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149B1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in repeaters coverage areas - Google Patents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in repeaters coverage area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8149B1 KR100598149B1 KR1020040029591A KR20040029591A KR100598149B1 KR 100598149 B1 KR100598149 B1 KR 100598149B1 KR 1020040029591 A KR1020040029591 A KR 1020040029591A KR 20040029591 A KR20040029591 A KR 20040029591A KR 100598149 B1 KR100598149 B1 KR 100598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peater
- mobile station
- delay
- time
- delay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0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 B60B33/000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by scre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 지역에 위치하는 이동국의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국 위치 추적 방법은 중계기가 제1 상태인 동안에 상기 이동국의 시간 지연(제1 시간 지연) 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제2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제2 상태인 동안에 상기 이동국의 시간 지연(제2 시간 지연)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의 제1 시간 지연과 제2 시간 지연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기의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계기의 위치 및 상기 제1 지연 시간 혹은 제2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기 지역에 있는 이동국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으로 해서 이동통신 서비스 중 위치추적과 관련된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located in a repeater area is disclosed. The mobile station location track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a time delay (first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while the repeater is in a first state; Adjusting a delay time of the repeater to be in a second state; Measuring a time delay (second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while in the second state of the repeater; Comparing the first time delay and the second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repeat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repeater area,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using the position and the first delay time or the second delay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the repeater area, thereby activating a service related to location tracking amo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이동통신 중계기, W-CDMA, 제3세대 이동통신, 위치추적서비스, LBS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W-CDM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tracking service, LBS
Descrip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 기반으로 수행되는 위치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tracking method performed based o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 지역에서의 기지국 기반의 위치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based location tracking method in a repeater are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기반의 이동국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based mobile station location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station location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이동국에 대한 위치 추적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 영역에 있는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and to a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repeater area.
이동국의 위치 추적이란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 있는 이동국의 위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The location tracking of the mobile station is a service that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and informs the us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 기반으로 수행되는 위치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tracking method performed based o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CDMA 기지국(110)은 일반적으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셀을 분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나의 기지국(110)은 통상적으로 3개의 섹터로 나누어진다. 즉, 하나의 기지국(110)에서 3개의 α섹터, β섹터 그리고 γ섹터로 나누어 이동통신 서비스를 한다.
따라서, 기지국(110)은 α섹터, β섹터 그리고 γ섹터 중 어느 섹터로부터 이동국의 신호가 들어오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국(120)에서 기지국(110)까지의 신호가 얼마나 지연되는지를 파악하여 기지국(110)과 이동국(120)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가 있다. 즉, 이동국(120)과 기지국(120)간의 지연시간(τ)을 측정함으로써, 이동국(12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방향과 거리를 이용하여 기지국(110)은 이동국(120)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가입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그런데, 이동통신 서비스 음영지역 또는 커버리지 확장을 위해 중계기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경우가 많다. However, in many cases, a repeater is installed and operated to extend coverage areas or cover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 지역에서의 기지국 기반의 위치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섹터에 하나 이상의 중계기(1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경우에는, α섹터에 하나의 중계기(1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based location tracking method in a repeater area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this, one or
이와 같이, 중계기(130)가 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기지국(110) 기반의 위치추적 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동국(120)의 정확한 위치를 산출하기가 어렵다. As such, when there is a
