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253B1 - Inspection device of crane cab - Google Patents
Inspection device of crane cab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9253B1 KR100619253B1 KR1020060044048A KR20060044048A KR100619253B1 KR 100619253 B1 KR100619253 B1 KR 100619253B1 KR 1020060044048 A KR1020060044048 A KR 1020060044048A KR 20060044048 A KR20060044048 A KR 20060044048A KR 100619253 B1 KR100619253 B1 KR 100619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
- crane
- inspection
- present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A) 운전실(1)의 하부에 양측에 형성된 레일부재(110)와, 상기 레일부재(110)를 따라서 구름운동을 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부재(130)와,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점검작업 및 유리창 청소작업을 하기 위한 받침부재(120)와, 상기 받침부재(120)를 전진 및 후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40)로 구성되는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크레인 운전실의 하부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점검 및 유리창 청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점검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점검효율의 증대는 물론 신속한 유리창 청소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점검장치의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난간을 형성함으로써 점검 및 유리창 청소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점검작업을 위한 고소작업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임대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가동중인 설비를 중단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무엇보다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존 사용중인 운전실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member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rane (A) cab (1),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130 for the rolling motion along the rail member 110, and the guide member ( 130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rane is composed of a support member 120 for the maintenance work and the window cleaning work to climb to the top, and the drive member 140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e support member 120 In order to provide an inspection device for a cab,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pection device for a worker to stand on the lower part of a crane cab for inspection and window cleaning, thereby increasing inspection efficiency and performing a rapid window cleaning.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use efficiency and scope of use of the inspection devi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lve the psychological anxiety felt by the worker doing the inspection and cleaning the glass window by forming a safety railing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as well as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in advance. 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aerial work device for the conventional inspection wor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unnecessary waste, as well as to eliminate the need to stop the operating equipment has the advantage of creating economic benefits . Above all,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installe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cab, so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range of use.
크레인, 운전실, 케빈, 유리창, 청소, 점검, 장치 Crane, Cab, Kevin, Windshield, Cleaning
Description
도 1 - 종래 크레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1-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rane.
도 2 - 종래 크레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Figure 2-front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rane.
도 3 - 본 발명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Figure 3-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check device of the crane ca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발명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4-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check apparatus of the crane ca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도 4의 A-A선 단면도.5-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도 6 - 도 4의 B-B선 단면도.6-4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B-B.
도 7 - 본 발명을 크레인 운전실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7-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rane cab.
도 8 - 본 발명을 크레인 운전실에 적용하여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8-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rane cab.
도 9 - 본 발명을 크레인 운전실에 적용하여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Figure 9-Front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rane cab.
도 10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10-Referenc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운전실(Cabin, 케빈) 2: 계단1: Cab (cabin) 2: Stairs
100: 본 발명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이하 점검장치라 한다)100: inspection device of the crane cab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spection device)
110: 레일부재 110: rail member
120: 받침부재120: support member
130: 가이드부재130: guide member
131: 브라켓 131a: 체결구131:
132: 가이드롤러 132a: 체결구132:
140: 구동부재140: driving member
150: 추락방지부재150: fall prevention member
151: 안전난간 152: 브라켓151: handrail 152: bracket
153: 힌지핀 154: 연결사슬153: hinge pin 154: connection chain
A: 크레인(Crane)A: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 및 유리창 청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 device for a crane cab,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allowing the operator to more easily inspect the crane cab and to clean the window, and to prevent safety from falling accidents in advance. It relates to a check device of the crane cab for securing.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은 제철소 및 조선소 등과 같은 대부분의 중공업분 야 공장 내부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운송장비로써, 이러한 상기 크레인(A)의 가동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지면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격조작을 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하부 일측에 부설된 운전실(1)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천장 크레인(A)을 조작하게 된다.In general, crane is a transportation equipment installed in most heavy industry factories such as steel mills and shipyards, and is used to transport heavy goods more efficiently. Remote control using a remote control, or as shown in Figure 1, the driver rides in the
본 발명에서 크레인이라 함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송 및 원료를 하역하기 위한 공지의 천장 크레인(Overhead crane),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브릿지 크레인(Bridge crane), 리크레이머(Reclaimer),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 언로더(Unloader) 등을 통칭한다.Cran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own overhead crane (Gantry crane), gantry crane (Gantry crane), bridge crane (Reclaimer), Collector, Unloader, and so on.
