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140B1 - 내연기관의 밸브메커니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밸브메커니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2140B1 KR100582140B1 KR1020047019409A KR20047019409A KR100582140B1 KR 100582140 B1 KR100582140 B1 KR 100582140B1 KR 1020047019409 A KR1020047019409 A KR 1020047019409A KR 20047019409 A KR20047019409 A KR 20047019409A KR 100582140 B1 KR100582140 B1 KR 1005821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piston
- internal combustion
- combustion engine
- eng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7/00—Rotary or oscillatory slide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 F01L7/02—Rotary or oscillatory slide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with cylindrical, sleeve, or part-annularly shap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엔진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며 엔진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캠 샤프트를 가지며, 엔진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해 이동 가능한 가속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내연기관에 있어서,출구 단부가 상기 엔진 실린더에 개방되어 있는 슬리브와 슬리브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연료 흡입 포트를 가지고, 상기 슬리브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밸브 피스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연료 흡입 포트가 점진적으로 상기 출구 단부와 연통된 개방위치를 통해 상기 출구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연료 흡입 포트로부터 상기 출구 단부로의 연료흐름이 상기 밸브 피스톤에 폐쇄되는 폐쇄위치로 상기 출구 단부를 향해 이동 가능한 연료 흡입 밸브와,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에 반응하여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밸브 피스톤을 주기적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밸브 피스톤에 상호 연결된 제1군의 구성 요소와, 상기 가속 제어부의 출력 증가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상기 출구 단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가속 제어부의 출력 감소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상기 출구 단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상기 밸브 피스톤에 상호 연결된 제2군의 구성 요소를 갖는 밸브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액추에이터는 연결 앵커 부재와 상기 연결 앵커 부재에 피봇 결합된 벨 크랭크와 상기 벨 크랭크로부터 상기 밸브 피스톤까지 연장되어 그 각각에 피봇 결합된 연결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군의 밸브 액추에이터 구성요소는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두 위치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캠 종동자를 포함하고, 캠 종동자는 상기 벨 크랭크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연결 앵커 부재에 대한 두 개의 각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벨 크랭크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봉이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에 반응하여 상기 연료 흡입 밸브를 개폐시키는 내연기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 크랭크는 제1 피봇 핀에서 상기 연결 앵커 부재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은 제2 피봇 핀에서 상기 벨 크랭크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은 제3 피봇 핀에서 상기 밸브 피스톤에 체결되어 있고, 연료 흡입 밸브가 폐쇄될 때, 상기 제1, 제2 및 제3 피봇 핀은 서로간에 정렬되고, 상기 밸브 피스톤의 상기 이동 경로와 정렬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엔진 실린더 내에서 연료 연소에 의해 생성된 갑작스런 힘이 상기 연결 앵커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캠 종동자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내연기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종동자는 상기 캠 샤프트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캠 종동자 롤러를 지지하는 이동 가능한 셔틀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셔틀은 제1 셔틀 위치에서 제2 셔틀 위치로의 셔틀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연료 흡입 밸브를 개방시키고 제2 셔틀 위치에서 제1 셔틀 위치 로의 셔틀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연료 흡입 밸브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벨 크랭크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캠 샤프트는 상기 제1 종동자 롤러에 의해 접촉된 제1 로브캠과 상기 제2 종동자 롤러에 의해 접촉된 제2 로브캠을 포함하고, 이들 제1 및 제2 로브캠은 상기 캠 샤프트의 각 회전중 상기 셔틀을 상기 제1 셔틀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셔틀 위치로 다시 제1 셔틀 위치로 이동시키는 형상인 내연기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앵커 부재는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내연기관의 출력을 감소시키도록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셔틀은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중 상기 연료 흡입 밸브의 개폐시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캠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군의 밸브 구성 요소들은 상기 연결 앵커 부재의 파워 증가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셔틀을 제1 각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연결 앵커 부재의 파워 감소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셔틀을 대향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셔틀을 상기 연결 앵커 부재에 상호 연결시키는 부품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액추에이터는 연결 앵커 부재와 상기 연결 앵커 부재에 피봇 연결된 크랭크 부재와 