우선 중계기(130)는 기지국의 3개 섹터의 방향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즉, 중계기(130)는 음영 지역을 제거하기 위해 위치하기 때문에 그 위치가 3개의 섹터 방향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중계기가 β섹터의 위치에 놓인다고 하더라도 β섹터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α섹터 또는 γ섹터에 연결되어 서비스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국(120)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많은 오차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또한 기지국(110)의 각 섹터에는 복수의 중계기가 연결되어 서비스가 될 수 있는데 이동국(120)이 어떤 중계기의 영역에 있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많은 오차 발생 여지가 있다. 게다가 중계기의 종류에 따라 중계기 자체의 시간지연(도 2의 τN)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중계기의 시간 지연(τN)에 의해서도 이동국(120)의 위치에 대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First, the
도 2는 이동국이 중계기 영역에 있을 때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국 위치 추적 방법의 사용으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기(130)는 β섹터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지만 α섹터에 연결되어 있다. 2 illustrates one case where an error may occur due to the use of a mobile station location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mobile station is in the repeater region. Referring to FIG. 2, the
따라서, 이동국(120)이 중계기 영역에 속하는지, 속한다면 어떤 중계기 영역에 속하는지를 파악하지 않고, 이동국(120)과 기지국(110)간의 지연시간만을 고려하여 이동국(120)의 위치를 추적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110)은 기지국(110)과 중계기(130)간의 지연시간(τR), 중계기 내부의 지연시간(τN) 및 중계기(130)와 이동국(120) 간의 지연시간(τM)을 합하여, 이동국(120)이 α섹터로부터 D'만큼 떨어진 '추정위치'에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국(120)은 실제로는 중계기 영역에서 중계기(130)로부터 R 만큼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method of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국의 위치 추적 방법은 하나의 기지국 혹은 하나의 섹터에 하나 이상의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이동국이 중계기 영역에 속하고 있는지 또한 어떤 중계기 영역에 속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중계기 영역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에 상당히 어려움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one or more repeaters are installed in one base station or one sector,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station belongs to the repeater region and which repeater region. Difficult to grasp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receiving service in the relay area.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들 중 이동국이 어느 중계기의 커버리지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이동국의 위치 추적에 활용함으로써 중계기가 설치된 영역에 있는 이동국의 위치 추적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동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which repeater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coverage area of the repeater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nd to utilize it in the location tracking of the mobile station to reduce the error of the tracking of the mobile station in the repeater installed area It is to provide a location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계기 지역에 있는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계기가 제1 상태인 동안에 상기 이동국의 시간 지연(제1 시간 지연) 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제2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제2 상태인 동안에 상기 이동국의 시간 지연(제2 시간 지연)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의 제1 시간 지연과 제2 시간 지연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기의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계기의 위치 및 상기 제1 지연 시간 혹은 제2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repeater area, the time delay (first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being measured while the repeater is in a first state. step; Adjusting a delay time of the repeater to be in a second state; Measuring a time delay (second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while in the second state of the repeater; Comparing the first time delay and the second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repeat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repeater area, Provided are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location tracking method of a mobile station and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comprising calculating a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using a location and the first delay time or the second delay tim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기는 지연시간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경로를 가지며, 상기 중계기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제2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peater has two or more paths having different delay times, and the step of adjusting the delay time of the repeater to be in the second state includes switching a path of the repeater.