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052B1 - Underwater Aerators with Improved Aeration Capacity and Dispersion Function - Google Patents
Underwater Aerators with Improved Aeration Capacity and Dispers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3052B1 KR100583052B1 KR1020040083765A KR20040083765A KR100583052B1 KR 100583052 B1 KR100583052 B1 KR 100583052B1 KR 1020040083765 A KR1020040083765 A KR 1020040083765A KR 20040083765 A KR20040083765 A KR 20040083765A KR 100583052 B1 KR100583052 B1 KR 100583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ffuser
- aeration
- air
- function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기기능과 교반기능이 구비되고 양식과 하폐수처리 등에서 용존산소 농도를 증대시키는 수중포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회전익의 하부에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산기기가 설치되며, 상기 산기기의 내부는 비어 있고 상부는 밀폐되며 그 하부는 개방되어 원형의 송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송기구에는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송기관의 관말이 삽입 설치되며, 구동모터는 수류 유입구와 포기수류 토출구가 구비된 원통형의 케이싱 또는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는 수중포기기에서 ; 상기 산기기의 측면에도 공기분출구를 구비하여 포기용량이 증대되도록 하고, 상기 수류 유입구와 포기수류 토출구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공성, 노즐형 또는 이젝터형의 산기관이 구비된 송기지관을 설치하여 포기용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한편, 산기기를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직결하고 산기기에 구비된 분출공기 유도수단 또는 수류 유도수단이 회전익의 기능을 병행하므로써 회전익이 생략될 수 있도록 개선한 수중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aeration device having aeration function and agitation function and increasing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in aquaculture and sewage water treatment, wherein a cylindrical or truncated conical diffuser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rotary blade installed on a drive shaft of a drive motor. The inside of the diffuser is empty, the upper part is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to form a circular air inlet. The air inlet tube is inserted into the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of the blower. In the underwater bubble machine fixed to the cylindrical casing or support provided with the water discharge port; An air outlet is also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ffuser to increase aeration capacity, an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ater flow inlet and the aeration flow outlet, an air supply pipe equipped with a diffuser having a porous, nozzle-type, or ejector-type exhaust pipe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aeration apparatus, in which an air diffuser is directly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a drive motor, and an ejecting air induction means or a water flow induction means provided in the diffuser can be omitted in parallel with the function of a rotor blade. .
수중포기기, 산기기, 산기관Underwater equipment, diffusers, diffusers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 제1실시예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의 구성을 위한 산기기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 제2내지 제5실시예의 개념도이다.3 to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 구동모터 2 : 구동축1: drive motor 2: drive shaft
3 : 회전익 31 : 회전판3: rotor blade 31: rotating plate
4 : 산기기 41 : 측면 공기분출구4: air diffuser 41: side air outlet
42 : 하부 공기분출구 43a,43b : 산기관42:
5 : 케이싱 51 : 수류 유입구5: casing 51: water flow inlet
52 : 포기수류 토출구 6 : 송기관52: Abandoned water discharge port 6: Inlet pipe
7 : 송기지관 8 : 이젝터7: delivery pipe 8: ejector
81 : 1차 유체공급구 82 : 2차 유체공급구81: primary fluid supply port 82: secondary fluid supply port
83 : 혼합유체분출구 84 : 노즐83: mixed fluid outlet 84: nozzle
9a,9b : 분출공기 유도수단 10 : 수류 유도수단9a, 9b: blowing air inducing means 10: water flow inducing means
11 : 지지대 12 : 탈착장치11: support 12: removable device
본 발명은 포기기능과 교반기능이 구비되고 양식과 하폐수처리 등에 사용되어 용존산소 농도를 증대시키는 수중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air bubbler having an aeration function and a stirring function and used in aquaculture and sewage treatment to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종래 방식의 산기(散氣 ; Diffusion)기능과 교반(Agitating)기능이 구비된 수중포기기는 수중에 설치되어 송풍기에서 압송하는 공기를 작은 기포로 분산시키고 반응액과 혼합 및 교반시키는 구성이다. Underwater foam apparatus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diffuser function and agitating function is installed in water to disperse the air pumped from the blower into a small bubble, and mixed and stirred with the reaction liquid.
