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3829B1 -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829B1
KR100583829B1 KR1020040044540A KR20040044540A KR100583829B1 KR 100583829 B1 KR100583829 B1 KR 100583829B1 KR 1020040044540 A KR1020040044540 A KR 1020040044540A KR 20040044540 A KR20040044540 A KR 20040044540A KR 100583829 B1 KR100583829 B1 KR 10058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freshness
quality
synthetic resin
de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113A (ko
Inventor
홍석인
박형우
김동만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4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8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8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25Fruits or vege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색 또는 감광 능력이 있는 산화제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이를 다공성 흡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에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미세기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그 위에 부착 또는 합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상품의 유통 환경에 따라 반응이 진행되어 내용물의 품질변화를 간접적으로 나타내줄 수 있는 종래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와는 달리, 유통중 내용물의 품질 영향 인자와 직접 상호 반응해서 이를 정량화된 정보로 나타내주는 새로운 형태와 작동 방식으로서, 밀봉 포장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알코올류 및 알데하이드류의 이취 성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서 다양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신선도를 소비자 입장에서 쉽게 인지하도록 돕는 지시계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신선, 식품, 선도, 감지, 지시계, 포장, 제조방법, 품질

Description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Freshness Indicator for Fresh Produ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색 또는 감광 능력이 있는 산화제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이를 다공성 흡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에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미세기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그 위에 부착 또는 합지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상품의 유통 환경에 따라 반응이 진행되어 내용물의 품질변화를 간접적으로 나타내줄 수 있는 종래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와는 달리, 유통중 내용물의 품질 영향 인자와 직접 상호 반응해서 이를 정량화된 정보로 나타내주는 새로운 형태와 작동 방식으로서, 밀봉 포장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알코올류 및 알데하이드류의 이취 성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서 다양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신선도를 소비자 입장에서 쉽게 인지하도록 돕는 지시계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식품에 대한 구매성향은 여러 주변 환경 여건에 따라 변화하는데 국내에서도 전반적인 산업의 고도화, 국제화 및 개방화, 전통 식생활의 변화, 핵가족화, 도시화, 노년층 인구의 증가, 식품관련 정보 증가 등의 형태로 환경요건이 변화되고 있어 식품 소비측면에서는 종전의 영양 섭취 위주에서 건강 지향 및 편리성 추구의 방향으로 뚜렷한 변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식품소재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로서 과일 채소류의 소비 증대를 지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이들의 가공제품 보다는 신선 식품에 대한 소비 성향이 급격히 신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통 과정중 신선 과일, 채소류 식품의 안전성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처리 기술 뿐만 아니라 적절한 포장과 저온 유통이 필수적이다. 