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기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제2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 자체의 지연 시간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step of adjusting the delay time of the repeater to be in the second state includes setting the delay time of the repeater itsel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기지국에 둘 이상의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서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든 중계기를 기준 상태로 두고 이동국의 시간 지연(이하, 기준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모든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중계기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지연시간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국의 시간 지연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지연시간을 조절한 상태에서 측정된 이동국의 시간 지연이 상기 기준 지연 시간에 비하여 소정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상기 이동국은 해당 중계기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속하는 중계기의 위치 및 상기 기준 지연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method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a mobile station in an area where two or more repeaters are installed in one base station, the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with all repeaters as a reference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erence delay time); Adjusting a delay time of any one of all repeaters; Measuring a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while adjusting the delay time of the repeater; Determining that the mobile station belongs to an area of the repeater if the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measured in the state where the delay time of the repeater is adjusted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compared to the reference delay time; And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by using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to which the mobile station belongs and the reference de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계기 지역에 있는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계기가 제1 상태인 동안에 상기 이동국의 시간 지연(제1 시간 지연) 을 측정하는 수단; 상기 중계기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제2 상태가 되도록 하는 수단; 상기 중계기의 제2 상태인 동안에 상기 이동국의 시간 지연(제2 시간 지연)을 측정하는 수단; 상기 이동국의 제1 시간 지연과 제2 시간 지연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기의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계기의 위치 및 상기 제1 지연 시간 혹은 제2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추적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repeater area, the time delay (first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while the repeater is in a first state Means for measuring; Means for adjusting the delay time of the repeater to be in a second state; Means for measuring a time delay (second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while in the second state of the repeater;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an area of the repeater by comparing a first time delay with a second time delay of the mobile station; and if the determination determines that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repeater, A position tracking apparatus for a mobile station is provided that includes a position and means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using the first delay time or the second delay tim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station position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기지국(210)은 하나 이상의 섹터로 나누어진다. 각 섹터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기지국(210)은 3개의 중계기(310, 320, 330)에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한다.Referring to this, the
중계기(310, 320, 330)는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둘 이상의 경로를 가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중계기(310, 320, 330)는 메인 경로(main path) 와 다이버시티 경로(diversity path)를 가진다. 이 때, 메인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의 지연시간은 상호 다르다. 또는 중계기(310, 320, 330)는 임의로 시간 지연을 설정할 수 있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중계기(310, 320, 330)에서의 시간 지연은 SAW 필터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SAW필터의 시간 지연은 수 μs(예를 들어, 약 2 μs )정도일 수 있다. The time delay in the
중계기(310, 320, 330)의 다이버시티 경로는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신호를 중간 주파수대(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전환한 후 SAW 필터를 거쳐 RF (Radio Frequency) 신호로 업-컨버팅(up-converting)해서 기지국(210)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신호가 SAW 필터를 거치면서 시간 지연을 갖게 된다. 또는 중계기(310, 320, 330)의 다이버시티 경로에 지연소자를 추가함으로써, 메인 경로와 원하는 지연시간만큼의 차이가 나도록 할 수도 있다. 중계기(310, 320, 330)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기지국(210)의 레이크(Rake) 수신기에서 분리되어 메인 경로의 신호와 함께 처리됨으로써 다이버시티 효과를 갖게 된다. The diversity path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중계기의 메인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간의 시간 지연차를 이용하여 이동국이 어떤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이동국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nd out which repeater's service area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repeater by using the time delay difference between the main path and the diversity path of the repeater, and performs the location tracking of the mobile st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기지국(210)은 기지국(210)과 이동국(220)의 시간 지연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210)은 각 중계기(310, 320, 330)의 시간 지연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를 가지는 중계기(310, 320, 330)에 대하여, 기지국(210)은 중계기(310, 320, 330)의 메인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를 전환하는 명령을 중계기(310, 320, 330)에 내릴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중계기(310, 320, 330)는 기지국(210)의 명령에 응답하여 경로를 스위칭한다. The
