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091B1 - Chinese medicine extractor - Google Patents
Chinese medicine extra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8091B1 KR100618091B1 KR1020050030018A KR20050030018A KR100618091B1 KR 100618091 B1 KR100618091 B1 KR 100618091B1 KR 1020050030018 A KR1020050030018 A KR 1020050030018A KR 20050030018 A KR20050030018 A KR 20050030018A KR 100618091 B1 KR100618091 B1 KR 1006180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means
- heater
- steaming
- extractor
- base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H05B3/0076—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for cooking, e.g. in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단면을 갖는 케이싱(11)의 내부로 배관 및 기구물들을 감싸지게 보호토록 하는 베이스부(10)와;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bal medicine extractor, the base portion 10 for protecting the piping and the equipment to be wrapped inside the casing 11 having a hollow cross section;
상기 베이스부(10)의 바닥판(12) 상부에 얹혀져 수분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며, 상부가 트여지게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배출부(13)가 구비되는 증숙통(20)과;A steaming vessel 20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2 of the base portion 10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moistur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13 at a bottom thereof;
증숙통(20)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30)와;A cover part 30 positioned above the steaming chamber 20 to seal the inside thereof;
상기 베이스부(10) 상부로 얹혀지는 증숙통(20)의 저부에서 열원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40)인 히터(41)와;A heater (41) which is a heating means (40) for generating a heat source at the bottom of the steaming vessel (20) mounted on the base (10);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가열수단(40) 및 배출부(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10, consisting of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40) and the discharge unit (13);
상기 가열수단(40)인 히터(41)는 증숙통(20)의 내측 바닥면(21) 상부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는 한약재의 가열수단인 히터(41)가 증숙통(20)의 내측 바닥면(21) 상부에서 바닥면(21)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증숙통(20)의 손상없이 열효율을 증대시켜 한약추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한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heater 41, which is the heating means 40, is formed to protrud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inner bottom surface 21 of the steamer 20, the herbal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er 41 which is a heating means of herbal medicine. Since it is formed to protrud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bottom surface 21 on the inner bottom surface 21 of the steaming chamber 20,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without damaging the steaming chamber 20 to increase the herbal medicine extraction time It can shorten, thereby reducing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commercia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bal extractor.
도 2는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erbal extractor.
도 3은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의 가열수단인 히터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도.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er unit which is a heating means of the herb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의 평단면도.Figure 4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herbal extractor.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베이스부 11 - 케이싱10-Base 11-Casing
12 - 바닥판 13 - 배출부12-sole plate 13-outlet
20 - 증숙통 21 - 바닥면20-Steamer 21-Bottom
30 - 덮개부 40 - 가열수단30-cover part 40-heating means
41 - 히터 50 - 콘트롤부41-Heater 50-Control Unit
60 - 적외선 램프 70 - 냉각부60-infrared lamp 70-cooling unit
71 - 유리관 72 - 스탬밸브71-Glass Tube 72-Stamp Valve
73 - 연결호스73-connecting hose
본 발명은 한약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한약재를 끊이는 가열수단인 히터를 증숙통 내측으로 설치하고 증숙통의 저면으로는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열효율 상승 및 증숙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bal medicine ex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heater that is a heating means for cutting off the herbal medicine to the inside of the steamer and to install a UV lamp on the bottom of the steamer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teamer. It is invented to be.
일반적으로 한약재는 용기내에 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끊이는 것에 의해 그 약성분이 추출되는 방식으로 액상의 약물을 얻어지게 한다.In general, the herbal medicine is obtained by the liquid is extracted in such a way that the drug ingredient is extracted by cutting off the water supply in the container.
그리고, 통상적인 한약 추출기의 구성은 내부로 채워지는 수분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증숙통과 상기 증숙통 저면에 위치되어 약재 및 약물을 가열토록 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추출되는 약재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배출부로 크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or is circulated through the steaming tank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water filled inside, the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medicine and drug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steaming container, and the medicines extracted by the heating means And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한편, 일반적으로, 적외선이란 빛이고, 일종의 전자파이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infrared light is a kind of electromagnetic wave.
그리고, 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光電)효과가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이 월등하여, 인체의 독을 제거하는 해독제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infrared rays are actively physiological action of the cells, and has a photoelectric effect to generate harmful energy by generating thermal energy, and excellent in purifying and degrading power, serves as an antidote for removing the poison of the human body.
또한, 모든 물질은 절대온도(-273℃=0℃K) 이상에서 열을 발생시키며 적외선을 방사한다.In addition, all materials emit heat above the absolute temperature (-273 ° C = 0 ° C K) and emit infrared rays.