종래 방식 수중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입축형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2~4개의 회전익이 설치되고, 회전익의 하부에는 용기 형태의 산기기가 설치되며, 산기기의 상부와 측면은 밀폐되고, 송기관이 내삽되는 산기기의 하부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구성되며, 산기기의 하부 개구부에는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송기관의 관말이 내삽되거나 근접 설치되고, 상기 회전익과 산기기는 수류 유입구와 수류 토출구가 구비된 케이싱의 내부에서 작동하도록 구동모터가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underwater crawler, two to four rotary blades are installed in the drive shaft of the three-dimensional drive motor,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blades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type diffuser, the upper and side of the diffuser is sealed, A circular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ffuser in which the air pipe is interpolated, and a tube end of the exhaus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blower is interpolated or installed in the lower opening of the diffuser. The drive motor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to operate inside the casing provided with the discharge port.
종래 방식의 수중포기기 작동을 설명하면, 회전익이 회전하여 발생되는 수류는 케이싱과 산기기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방사형으로 유하하면서 산기기의 하부에 원형으로 개방된 개구부의 주변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작은 기포로 분산시켜서 포기 및 교반이 이루어지며 효율, 용량, 안정성에서 다음 각호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operation of the underwater aerator,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blades radially flows down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asing and the diffuser, while reducing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hat is circularly open at the bottom of the diffuser. Aeration and stirring are achieved by dispersing it into bubbles, and the following problems are pointed out in efficiency, capacity, and stability.
① 산기기 하부에서 부력에 의하여 단순 유출되는 공기가 회전익에서 형성되는 방사형의 수류에 의하여 작은 기포로 분산되는 구성이므로 기포가 미세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방사형 수류의 유량에 비하여 많은 양의 공기를 공급하면 큰 공기방울 형태로 수면으로 부상하므로 기포의 비표면적과 체류시간이 작고 산소이전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① The air that simply flows out by buoyancy at the bottom of the diffuser is dispersed into small bubbles by the radial water flow formed in the rotor blades, so the air bubbles are not finely dispersed and the air is supplied largely compared to the flow rate of the radial water flow. Since air bubbles rise to the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residence time of bubbles are small and the oxygen transfer rate is low.
② 송기량에 비례하여 수류형성을 위한 동력을 증가시켜야 되는 구성이므로, 반응기 소요용량은 작고 DO 요구량이 큰 경우 즉, 송기량은 많고 교반력은 상대적으로 작게 소요되는 반응조건에서도 송기량을 기준으로 하여 과다한 교반력이 공급되므로 미생물 플록이 해체되고 침강성이 저하되는 부작용과 과다 교반으로 인한 동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② It is a configuration that needs to increase the power for the formation of water flow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air flow. Therefore, if the reactor capacity is small and the DO demand is large, that is, the amount of air flow is high and the stirring force is relatively small. Since excessive stirring power is suppli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icrobial floc is dismantled and the sedimentability is lowered and power is wasted due to excessive stirring.
또한, 교반동력을 반응기용량에 맞추어 축소시키면 송기량의 상당 부분은 미세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조대 기포로 부상하므로 기액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산소이전율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용존산소요구량을 충족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if the agitation power i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reactor capacity, a large part of the air flow rate is not finely dispersed and rises as coarse bubbles, so that the gas-liquid contact is not properly made and the oxygen transfer rate is drastically lowered to satisfy the dissolved oxygen demand. .
③ 수중포기가 경미하게 기울어진 경우에도 상기 산기기의 어느 일측으로 많은 공기가 편중되어 유출되므로 조대 기포로 부상하고 산소이전율이 저하되는 등 장치의 안정성이 결여된다.③ Even when the aeration of water is slightly inclined, a large amount of air flows out to one side of the above-mentioned diffuser, so that it rises as a coarse bubble and the oxygen transfer rate decreases.
④ 상부유입 하부토출 또는 하부유입 상부토출형의 원통형 케이스 내부에 주로 사류형의 회전익이 설치되는 구조의 저양정 사류펌프에 의하여 포기와 교반이 이루어지므로 케이싱 내부에서 유체에너지의 손실이 발생되고 교반력이 약화된다.④ Aeration and agitation are performed by the low lift drift pump, which is mainly equipped with a four-wheel rotary vane inside the cylindrical case of the upper inlet lower discharge or lower inlet upper discharge type. This is weakened.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산소이전율이 높고, 효율과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bubble apparatus having high oxygen transfer rate and excellent efficiency and stabilit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는 회전익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익의 하부에는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Circular Cylinder)형 또는 절두 원추(Truncated Cone)형 용기 형태의 산기기가 설치되며, 상기 산기기의 상부는 밀폐되고 그 하부는 개방되어 원형의 송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송기구에는 송기관의 관말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송기관은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수류 유입구와 포기수류 토출구가 구비된 원통형의 케이싱 또는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는 수중포기기에서 상기 산기기의 측면에도 공기분출구를 구비하여 포기용량이 증가되도록 하였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rotor blade is installed in a drive shaft of a drive motor, and a lower portion of the rotor blade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cylinder or truncated cone-type container having an empty inside thereof. The upper part of the diffuser is seal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to form a circular air inlet, the end of the air inlet is inserted into the air inlet, the air inlet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blower, The drive motor is provided with an air outlet on the side of the diffuser in the aquatic device fixedly installed in a cylindrical casing or support provided with a water flow inlet and aeration water discharge outlet to increase the aeration capacity.
