' 선을 따라 취해진, IC 패키지가 번-인 테스트 중 일 때 번-인 소켓 구성 요소의 상대적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relative placement of burn-in socket components when the IC package is under burn-in test, taken along line 4-4 of FIG.
도 5는 도 4와 유사한, IC 패키지가 소켓의 내부에 있을 때 번-인 소켓의 다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FIG. 5 i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mponent of the burn-in socket when the IC package is inside the socket, similar to FIG. 4; FIG.
도 6은 도 1의 '6-6' 선을 따라 취해진, 역시 IC 패키지가 소켓의 내부에 있을 때 도 1의 번-인 소켓의 다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ther components of the burn-in socket of FIG. 1 when the IC package is also inside the socket, taken along line 6-6 of FIG.
도 7은 도 1의 '4-4' 선을 따라 취해진, 소켓이 IC 패키지에 완전히 삽입되기 이전에 중간 상태에 있을 때 소켓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mponents of the socket when the socket is in an intermediate state prior to being fully inserted into the IC package, taken along line 4-4 of FIG.
도 8은 도 1의 '6-6' 선을 따라 취해진, 번-인 소켓이 도 7에서와 동일한 상태일 때 번-인 소켓의 구성 요소가 얼마나 자주 배치되는 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often components of the burn-in socket are placed when the burn-in socket is in the same state as in FIG. 7, taken along line 6-6 of FIG.
도 9는 도 1의 '4-4' 선을 따라 취해진, IC 패키지가 테스트 후에 분리된 때, 또는 IC 패키지가 초기에 번-인 소켓에 위치된 때의 번-인 소켓의 특정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FIG. 9 illustrates certain components of the burn-in socket when the IC package is removed after testing, or when the IC package is initially located in the burn-in socket, taken along line 4-4 of FIG. Partial section made.
도 10은 도 1의 '6-6' 선을 따라 취해진, 도 9와 동일한 상태의 번-인 소켓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burn-in socket in the same state as FIG. 9 taken along the line '6-6' of FIG.
도 11은 도 1의 테스트 소켓 내에 배열된 단자-수용 공동부의 격자 배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FIG. 1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grid arrangement of terminal-receiving cavities arranged in the test socket of FIG. 1; FIG.
도 12는 도 11의 격자 배열을 도 1의 화살표 A로 나타내어진 위치에서 도시하는 확대 상세도.12 is an enlarged detail view showing the lattice arrangement of FIG. 11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arrow A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단자의 측면도.Figure 13 is a side view of a terminal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단자의 측면도.14 is a side view of the terminal of FIG. 13;
도 15는 도 4의 화살표 B를 따라 취해진, 선택된 단자의 접촉 부분이 IC 패키지의 솔더 볼(solder ball)과 어떻게 접촉하는가를 도시하는 확대 상세도.FIG. 15 is an enlarged detail view showing how the contact portions of selected terminals, taken along arrow B of FIG. 4, contact the solder balls of the IC package.
도 16은 도 1의 번-인 소켓과 사용되는 선회 래치 부분의 평면도.16 is a plan view of a pivot latch portion used with the burn-in socket of FIG.
도 17은 도 16의 래치 부분의 측면도.17 is a side view of the latch portion of FIG. 16.
도 18은 도 1의 번-인 소켓에 사용되는 상부 커버의 부분 단면도.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cover used for the burn-in socket of FIG. 1. FIG.