도 3을 참조하여, 위치 추적을 하고자 하는 특정 이동국이 어떤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기지국이 알아내는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the base station to find out in which relay region a specific mobile station to be located is located is as follow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10)에 제1 중계기(310), 제2 중계기(320) 및 제3 중계기(330) 3개가 연결되어 있는데 만일 특정 이동국(220)이 제3 중계기(330)의 커버리지 지역에 있다고 가정하자. As shown in FIG. 3, three
먼저, 기지국(210)은 각 중계기(310, 320, 330)로 명령을 내려, 모든 중계기(310, 320, 330)의 메인 경로를 켜고, 다이버시티 경로는 끄게 한다. 이 상 태에서, 기지국(210)은 특정 이동국(220)에서 오는 신호의 시간 지연(τ1)을 측정한다. 이 때의 시간 지연(τ1)을 기준 시간 지연(τ1)이라 한다. 다음으로는 각 중계기(310, 320, 330)에 대해서 차례로 메인 경로를 끄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켜면서 특정 이동국(220)에서 오는 신호의 시간 지연을 측정한다. 즉, 제1 중계기(310)의 메인 경로를 끄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켠 상태에서 이동국(220)의 지연시간(τ2)을 측정한다. 또한, 제2 중계기(320)의 메인 경로는 끄고 다이버시티 경로는 켠 상태에서 이동국(220)의 지연시간(τ3)을 측정하고, 제2 중계기의 메인 경로는 끄고 다이버시티 경로는 켠 상태에서 이동국(220)의 지연시간(τ4)을 측정한다. First, the
제1 중계기(310)의 메인 경로를 끄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켠 상태에서의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지연시간(τ2)을 보면, 특정 이동국(120)이 제1 중계기(310)의 영역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준 시간 지연(τ1)과 차이가 없게 된다. When the delay time τ2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is turned off when the main path of the
제2 중계기(320)의 메인 경로는 끄고 다이버시티 경로는 켠 상태에서의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지연시간(τ3) 역시 특정 이동국(220)이 제2 중계기(320)의 위치에 없기 때문에 기준 시간 지연(τ1)과 차이가 없게 된다. 그러나 제3 중계기(330)에 대해 메인 경로를 끄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켜는 경우에는 특정 이동국(220)이 제3 중계기(330) 서비스 지역에 있기 때문에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지연시간(τ4)는 기준 시간 지연(τ1)과 차이가 나게 된다. 다이버시티 경로의 시간 지연이 수 μs 이면, 다이버시티 경로의 이러한 시간 지연 때문에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지연시간(τ4)은 기준 시간 지연(τ1)보다 수 μs 정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210)은 특정 이동국(220)이 제3 중계기(330) 지역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delay time τ3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with the main path of the
또한 기지국(210)이 제3 중계기(330)의 위치, 제3 중계기(330)에서 기지국(210)까지의 시간 지연(τR), 제3 중계기(330) 자체의 시간 지역(τN) 등과 기준 시간 지연(τ1)을 고려한다면 특정 이동국(220)이 제3 중계기(330)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도 분석이 가능하다. 각 중계기(310, 320, 330)의 위치, 즉 방향 및 거리는 미리 기지국(210)에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중계기의 자체 지연 시간(τN) 역시 기지국이 미리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210)은 이동국(120)이 어떤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중계기 커버리지 지역에 있는 이동국에 대한 위치 추적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기지국에서 위치 추적하고자 하는 특정 이동국이 어떤 중계기 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Table 1 shows a method of determining which repeater area a specific mobile station to be tracked by the base station belongs to.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계기의 경로를 스위칭하기 전과 스위칭한 후의 이동국의 지연시간이 소정 범위 이상 변하였다면 이동국은 해당 중계기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표 1에서는, 제1 중계기의 경로를 스위칭한 경우에는 이동국의 지연시간에 변화가 없고, 제2 중계기의 경로를 스위칭한 경우에도 이동국의 지연시간에 별 변화가 없다. 그런데, 제3 중계기의 경로를 스위칭한 경우에는 이동국 의 지연시간에 수 μs 정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동국은 제3 중계기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As shown in Table 1, if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before and after switching the repeater path has chang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range, the mobile station determines that it is in the repeater area. In Table 1, there is no change in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when the path of the first repeater is switched, and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even when the path of the second repeater is switched. However, when the path of the third repeater is switched, a difference of several μs occurs in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Thus, the mobile station is determined to be in the third repeater are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를 참조하면,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들의 경로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위치 추적을 하고자 하는 특정 이동국이 어느 중계기에 위치하는지를 알아내게 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station location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find out in which relay the specific mobile station to be located is located by sequentially switching the paths of the repeater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먼저, 기지국은 하나의 중계기의 메인 경로는 켜고 다이버시티 경로는 끄도록 명령한다(S410). 이러한 상태에서, 기지국은 이동국의 지연시간을 측정한다(S420). 이 상태에서의 이동국의 지연시간을 기준 지연 시간(τ1)이라 한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의 경로를 다이버시티 경로로 스위칭하고, 이동국의 지연시간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 중계기의 메인 경로를 오프하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온하여 이동국의 지연시간을 측정한다(S430). 이 때, 다른 중계기는 메인 경로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지연시간을 τ2라 한다. 기지국은 τ2가 τ1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440). 