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092B1 - Howling preven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Howling preven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6092B1 KR100606092B1 KR1020040004176A KR20040004176A KR100606092B1 KR 100606092 B1 KR100606092 B1 KR 100606092B1 KR 1020040004176 A KR1020040004176 A KR 1020040004176A KR 20040004176 A KR20040004176 A KR 20040004176A KR 100606092 B1 KR100606092 B1 KR 100606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phone
- portable terminal
- call
- microphone
- spea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venting a howling phenomenon occurring in a speakerphone mode of a mobile terminal.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하울링방지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폰모드에서 통화를 수행 중 이어폰이 삽입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the anti-howling method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the steps of performing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during the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call through the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스피커폰, 이어폰, 스피커, 마이크Speakerphone, earphone, speaker, microphon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 시 스피커와 마이크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하울링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preventing a howling phenomen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venting a howling phenomenon occurring in a speakerphone mode of a mobile terminal.
근래에 들어 휴대폰은 보다 작고 가벼운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통신기기업 체들의 연구에 따라 몸의 일부로 부착할 수 있을 정도로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폰은 그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폰을 귀에 대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스피커폰 통화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mobile phones are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enough to be attached as part of the body, according to research by telecom companies that want to develop smaller and lighter products. As the mobile phone becomes smaller in size as described above, a speaker phone call function is mounted in recent years so that a call can be made without holding the mobile phone to an ear.
상기 스피커폰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은 추가적인 핸드프리키트 없이 적당한 거리(70cm ~ 1m)에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스피커의 충분한 음량뿐만 아니라 마이크의 충분한 이득 또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마이크 경로의 이득을 증가시킬 경우, 상기 스피커로 나오는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들어가기 때문에 하울링 발생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mobile phone equipped with the speakerphone function should be designed to allow a call at a suitable distance (70 cm to 1 m) without an additional hand free kit. To this end, not only the loudness of the speaker but also the sufficient gain of the microphone is required. However, when the gain of the microphone path is increased, howling occurs easily because the sound coming out of the speaker enters the microphone agai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a howling phenomenon occurring in the speakerphone mode of a mobi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하울링방지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폰모드에서 통화를 수행 중 이어폰이 삽입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하울링방지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콜 발생에 따라 통화수행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에 상기 이어폰이 삽입되어있으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 to prevent the howling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mobi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performing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during the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call through the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In addition, the method for preventing howling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f the cal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all occurrence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If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call through the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 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amera.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폰부171을 통해 스피커171로 출력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172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폰부17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잭180에 이어폰이 삽입 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폰부171을 통해 스피커171로 출력하여 재생하며, 또한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이어폰이 삽입된 이어잭18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udio processor 125 outputs and reproduc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송화음을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 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The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23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23 및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 시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160 상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 when a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a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스피커폰 모드 선택 시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180에 이어폰이 삽입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과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the speakerphone mod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 시 스피커와 마이크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하울링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arphone is inserted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peaker and a microphone of the earphone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preventing a howling phenomen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 도 4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를 입력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는 4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콜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링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린다. 상기 콜 발생을 인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로를 형성하는 4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통화로 형성 후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180에 이어폰이 삽입되어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도 2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180에 이어폰200이 삽입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6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이어폰200의 마이크202는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입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 고정시키는데, 예를 들어 차량 안의 경우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의 입과 가장 가까운 선바이저에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4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를 선택하는 제어신호(MIC_SELECT)를 전송하여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를 온(ON) 시키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SPK_SELECT)를 스위칭부(S/W)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을 온(ON)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만을 온 시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폰부171을 통해 스피커171로 출력하여 재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송신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이어폰이 삽입된 이어잭18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를 통해 송화음을 입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을 통해 수화음을 출력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407단계에서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수행 중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 종료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수행을 종료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a key for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peakerphone mode,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콜 발생 시 통화수행과정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콜 발생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수행 중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에도 본원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ll execution process is described as an example when a call occurs,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a process in which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make a call as well as the call occurren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during a call in speakerphone mod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 말기의 마이크 이득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스피커폰의 사용이 용이하며, 하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call through the speak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in the speakerphone mode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speakerphone can be easily used without increasing the microphone gain of the mobile terminal and howl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04176A KR100606092B1 (en) | 2004-01-20 | 2004-01-20 | Howling preven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04176A KR100606092B1 (en) | 2004-01-20 | 2004-01-20 | Howling preven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76262A KR20050076262A (en) | 2005-07-26 |
| KR100606092B1 true KR100606092B1 (en) | 2006-07-28 |
Family
ID=3726420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041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6092B1 (en) | 2004-01-20 | 2004-01-20 | Howling preven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0609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35382B1 (en) * | 2009-09-10 | 2012-05-16 | 주식회사 오코웰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2386309B1 (en) | 2015-06-04 | 2022-04-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nput or output in the electronic device |
-
2004
- 2004-01-20 KR KR1020040004176A patent/KR1006060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76262A (en) | 2005-07-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732322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 a wireless terminal with normal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image mute mode | |
| KR20070012059A (en) | Emotion display method in video call mode of mobile device | |
| KR100547741B1 (en) | Speaker device of mobile terminal | |
| CN1780438B (en) | Method for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606092B1 (en) | Howling preven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
| JP4600643B2 (en) | Videophone device having character display function and voice character conversion display method in videophone device | |
| KR100557096B1 (en) | Display method of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with bidirectional camera | |
| KR100713438B1 (en) | How to perform call between handset and headset | |
| KR100689409B1 (en) | How to Display Data on the External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 |
| KR101002864B1 (en) | How to control the use mode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 |
| KR100605936B1 (en) | 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key sound of the mobile device | |
| KR100736569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0584343B1 (en) | Control Method of Earphone with Speaker in Mobile Terminal | |
| JP3806592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 KR100605875B1 (en) | How to send a number during a call on a mobile device | |
| JP2005252774A (en) | TV mobile phone | |
| KR100678030B1 (en) | How to perform auto answ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754628B1 (en) | Operation method by vibration in portable terminal | |
| KR100663531B1 (en) | How to display the time on the mobile terminal | |
| KR100630095B1 (en) | Oper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low voltage of mobile terminal | |
| KR10071339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ding a call received in the hands-free mode of a portable terminal | |
| KR100547807B1 (en) | How to send a message from your mobile device | |
| KR20090084489A (en) | Video call method and device in mobile terminal | |
| KR20060130357A (en) | How to block call service of mobile terminal | |
| KR20070051178A (en) | How to listen to radio of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7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72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