도 19는 상부 커버의 다른 부분 단면도.19 is another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cove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번-인 소켓(1)이 소켓 본체(2)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며, 다시, 이 소켓 본체(2)는 바닥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부착 펙(peg)(3a)을 구비하는 외측 하우징(3), 및 이 외측 하우징(3)에 끼워진 내측 하우징(4)을 포함한다. 특히, 내측 하우징(4)은 이 내측 하우징(4)이 외측 하우징(3)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외측 하우징(3)으로부터 내측 하우징(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하우징(3)의 대응 맞물림 네일(nail)(5)과 동일하게 나온 내측 하우징(4)의 맞물림 네일(6)에 의해서 외측 하우징(3)에 끼워진다.1 to 4, it is shown that the burn-in
내측 하우징(4)은 상단(4a)에 리세스(4b), 및 상단(4c)으로부터 내측 하우징(4)의 바닥(4d)으로 이어진 다수의 단자-수용 공동부(7)를 구비한다.The
도 11 및 도 1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수용 공동부(7)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각각의 공동부(7)가 두 개의 인접하는 직사각형 공동부의 짧은 측면(9)에 수직하게 마주하는 직사각형의 대응하는 긴 측면(8), 및 두 개의 인접하는 직사각형 공동부의 긴 측면에 수직하게 마주하는 직사각형의 대응하는 짧은 측면(9)으로 배열되는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직사각형 공동부(7)의 각 측면과 이 직사각형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공동부 각각의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동일한 크기의, 기설정된 사이 간격(10)을 남겨둔다. 도시된 특정의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공동부(7)의 각각의 긴 측면(8)은 각각의 짧은 측면(9)의 약 두 배 길다.As best seen in FIGS. 11 and 12, the terminal-receiving
내측 하우징(4)의 리세스(4b)에 있는 이러한 격자 배열은 내측 하우징(4)이 이 내측 하우징(4)에 걸쳐서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하우징의 물리적 강도를 갖도록 또한 보장하면서, 단자-수용 공동부(7)가 증가된 조밀도로 배열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와 반대로, 좀더 종래의 방식으로 정렬된 공동부 배열은 정렬 방향에 평행하거나 직각인 방향에서 물리적 강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정렬된 공동부의 종래의 배열과 비교하여, 강도의 손실 없이 단위 면적 당 증가된 수의 직사각형 공동부가 존재할 수 있다. 외측 하우징(3)은 방금 설명된 격자 배열의 공동부(7)에 수직으로 정렬된, 상응하는 다수의 단자 테일-수용 공동부(11)를 구비한다.This lattice arrangement in the
도 13,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각 단자(12)가 접촉 부분(13), 탄성 부분(14), 및 테일 부분(15)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접촉 부분(13)과 테일 부분(15)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분(14)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 부분(13)은 베이스 플레이트(13a)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접촉부(contact piece)(13b 및 13c)를 포함한다. 이 접촉부(13b 및 13c)는 경사진 접촉 표면(16b 및 16c)과 좁은 골 바닥(narrow valley bottom)(13d)을 한정하는 V-형상의 접촉 평면을 형성하도록 대칭되게 배열된다.Referring to FIGS. 13, 14 and 15, it is shown that each terminal 12 includes a
일 실시예에서, 각 단자(12)의 탄성 부분(14)은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고, 접촉 부분(13)으로부터 테일 부분(15)으로 이어진 일렬의 U-형상의 부분(14b)을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형상의 부분(14b)은 직선 부분(14a)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직선 부분(14a)은 U-형상의 부분(14b)이 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테일 부분(15)은 베이스 부분(15a)과 이 베이스 부분(15a)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테일 접촉부(15b)를 포함한다. 테일 접촉부(15b)는 번-인 기판(미도시됨) 상의 전자 구성 요소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베 이스 부분(15a)은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된 맞물림 네일(15c)을 갖는다.In one embodiment, the
단자(12)는 탄성 부분(14)이 꾸불꾸불한 형태로 접촉 부분(13)으로부터 테일 부분(15)으로 이어지는 평면에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으며, 탄성 부분(14)이 꾸불꾸불한 형태로 확장되는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다. 단자(12)는 상대적으로 넓은 측면(17)에 수직한 방향으로 펀치에 의해 스탬핑된(stamped) 금속 박판 일 수 있다. 정밀하고 꾸불꾸불한-형상은 금속 박판으로부터 스탬핑될 수 있다. 우선 탄성 부분(14)을 스탬핑하고, 그리고 나서 이것을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렬의 U-형상의 부분이 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단자(12)를 형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The terminal 12 is relatively wide in the plane extending from the