아울러,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작업환경 및 온도변화와 같은 외부조건에 의해서 대기중으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분진(먼지, 이물질)이 상기 크레인(A) 운전실(1)의 유리창의 표면에 묻게 되므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워 원활하고 신속한 중량물의 이송작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정확한 위치에 중량물을 하역할 수 없으므로 작업효율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In addition, in most factories,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in the atmosphere due to external conditions such as working environment and temperature change. At this time, dust (dust, foreign mat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window of the crane (A)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운전실(1)의 전면 유리창에 별도의 와이퍼(Wiper)를 설치하여 유리창의 표면에 묻어있는 분진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eparate wiper is installed on the front window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와이퍼는 동작범위 내에서 유리창의 외부에 묻어있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와이퍼의 동작범위에 벗어난 전면유리창의 모서리 및 와이퍼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유리창에 묻어있는 분진을 제거할 수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However, the wiper as described above is able to remove the dust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within the operating range, which is to remove the dust on the edge of the windshield outside the operating range of the wiper and the side window without the wiper installed. There is no limit.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A)과 운전실(1)의 사이에 연결된 계단(2)에 앉아서 작업자가 운전실(1)의 전면 및 측면 유리창에 묻어있는 분진을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한 손은 계단의 난간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유리창 세척용구를 잡고 유리창의 표면에 묻어있는 분진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결국 작업자가 앉아있는 자세로 장시간 분진 제거작업을 진행할 경우 작업자의 허리와 같은 관절부위에 심한 신체적인 무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sitting on the stairs (2) connected between the crane (A) and the
더구나, 종래의 운전실(1)은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한 작업공간(점검대)이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결국 운전실(1)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소작업장치(서비스카)를 사용하여 작업자를 상기 운전실(1)의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 작업자가 상기 운전실(1)의 유지보수 및 점검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별도의 고소작업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장치의 임대비용이 낭비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Furthermore, since the
특히 상기 운전실(1)은 지면으로부터 대략 14~40m 높이에 설치되어 있음을 감안할 경우 점검작업을 위한 작업자의 심리적인 불안감(고소공포증, 어지럼증)이 가중되었으며, 또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부주의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또한, 상기 운전실(1)의 점검작업을 위해서 지면에서 이동되는 고소작업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설비와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므로 결국 가동중인 설비를 중단시킨 후 유지보수 및 점검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설비의 중단에 따르는 생산효율의 저하는 물론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매우 심각 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In addition, for the inspection work of the cab (1) must use the aerial work device that is moved from the ground, which will cause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equipment, so the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after stopping the equipment in operation As a result of this,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causes economic loss as well as a decrease in production efficiency due to the shutdown of the equip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크레인 운전실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점검장치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점검장치에 올라가 크레인 운전실의 유리창 청소 및 점검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pection devic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bottom of the crane cab to the operator to climb the inspection device to clean and check the window of the crane cab It is to provide a check device of the crane cab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검장치의 전방에 안전난간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ck device of the crane cab for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to fall in advance by forming a safety rail in front of the check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crane cab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100)는 크게 크레인(A) 운전실(1)의 하부에 양측에 형성된 레일부재(110)와, 상기 레일부재(110)를 따라서 구름운동을 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부재(130)와,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 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점검작업 및 유리창 청소작업을 하기 위한 받침부재(120)와, 상기 받침부재(120)를 전진 및 후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40)와, 상기 받침부재(120)의 전방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부재(150)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레일부재(110)는 상기 운전실(1)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물리적 하중을 견딜 수 있음은 물론 전방과 후방으로 상기 받침부재(120)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 및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이때 상기 레일부재(11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미도시 됨)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At this time, it will be natural that both sides of the