그러므로, 적외선은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교하여 대기중의 미립자에 반사하거나 산란을 일으키는 일은 매우 적다.Therefore, infrared rays rarely reflect or scatter particles in the atmosphere as compared to ultraviolet rays or visible rays.
결국, 적외선은 공기를 잘 투과하며 대상 물체에 흡수도 잘 되어 물체의 분자에 전기적 공진(共振)과 자기 발열을 일으키게 한다.As a result, infrared rays penetrate the air well and are also absorbed by the object, causing electrical resonance and self-heating of the molecules of the object.
또, 맥반석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은 방사 침투력 분자의 진동에 의한 공명흡수 현상등으로 에너지 발생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frared rays emitted from elvan have the effect of activating energy generating molecules due to resonance absorption phenomena caused by vibration of radiation penetrating molecules.
따라서, 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 및 정화력과 분해력이 뛰어나 독성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infrared rays are absorbed by the human body, the physiological action of the cells is active and thermal energy is generated, and the photoelectric effect of releasing harmful substances is excellent in purifying and degrading power, thereby neutralizing toxicity.
또한, 표면에 착색하는 미생물의 기능 때문이며, 이러한 것들이 서로 연관을 맺으며 기체나 액체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due to the ability of the microorganism to color the surface, these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serves to purify the gas or liquid.
한편, 적외선은 강한 열효과를 가지고 있어 적외선의 주파수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같은 정도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물질에 적외선이 부딪치면 전자기적 공진현상을 일으켜 적외광파의 에너지가 효좌걱으로 물질에 흡수되는 것에 기인한다.On the other hand, infrared rays have a strong thermal effect, and since the frequency of infrared rays is about the same a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molecules constituting the substance, infrared rays hit the material, causing electromagnetic resonance, which makes the energy of infrared light effective. It is due to the absorption of the substance with a left hand spatula.
특히 액체나 기체상태의 물질은 각각의 물질에 특유한 파장의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하며, 이 흡수스텍트럼을 조사하여 물질의 화학적 조성,반응과정, 분자구조를 정밀히 추정하는 수단으로 쓰이며, 이것을 적외선 분광분석이라 한다.In particular, liquid or gaseous substances strongly absorb infrared rays of a wavelength specific to each substance, and are used as a means of accurately estimating the chemical composition, reaction process, and molecular structure of the substance by examining the absorption spectrum. do.
또한, 적외선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하여 미립자에 의한 산란효과가 적어서 공기중을 비교적 잘 투과한다.In addition, since infrared rays have a long wavelength, they have less scattering effect due to fine particles than ultraviolet rays or visible rays, and thus, they transmit relatively well in the air.
그리고, 적외선의 열효과 특성을 이용한 각종 재료, 공산품, 농수산품의 적외선 건조와 가열은 제품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frared drying and heating of various materials, industrial products, and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using thermal effect characteristics of infrared rays can increase the efficacy of the product.
상기와 같이 종래 한약 추출기는 한약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전기히터 및 가스 등을 사용하므로, 단지 물이 끊는 것에 의해 약성분이 약재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약재에 포함된 효능이 완전하게 추출되지 못하는 결과로 치료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or uses an electric heater and a gas as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herbal medicine, so that the medicine components are extracted from the medicine only by cutting off water, which takes a lot of time, and the efficacy contained in the medicin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effect is reduced as a result of not being completely extracted.
그리고, 장시간 동안 증숙해야 하므로, 한약 전문취급소 등에서 구비되어 있는 전기 가열식 추출기의 경우 운용 능률이 크게 저하되고, 많은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it has to be steamed for a long time, in the case of an electric heated extractor provided in a specialized medicine handling agency, the operation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and a lot of electrical energy is consumed.
즉, 일반적으로 종래의 한약추출기 구성에서 증숙통의 바닥면 하부로 히터 및 가열수단이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는 바닥판이 열에 의해 파손되고, 상부로는 열이 전달되지만 하부로는 열이 손실되어 열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herbal extractor configuration, since the heater and the heating means are installed under the bottom of the steamer to generate heat, the bottom plate is damaged by heat, and heat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when the upper part is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 loss is extremely reduced thermal efficiency.