단자(12)를 내측 하우징(4)에 있는 선택된 단자-수용 공동부(7) 및 외측 하우징(3)에 있는 해당 테일-수용 공동부(11)에 삽입하기 위해서, 단자(12)는 각각 넓은 측면(17)과 좁은 측면(18)이 직사각형 공동부(7)의 긴 측면(8)과 짧은 측면(9)에 평행하도록 선택된 단자-수용 공동부(7)와 정렬된다. 그리고 나서 단자(12)의 접촉 부분(13)이 내측 하우징(4)의 바닥으로부터 리세스(4b)에 나타날 때까지 직사각형 공동부(7)로 삽입되며, 이로써 접촉 부분(13)의 베이스 부분(13a)에 있는 반대편 쇼울더(shoulder)(19)가 선택된 단자-수용 공동부(7)의 개방 단부에 형성된 대향 멈춤 돌출부(20)에 접하는 것을 허용한다. 내측 하우징(4)의 모든 이러한 단자-수용 공동부(7)가 단자(12)에 의해서 채워지고 난 후, 내측 하우징(4)이 외측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지며, 이로써 단자(12)의 테일 부분(15)에 있는 베이스 부분(15a)이 외측 하우징(3)의 테일-수용 공동부(11)에 들어가도록 한다. 소 켓 본체(2)의 바닥으로부터 돌출한 테일 부분(15)을 잡아당김으로써, 각 단자(12)의 베이스 부분(15a)에 있는 대향 맞물림 네일(15c)이 테일-수용 공동부(11)의 벽과 맞물려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단자(12)가 소켓 본체(2) 내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order to insert the terminal 12 into the selected terminal-receiving
단자(12)가 내측 하우징(4) 및 외측 하우징(3) 내에 장착될 때, 각각의 단자는 이 단자에 대해서 90。 회전한 네 개의 인접한 단자에 의해서 둘러싸여진다(또는 이들 사이에서 중심을 이룬다). 그래서, 접촉 부분(13)에 있는 베이스 부분(17)의 넓은 측면과 좁은 측면은 교대로 내측 하우징(4)의 행이나 열로 나타난다(도 11, 도 12 및 도 15 참조).When the terminal 12 is mounted in the
바람직하게는, 꾸불꾸불한 탄성 부분(14) 및 이의 구성 요소인 U-형상의 부분(14b)은 단자(12)의 접촉 부분(13)이 IC 패키지의 솔더 볼과 접촉하게 될 때, U-형상의 부분(14b)이 직사각형 공동부의 주위 벽을 건드리지 않고 단자(12)가 압축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공동부(7)에 대해서 상대적인 크기를 갖는다.Preferably, the sinuous
번-인 소켓은 정사각형 프레임(22)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부(23)를 갖는 환형의 상단 커버(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번-인 소켓은 상단에서 개방되며, 자동 장착-회수(loading-retrieving) 장치가 IC 패키지(24)를 실질적으로 번-인 소켓의 내측 하우징(4) 상으로 삽입하는 것, 및 테스트 후 IC 패키지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The burn-in socket preferably has an annular
상단 커버(21)는 외측 하우징(3)에 대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소켓 본체(2)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하우징(3)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캠(27)을 구비하는 캠 메커니즘, 캠(27)을 수직한 위치로 바이어스시키는 캠(27)과 결합된 캠 귀환 스프링(26), 및 상단 커버(21)의 하부 평면상에 형성된 캠 종동자 표면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밑으로 누르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단 커버(21)가 해제될 때, 상단 커버(21)와 내측 하우징(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한계 위치까지 올라가는 것이 허용된다. 역으로, 외력에 의해서 상단 커버(21)가 아래로 눌려질 때, 상단 커버(21) 및 내측 하우징(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한계 위치로 내려가게 된다. 서로에 대한 이들 구성 요소의 중간, 또는 과도(transition) 위치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The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캠 귀환 스프링(26)이 외측 하우징(3)의 바닥과 캠(27)에 상응하는 스프링 시트(29) 사이에 배치되며, 이로써 압축력을 가하여 캠의 선회 운동에 대항하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캠(27)이 선회 축에 대해서 수직한 위치로 회전하게끔 한다. 캠(27)은 환형 상단 커버(22)의 캠 종동자 평면(33)과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맞물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단에 형성된 캠 표면(32)을 구비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캠 종동자 표면(33)은 완만한 경사 부분(33a)과 가파른 경사 부분(33b)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한계 위치에서, 각 캠(27)의 캠 표면(32)은 캠 종동자 표면(33)의 완만한 경사 부분(33a)을 타고 움직인다. (아래 방향의 외력에 의해서)상단 커버(21)를 내려가게 하면 각 캠(27)의 캠 표면(32)이 완만한 경사 부분(33a) 상에서 움직이게 되며, 이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7)을 기울어지게 한다. 상단 커버(21)를 더 내려가게 하면 캠 표면(32)이 완만한 경사 부분(33a)으로부터 가파른 경사 부분(33b)으로 움직이게 할 것이며, 이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7)을 하부 한계 위치 쪽으로 더 바깥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뒤이어서 상단 커버(21)를 밑으로 누르기 위해서 작용한 힘을 제거하면 각각의 캠(27)이 귀환 스프링(26)의 바이어스 작용에 의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적인 위치를 거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한계 위치로 귀환하는 것을 허용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캠(27)의 회전은 상단 커버(21)의 상-하 운동뿐만 아니라 내측 하우징(4)의 상-하 운동에도 또한 일치하게 된다. 내측 하우징(4)은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측 방향 돌출부(30)를 구비하며, 이들 측 방향 돌출부는 마주하는 캠(27)의 측 방향 리세스(31) 내에 느슨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다. 