상기 받침부재(120)는 작업자가 상부에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받침부재(120)는 상기 운전실(1)의 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평소에는 상기 운전실(1)의 하부 저면에 위치하여 설치위치 및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받침부재(120)가 점검 및 유리창 청소작업을 하기 위해서 상기 운전실(1)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가이드부재(130)는 상기 레일부재(110)를 따라서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되는 받침부재(120)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20)의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131)과, 상기 브라켓(1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재(110)와 맞닿아 구름운동을 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32)로 구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132)가 상기 레일부재(110)를 따라서 전진 및 후진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132)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받침부재(120)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132)의 내부에는 원활한 회전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지의 베어링(132b)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상기 구동부재(140)는 상기 받침부재(120)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설치공간 및 작동효율을 감안하여 실린더(유압실린더,공압실린더)를 사용하였다. The
즉, 상기 실린더의 몸체(튜브)는 상기 운전실(1)의 하부에 연결하고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받침부재(120)의 상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동작으로 상기 받침부재(12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body (tube) of the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재(140)는 래크와 피니언, LM SYSTEM(Linear Motion System) 등과 같은 공지의 기계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공지의 기계장치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120)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구성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에 불과한 것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In particular, the
상기 추락방지부재(150)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12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는 브라켓(152)과, 상기 브라켓(152)의 사이에 형성하되 힌지핀(153)을 매개로 90˚범위 내에서 절첩되는 안전난간(151)으로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안전난간(151)은 대략 0.9~1.2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작업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추락사고의 발생빈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상기 안전난간(151)이 상기 받침부재(120)의 방향으로 절첩되므로 상기 받침부재(120)가 상기 운전실(1)의 하부로 후진하더라도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점검작업을 위해서 상기 받침부재(120)의 전진시킬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난간(151)을 잡고 수직방향으로 세우게 되므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9, since the
이때 상기 브라켓(152)은 상기 안전난간(151)이 전방으로 절첩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평면상으로 ""형상을 갖는데, 이는 일측이 개구된 상태이므로 상기 안전난간(151)이 일측(받침부재 방향)으로는 절첩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브라켓(152)의 간섭으로 절첩되지 못하므로, 결국 작업자의 심리적인 불안감 및 작업자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안전난간(151)과 운전실(1)의 사이를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상기 안전난간(151)이 전방으로 기울이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연결사슬(154)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and separating between the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난간(150)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실린더(미도시 됨)를 형성하여 상기 안전난간(150)을 절첩시킬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크레인 운전실의 점검장치(1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Operation of the
먼저, 운전실(1)의 점검 및 유리창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부재(140)을 작동시켜 상기 받침부재(1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First, the
이때 상기 받침부재(120)는 상기 운전실(1)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부재(110)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일정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20)가 상기 운전실(1)의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받침부재(120)의 상부에 올라갈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이때 상기 추락방지부재(150)를 수직방향으로 절첩함으로써 점검 및 유리창 청소작업중인 작업자의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y folding the
반대로, 운전실(1)의 점검 및 유리창 청소작업이 끝나면 상기 추락방지부재(150)를 수평방향으로 절첩한 후 상기 구동부재(140)를 작동시켜 받침부재(1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inspection of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to b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이처럼 본 발명은 크레인 운전실의 하부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점검 및 유리창 청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점검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점검효율의 증대는 물론 신속한 유리창 청소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점검장치의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pection apparatus to allow the worker to stand on the lower part of the crane cab for inspection and window cleaning, thereby increasing inspection efficiency and rapidly cleaning the window.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난간을 형성함으로써 점검 및 유리창 청소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lve the psychological anxiety felt by the worker doing the inspection and cleaning the glass window by forming a safety railing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as well as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in advance.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점검작업을 위한 고소작업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임대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가동중인 설비를 중단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aerial work device for the conventional inspection wor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unnecessary waste, as well as to eliminate the need to stop the operating equipment has the advantage of creating economic benefits .