상기 산기기의 측면은 타공판 또는 금속선을 직조한 망체로 구성하여 다수개의 미세한 공기분출구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산기기의 측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개구부가 천공되거나 수평, 수직, 경사방향으로 좁고 긴 형상의 슬릿형의 공기분출구가 구비된 판재로 구성할 수 있다.The side of the diffuser is composed of a woven mesh of a perforated plate or a metal wire to form a plurality of fine air outlets.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diffuser may be formed of a plate having a circular, oval, polygonal opening or a slit-shaped air outlet of narrow and long shape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inclined directions.
공기가 미세하게 분산되고 공기분출구에 부압이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분출구에는 곡관형 또는 패각형 분출공기 유도수단을 구비하고, 수류가 공기분출구 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분출구 및 분출공기 유도수단에는 양측이 개방된 점축관형 또는 판재형의 수류 유도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air outlet is provided with a curved or shell-shaped blow-out air inducing means so that air is finely dispersed and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air outlet, and the air outlet and outlet air inducing means are provided so that water flow can be concentrated on the air outlet side. Both sides may be provided with a flow guide means of a viscous tubular or plate-shaped open.
상기 산기기를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직결시켜서 상기 산기기에 구비된 상기 분출공기 유도수단 또는 수류 유도수단이 회전익의 기능을 병행하고 회전익을 생략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By connecting the diffuser directly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the jet air inducing means or the water flow inducing means provided in the diffuser improved the function of the rotor blades in parallel and omits the rotor blades.
케이싱의 수류 유입구 또는 포기수류 토출구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수개의 산기관이 구비된 송기지관을 설치하거나 송기지관 자체에 많은 미세기공을 구비하여 산기관으로 구성하므로써, 산기관에서 분출되는 미세기포는 수류 유입구로 유입되어 포기수류 토출구측으로 확산 분출되고, 포기수류 토출구에서 빠른 속도로 분출되는 수류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하고 포물선형태로 부상하면서 기포의 체류시간이 증대되어 산소이전율이 향상되고 포기용량이 증가되도록 개선하였다.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ater flow inlet or the aeration flow outlet of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ipe with a plurality of diffusers, or by providing a large number of micropores in the air supply pipe itself, so that the micro bubbles ejected from the diffuser are It flows into the water inlet and diffuses into the aeration outlet, and moves to the side by the water jet ejected at a high speed from the aeration. Improved as possible.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의 장치 구성을 설명하면, 구동모터(1)의 구동축(2)에는 하나이상 다수개의 회전익(3)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익의 하부에는 산기기(4)가 설치되며, 상기 산기기는 그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원통형 또는 절두원추형의 용기 형태이다. 상기 산기기(4)의 상부는 밀폐되고 송기관(6)의 끝부분이 내삽되는 하부는 개방되어 원형의 송기구가 구성되며, 상기 산기기(4)의 측면에는 측면 공기분출구(41)가 구비되고, 상기 산기관(4)의 하부와 상기 케이싱(5)사이의 틈새 에는 환상(環狀 : Ring)의 하부 공기분출구(42)가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aqua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rotary blades (3) is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2) of the drive motor (1), and the diffuser (4) is installed below the rotary blades The diffuser is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or frustoconical container with a space t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송기구에는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송기관(6)의 관말이 내삽되거나 근접 설치되고, 상기 회전익(3)과 산기기(4)는 수류 유입구(51)와 포기수류 토출구(52)가 구비되어 수류를 일정 방향으로 유도하는 케이싱(5)의 내부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1)는 상기 케이싱(5)에 고정 설치된다.In the air inlet, a pipe end of the
상기 산기기(4)는 케이싱에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축(2)에 직결되어 회전익(3)과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다.The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회전익(3)이 회전하여 발생되는 방사형 수류는 상기 산기기(4)의 주변을 따라 방사형으로 유하하면서 상기 측면 공기분출구(41)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미세기포로 분산시키고, 하부에 산기기와 케이싱 사이에 구비된 고리형의 하부 공기분출구(42)의 주변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작은 기포로 분산시켜서 포기 및 교반이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al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수중포기기의 공기공급용량은 측면 공기분출구(41)의 크기와 개수 및 구조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고 구동모터(1)와 회전익(3)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류의 영향이 감소되므로 수류형성을 위한 동력의 낭비 및 포기효율 저하 문제가 경감될 수 있고, 많은 량의 공기가 상기 측면 공기분출구(41)에서 분출되고 정밀한 수평이 요구되는 상기 하부 공기분출구(42)에서의 공기유출량이 감소되므로 어느정도 기울어지게 설치된 상태에서도 포기효율의 급격한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As such, the air supply capacity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is mainly determined by the size, number, and structure of the side