캠(27)에 작용하는 아래 방향의 임의의 외력이 없이 캠(27)이 수직 상태(상부 한계 위치--도 5 참조)에 있을 때, 측 방향 돌출부(30)는 마주하는 캠(27)의 측 방향 리세스(31)에 끼워 넣어지며, 내측 하우징(4)의 맞물림 네일(6)이 외측 하우징(3)의 대응-맞물림 네일(5)에 의해서 걸리게 된다. 이것이 "커버가 귀환하는, 상부 한계 위치" 이라고 지칭된다. 다음 번-인 테스트에 앞서서, 상단 커버(21)가 각각의 캠(27)이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힘을 가하기 위해서 아래서 눌려지며, 이로써 각 캠(27)의 캠 표면(32)이 완만한 경사에서 가파른 경사로 과도 상태가 되며, 내측 하우징(4)의 각 측 방향 돌출부(30)가 캠(27)의 측 방향 리세스(31)를 빠져나가기 시작한다. 그래서, 내측 하우징(4)의 측 방향 돌출부(30)와, 필수적으로, 내측 하우징(4) 자체는 도 7의 과도 위치 또는 중간 위치로 내려간다. 이 위치는 "커버가 내려가는, 중간 위치"라고 지칭된다.The rotation of the
뒤이어서, 캠(27)이 완전히 기울어진 위치가 될 때까지 각 캠(27)의 캠 표면(32)이 가파른 경사 부분(33b)을 타고 움직임에 따라 상단 커버(21)가 하부 한계 위치로 내려가게 된다. 그래서, 내측 하우징(4)은 가장 낮은 위치까지 낮아지게 된다(도 9 참조). 이 위치가 "커버가 내려가는, 하부 한계 위치"이다. 캠(27), 커버(21), 및 내측 하우징(4)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작동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커버가 귀환하는, 상부 한계 위치"(도 5 및 도 6)에서, IC 패키지(24)는 번-인 테스트 하에 놓여질 수 있다("번-인 테스트 적용 시간"이라고 지칭됨). "커버가 내려가는, 중간 위치"(도 7 및 도 8)에서, 번-인 테스트가 완료되며, IC 패키지(24)는 소켓으로부터 제거되기 직전의 상태 또는 번-인 테스트를 수행하기 직전의 상태("과도 시간")이다. "커버가 내려가는, 하부 한계 위치"(도 9 및 도 10)에서, 번-인 테스트가 완료되며, IC 패키지가 상단 커버(21)의 중앙 개구부(23)를 통해서 번-인 소켓(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거나, 테스트될 IC 패키지(24)가 번-인 테스트를 위해서 커버(21)의 중앙 개구부(23)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내측 하우징(4)상에 위치될 수 있다("해제 또는 장착 시간").In the "upper limit position, where the cover returns" (Figures 5 and 6),
"번-인 테스트 적용 시간"(도 5 및 도 6)동안, IC 패키지(24)는 확실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번-인 소켓은 상단 커버(21)의 아래에 위치한 래치 메커니즘(latching mechanism)을 구비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래치 메커니즘은 외측 하우징(3)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L-형상 래치 암(34), IC 패키지(24)에 대해서 래치 암(34)의 앵글(34a)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L-형상 래치 암(34)과 결합된 래치 귀환 스프링(35), 및 래치 귀환 스프링(35)에 대해서 래치 암(34)을 해제 위치 쪽으로 경사지게 하기 위해 L-형상 래치 암(34)과 결합된 래치 액추에이터(3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IC 패키지(24)는 상단 부분이 "번-인 테스트 적용 시간"(도 6)에 내측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번-인 테스트의 종료에 뒤이어 해제될 수 있다.During the "burn-in test application time" (FIGS. 5 and 6), the
각각의 L-형상 래치 암(34)(도 16 및 도 17)은 각각의 캠(27)으로부터 90。의 각(angular) 위치에서 외측 하우징(3)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 경사 부분(36)을 구비한다. 이것은 각각의 L-형상 래치 암(34)이 IC 패키지(24)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대향 래치 암(34)쪽으로, 또는 IC 패키지(24)를 해제시키기 위해서 대향 래치 암(34)으로부터 멀어지게 선회되는 것을 허용한다. 보통, 마주하는 L-형상 래치 암(34)은 래치 귀환 스프링(35)의 작용하에 체결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단 커버(21)가 아래로 눌려지지 않은}"번-인 테스트 적용 시간"에, 마주하는 L-형상 래치 암(34)은 래치 암(34)의 래치 표면(34a)을 IC 패키지(24)(도 5 및 도 6 참조)의 상단 표면 상에 밀착시킴으로써 IC 패키지(24)를 고정시킨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단 커버(21)는 반대 방향의 경사 부분(36)에 접하기 위해서 바닥 상에 형성된 네 개의 체결 해제 로드(38)를 구비하는데, 이로써 래치 액추에이터의 역할을 한다. 상단 커버(21)는 소켓 본체(2)를 걸리도록 하기 위해서 바닥 상에 형성된 맞물림 로드(22a)를 구비한다.Each L-shaped latch arm 34 (FIGS. 16 and 17) is inclined
"과도 시간"{상단 커버(21)가 아래로 눌려지는 과정 중일 때}에서, 체결 해제 로드(38)는 경사 부분(36)에 접근하며(도 7 및 도 8 참조), "해제 또는 장착 시 간"에서, 상단 커버(21)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시간에 앞서(도 9 및 도 10 참조), 체결 해제 로드(38)는 L-형상 래치 암(34)을 IC 패키지(24)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도록 힘을 가하며, 이로써 자동 장착/제거 기계가 번-인 소켓(1)으로부터 IC 패키지(24)를 제거하는 것{또는 IC 패키지(24)를 번-인 소켓(1)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In the "transient time" (when the
마주하는 L-형상 래치 암(34)은 IC 패키지(24)를 내측 하우징(4)에 대해서 고정시키기 위해서 "과도 시간"(도 7 및 도 8)에 수직 상태를 유지하며, 이로써 IC 패키지(24)가 내측 하우징(4)으로부터 떨어지거나 내측 하우징(4)으로부터 측 방향 변위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L-형상 래치 암(34)은 "해제 또는 장착 시간"에 바로 앞서서 열려진다. 이를 위해서, 각 캠(27)의 캠 표면(32)이 캠 종동자 표면(33)의 완만한 경사 부분(33a)을 타서 움직이도록 설계되며, 그래서 상단 커버(21)와 내측 하우징(4)이 "번-인 테스트 적용 시간"의 끝에서부터 "과도 시간"의 끝까지는 천천히 내려가도록 하며, "과도 시간"의 끝에서부터 "장착 및 해제 시간"의 끝까지는 신속하게 내려가도록 한다.The opposing L-shaped