판단 결과, τ2가 τ1 보다 크지 않고 양자가 거의 동일하다면, 기지국은 이동국이 해당 중계기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경로를 스위칭하지 않은 다른 중계기가 있는지 확인하여(S450), 다른 중계기를 대상으로 하여(S455), 상기 과정들(S410~S440)을 반복하게 된다. 즉, 다른 중계기에 대해서 메인 경로를 온하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오프하여 이동국의 지연시간(τ1)을 측정하고(S410, S420), 다음으로 메인 경로를 오프하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온하여 이동국의 지연시간(τ2)을 측정한 다음(S430), 다시 τ2가 τ1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440). 판단 결과, τ2가 τ1 보다 크다면, 기지국은 이동국이 해당 중계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의 위치와 이동국의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대상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동국의 위치 추적을 위해 사용되는 이동국의 지연시간은 메인 경로가 온 상태이고 다이버시티가 오프 상태 일때의 지연시간(τ1)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이버시티의 경로의 지연시간을 기지국이 알고 있으므로, 메인 경로가 오프 상태이고 다이버시티가 온 상태 일때의 지연시간(τ2)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모든 중계기의 경로를 모두 스위칭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연시간(τ1, τ2)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동국은 어느 중계기에도 속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은 이동국의 기준 지연시간(τ1)을 고려하여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S470).First, the base station instructs the main path of one repeater to turn on the diversity path (S410). In this state, the base station measures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S420).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in this state is referred to as reference delay time tau 1. Next, the base station switches the path of the repeater to the diversity path and specifies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Specifically,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is measured by turning off the main path of the repeater and turning on the diversity path (S43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repeater is in a state where the main path is turned on. The delay time at this time is referred to as τ2.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τ2 is greater than τ1 (S44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au 2 is not greater than tau 1 and both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the mobile station is not in the repeater.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nother repeater that does not switch the path (S450), and targets another repeater (S455), and repeats the processes (S410 to S440). That is, the delay time (τ1) of the mobile station is measured by turning on the main path and turning off the diversity path (S410, S420) for another repeater. Then,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is turned off by turning off the main path and turning on the diversity path. After measuring τ2 (S430),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τ2 is greater than τ1 (S440). If τ2 is greater than τ1,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the mobile station is in the repeater. Then, the base station tracks the position of the target mobil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and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used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is preferably the delay time tau 1 when the main path is on and the diversity is off. However, since the base station knows the delay time of the diversity path, the delay time tau 2 when the main path is off and the diversity is on may be used. If the paths of all the repeaters have been switched, and the difference in the delay time? 1 and? 2 does not occur, then the mobile station is unlikely to belong to any repeater.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may track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delay time tau 1 of the mobile station (S470).
도 4의 S440 단계에서는 기지국이 τ2가 τ1 보다 큰지를 판단하지만, 소정의 비교치를 설정하여 τ2가 τ1보다 설정된 비교치이상으로 큰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step S440 of FIG. 4,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τ2 is greater than τ1, but may determine whether τ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τ1 by setting a predetermined comparison value.
중계기가 둘 이상의 경로(즉, 메인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를 가지고 있고, 두 경로간에 시간차가 있는 경우에는 메인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의 시간 차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와는 달리 디지털화 되어 있는 중계기에 대해서는 중계기의 라인 버퍼(line buffer) 메모리와 기준 클럭의 속도를 조절하여 중계기 자체의 시간 지연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중계기 자체의 시간을 조절하여 이동국의 지연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대상 이동국이 해당 중계기 영역 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If the repeater has more than one path (ie, main path and diversity path) and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aths,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is tracked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path and the diversity path. On the other hand, for the digitized repeater, the time delay of the repeater itself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peed of the line buffer memory and the reference clock of the repeat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mobile station is in the repeater area by measuring and comparing the delay time of the mobile station by adjusting the time of the repeater itself.