상기 수류 유입구(51) 또는 상기 포기수류 토출구(52)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상기 케이싱(5)에는 다수개의 산기관(43a,43b)이 구비된 송기지관(7)을 설치 하고, 상기 송기지관(7)을 상기 송기관(6)과 연통시켜서 하나의 송기관(6)에 의하여 송기되는 공기가 상기 산기기(4)와 상기 산기관(43a,43b)에서 분출되도록 구성하여 포기용량을 증대시켰다. An
상기 산기관(43a,43b)은 다공성의 멤브레인, 세라믹, 타공 금속판 또는 노즐형태의 산기관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케이싱(5)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송기지관(7) 자체도 미세기공들을 구비하여 산기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포기용량에 비하여 설치공간이 매우 작은 노즐형 또는 이젝터형의 산기관이 바람직하다.The
산기관(43a,43b)이 설치된 수중포기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수류 유입구(51)측에 설치된 산기관(43a)에서 미세기포가 분출되면 상기 수류 유입구(51)를 통하여 케이싱(5)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포기수류 토출구(51)를 통하여 수류와 함께 빠른 속도로 수평으로 확산되어 포물선 형태의 궤적을 따라 부상하고, 상기 포기수류 토출구(52)의 측에 설치된 산기관(43b)에서 분출되는 미세기포는 상기 포기수류 토출구(52)에서 빠른 속도로 분출되는 수류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하여 포물선형태로 부상하면서 기포가 수중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포기용량과 산소이전율이 증대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diffuser (43a, 43b), when the micro-bubble is ejected from the diffuser (43a) installed on the
특히, 상기 산기관(43a,43b)에 의하여 필요한 모든 포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상기 산기기(4)가 생략된 수중포기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underwater aeration apparatus omitting the diffuser (4) by making all the necessary abandonment by the diffuser (43a, 43b)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의 구성을 위한 여러 가지 실시예의 산기기개념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iffuser of various embodi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an underwater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는 회전익이 구비된 입축형 회전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산기기에 관한 것으로, 산기기(4)의 측면을 구경이 작은 다수개의 미세기공이 천공된 타공판으로 구성하여 미세한 측면 공기분출구(41)가 구비되는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 산기기의 측면은 금속선을 직조한 망체[도면생략]로 제작하여 다수개의 미세한 측면 공기분출구를 구성할 수 있다.(A) relates to the diffuse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rotor with a rotary blade, the side of the diffuser (4) consists of a perforated plate perforated with a plurality of small pores of small diameter fine air outlet ( 41)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diffuser may be made of a mesh woven wire [not shown] to form a plurality of fine side air outlets.
(B)는 산기기(4)의 측면에 원형의 측면 공기분출구(41)를 구성한 것이며, 상기 공기분출구(41)들은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B) is configured to form a circular
(C)는 산기기(4)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좁고 긴 슬릿형의 측면 공기분출구(41)를 구성한 실시예로, 상기 슬릿형의 측면 공기분출구(41)는 수평 또는 경사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다.(C) is an embodiment in which a narrow and long slit
측면 공기분출구가 비교적 큰 상기 (B)와 (C)의 실시예에서는 조대 기포가 분출되어 산소전달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B) 실시예의 공기분출구(41)에 곡관형의 분출공기 유도수단(9a)을 구비하여 (D)의 실시예를 구성하고, (C)의 실시예에 패각형의 분출공기 유도수단(9b)을 구비하여 (E)의 실시예를 구성한 것이다.In the embodiments of (B) and (C), wherein the side air blowing holes are relatively large, coarse bubbles are ejected to lower the oxygen transfer rate. Thus, the
상기 (D)와 (E)의 실시예에서는 측면 공기분출구(41)에서 분출되는 공기가 보다 미세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공기분출구(41)에는 엘보우등의 곡관 또는 패각(貝殼)형태의 분출공기 유도수단(9b)을 구비하되, 곡관 또는 패각의 개구부가 회전하는 방향에서 후 방향이 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산기기(4)가 회전하면 분출공기 유도수단(9a,9b)의 개구부측에는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의 수류가 발 생되므로 수류와 분출공기가 충돌하여 기포가 미세하게 분산되고 공기분출구(41)에 부압(負壓 : 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므로 공기분출량이 증대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D) and (E), the side
(F)는 측면 공기분출구(41) 측에 수류가 집중되도록 하는 수류 유도수단(10)을 구비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F)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water flow guide means 10 to concentrate the water flow on the side of the air outlet (41) side.
