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590B1 - Food waste handler - Google Patents
Food waste hand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6590B1 KR100626590B1 KR1020050007797A KR20050007797A KR100626590B1 KR 100626590 B1 KR100626590 B1 KR 100626590B1 KR 1020050007797 A KR1020050007797 A KR 1020050007797A KR 20050007797 A KR20050007797 A KR 20050007797A KR 100626590 B1 KR100626590 B1 KR 100626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reaction chamber
- pipe
- hopper
- conden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pl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26B23/02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incinerating volatiles in the dryer exhaust gases, the produced hot gases being wholly, partly or not recycled into the drying enclosure
- F26B23/024—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incinerating volatiles in the dryer exhaust gases, the produced hot gases being wholly, partly or not recycled into the drying enclosure by means of catalytic oxid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빠르게 건조 분해시켜 감량, 감용의 목표를 달성하는 외에 처리효과를 최대화하고, 부패와 악취발생 등의 위생적 문제와 에너지 소비의 최소화, 하수오염과 대기오염의 최소화, 소음과 진동의 최소화, 고장발생의 최소화, 적절한 처리용량과 처리시간, 안전성 확보 및 사용의 편리성, 처리물의 재자원화, 낮은 제작비와 설치 공간의 최소화 등의 제반사항을 모두 충족 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ickly dry and decompose food waste to achieve the goal of reduction and reduction, and to maximize the treatment effect,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sanitary problems such as corruption and odor generation, minimizing sewage and air pollution, noise Food waste processor that can satisfy all requirements such as minimizing vibration and vibration, minimizing failure, proper processing capacity and processing time, securing safety and convenience of use, recycling resources, minimizing manufacturing cost and installation sp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음식물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handl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od waste process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주요부인 반응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action tank as a main par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주요부인 교반임펠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rring impelle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전기 제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trol unit of the 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반응조 110 : 호퍼100: reactor 110: hopper
111 : 반응챔버 112 : 투입구111: reaction chamber 112: inlet
113 : 배출구 120 : 히팅수단113: outlet 120: heating means
121 : 가열프레임 121a : 히팅챔버121:
122 : 가열히터 123 : 열매체유122: heating heater 123: heat medium oil
130 : 교반임펠라 131 : 샤프트축130: stirring impeller 131: shaft shaft
132 : 교반날개 132a : 교반편132:
132b : 경사편 133 : 회동축132b: inclined piece 133: rotating shaft
140 : 파쇄기능부 150 : 구동모터140: crushing function 150: drive motor
151 : 구동축 152 : 스프라켓151: drive shaft 152: sprocket
153 : 체인 154 : 체인조절기어153: chain 154: chain adjustment gear
160 : 온도감지센서 170 : 열매체보조탱크160: temperature sensor 170: heat medium auxiliary tank
200 : 응축기 210 : 지지프레임200: condenser 210: support frame
211 : 중공부 212 : 드레인콕211: hollow portion 212: drain cock
220 : 냉각파이프 221 : 냉각날개220: cooling pipe 221: cooling wing
230 : 냉각팬 240 : 연결관230: cooling fan 240: connector
300 : 탈취기 310 : 열공급관300: deodorizer 310: heat supply pipe
311 : 안내공 320 : 촉매관311: guide 320: catalyst tube
330 : 전기히터 331 : 방열날개330: electric heater 331: heat dissipation wing
340 : 백금촉매 350 : 세라믹담체340: platinum catalyst 350: ceramic carrier
360 : 연결관 370 : 연결관360: connector 370: connector
380 : 냉각배출관 400 : 송풍기380: cooling discharge pipe 400: blower
500 : 자동드레인관 510 : 드레인통500: automatic drain pipe 510: drain container
520 : 섬유상활성탄 530 : 배수관520: fibrous activated carbon 530: drain pipe
600 : 제어부 601 : 운전시간 조작판600: control unit 601: operation time operation panel
602 : 고장램프 603 : 전원스위치602: failure lamp 603: power switch
604 : 운전스위치 605 : 배출스위치604: operation switch 605: discharge switch
606 : 정지스위치606: stop switch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식물쓰레기를 열매체유를 이용한 간접가열로 고속건조 분해시켜 감량, 감용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건조 분해시에 발생되는 증기를 응축기에 통과시켜 외부로는 순수물만 배출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다시 반응조 내부로 들어가는 공기 순환 리사이클 방식을 채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없어 열손실이 거의 없으며 악취가 전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에너지를 단계식 전기 히터시스템을 이용해서 사용에너지를 최소화하였으며, 처리물은 부패되지 않아 위생적이고 유기질 비료로 재자원화해서 활용하며, 낮은 에너지와 효율적인 운전구조로 처리시간을 단축시켜 운전비를 최소화하고, 안전장치 부착으로 안전성 확보와 사용의 편리성, 소음과 진동의 최소화와 기계가 작아 설치 공간의 최소화 등의 제반사항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음식물쓰레기를 처리방식을 대별하면 발효식, 발효소멸식, 스크류 압착 탈수식, 피스톤 압착 탈수식, 탈수드럼 회전 원심 탈수식, 가열 건조식, 소각식 등의 여러 방식과 이러한 방식들을 복합한 방식들이 있다.