이와 같은 디지털 중계기의 경우는 우선 전체적으로 기지국에서 특정 이동국(220)에 대한 신호의 시간 지연을 측정한 후 차례로 중계기의 시간 지연을 조절하면서 이동국의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특정 중계기의 시간 지연이 조절된 상태에서 측정된 이동국의 지연시간이 지연시간 조절 전에 측정된 이동국의 지연시간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이동국은 해당 중계기 영역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이동국의 위치가 어느 중계기가 커버하는 지역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중계기로부터 기지국까지 신호의 지연시간, 중계기의 자체 지연시간 그리고 기준 시간 지연을 고려하면 이동국이 중계기로부터 얼마의 거리에 있는지도 알 수 있으므로 특정 이동국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digital repeater, first of all, the base station measures the time delay of a signal for a specific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기 지역에 있는 이동국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으로 해서 이동통신 서비스 중 위치추적과 관련된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재난과 관련하여 재난 방지와 관련된 서비스에 있어서도 정확한 위치 파악을 통해 긴급 상황에 대해 민첩한 대처가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인 W-CDMA 서비스에 있어서는 위치추적 서비스는 기본 서비스로 규정되어 있는데, 제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the repeater area, thereby activating the service related to location tracking amo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also in the service rela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in relation to the disaster. This helps to ensure agility in emergency situations. In particular, in the W-CDMA service, which is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location tracking service is defined as a basic service, and it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26881 | 2003-04-28 | ||
| KR20030026881 | 2003-04-28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93463A KR20040093463A (en) | 2004-11-05 |
| KR100598149B1 true KR100598149B1 (en) | 2006-07-07 |
Family
ID=3737346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295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8149B1 (en) | 2003-04-28 | 2004-04-28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in repeaters coverage area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9814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23145B1 (en) * | 2005-08-08 | 2007-05-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Mobil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in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
| KR101375084B1 (en) * | 2007-10-15 | 2014-03-1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20115448A1 (en) | 2000-11-16 | 2002-08-22 | Messay Amerga | Position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detection and compensation for repeaters |
| US20020155838A1 (en) | 2000-06-19 | 2002-10-24 | Durrant Randolph L. | RF signal repeater, mobile unit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using the RF signal repeater, and method of communication therefor |
| US20030008669A1 (en) | 2001-04-24 | 2003-01-09 | Stein Jeremy M.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terminal based on identification codes for transmission sources |
| KR20030077110A (en) * | 2002-03-25 | 2003-10-0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in CDMA network |
| KR20040069230A (en) * | 2003-01-28 | 2004-08-05 | (주)래디안트 |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
2004
- 2004-04-28 KR KR1020040029591A patent/KR1005981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20155838A1 (en) | 2000-06-19 | 2002-10-24 | Durrant Randolph L. | RF signal repeater, mobile unit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using the RF signal repeater, and method of communication therefor |
| US20020115448A1 (en) | 2000-11-16 | 2002-08-22 | Messay Amerga | Position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detection and compensation for repeaters |
| US20030008669A1 (en) | 2001-04-24 | 2003-01-09 | Stein Jeremy M.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terminal based on identification codes for transmission sources |
| KR20030077110A (en) * | 2002-03-25 | 2003-10-0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in CDMA network |
| KR20040069230A (en) * | 2003-01-28 | 2004-08-05 | (주)래디안트 |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93463A (en) | 2004-11-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396645A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assign a macrocell or microcell communication frequenc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405705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wo antennas to receive communication signals | |
| US6850761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station | |
| JP413022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signal fading characteristics | |
| JP2803720B2 (en) | Handoff control method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CA2034401C (en) | Adaptive diversity equipment arrangement for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s | |
| WO2004036934A1 (en) | Network overlay geo-location system with smart antennas | |
| US20040166901A1 (en) |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 |
| EP0958706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cellular handoff | |
| US20060240833A1 (en) | Mobile station for performing handoff using posi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 |
| US7272418B2 (en) |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KR20000005925A (en) |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 KR100626996B1 (en) | Method for Making Downlink Behavior Measur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598149B1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in repeaters coverage areas | |
| JP2001211474A (en) | Network expansion by utilization of geographic position information | |
| KR100547805B1 (en) | Reverse Link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oftener Handoff | |
| WO2000031900A1 (en) | Base station and method of transmission power control | |
| JP4060855B2 (en) |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reporting multipath signals based on a reporting window | |
| US6873826B2 (en) |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reporting multi-path signals based on minimum separation | |
| US7068708B2 (en) | Method and receiving unit for demodulating a multi-path signal | |
| JP2000092540A (en)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and moving speed detection method | |
| JP4877197B2 (en) | Radio diversity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 |
| Ginard et al. | Enhancing vehicular link performance using directional antennas at the terminal | |
| JP431680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ft handoff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JP2008537397A (en) | Method for selecting a delay value for a RAKE receiv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7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7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