상기 측면 공기분출구측을 통과하는 수류가 증대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공기분출구(41)에 구비된 분출공기 유도수단(9a,9b)에는 상기 판상의 수류 유도수단(10)을 상기 측면 공기분출구(41)의 전면에 이격시켜서 설치하되, 상기 측면 공기분출구(41)측을 통과하는 수류의 유속과 유량이 증대되도록 평판의 크기, 부착위치와 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한 것이다.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side air blower side, the air flow guide means (9a, 9b) provided in the side air blower (41) is provided with the plate-shaped water flow guide means (10) the side air blower (41) It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the size of the flat plate, the mounting position and the angle is adjusted so that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water flow passing through the side air outlet (41) side is increased.
상기 측면 공기분출구(41)들이 반응액에 포함된 협잡물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산기기(4)의 하부 공기분출구 및 송기구에는 망체를 설치하여 산기기의 내부로 협잡물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 제2실시예의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는 산기기의 측면에 구비된 측면 공기분출구 및 분출공기 유도수단 자체가 회전익과 함께 회전하면서 공기를 미세기포로 분산시켜서 분출할 수 있으므로 하부 공기분출구만 구비된 종래 방식의 수중포기기와 달리 사류형 회전익과 사류유도를 위한 케이싱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The underwater bub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air bubbler equipped with only the lower air outlet because the side air jet port and the ejection air guide means itself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ffuser can be dispersed by dispersing air into fine bubbles while rotating with the rotor blades Unlike airfoils, quadrilateral rotorcraft and casings for induction are not necessary.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회전익(3)은 회전판(31)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31)은 구동축(2)에 연결되는 구조의 원심류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1)와 회전익(3) 및 산기기(4)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3~4개 정도의 지주(Pole)로 구성된 지지대(1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를 지지하고 제1실시예에서 예시된 원통형 케이싱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이 보다 경제적이고 케이싱에 의한 교반력 손실도 줄일수 있다.Therefore, the
이 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익(3)의 하부 또는 측면에는 산기관이 구비된 송기지관[도면생략]을 설치하여 포기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well,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erat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by installing an air supply pipe (not shown) provided with a diffuser on the lower or side surface of the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 제3실시예의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에서는 산기기의 표면에 돌출하여 회전하는 상기 분출공기 유도수단과 수류 유도수단에 의하여 교반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출공기 유도수단(9a. 9b) 및 수류 유도수단(10)의 형상과 회전 단면적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심수류 또는 사류를 발생하는 회전익의 기능을 병행토록 하므로써 교반수류 형성을 위한 별도의 회전익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경제적이다.In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gitated water flow may be formed by the jet air inducing means and water flow inducing means which protrude and rotate on the surface of the diffuser. Therefore, by separately adjusting the shape and rotatio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owing air inducing means 9a. More economical as it can be omitted.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분출공기 유도수단(9a,9b)과 상기 수류 유도수단(10)의 하부 또는 측면에 산기관이 구비된 송기지관[도면생략]을 설치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포기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an air supply pipe (not shown) provided with a diffuser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r the side of the blowoff air inducing means 9a and 9b and the water flow inducing means 10, thereby giving up the aeration capacity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increased.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 제4실시예의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또는 절두원추형 용기형태의 산기기가 생략되고 산기관(4)에 의하여 포기가 이루어지고 산기관(4)에서 분출되는 미세기포가 회전익(3)에 의하여 확산되는 구성이다.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or truncated conical container is omitted, and the aeration is made by the