"과도 시간"(도 7 및 도 8 참조)에 IC 패키지(24)가 내측 하우징(4)으로부터 떨어지거나, 내측 하우징 상에서 다소 변위를 일으키면, 번-인 테스트는 만족스런 결과를 나타낼 수 없다. 이러한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서, L-형상 래치 암(34)은 "과도 시간"에 IC 패키지(24)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수직 상태로 유지되며, "해제 또는 장착 시간"(도 10 참조)에 바로 앞서서 열려지게 된다. 고정되기 전에 떨어지거나 변위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단 커버(21) 및 내측 하우징(4)은 " 번-인 테스트 적용 시간"에서부터 "과도 시간"의 끝에 이를 때까지 캠(27)의 캠 표면(32)이 캠 종동자 표면(33)의 완만한 경사 부분(33a)을 따라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천천히 내려간다. 그리고 나서, "과도 시간" 이후부터 "해제 및 장착 시간"까지 상단 커버(21)와 내측 하우징(4)은 캠 표면(32)이 캠 종동자 표면(33)의 가파른 경사 부분(33b)을 따라서 움직임에 따라 더 신속하게 내려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IC 패키지(24)는 번-인 테스트가 만족스런 결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제 또는 장착 시간"의 바로 전까지 L-형상 래치 암(34)의 도움에 의해 내측 하우징(4)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번-인 소켓(1)에 의해 이루어지는 번-인 테스트 방식이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If the
이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번-인 테스트 동안에 상단 커버(21)에 아래방향으로 아무런 힘도 작용하지 않으며, 그래서 캠(27)이 수직 상태로 서 있도록 하며, 캠(27)의 캠 표면(32)이 캠 종동자 표면(33)의 완만한 경사 부분(33a) 상의 시작 위치에 배치된다. 상단 커버(21)는 상부 한계 위치에 놓이며, 내측 하우징(4)의 대향 돌출부(30)가 캠(27)의 리세스(31)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내측 하우징(4)의 맞물림 네일(6)이 외측 하우징(3)의 대응 맞물림 네일(5)에 의해서 걸린다. 래치 표면(34a)을 IC 패키지(24)의 상단 표면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대향 L-형상 래치 암(34)이 내측 하우징(4)에 대해서 IC 패키지(24)를 고정시키도록 수직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IC 패키지(24)의 솔더 볼이 내측 하우징(4)에 배치된 단자(12)의 접촉 부분(13)과 접촉 상태로 위치하며, 그래서 번-인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now to FIGS. 5 and 6, no force is applied downwards to the
이제 도 15를 참조로 하면, 내측 하우징(4)은 상부 한계 위치에서 유지되며, IC 패키지(24)는 L-형상 래치 암(34)에 의해서 내측 하우징(4)에 고정된다. IC 패키지(24)의 솔더 볼(25)이 내측 하우징(4)의 단자(12)에 있는 접촉 부분(13)과 접촉할 때, 단자(12)들은 압축 상태로 놓여지며, 축적된 압축력은 부분과 부분 사이 간격이 감소되어 U-형상의 부분(14b)의 집중 현상을 야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압축력을 흡수하는 것은 측 방향 휨 현상을 최소화하며, 그래서 단자(12)의 꾸불꾸불한 탄성 부분(13)이 단자(12)가 위치하게 되는 단자-수용 공동부(7)의 벽으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오히려, 각 단자의 탄성 부분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등하게 감소된다. 이는 단자 조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로 단자 측면이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번-인 테스트가 시행될 때마다 각 단자(12)가 상응하는 솔더 볼에 작용하는 안정된 탄성력을 발생하게끔 한다. 그래서 단자(12)의 꾸불꾸불한 탄성 부분(13)은 상응하는 솔더 볼과 우수한 물리적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보장하면서, 증가된 조밀도로 더 작은 크기의 단자 설계 및 배열을 용이하게 한다.Referring now to FIG. 15, the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모든 단자(12)는 선택된 솔더 볼에 작용하는 안정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솔더 볼(25)은 한 쌍의 접촉부(13b 및 13c)와 접촉상태가 되며, 이 접촉부는 단자(12)의 탄성 부분(14)에 축적된 탄성력의 작용 하에 솔더 볼(25)쪽으로 압력을 받는다. 그래서, 마주하는 한 쌍의 접촉부(13b 및 13c)는 솔더 볼(25)에 확실하게 접촉되며, 이로서 마주하는 한 쌍의 접촉부(13b 및 13c)와 솔더 볼(25)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에러가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에러를 제거하는 것은 상당한 전기적 저항이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된 솔더 볼이 규정된 허용치내의 크기로 된다 하더라도, V-형상의 접촉 표면을 한정하는 쌍으로 이루어진 접촉부는 우수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As mentioned above, all the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자-수용 공동부(7)는 각 공동부가 각각의 인접하는 공동부에 대해서 특정 배향으로 배열되는 고유한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도 1 및 도 1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동부(7)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항 쌍의 제 2(또한 길이가 짧은) 대향 측면(9)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한 쌍의 제 1(또한 길이가 긴) 대향 측면(8)을 구비한다. 격자 패턴에서, 각 공동부의 대향인 긴 측면(8) 중 적어도 하나는 두 개의 인접하는 공동부 각각의 하나의 짧은 측면(9)과 마주한다. 유사하게, 각 공동부의 대향인 짧은 측면(9) 중 적어도 하나는 (두 개의 인접하는 공동부에 같이 도면에 도시된)인접하는 공동부의 긴 측면(8)과 마주한다. 이러한 배열은 하나의 선택된 공동부의 측면과, 주위 및 인접하는 공동부 각각의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사이 간격(10)을 허용한다.As previously described, the terminal-receiving