상기 크랭크 부재의 아암으로부터 상기 밸브 피스톤까지 연장되어 그 각각에 피봇 연결된 연결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군의 밸브 액추에이터 구성요소는 상기 내연기관의 상기 가속 제어부의 이동에 반응하여 이동하는 파워 제어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제어 부품은 상기 가속 제어부의 파워 증가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연결 앵커 부재를 상기 연료 흡입 밸브 슬리브의 출구 단부로부터 더 멀리 이동시키고 상기 가속 제어부의 파워 감소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연결 앵커 부재를 상기 슬리브의 출구 단부쪽으로 전진시키도록 구성된 내연기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앵커 부재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파워 제어 부품은 상기 연결 앵커 부재의 상기 슬롯을 따라 연장된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과 상기 램프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이동 경로에 대해 경사져서, 상기 램프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상기 연결 앵커 부재를 상기 슬리브의 출구 단부로부터 더 멀리 이동시키고 대향 방향으로의 램프의 이동이 상기 연결 앵커 부재를 상기 출구 단부를 향하여 전진시키는 내연기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 부품에 결합되고, 내연기관의 상기 가속 제어부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파워 제어 부품을 이동시키는 서보 모터를 더 포함하는 내연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내연기관이 최소 파워 출력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밸브 피스톤의 단부 표면이 상기 슬리브의 출구 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절되는 내연기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피스톤의 단부 표면의 제1 부분은 상기 내연기관의 파워 피스톤의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된 편평한 영역인 내연기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피스톤의 상기 단부 표면의 제2 부분은 상기 밸브 피스톤이 상기 슬리브의 상기 출구 단부에 있을 때 상기 파워 피스톤의 상부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되고, 상기 편평한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내연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상기 파워 피스톤은 엔진 블록 내에서 왕복 운동하고, 상기 엔진 블록에는 엔진헤드 부재가 체결되어 있으며, 엔진헤드 부재는 상기 엔진 실린더의 연소실 확장부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료 흡입 밸브는 상기 밸브 슬리브의 출구 단부가 상기 리세스, 상기 밸브 슬리브 및 상기 밸브 피스톤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헤드 부재 내에 연장되어 있으며, 밸브 피스톤의 이동 경로는 상기 내연기관의 상기 파워 피스톤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연료 흡입 밸브가 폐쇄되고 내연기관이 최소 파워 출력으로 작동할 때 상기 리세스로 돌출하는 단부영역을 구비한 내연기관.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피스톤의 상기 단부영역은 상기 연료 흡입 밸브가 폐쇄되고 내연기관이 최소 파워 출력으로 작동할 때 상기 헤드 부재의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의 관계로 연장되는 편평한 영역을 갖는 내연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측벽에 있는 상기 연료 흡입 포트는 상기 슬리브의 상기 출구 단부에 가장 가까운 제1 단부와 상기 슬리브의 출구 단부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대향 단부를 가지며, 상기 연료 흡입 포트는 상기 제1 단부에서 최소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단부를 향하여 점차 그 폭이 넓어지는 내연기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측벽에 있는 상기 연료 흡입 포트는 상기 슬리브의 상기 출구 단부에 가장 가까운 제1 단부와 상기 슬리브의 출구 단부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반대쪽 단부를 가지며, 상기 연료 흡입 포트는 상기 제1 단부에서 최대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단부를 향하여 점차 그 폭이 좁아지는 내연기관.
-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액추에이터의 상기 제1 군 및 제2 군의 부품은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슬리브의 출구 단부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밸브 피스톤의 이동 경로를 단축시키고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슬리브의 출구 단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경로를 연장하도록 위치된 내연기관.
- 엔진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피스톤과, 상기 엔진 실린더에 연료가 도입되는 연료 흡입 밸브와, 내연기관의 파워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내연기관의 출력을 감소시키도록 대향 방향으로 이 동 가능한 가속 제어부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있어서,상기 엔진 실린더로 개방되어 있는 출구 단부를 구비한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의 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실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연료 흡입 포트를 구비한 피스톤밸브이며, 상기 연료 흡입 밸브는 상기 밸브실의 출구 단부를 향하여 전진 및 그로부터 후진 이동 가능한 밸브 피스톤을 상기 밸브실에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흡입 포트를 통한 연료흐름이 상기 피스톤에 의해 점차적으로 억제되는 제1 범위의 밸브 위치와, 상기 흡입 포트를 통한 연료흐름이 피스톤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는 제2 범위의 밸브 위치를 포함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밸브실의 출구 단부로 점차적으로 근접하는 연료 흡입 밸브와,상기 밸브 피스톤에 결합되고, 상기 파워 피스톤의 연료 흡입 행정 중 상기 제1 범위의 밸브 위치 내에 상기 밸브 피스톤을 위치시키고 내연기관의 작동 사이클의 다른 단계에서는 상기 제2 범위 밸브 위치 내에 상기 밸브 피스톤을 위치시키는 제1 군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작동 요소는 상기 엔진 제어부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밸브 피스톤의 상기 이동 경로를 이동시키는 제2 군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경로는 가속 제어부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밸브실의 상기 출구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되며 가속 제어부의 상기 대향방향으로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출구 단부쪽으로 이동되는 내연기관.