또한, 최근에는 증숙통을 외부에서 내부 식별이 용이하도록 유리재로 형성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증숙통의 바닥판 하부로 가열수단이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사용시 유리재인 증숙통이 손상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steamer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so that the inside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even in this case, since the heating means is formed under the bottom plate of the steamer, the steamer, which is a glass material, is damaged during use, thereby reducing durability. There was a dissolu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를 끊이는 가열수단인 히터를 증숙통 내측으로 설치하고 증숙통의 저면으로는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열효율 상승 및 증숙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한약 추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inese herbal medicine extractor to increase the heat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the steamer by installing a heater which is a heating means for cutting off the herbal medicine inside the steamer and installing an ultraviolet lamp on the bottom of the steamer.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약재의 추출시간을 단축시켜, 전기 에너지의 소모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한약 추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rbal extractor to reduce the extraction time of the herbal medicin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한약 추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rbal extractor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속이 빈 단면을 갖는 케이싱(11)의 내부로 배관 및 기구물들을 감싸지게 보호토록 하는 베이스부(10)와;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베이스부(10)의 바닥판(12) 상부에 얹혀져 수분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며, 상부가 트여지게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배출부(13)가 구비되는 증숙통(20)과;A
증숙통(20)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30)와;A
상기 베이스부(10) 상부로 얹혀지는 증숙통(20)의 저부에서 열원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40)인 히터(41)와;A heater (41) which is a heating means (40) for generating a heat source at the bottom of the steaming vessel (20) mounted on the base (10);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가열수단(40) 및 배출부(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가열수단(40)인 히터(41)는 증숙통(20)의 내측 바닥면(21) 상부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달성된다.The
따라서,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는 한약재의 가열수단인 히터(41)가 증숙통(20)의 내측 바닥면(21) 상부에서 바닥면(21)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증숙통(20)의 손상없이 열효율을 증대시켜 한약추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한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herbal medicin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protrud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reliability and the merchandis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bal extractor.
도 2는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erbal extractor.
도 3은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의 가열수단인 히터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heater unit, which is a heating means of the herbal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를 평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Figure 4 shows the herbal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 sectional view.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한약 추출기는 유리재로 구성되는 증숙통의 내측으로 가열수단이 히터가 형성되고, 설정위치역시 바닥판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증숙통의 손상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herbal medicin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means is formed inside the steaming chamber composed of a glass material, the set position is also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bottom plat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It is designed to be used without damage to the steamer.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서 베이스부(10)는 속이 빈 단면을 갖는 케이싱(11)의 내부로 배관 및 기구물들을 감싸지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바닥판(12) 상부로는 얹혀져 수분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며, 상부가 트여지게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배출부(13)가 구비되는 증숙통(20)이 설치된다.Then, the
또한, 상기 배출부(13)의 구성은 개폐밸브의 구성에 의해 증숙된 약재를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통상적인 밸브전환방식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구성은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증숙통(20)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증숙과정에서 외부에서 증숙처리과정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유리재로 구성된다.The
또한, 증숙통(20)의 상부로는 위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30)가 설치되며, 덮개부(30)의 일측상부로는 증숙과정에서 발생되는 뜨거운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부(7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냉각부(70)는 덮개부(30)와 연결호스(73)로 연계되면서 증숙처리중 발생되는 뜨거운 증기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포집될 수 있도록 유리관(71)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스팀밸브(72)를 설치하여 뜨거운 증기는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증숙통(20)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늘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베이스부(10) 상부로 얹혀지는 증숙통(20)의 저부에서 열원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40)인 히터(41)는 증숙통(20)의 내측 바닥면(21) 상부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증숙통(20)의 내측 바닥판(12) 상부로 설치되는 가열수단(40)인 히터(41)는 증숙통(20)의 내측으로 구성되고, 바닥판(12)의 상부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유리재로 구성되는 증숙통(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이는 결국, 종래의 한약 추출기 구성에서 가열수단(40)이 증숙통(20)의 저면부로 구성되면서 발생되는 열손실 및 바닥판(12)으로 열이 집중되면서 증숙통(20)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This, after all, in the conven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or configuration, the heating means 40 is a heat loss generated when the bottom portion of the steaming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가열수단(40)인 히터(41)가 증숙통(20)의 내 측으로 위치되어 히터(41)에서 발생되는 열원이 상,하부로 골고루 전달될 수 있으며, 바닥판(12)의 상부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정되므로, 열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가열수단(40)인 히터(41)는 증숙통(20)의 바닥판(12) 상부에서 바닥판(12)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테두리에 전체적으로 적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류현상에 의해 열원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히터(41)는 하나이상의 히터(41)를 연계 구성에 의해 대칭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부(50)를 통해 제어되는 가열수단(40)인 히터(41)가 증숙통(20)의 바닥판(12) 상부에서 테두리 내측으로 형성되므로, 히터(41)의 발열시 대류현상이 발생되어 한약재료를 골고루 섞이게 하면서 증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 since the
한편, 상기 증숙통(20)의 저부로는 자외선 램프(60)를 설치하여 약재의 증숙정도와, 적외선 주파수와 증숙대상물을 상호 공진현상에 의해 증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steaming
또한, 증숙통(20)의 저면에서 자외선 램프(60)가 설치되므로서, 외부에서 증숙통(20) 내부를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외관미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종래의 가열수단(40) 구성과는 달리 히터(41)가 증숙통(20)의 내측으로 구성되면서 바닥판(12)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므로, 히터(41)를 통해 발열되는 열원이 상,하부로 골고루 분산될 수 있으며, 증숙통(20)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자외선 램프(60)에 의해 공진현상을 발생시켜 약재의 증숙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heating means 40 configuration, while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약재를 가열하여 약물을 추출시키는 가열수단인 히터를 증숙통의 내측부로 구성하면서 바닥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열원이 상,하부로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면서 열집중으로 인한 증숙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forming the heater as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medicine to extract the drug as the inner part of the steaming chamber formed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bottom plate to heat the heat source evenly transferred to the upper and low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steam bath due to.