기본적으로 환경온도를 낮추어 생체인 과일, 채소류의 호흡률을 감소시키고 선택적 기체투과성이 있는 플라스틱 고분자 필름 포장재를 이용하여 환경기체변환포장(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이하 "MAP"라 함,) 방법 등을 적용함으로서 포장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이고 산소 농도를 낮추어 미생물 번식과 호흡관련 생리대사 작용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MAP 포장 내부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적정 평형농도는 대상 과일, 채소류의 품목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원재료의 최적 환경기체조절(controlled atmosphere; 이하 "CA"라 함,) 저장조건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내부 기체농도의 변환방법은 내용물 자체의 호흡률과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의 기체투과성을 이용하여 기체농도가 평형에 도달하도록 하는 수동적 방법과, 적정 조성의 혼합기체를 내용물과 함께 포장 내부에 주입, 밀봉하여 기체조성이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능동적 방법, 혹은 진공포장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신선 과일, 채소류의 저장성 연장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포장기법으로서 포장재의 선택적 기체투과성에만 의존하지 않고 내용물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인자들을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각종 기능성 물질들을 사용하는 기능성 포장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이에 사용되는 기능성 물질들은 포장 내부의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 미생물, 수분 등 내용물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작용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물질로서 소형 봉지 형태로 포장 내부에 봉입하거나 포장재 자체에 혼입하여 사용한다. 또한, 화학물질, 고분자, 효소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반응기술을 활용하여 포장된 제품의 유통중 품질상태를 포장을 뜯지 않고서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시계를 포장재에 부착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신선 식품의 품질, 선도 등을 감지하는 지시계는 유통중 내용물의 품질 영향인자와 직접 상호 반응하여 이를 정량화된 정보로 나타내주는 방식이라기보다는 상품의 유통환경에 따라 반응이 진행되어 내용물의 품질변화를 간접적으로 나타내 줄 수 있는 지시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대표적인 예로서 시간-온도 지시계(time-temperature indicator; 이하 "TTI"라 함,)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온도와 시간의 누적에 따라 형태, 색깔, 색의 위치 등 가시적 변화를 일으키는 시간-온도 적산 지시계를 일컫는 것으로 작동 원리는 물리, 화학 또는 효소의 비가역적 반응에 기초한다. 이러한 TTI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으며, 구미 선진국의 경우 신선 식품 포장에 라벨 형태로 부착되어 유통중 내용물의 품질상태를 소비자가 손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시장에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TTI는 유통환경 변화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품질을 추정할 수 있을 뿐 실제 신선 식품의 품질변화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은 갖추고 있지 않다. 한편 최근 들어 식품산업에서 제품의 산패 방지를 위해 사용 빈도가 늘고 있는 탈산소제 또는 산소흡수제의 경우 대기 산소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자체의 유통중 산화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산소 지시계를 활용하고 있다. 이 또한 대표적인 상품화 지시계의 사례로 볼 수 있으나, 이를 포장 내용물인 식품의 품질변화 감지와 관련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으며, 다만 MAP 제품의 기체 누출 지시계(gas leak indicator)로서 이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가 일부 보고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 308110호).
유통중 신선 식품의 품질유지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해 MAP 또는 플라스틱 필름 밀봉포장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고, 따라서 이러한 포장 상품의 신선도 변화를 내용물의 품질 영향인자와 직접 연계하여 소비자가 육안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품질 지시계 및 선도 감지용 지시계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의 유통 환경에 따라 반응이 진행되어 내용물의 품질변화를 간접적으로 나타내줄 수 있는 종래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와는 달리, 유통중 내용물의 품질 영향 인자와 직접 상호 반응해서 이를 정량화된 정보로 나타내주는 새로운 형태와 작동 방식으로서, 밀봉 포장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알코올류 및 알데하이드류의 이취 성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함 으로서 다양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신선도를 소비자 입장에서 쉽게 인지하도록 돕는 지시계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밀봉 포장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선도 저하시 포장 내부에 축적되는 알코올류, 알데하이드류 등의 이취 성분과 직접 반응하여 이들을 신속히 감지하고자, 발색 또는 감광 능력이 있는 산화제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이를 다공성 