이 실시예에 따른 수중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구동모터(1)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축(2)에는 회전익(3)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는 수류 유입구(51) 와 포기수류 토출구(52)가 구비된 원통형의 케이싱(5)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류 유입구(51)와 포기수류 토출구(52)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상기 케이싱(5)의 내부 또는 근접한 위치에는 산기관(43A,43b)이 설치되며, 상기 산기관(43a,43b)은 송기지관(7)과 송기관(6)에 의하여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otary blade (3) is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2) driven by the drive motor (1), the drive motor (1) is a
이 실시예에 따른 수중포기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수류 유입구(51)측에 설치된 산기관(43a)에서 분출되는 미세기포는 상기 케이싱(5)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포기수류 토출구(51)를 통하여 수류와 함께 빠른 속도로 분출되고 수평으로 확산되어 포물선 형태의 궤적을 따라 부상하므로 체류시간이 증가되어 포기용량과 산소이전율이 증대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s ejected from the diffuser (43a) installed on the
또한 상기 포기수류 토출구(52) 측에 설치된 산기관(43b)에서 분출되는 미세기포는 상기 포기수류 토출구(52)에서 빠른 속도로 분출되는 수류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하여 포물선형태로 부상하면서 기포의 수중 체류시간이 길어지므로 포기용량과 산소이전율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e bubbles ejected from the diffuser (43b) installed in the
상기 송기관(6)을 지지대겸 송기관으로 이용하고 상기 송기지관(7)과 상기 송기관(6)은 서로 연통되며 탈착 가능하도록 탈착장치(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 실시예에서는 축류형 또는 사류형의 회전익에 의한 수평류형을 예시하였으나, 사류형, 원심류형 등 다양한 형태의 입축형 회전익이 내장된 상부유입 하부토출형 또는 하부유입 상부토출형의 수중포기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의 설치를 생략하고 상기 회전익의 주변, 전면 또는 후면에 다수개의 산기관이 구 비된 복수개의 산기지관을 설치하여 케이싱을 대체하므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케이싱에 의하여 교반동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flow type by the axial flow type or the four-flow type rotary wing type is illustrated, but the underwater inflow device of the upper inflow lower discharge type or the lower inflow upper discharge type, which has various types of vertical rotational rotor blades such as the four-flow type and the centrifugal flow type, is constructed. It is possible to omit the installation of the casing and install a plurality of acid base pipe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diffusers on the periphery, front or rear of the rotor blade to replace the casing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agitation power is reduced by the casing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포기수류 토출구(52)에는 다수개의 수류분출구가 구비된 유출관[도면생략]을 연결하고 상기 수류분출구 측에는 산기관을 설치하므로써 1조의 회전익에 의하여 장방형 반응조에서도 사수구역이 발생되지 않고 고르게 포기 및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유출관에 의한 수두손실이 증가되므로 상기 구동모터, 회전익 및 케이싱을 조합하여 원심류형, 사류형 또는 축류형의 터빈펌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outflow pipe (not show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outlets to the aera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포기기 제5실시예의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underwater bub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에서의 산기관은 1차 유체공급구(81), 2차 유체공급구(82), 혼합유체분출구(83)와 노즐(84)이 구비된 이젝터(8)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이젝터(8)의 1차 유체공급구(81)는 송기지관(7) 및 송기관(6)과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2차 유체공급구(82)는 반응조내의 수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반응조의 내부와 연통시키고, 상기 혼합유체분출구(83)는 포기수류가 반응조에 분출될 수 있도록 반응조 내부와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The diffuser in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n
상기 이젝터(8)에 의한 산기관의 작동을 설명하면, 송풍기에 의하여 상기 1차 유체공급구(81)로 공기가 압송되면 이젝터 내부의 노즐(84) 주위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반응조내의 수체가 상기 2차 유체공급구(82)를 통하여 이젝터(8) 내부로 흡입되고 압송된 공기와 흡입된 수체가 혼합 분쇄되면서 이젝터의 혼합유체분출구(83)를 통하여 미세한 기포가 반응조로 분출되고 회전익(3)에서 형성된 수류에 의하여 반응조 전체로 확산되어 포기 및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ffuser by the
상기 이젝터(8)는 표준형(Standard Type) 또는 애뉼러형(Annular Type)으로 제한없이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2차 유체공급구(82)에는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망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4실시예의 포기수류 토출구(52)측의 산기관(43b)을 이젝터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수류유입구(51)측의 산기관(43a)도 이젝터(8)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젝터(8)에 의한 산기관은 제1내지 제3실시예의 수중포기기에도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제1내지 제5실시예의 상기 송기관(6)에는 자동밸브[도면생략]를 설치하고 상기 자동밸브를 Timer, 산화환원전위제어기(ORP Controller), DO Controller, PH Controller 등에 연동하여 작동하므로써 포기와 비포기 교반을 교차 반복하는 간헐포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By providing an automatic valve [not shown] in the