발효식과 발효소멸식은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으로 비위생적이며 처리용량에 비해 기계가 커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가격이 비싸며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과 미생물 관리가 어렵고 발효시 심한 악취의 발생으로 주변 환경오염을 일으켜 사용하기가 더욱 불편하다.
또한, 스크류 압착식과 피스톤 압착식 등의 압착방식은 압착탈수에 의한 하수의 오염이 심각하고 탈수필터에 끼인 찌꺼기의 제거와 세척이나 위생적 처리가 쉽지 않아서 음식물쓰레기가 부패되며, 이로 인해 냄새의 추가 발생이 일어나므로 이의 해결이 간단하지 않고 처리물에 함수율이 높아 감량률이 저조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탈수드럼 회전 원심탈수식은 처리시간이 신속하고 에너지의 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탈수공에 끼인 찌꺼기의 제거와 세척의 문제가 쉽지 않아 사용하기가 편하기는 하나, 압착식과 마찬가지로 수질오염을 일으키며 처리물은 함수율이 높아 감량율이 저조하여 2차 처리가 필요해 관리를 소홀히 하면 부패와 냄새의 발생으로 다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열건조식은 전기나 연료를 사용하여 열풍 건조시켜야 하므로 과대한 에너지가 소비되고 심한 악취 발생으로 인해 이의 처리가 더 큰 문제가 대두되고 처리시간이 장시간으로 기기의 안전성 및 기계수명이 짧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각식은 처리물을 직화시키는 것으로서 기계의 대형화와 낮은 발열량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로 인해 다이옥신등의 유해가스를 발생하고 과다한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며 기기의 안전성과 주변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chieve high-temperature dry decomposition of plant waste by indirect heating using heat medium oil, thereby achieving a goal of weight loss and reduction, and passing steam generated during dry decomposition to a condenser. It adopts the air circulation recycling method that only pure water is discharged and does not discharge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reactor, and there is no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ere is almost no heat loss and no odor is generated. The use of electric heater system is minimized and the processed materials are not decayed, so they are recycled and used as sanitary and organic fertilizers, and the operation time is minimized by reducing the processing time with low energy and efficient operation structure, and by attaching safety devices. Ensure safety and ease of use, minimize noise and vibration And the machine will be reduced on the garbage disposal to meet any and all requirements such as minimal installation space.
In general, food waste is classified into treatment methods such as fermentation, fermentation, screw compression and dehydration, piston compression and dehydration, dehydration drum, rotary centrifugal dehydration, heat drying, and incineration. There are complex ways.
Fermentation and fermentation is a method using microorganisms, which is unsanitary and takes up a lot of installation space due to its large size compared to the processing capacity. It is expensive and takes a long time to process,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microorganisms. It is more in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in the crimping method, such as screw crimping and piston crimping, the contamination of sewage by crimping and dehydration is severe, and food waste is spoiled because it is not easy to remove and wash or sanitize the debris caught in the dewatering filter, which causes additional odor. Because of this, it is not easy to solve the problem and the water content is high in the treatm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low loss rate.
In addition, dehydration drum rotational centrifugal dehydration has the advantages of fast processing time and low energy consumption, but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is not easy to remove and clean the debris stuck in the dehydration hole. Silver water content is high, the weight loss rate is low, the secondary treatment is required, if neglected manage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pollution again due to corruption and odor.
In addition, the heat-drying method requires hot air drying using electricity or fuel, so excessive energy is consumed and severe odors cause more problems in its treatment, and the processing time is long and the safety and machine life are short.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incineration is a direct process of the processed material, and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machine and incomplete combustion due to low calorific value, it is necessary to generate harmful gases such as dioxins, consume excessive energy, an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afety of the devic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거나 압착하여 강제탈수를 하지 않고, 먼저 교반기에 의해 고루 분산되면서 건조하는 동안 파쇄기능부에 의해 작게 파쇄되면서 분해가 이루어지며 증기를 응축기에 통과시켜 외부로는 순수물만 배출되고, 공기를 다시 반응조 내부로 들어가는 공기순환 유입방식을 채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없어 열손실이 거의 없으며 악취가 전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강제 탈수에 의한 하수의 오염과, 가열 소각등에 의한 대기오염이 전혀없고, 처리시간과 감량효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며, 열에너지는 단계식 전기히터 방식을 이용한 방법과 효율적인 운전 등으로 에너지 소비가 아주 적고, 고장요소가 적어 안전성이 확실하며,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운전비가 작아 부담으로 작용했던 유지비가 거의 없으며 가격이 저렴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ush or squeeze food waste without forced dehydration, and is first dispersed by a stirrer while being dried by a crushing function during drying. It is smallly crushed and decomposed, and only the pure water is discharged by passing steam through the condenser, and by adopting the air circulation inflow method, which introduces air back into the reactor, there is almost no heat loss and no heat loss. Not only does it occur at all, there is no pollution of sewage caused by artificial forced dehydration, no air pollution by heating incineration, and it effectively achieves treatment time and reduction effect. Energy consumption is very low, and there are few failure factors, , The maintenance cost was minimal installation space, reduced operating a burden almost no rain to provide an inexpensive garbage disposa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내부에 밀폐된 반응챔버를 갖는 호퍼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음식물쓰레기를 반응챔버로 유입시키는 투입구와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반응챔버에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 상기 반응챔버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반응챔버내에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분산시키거나 한곳으로 모으는 교반임펠라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반응챔버의 내측면에 상기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파쇄되도록 하는 파쇄기능부가 형성된 반응조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냉각파이프가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냉각파이프와 인접된 부위에 찬공기를 송풍하는 냉각팬이 