흡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에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미세기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그 위에 부착 또는 합지함으로서 기존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제조방법과 분명하게 구분되는 새로운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발색 또는 감광 능력이 있는 산화제는 크롬산암모늄, 크롬산칼륨, 크롬산나트륨 등의 크롬산염 또는 중크롬산암모늄, 중크롬산칼륨, 중크롬산나트륨 등의 중크롬산염에 황산, 질산, 염산 등의 강산을 혼합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알코올류 또는 알데하이드류를 선택적으로 직접 산화 분해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알코올옥시다아제, 페록시다아제 등의 효소 용액에 2,6-디클로로인도페놀(DCIP), 4-니트로페놀, 테트라메틸티오닌클로라이드, o-카르복시벤젠아조디메틸아닐린, 디브로모-o-크레솔술폰프탈레인, 디브로모페놀술폰프탈레인 등의 산화-환원 염색시약을 첨가하여 만든 혼합물을 사용하고, 이들 혼합물을 고형화하기 위해 규산염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규산염 용액이나, 알지네이트, 펙틴, 카라기난, 전분, 전분 가수분해물, 키토산, 셀룰로오즈 유도체(메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즈 등) 등의 탄수화물이나 다당류 또는 젤라틴, 글루텐, 옥수수 단백, 대두 단백, 유청 단백 등의 단백질 생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 용액을 고형화제로 사용하며, 이들 산화제와 고형화제의 혼합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올라이트, 규조토(셀라이트), 활성백토, 활성알루미나, 활성탄 등의 다공성 흡착제(담체)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고, 최종적으로 알코올류, 알데하이드류 등의 이취 성분에 대해 민감하게 변색 반응하는 상기의 혼합액 또는 분산액을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이온화, 오존, 화염, 유기용매 등으로 표면 전처리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 직포나 부직포 또는 백상지, 마닐라지, 판지 등의 종이에 분무, 도포, 침지, 공압출 등의 방법으로 코팅하거나, 혹은 그라비어(gravure), 오프셋(offset), 스크린(screen), 플렉소(flexo) 등의 인쇄방법을 활용하여 인쇄하고 건조한 다음, 미세기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그 위에 부착 또는 합지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새로운 형태와 방식으로 작동되는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특성을 갖는 산화제와 고형화제, 흡착제의 혼합물 용액 또는 분산액을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나 종이 위에 코팅 또는 인쇄하고, 다시 그 위에 미세기공의 합성수지 필름을 부착 또는 합지하여 완성한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를 밀봉 포장된 과일, 채소류 상품의 포장 내면에 적용할 경우, 내용물의 신선도를 가늠할 수 있는 품질 영향인자로서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류의 이취 성분의 발생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지시계의 색깔 변화로 나타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을 통해 알코올류 및 알데하이드류의 이취 성분에 대한 반응 민감성이 매우 우수한 지시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지시계는 밀봉 포장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이취 성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서 소비자 입장에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신선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언급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발색 능력이 있는 산화제로서 0.1 M 중크롬산칼륨 수용액과 3 M 황산 용액을 부피비율 2:1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고형화제로서 27%(w/v) 규산염 나트륨 용액을 상기의 산화제에 대해 부피비율 10:1로 첨가한 다음, 다공질의 흡착제로서 100 mesh 이상 입자의 활성백토를 상기의 산화제와 고형화제 혼합용액에 중량비율 5:1로 넣고 고르게 섞은 후, 표면 전처리 방법으로서 25-30 kV/cm, 4-5 MHz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한 100 ㎛ 두께의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 혼합소재 부직포 위에 상기의 산화제, 고형화제 및 흡착제 분산용액, 즉 반응 혼합물을 일정량 가한 다음, 1.0 mm 간극의 막대형 도포구를 이용하여 고르게 도포시키고 대기 중에서 자연 건조시켜 상기의 반응 혼합물이 균일하게 입혀진 부직포 조각을 준비하고, 이를 직경 1.0 mm 이하의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50 ㎛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사이에 넣고 가열 접착하여 합지함으로서 완성된 화학 반응형 지시계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화학 반응형 지시계를 투명한 유리용기 벽면에 부착하고 일정량의 에탄올을 각각 0, 0.5, 1.0, 5.0, 10.0 ppm 농도가 되도록 투입한 후 바로 밀봉하여 상온(25℃)에 놓아두면서 지시계의 색깔 변화를 관찰한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초기에 밝은 노란색이었던 지시계는 에탄올과 반응하면서 점차 연녹색에서 청록색으로 변하였으며,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선명한 청록색을 나타냄으로서, 결과적으로 알코올에 대해 민감성이 매우 높고 색 변화에 의한 반응 표현능력이 우수한 지시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온(25℃)에서 에탄올 농도에 따른 화학 반응형 지시계의 색변화 비교