각각의 단자-수용 공동부(7)는 결합된 공동부(7)의 긴 측면(8) 및 짧은 측면(9)에 각각 평행하게 배열된 넓은 또는 긴 측면(17), 및 좁은 또는 짧은 측면(18)을 구비하는 단자(12)를 포함한다. IC 패키지(24)의 솔더 볼(25)은 설명된 바와 같이 지정된 격자 패턴의 공동부내에 수용된 단자에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이 격자 배열은 모든 단자(12)가 공동부와 공동부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10)으로 배열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데, 이것은 단자(12)의 조밀도를 증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Each terminal-receiving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소켓 및 방법은 종래의 번-인 테스트 소켓 및 집적 회로의 번-인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보다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단자-수용 공동부 및 이 단자-수용 공동부 내의 단자의 고유한 격자 배열은 테스트용 소켓의 강도 및 물리적 성능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단자의 조밀도가 증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게다가, 소켓으로부터 집적 회로의 삽입/제거 시의 캠 메커니즘과 래치 메커니즘의 상호 작용, 및 캠 표면과 캠 종동자 표면 사이 상호 작용의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 부분 및 가파른 경사 부분은 집적 회로의 번-인 테스트에 신뢰할만한 소켓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래서 집적 회로가 떨어지거나 잘못 위치되는 위험성이 최소화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socket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significant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burn-in test sockets and methods of performing burn-in tests of integrated circuits. The unique lattice arrangement of the terminal-receiving cavity and the terminals within this terminal-receiving cavity allows for increased terminal density without compromising the strength and physic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ocket. In addition, the relatively gentle slope and steep slop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m mechanism and the latch mechanism during insertion / removal of the integrated circuit from the socke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m surface and the cam follower surface are the burn-in of the integrated circuit. It provides a reliable socket and method for testing, which minimizes the risk of the integrated circuit falling or being misplaced.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나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한 없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고려되는 대안적인 실시예의 특정 예는 캠 메커니즘과 래치 메커니즘에 공통인 작동 메커니즘이 상단 커버와 유사하지 않으며, 캠 및 래치 메커니즘은 두 개의 회전 가능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캠 및 래치 귀환 바이어스 작용력이 스프링 이외의 수단에 의해서 달성되며, 캠 표면과 캠 종동자 표면 사이의 상호 작용과 관련되는 일정하지 않은 기울기가 단일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자-수용 공동부의 수직 측면의 부분이 여기서 설명된 또는 도시된 것과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 주 내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다른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한정된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 described herein or any particular embodiment. Without limitation, certain examples of alternative embodiments contemplat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at the actuation mechanism common to the cam mechanism and latch mechanism does not resemble the top cover, and the cam and latch mechanism is more than two rotatable components. Components, wherein the cam and latch feedback bias forces are achieved by means other than springs, and the non-uniform slope associated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m surface and the cam follower surface is not limited to a single component. The portion of the vertical side of the terminal-receiving cavity includes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Other variations than the described embodiment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10105894A JP3020030B2 (en) | 1998-04-01 | 1998-04-01 | Burn-in socket |