- 엔진 실린더에서 왕복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피스톤과 내연기관의 출 력을 증가시키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내연기관의 출력을 감소시키도록 대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속 제어부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있어서,상기 엔진 실린더에 개방된 출구 단부를 구비한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출구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연료 흡입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의 출구 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밸브 피스톤을 상기 밸브실에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흡입 포트로부터 상기 출구 단부까지 점차적으로 커지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개방위치를 통해 상기 출구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출구 단부를 향하여 상기 흡입 포트로부터 상기 출구 단부까지의 연료흐름이 상기 밸브 피스톤에 의해 차단되고 밸브 피스톤은 점차적으로 상기 출구 단부로 근접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연료 흡입 밸브와,상기 흡입 포트로부터 상기 엔진 실린더로 연료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연료흐름이 차단되는 폐쇄위치사이에서 상기 밸브 피스톤을 주기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밸브 액추에이터 수단과,상기 가속 제어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밸브 피스톤의 이동 경로를 상기 출구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상기 가속 제어부의 상기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밸브 피스톤의 이동 경로를 상기 출구 단부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밸브 액추에이터 수단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액추에이터 수단은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슬리 브의 출구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상기 밸브 피스톤의 상기 이동 경로를 단축시키고,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슬리브의 출구 단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내연기관.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은 상기 실린더가 위치해 있는 엔진 블록과 상기 엔진 블록에 중첩되는 헤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부재는 실린더연소실의 확장부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내연기관이 최소 파워 출력으로 작동할 때 상기 밸브 액추에이터 수단은 상기 밸브 피스톤을 상기 리세스로 돌출시키고 상기 내연기관이 높은 파워 출력으로 작동할 때 상기 밸브 피스톤을 상기 리세스로부터 후진시키는 내연기관.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엔진 실린더와 대면하는 단부 표면을 가지고, 상기 단부 표면은 상기 엔진피스톤의 상부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스퀴시 강화 편평 영역을 갖는 내연기관.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7019409A KR100582140B1 (ko) | 2002-05-31 | 2003-05-07 | 내연기관의 밸브메커니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60/384,274 | 2002-05-31 | ||
| US10/271,996 | 2002-10-17 | ||
| KR1020047019409A KR100582140B1 (ko) | 2002-05-31 | 2003-05-07 | 내연기관의 밸브메커니즘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20815A KR20050020815A (ko) | 2005-03-04 |
| KR100582140B1 true KR100582140B1 (ko) | 2006-05-22 |
Family
ID=4174672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70194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2140B1 (ko) | 2002-05-31 | 2003-05-07 | 내연기관의 밸브메커니즘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821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3861197A4 (en) * | 2018-10-05 | 2022-06-29 | James Domenic Krajancich | Improved combustion engine |
-
2003
- 2003-05-07 KR KR1020047019409A patent/KR10058214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20815A (ko) | 2005-03-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936132B1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intake valves having a variable actuation and a lift profile including a constant lift boot portion | |
| US6837199B2 (en) | Valve actua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US5839400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variably actuated valves | |
| JP3385717B2 (ja) |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 |
| US5937807A (en) | Early exhaust valve open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 |
| JP3227313B2 (ja) | 内燃機関の吸排気弁駆動制御装置 | |
| US4182289A (en) | Variable valve tim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US7434556B2 (en) | Engine valve actuation system | |
| Hosaka et al. | Development of the variable valve timing and lift (VTEC) engine for the Honda NSX | |
| US20060037578A1 (en) | Cylinder cutoff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EP1234958B1 (en) |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quantity of air drawn in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Lenz et al. | Variable valve timing—A possibility to control engine load without throttle | |
| US6672270B2 (en) | Fuel efficient valve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 US20030127063A1 (en) | Continually variable valve timing, lift, and dura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US20050056242A1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US7856952B2 (en) | Variable compression engine with variable inlet valve timing | |
| US4724809A (en) |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valve throttling and charge stratification in the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KR20170086688A (ko) |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연소 엔진 제어 방법 | |
| KR100582140B1 (ko) | 내연기관의 밸브메커니즘 | |
| US7685993B2 (en) | Low cost variable swirl | |
| JP2007239553A (ja) | 2ストロークエンジン | |
| JPS6211178B2 (ko) | ||
| US11988134B2 (en) | Switching rack for a variable compression ratio connecting rod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switching rack | |
| JPH08260925A (ja) | エンジンの吸気システム | |
| KR100387867B1 (ko) | 엔진의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5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