또한, 증숙통의 저면부로 구성되는 자외선 램프에 의해 약재의 증숙과정에서 공진현상을 발생시켜 증숙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teaming efficiency by generating a resonance phenomenon in the steaming process of the medicine by the ultraviolet lamp composed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steaming barrel.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commerciality of the produc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30018A KR100618091B1 (en) | 2005-04-11 | 2005-04-11 | Chinese medicine extra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30018A KR100618091B1 (en) | 2005-04-11 | 2005-04-11 | Chinese medicine extrac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618091B1 true KR100618091B1 (en) | 2006-08-30 |
Family
ID=3760133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300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8091B1 (en) | 2005-04-11 | 2005-04-11 | Chinese medicine extra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18091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09465B1 (en) | 1997-04-19 | 1999-07-15 | 최양호 | Extracting machine for process of oriental medicine |
| KR100285561B1 (en) | 1998-06-08 | 2001-04-02 | 이상준 | Ginseng Wet Red Brown Heating Port |
| KR20030081124A (en) * | 2002-04-11 | 2003-10-17 |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 Extractor |
| KR20040065098A (en) * | 2003-01-15 | 2004-07-21 | 김영진 | double boiler with varius skill |
| US6840160B2 (en) | 2001-03-26 | 2005-01-11 | Cobb International Limited | Cooking apparatus |
-
2005
- 2005-04-11 KR KR1020050030018A patent/KR1006180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09465B1 (en) | 1997-04-19 | 1999-07-15 | 최양호 | Extracting machine for process of oriental medicine |
| KR100285561B1 (en) | 1998-06-08 | 2001-04-02 | 이상준 | Ginseng Wet Red Brown Heating Port |
| US6840160B2 (en) | 2001-03-26 | 2005-01-11 | Cobb International Limited | Cooking apparatus |
| KR20030081124A (en) * | 2002-04-11 | 2003-10-17 |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 Extractor |
| KR20040065098A (en) * | 2003-01-15 | 2004-07-21 | 김영진 | double boiler with varius skil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64373B1 (en) | Method for drying domestically produced wood using check of water content | |
| US7867539B2 (en) | Device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unshelled eggs | |
| US10827659B2 (en) | Personal microwave autoclave and process using the same for sterilizing N95 masks | |
| JPH0330288A (en) | Method and equipment for radiating microwave energy to hydrous material or the like | |
| KR101765699B1 (en) | Movable type wood drying and carbonizing apparatus for vehicle loading | |
| CN101721723A (en) | Method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with high-temperature steam and disinfection cabinet for implementing same | |
| KR101514646B1 (en) | Foot bath with sitz bath apparatus | |
| KR101762151B1 (en) | Method for wood drying domestically produced wood using microwave | |
| JP4227637B2 (en) | Superheated steam generation and injection apparatus and heat treatment apparatus using superheated steam as a heat source | |
| US7285302B2 (en) | Device and method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unshelled eggs | |
| KR100618091B1 (en) | Chinese medicine extractor | |
| KR20160082647A (en) | Foods sterilizer | |
| US20150090247A1 (en) | Cooking Device With Pyrolysis Function | |
| JP6980325B1 (en) | Infrared furnace | |
| KR100418054B1 (en) | Extracting device for a Chinese medicine | |
| CN110453443A (en) | A kind of efficient nursing section towel cleaning sterilizing device | |
| KR20080003288U (en) | Ultrasonic Extractor for Edible Extract or Lotion | |
| US797679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of plant constituents | |
| CN204563014U (en) | A kind of medical dry heat sterilization cabinet | |
| KR200222758Y1 (en) | Extracting device for a Chinese medicine | |
| KR100827932B1 (en) | Animal Carcass Processor | |
| KR20090099226A (en) | Red ginseng manufacturing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red ginseng, drying, and extract | |
| JPH06272866A (en) | Composite type heating device | |
| US20120087844A1 (en) | Arrangement to optimise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in a sterilisation chamber, and autoclave obtained by such arrangement | |
| KR100729908B1 (en) | Vacuum Dryer Using Far Infrared Lam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1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8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82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