에탄올농도 (ppm) 색(CIE-Lab 지수) 표현색
명도(L*) 적-녹도(a*) 황-청도(b*) 색차(ΔE)
0.0 81.13 -4.46 47.91 0.00 노란색
0.5 77.39 -4.68 46.90 3.88 연한 노란색
1.0 76.94 -5.03 44.57 5.39 연녹색
5.0 76.70 -6.47 10.84 37.39 녹색
10.0 76.00 -6.61 0.33 47.90 녹청색
실시예 2
산화제로서 16.3 unit/mg의 활성을 갖는 Pichia pastoris 미생물 유래의 알코올옥시다아제와 1000 unit/mg의 활성을 갖는 양고추냉이 유래의 페록시다아제 효소를 각기 5.0 ㎍/mL와 30.0 ㎍/mL 농도로 10 mM, pH 7.5의 인산염 완충액에 용해 시키고 산화-환원 염색시약으로서 2,6-디클로로인도페놀(DCIP)을 0.5 mM 농도로 혼합한 다음, 고형화제로서 12%(w/v) 농도로 고순도 유청 단백질 분말을 상기의 산화제 용액에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흡착제로서 100 mesh 이상의 입도를 가진 규조토(셀라이트)를 상기의 산화제와 고형화제 혼합용액에 중량비율 5:1로 넣고 고르게 섞은 후, 100 모조의 백상지 위에 상기의 산화제, 고형화제 및 흡착제 혼합용액, 즉 반응 혼합물을 일정량 가한 다음, 0.3 mm 간극의 막대형 도포구를 이용하여 고르게 도포시키고 대기 중에서 자연 건조시켜 상기의 반응 혼합물이 균일하게 입혀진 백상지 조각을 준비하고, 이를 직경 1.0 mm 이하의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50 ㎛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사이에 넣고 가열 접착하여 합지함으로서 완성된 효소 반응형 지시계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효소 반응형 지시계를 1 kg의 세절 양배추가 들어 있는 크기 30×50 cm의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적층필름 봉투 내면에 부착한 다음 가열접착 밀봉하여 저온(10℃)에 저장하면서 포장재 내부의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변화와 지시계의 색깔 변화를 관찰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초기에 짙은 파란색이었던 지시계는 밀봉포장 내부에서 발생한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와 반응하면서 점차 탈색되어 무색(흰색)으로 변하였으며,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높을수록 엷은 분홍색을 나타냄으로서, 결과적으로 알코올과 알데하이드에 대해 민감성이 매우 높고 색 변화에 의한 반응 표현능력이 우수한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임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저온(10℃)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세절 양배추 밀봉포장 내부의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발생량 및 효소 반응형 지시계의 색변화 비교
저장기간 (일) 에탄올농도(ppm) 아세트알데히드농도 (ppm) 색(CIE-Lab 지수) 표현색
명도 (L*) 적-녹도 (a*) 황-청도 (b*) 색차 (ΔE)
0 0.00 0.00 68.42 -3.41 -11.44 0.00 짙은파란색
3 0.09 0.04 69.50 -3.32 -10.83 1.24 파란색
6 0.51 0.21 70.12 -1.28 -3.52 8.38 하늘색
9 1.03 0.39 70.55 -0.90 -0.15 11.76 무색(흰색)
12 4.98 1.98 76.50 1.60 5.98 19.85 연분홍색
15 10.11 4.05 78.59 1.74 7.70 22.28 연분홍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의 제조방법은 발색 또는 감광 능력이 있는 산화제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이를 다공성 흡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에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미세기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그 위에 부착 또는 합지함으로서, 종래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제조방법과 분명하게 구분되는 새로운 형태와 작동 방식의 신선 식품 선도 감지용 지시계 제조에 관한 내용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는 밀봉 포장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알코올류 및 알데하이드류의 이취 성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서 다양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신선도를 소비자 입장에서 쉽게 인지하도록 돕는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잘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의 유통 환경에 따라 반응이 진행되어 내용물의 품질변화를 간접적으로 나타내줄 수 있는 종래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와는 달리, 유통중 내용물의 품질 영향 인자와 직접 상호 반응해서 이를 정량화된 정보로 나타내주는 새로운 형태와 작동 방식으로서, 밀봉 포장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알코올류 및 알데하이드류의 이취 성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서 다양한 과일, 채소류 신선 식품의 신선도를 소비자 입장에서 쉽게 인지하도록 돕는 지시계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관련 분야에의 이용 및 응용이 기대된다 하겠다.