본 발명을 하폐수처리장 등에 설치되는 수중포기기에 적용하게 되면, 산소이전율과 포기동력효율이 향상되며,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우에도 급격한 포기능력의 저하가 방지되고, 포기와 비포기교반이 교차 반복되는 간헐포기장치를 실현할 수 있으며, 특히 포기용량은 산기기와 산기관의 용량에 의하여 결정되고 교반용량은 회전익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반응조의 조건에 가장 적합한 포기용량과 교반용량이 조합된 포기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underwater aeration device installed in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oxygen transfer rate and aeration power efficiency are improved, and even when installed inclined, a sudden drop in aeration capacity is prevented, and aeration and aeration of aeration are repeated intermittently. The aeration device can be realized, and in particular, the aeration capacity is determined by the capacity of the diffuser and the diffuser, and the stirring capacity is determined by the rotor blade, so that the aeration device combined with the aeration capacity and the stirring capacity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conditions of the reactor can be realized. .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83765A KR100583052B1 (en) | 2004-10-19 | 2004-10-19 | Underwater Aerators with Improved Aeration Capacity and Dispers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83765A KR100583052B1 (en) | 2004-10-19 | 2004-10-19 | Underwater Aerators with Improved Aeration Capacity and Dispersion Function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4-0029558U Division KR200373142Y1 (en) | 2004-10-19 | 2004-10-19 | Submersible Aerator with the Encreased Capacity of Aeration and Ability of Diffus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97040A KR20040097040A (en) | 2004-11-17 |
| KR100583052B1 true KR100583052B1 (en) | 2006-05-26 |
Family
ID=373755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837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3052B1 (en) | 2004-10-19 | 2004-10-19 | Underwater Aerators with Improved Aeration Capacity and Dispers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83052B1 (en)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17429A (en) * | 2007-01-22 | 2007-02-09 | 한상배 | Underwater Aeration System with Increased Aeration Capacity and Improved Stability |
| KR100807493B1 (en) | 2007-04-11 | 2008-02-25 | 한상배 | Underwater Aeration Device for Easy Maintenance and Improved Stability |
| KR100806994B1 (en) | 2006-10-02 | 2008-02-25 | 한상배 | Underwater Aeration System with Improved Oxygen Transfer Rate and Stability |
| KR200456162Y1 (en) * | 2009-02-13 | 2011-10-17 | 주식회사 장호 | Underwater airation and underwater agitating device by control of rotating·backlashing |
| KR101152746B1 (en) | 2012-04-23 | 2012-06-18 | 세진이엔씨(주) | Diffuser |
| KR101254873B1 (en) * | 2011-02-14 | 2013-04-15 | 정진일 | Aerator |
| KR101274532B1 (en) | 2012-11-27 | 2013-06-13 | (주)윈텍글로비스 | Submersible aerator |
| WO2015009012A1 (en) * | 2013-07-18 | 2015-01-22 | Jang Sun Won | Aeration device |
| CN105565521A (en) * | 2015-12-17 | 2016-05-11 | 江苏新奇环保有限公司 | Efficient jet aerator |
| KR20190065539A (en) * | 2017-12-02 | 2019-06-12 | 윤보선 | Micro-bubble generator in fish culture field |
| KR102205139B1 (en) * | 2020-07-27 | 2021-01-19 | 임명준 |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organism Deordorant Including Effective Microorganism Generated By Photobio Microaeration Reac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06474B1 (en) * | 2006-02-20 | 2008-02-21 | 한상배 | Stirring device and underwater bubbler using it |
| CN113213621B (en) * | 2021-04-28 | 2024-01-12 | 濮阳市科润石油工程技术有限公司 | An MBR biofilm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
| KR20230094279A (en) | 2021-12-21 | 2023-06-28 | 최종문 | A fluid mixing and discharging device |
| CN117361742A (en) * | 2023-10-20 | 2024-01-09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Sewage pretreatment tank adopting activated sludge process |
| CN117941647A (en) * | 2024-03-25 | 2024-04-30 | 江门市丰果塑料制品有限公司 | Universal push-flow multifunctional aerator |