| JP10/105894 | 1998-04-01 | ||
| PCT/US1999/007079 WO1999050677A1 (en) | 1998-04-01 | 1999-03-31 | Burn-in test socke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13205A KR20010013205A (en) | 2001-02-26 |
| KR100581237B1 true KR100581237B1 (en) | 2006-05-22 |
Family
ID=14419623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70111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1240B1 (en) | 1998-04-01 | 1999-03-31 | Burn-in test socket |
| KR10199970111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1237B1 (en) | 1998-04-01 | 1999-03-31 | Grid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70111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1240B1 (en) | 1998-04-01 | 1999-03-31 | Burn-in test socket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JP (1) | JP3020030B2 (en) |
| KR (2) | KR100581240B1 (en) |
| CN (2) | CN1178066C (en) |
| MY (2) | MY123246A (en) |
| TW (2) | TW411060U (en) |
| WO (2) | WO1999050677A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0143881A3 (en) * | 2009-06-12 | 2011-03-31 | (주)브이알인사이트 | Bank structure of fpga board for semiconductor verific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283780B1 (en) | 1998-04-01 | 2001-09-04 | Molex Incorporated | Test socket lattice |
| US6267603B1 (en) | 1998-04-01 | 2001-07-31 | Molex Incorporated | Burn-in test socket |
| JP2002164135A (en) * | 2000-11-26 | 2002-06-07 | Isao Kimoto | Socket |
| JP3789789B2 (en) * | 2001-08-31 | 2006-06-28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JP4368132B2 (en) * | 2003-04-25 | 2009-11-18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KR100898409B1 (en) | 2007-07-05 | 2009-05-21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Burn-in socket for leadframe chip packages |
| JP5836112B2 (en) * | 2011-12-28 | 2015-12-24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US8888503B2 (en) * | 2011-12-28 | 2014-11-18 | Enplas Corporation | Socket for electric parts |
| KR101485779B1 (en) | 2013-06-28 | 2015-01-26 | 황동원 | Socket device for testing an IC |
| KR101931623B1 (en) * | 2016-12-20 | 2018-12-21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Soket comprising locker for fixing latch |
| CN109342773A (en) * | 2018-08-17 | 2019-02-15 | 北方电子研究院安徽有限公司 | A kind of Can aging board clamp |
| JP7112004B2 (en) * | 2019-01-31 | 2022-08-03 | 山一電機株式会社 | test socket |
| CN110867422A (en) * | 2019-10-29 | 2020-03-06 | 太极半导体(苏州)有限公司 | CLGA packaging carrier for ceramic grid array |
| KR102606908B1 (en) * | 2020-12-23 | 2023-11-24 |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 Test socket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88063A (en) * | 1994-09-16 | 1996-04-02 | Yamaichi Electron Co Ltd | IC socket contact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245747B2 (en) * | 1991-09-18 | 2002-01-15 |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socket |
| JPH0677467B2 (en) * | 1992-12-25 | 1994-09-28 | 山一電機株式会社 | IC socket |
| JP3259109B2 (en) * | 1993-02-08 | 2002-02-25 |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socket |
| JP2667633B2 (en) * | 1994-02-24 | 1997-10-27 | 山一電機株式会社 | IC holding device in IC socket |
| JPH09162332A (en) * | 1995-12-13 | 1997-06-20 | Toshiba Chem Corp | Ic test socket for bga |
| JP3714642B2 (en) * | 1996-07-30 | 2005-11-09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1998