Claims (6)

  1. 발색 또는 감광 능력이 있는 산화제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이를 다공성 흡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미세기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그 위에 부착 또는 합지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크롬산암모늄, 크롬산칼륨, 크롬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되는 크롬산염 또는 중크롬산암모늄, 중크롬산칼륨, 중크롬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되는 중크롬산염에 황산, 질산, 염산 중에서 선택되는 강산을 혼합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알코올류 또는 알데하이드류를 선택적으로 직접 산화 분해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알코올옥시다아제, 페록시다아제 등의 효소 용액에 2,6-디클로로인도페놀(DCIP), 4-니트로페놀, 테트라메틸티오닌클로라이드, o-카르복시벤젠아조디메틸아닐린, 디브로모-o-크레솔술폰프탈레인, 디브로모페놀술폰프탈레인 중에서 선택되는 산화-환원 염색시약을 첨가하여 만든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제는 규산염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되는 규산염 용액이나 알지네이트, 펙틴, 카라기난, 전분, 전분 가수분해물, 키토산, 메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즈 중에서 선택되는 탄수화물이나 다당류 또는 젤라틴, 글루텐, 옥수수 단백, 대두 단백, 유청 단백 중에서 선택되는 단백질 생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제올라이트, 규조토(셀라이트), 활성백토, 활성알루미나, 활성탄 중에서 선택되는 다공성 담체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고형화제, 흡착제 혼합물을 상기의 합성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기재에 분무, 도포, 침지, 공압출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코팅하거나, 혹은 그라비어, 오프셋, 스크린, 플렉소 중에서 선택되는 인쇄방법을 활용하여 인쇄하고 건조한 다음, 미세기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그 위에 부착 또는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6. 제1항의 방법으로 얻어진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KR1020040044540A 2004-06-16 2004-06-16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8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540A KR100583829B1 (ko) 2004-06-16 2004-06-16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540A KR100583829B1 (ko) 2004-06-16 2004-06-16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113A KR20040070113A (ko) 2004-08-06
KR100583829B1 true KR100583829B1 (ko) 2006-05-26

Family

ID=3735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5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3829B1 (ko) 2004-06-16 2004-06-16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31068C1 (ru) * 2006-12-28 2008-08-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ндикатора на полимерной пленке для контроля срока хран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ов
KR101972654B1 (ko) 2017-06-20 2019-04-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은나노입자 필름을 이용한 식품 신선도 지시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1486B1 (ko) * 2018-05-16 2020-04-16 조나단 종수 김 황 화합물 검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2491B1 (ko) 2019-12-24 2021-07-05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용 지시계의 제조방법
CN115931992B (zh) * 2022-11-02 2023-12-26 南京农业大学 一种可用于肉类新鲜度检测的柔性电子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6043603B (zh) * 2023-01-30 2023-08-11 东北林业大学 一种多功能纤维素基可视化智能标签的制备方法和应用
CN117969500B (zh) * 2024-03-27 2024-06-07 山东新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氮氧化物还原剂尿素水溶液中醛类的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113A (ko) 200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3268B (zh) 油墨组合物、氧和/或pH指示剂和包装
CN104777162B (zh) 色变指示装置
FI111352B (fi) Pakkaus pilaantuvia elintarvikkeita varten
JP4422466B2 (ja) 物品の品質管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酸素検知剤
JP5541591B2 (ja) 酸素検知剤および酸素検知剤の製造方法
Pirayesh et al. Cellulosic material-based colorimetric films and hydrogels as food freshness indicators
KR100583829B1 (ko) 신선 식품의 선도 감지용 지시계 및 그 제조방법
CN1993616B (zh) 氧检测剂薄片及使用该薄片的氧检测剂、氧检测剂薄片的制造方法
JP4984248B2 (ja) シート状酸素検知剤及び該シート状酸素検知剤を有する複合脱酸素剤
Liu et al. An antibacterial and intelligent cellulose-based label self-assembled via electrovalent bonds for a multi-range sensing of food freshness
JPS6339866B2 (ko)
US11346786B2 (en) High pressure sensitive color changeable indicators and methods of making such indicators
JPS6093983A (ja) 経過時間検知体および経過時間検知方法
TWI465718B (zh) Oxygen detection ag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oxygen detection of aqueous solution
Matche et al. Smart packaging in food sector
JP5943383B2 (ja) 酸素検知剤および酸素検知溶液
JP2008275599A (ja) 酸素検知体
CN214624210U (zh) 一种用于判断牛奶新鲜度的指示标签和瓶盖
KR20070100501A (ko) 품질표시 라벨
JPS63243754A (ja) 酸素検知剤
KR101196856B1 (ko) 산소 검지제 및 산소 검지제의 제조 방법
GB2593454A (en) Indicator film
JP2006170980A (ja) 品質表示ラベル
JPH06210802A (ja) 医薬品用包装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保存方法
KR102833622B1 (ko) 신선도 지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5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52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