| CN118954799A (en) * | 2024-08-21 | 2024-11-15 | 浙江富春紫光环保股份有限公司 | Rural domestic sewag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72313A (en) * | 2003-08-27 | 2003-09-13 | 한상배 | Ejector and Aerators using the same |
| KR200333975Y1 (en) | 2003-09-02 | 2003-11-19 | 강경범 | Air blowing device for water handling equiqment |
-
2004
- 2004-10-19 KR KR1020040083765A patent/KR1005830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72313A (en) * | 2003-08-27 | 2003-09-13 | 한상배 | Ejector and Aerators using the same |
| KR200333975Y1 (en) | 2003-09-02 | 2003-11-19 | 강경범 | Air blowing device for water handling equiqment |
Cited B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06994B1 (en) | 2006-10-02 | 2008-02-25 | 한상배 | Underwater Aeration System with Improved Oxygen Transfer Rate and Stability |
| KR20070017429A (en) * | 2007-01-22 | 2007-02-09 | 한상배 | Underwater Aeration System with Increased Aeration Capacity and Improved Stability |
| KR100807493B1 (en) | 2007-04-11 | 2008-02-25 | 한상배 | Underwater Aeration Device for Easy Maintenance and Improved Stability |
| KR200456162Y1 (en) * | 2009-02-13 | 2011-10-17 | 주식회사 장호 | Underwater airation and underwater agitating device by control of rotating·backlashing |
| KR101254873B1 (en) * | 2011-02-14 | 2013-04-15 | 정진일 | Aerator |
| KR101152746B1 (en) | 2012-04-23 | 2012-06-18 | 세진이엔씨(주) | Diffuser |
| KR101274532B1 (en) | 2012-11-27 | 2013-06-13 | (주)윈텍글로비스 | Submersible aerator |
| WO2015009012A1 (en) * | 2013-07-18 | 2015-01-22 | Jang Sun Won | Aeration device |
| US10202296B2 (en) | 2013-07-18 | 2019-02-12 | Sun Won Jang | Aeration device |
| CN105565521A (en) * | 2015-12-17 | 2016-05-11 | 江苏新奇环保有限公司 | Efficient jet aerator |
| KR20190065539A (en) * | 2017-12-02 | 2019-06-12 | 윤보선 | Micro-bubble generator in fish culture field |
| KR102048614B1 (en) | 2017-12-02 | 2019-11-26 | 윤보선 | Micro-bubble generator in fish culture field |
| KR102205139B1 (en) * | 2020-07-27 | 2021-01-19 | 임명준 |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organism Deordorant Including Effective Microorganism Generated By Photobio Microaeration Reac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97040A (en) | 2004-11-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83052B1 (en) | Underwater Aerators with Improved Aeration Capacity and Dispersion Function | |
| US4210534A (en) | Multiple stage jet nozzle and aeration system | |
| US7661658B2 (en) | Submersible hollow shaft motor and submersible floating aerator comprising the same | |
| US20080159061A1 (en) | Mixers and the Submersible Aerators With Using These Mixers | |
| KR20090117680A (en) | Aeration and stirring device | |
| WO1979000895A1 (en) | Water treating device | |
| JP2014097449A (en) | Through-flow pump ultrafine bubble flow supply device | |
| JP2014097449A5 (en) | ||
| KR100806994B1 (en) | Underwater Aeration System with Improved Oxygen Transfer Rate and Stability | |
| KR20030071706A (en) | Aerators with the Functions of muli-step mixing and sepataion | |
| JP2012125690A (en) | Through-flow pump aeration apparatus | |
| KR20070017429A (en) | Underwater Aeration System with Increased Aeration Capacity and Improved Stability | |
| JP2009247927A (en) | Aeration agitator | |
| JP6345546B2 (en) | Power-saving aeration stirrer | |
| JPH05253592A (en) | Stirring aerator | |
| KR100801851B1 (en) | Jet aeration | |
| KR200373142Y1 (en) | Submersible Aerator with the Encreased Capacity of Aeration and Ability of Diffusion | |
| KR102382198B1 (en) | Submersible Aerator | |
| US6808165B1 (en) | Apparatus for mixing and introducing gas into a large body of liquid | |
| JP4542521B2 (en) | Underwater aeration equipment | |
| JP3385047B2 (en) |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 |
| CA2919280A1 (en) | Rotary gas bubble ejector | |
| WO2010087802A1 (en) | Downflow mixers with gas injection devices and/or baffles | |
| KR100461265B1 (en) | Submersible Aerator with the Function of Intermittent Aeration, Deoderization and Air Priming | |
| KR100695259B1 (en) | Underwater aeration device equipped with diffuser function and agitation fun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5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51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