무엇보다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존 사용중인 운전실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bove all,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installe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cab, so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range of us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44048A KR100619253B1 (en) | 2006-05-17 | 2006-05-17 | Inspection device of crane cab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44048A KR100619253B1 (en) | 2006-05-17 | 2006-05-17 | Inspection device of crane cab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5-0023808U Division KR200401375Y1 (en) | 2005-08-18 | 2005-08-18 | Inspection device of overhead crane cabi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619253B1 true KR100619253B1 (en) | 2006-09-07 |
Family
ID=3762442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440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9253B1 (en) | 2006-05-17 | 2006-05-17 | Inspection device of crane cab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19253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33706B1 (en) | 2016-05-04 | 2018-03-02 |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 Check the device structure utilizing a cran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558588U (en) * | 1978-10-14 | 1980-04-21 | ||
| JPH11165982A (en) * | 1997-12-02 | 1999-06-22 | Tadano Ltd | Mobile crane |
| KR20020015525A (en) * | 2000-08-22 | 2002-02-28 | 소진관 | A side-step device for a disable person at an automotive |
| US20030217984A1 (en) * | 2002-04-25 | 2003-11-27 | Potain | Foldable cab/pivot unit for a tower crane |
-
2006
- 2006-05-17 KR KR1020060044048A patent/KR10061925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558588U (en) * | 1978-10-14 | 1980-04-21 | ||
| JPH11165982A (en) * | 1997-12-02 | 1999-06-22 | Tadano Ltd | Mobile crane |
| KR20020015525A (en) * | 2000-08-22 | 2002-02-28 | 소진관 | A side-step device for a disable person at an automotive |
| US20030217984A1 (en) * | 2002-04-25 | 2003-11-27 | Potain | Foldable cab/pivot unit for a tower cran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33706B1 (en) | 2016-05-04 | 2018-03-02 |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 Check the device structure utilizing a cran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73941B1 (en) | mobile roof working platform apparatus capable of driving individually | |
| CN103991460B (en) | Track clamping device and track walking mechanism | |
| KR20140003277U (en) | A lift for a high place work | |
| KR20120121960A (en) | A rotating device for welding of railway vehicle car body | |
| KR101629707B1 (en) | Separate Safety Unit of Aerial Work Platforms | |
| KR100619253B1 (en) | Inspection device of crane cab | |
| CN206219067U (en) | A kind of driver's cabin mobile device | |
| KR200401375Y1 (en) | Inspection device of overhead crane cabin | |
| KR200478057Y1 (en) | Moving plate apparatus of sliding structure | |
| KR102262182B1 (en) | An inspection workbench for railway vehicle | |
| JP2007320491A (en) | Maintenance vehicle lifting device and maintenance vehicle lifting method | |
| CN107364460B (en) | Cab apron device with quick locking function | |
| JP7306628B2 (en) | Carriage with rail feeder | |
| CN201620315U (en) | Rail protector for railroad construction machinery and rail protector for rail replacement vehicles | |
| KR101111281B1 (en) | a riding device of a inspecting apparatus for a bridge | |
| CN117565000A (en) | Automatic turning mechanism of bogie frame | |
| CN213892506U (en) | Movable comprehensive operation platform | |
| KR200445936Y1 (en) | Mobile bogie for inspection of fire detector | |
| JP2004244188A (en) | Elevator car | |
| KR101299938B1 (en) | Ca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drive spindle for a roller of a roll stand | |
| KR200418475Y1 (en) | Work platform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rack platform | |
| CN105731208A (en) | Building hoist and anti-piercing device thereof | |
| JP6317665B2 (en) | Dock shelter | |
| CN220076375U (en) | Mine car stopper | |
| KR200454572Y1 (en) | Lower support frame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108 | Du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22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8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82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