- 1998-04-01 JP JP10105894A patent/JP302003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
- 1999-03-31 MY MYPI99001233A patent/MY123246A/en unknown
- 1999-03-31 KR KR1019997011193A patent/KR1005812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3-31 KR KR1019997011192A patent/KR10058123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3-31 WO PCT/US1999/007079 patent/WO1999050677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9-03-31 WO PCT/US1999/007078 patent/WO1999050676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9-03-31 MY MYPI99001225A patent/MY124410A/en unknown
- 1999-03-31 CN CNB998006726A patent/CN117806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3-31 CN CNB998006718A patent/CN117806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5-12 TW TW088204940U patent/TW411060U/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5-12 TW TW088204939U patent/TW399814U/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88063A (en) * | 1994-09-16 | 1996-04-02 | Yamaichi Electron Co Ltd | IC socket contact structur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0143881A3 (en) * | 2009-06-12 | 2011-03-31 | (주)브이알인사이트 | Bank structure of fpga board for semiconductor verificat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266492A (en) | 2000-09-13 |
| JPH11297443A (en) | 1999-10-29 |
| WO1999050676A1 (en) | 1999-10-07 |
| MY123246A (en) | 2006-05-31 |
| MY124410A (en) | 2006-06-30 |
| WO1999050677A1 (en) | 1999-10-07 |
| KR20010013206A (en) | 2001-02-26 |
| KR100581240B1 (en) | 2006-05-22 |
| TW411060U (en) | 2000-11-01 |
| CN1178066C (en) | 2004-12-01 |
| CN1266491A (en) | 2000-09-13 |
| CN1178065C (en) | 2004-12-01 |
| TW399814U (en) | 2000-07-21 |
| KR20010013205A (en) | 2001-02-26 |
| JP3020030B2 (en) | 2000-03-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81237B1 (en) | Grid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
| US6283780B1 (en) | Test socket lattice | |
| US6535002B2 (en) | IC socket, a test method using the same and an IC socket mounting mechanism | |
| JP2834893B2 (en) | Socket assembly for use with integrated circuit devices | |
| US6261114B1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 KR100642094B1 (en) | Socket for removably mounting electronic parts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terminals such as bga packages | |
| JP3813986B2 (en) | Top mounting socket and contact for ball grid array device | |
| CN1325610A (en) | Vertically Driven Ball Grid Array Socket | |
| US6957967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different pitch terminals | |
| JP2001522523A (en) | Socket to place integrated circuit on flexible connector sheet | |
| KR100344050B1 (en) |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for a pga package and terminals therefore | |
| JPH08273778A (en) | Ic socket | |
| US6267603B1 (en) | Burn-in test socket | |
| JP3789789B2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 US20050142920A1 (en) | PGA type IC socket | |
| US4717347A (en) | Flatpack burn-in socket | |
| US6755668B2 (en) | Surface mounted socket assembly | |
| KR100329144B1 (en) | Socket for electric parts | |
| US7658620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rame | |
| WO2002019471A1 (en) | Ic test socket | |
| CA1166327A (en) | Hybrid circuit connector | |
| JP2004228042A (en) |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 |
| US20060121751A1 (en) | LGA socket connector with floating cover | |
| JPH05183029A (en) | socket | |
| US6367149B1 (en) | Method of assembling an IC socket for interconnecting articles with different terminal pitch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305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51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