설치되며, 상기 양측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각각 드레인콕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반응조의 호퍼와 연결관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내에서 음식물쓰레기가 가열되면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지지프레임 및 냉각파이프를 지나면서 찬공기와 접촉되어 응축되면서 물과 공기로 분리시키는 응축기와; 내부에 안내공를 갖는 열공급관과 촉매관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공급관의 내부에 전기히터가 고정 배치되며, 상기 촉매관의 내부에 열 노화 방지용 세라믹담체와 다수의 백금촉매층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 배치되고, 상기 열공급관을 상기 응축기의 타측 지지프레임과 연결관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촉매관을 반응조의 호퍼와 연결관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촉매관과 반응조의 호퍼가 연통되도록 연결한 상기 연결관상에 냉각배출관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가 열공급관과 촉매관을 지나면서 악취를 탈취시킴과 동시에, 상기 열공급관 및 촉매관을 통과한 뜨거운 공기가 연결관을 통해 반응조로 재 유입되어 반응챔버내 온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반응챔버내에 공기압력부하가 발생되면 미세하게 냉각배출관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탈취기와; 상기 응축기와 탈취기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를 지난 공기를 탈취기로 압송하는 송풍기와; 상기 응축기의 지지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드레인콕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자동 드레인관의 내부에 다수의 섬유상 활성탄층이 적층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통의 하측에 배수관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섬유상 활성탄층을 지나면서 최종 여과 처리되어 배출되는 자동 드레인관을 구비하고, 상기 반응조의 호퍼 내에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가열히터가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퍼의 측면에는 열매체 보조탱크가 설치되어 상기 히팅수단내에 충진된 열매체유가 가열히타에 의해 열팽창이 일어나면 열매체 보조탱크로 상승되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팽창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내부압력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od wast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for introducing food waste into the reaction chambe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treated food waste from the reaction chamber,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hopper having a reaction chamber sealed therein.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y a lid, the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chamber at the bottom of the hopper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to disperse or disperse food waste in the reaction chamber of the hopper to one place A reaction tank in which collecting and stirring impellers are rotated by a driving motor, and a crushing fun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ction chamber so that the food waste agitated by the stirring blades is crushed; Cooling pipes are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having hollow parts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arts, and cooling fans are provided to blow cold air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cooling pipes, respectively. The cock is formed, and the one side support frame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hopper of the reactor by a connecting tube, while steam generated while food waste is heated in the reactor passes through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cooling pipe through the connecting tube. A condenser that is contacted with cold air and condensed to separate water and air; A heat supply tube having a guide hole therein and a catalyst tube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 electric heater is fixedly disposed in the heat supply tube, and a ceramic carrier for preventing heat aging and a plurality of platinum catalyst layers are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atalyst tube. The heat supply pipe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support frame of the condenser by a connecting pipe, the catalyst pipe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hopper of the reaction tank, and the hopper of the reaction vessel with the catalyst pipe is connected. The cooling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deodorizes the odor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supply pipe and the catalyst pipe, an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supply pipe and the catalyst pi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If the air pressure load is generated in the reaction chamber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 the reaction chamber through the flow back into the reaction tank through Deodorizer to finely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cooling discharge pipe; A blower installed on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condenser and the deodorizer to pump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to the deodorizer; A plurality of fibrous activated carbon layers are disposed in an interior of an automatic drain pip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 drain cock formed under the support frame of the condenser, and a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ondenser is formed by communicating a drain pipe under the drain container. It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drain pipe which is discharged after the final filtration process through the fibrous activated carbon layer, and a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hopper of the reaction tank so that the heating heat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heat medium auxiliary tank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opper so that the thermal fluid filled in the heating means is thermally expanded by the heating heater, and ascends to the heat medium auxiliary tank to open and close the expansion valve when the pressure exceeds the predetermined pressure. It is characterized by lowering.
이하,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주요부인 반응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주요부인 교반임펠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전기 제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내부에 밀폐된 반응챔버(111)를 갖는 호퍼(110)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음식물쓰레기를 반응챔버(111)로 유입시키는 투입구(112)와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반응챔버(111)에서 배출시키는 배출구(113)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호퍼(110)의 하부에는 상기 반응챔버(111)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팅수단(120)이 구비되며, 상기 호퍼(110)의 반응챔버(111) 내에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분산시키거나 한곳으로 모으는 교반임펠라(130)가 구동모터(15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교반임펠라(130)와 구동모터(150)를 연결하는 체인의 느슨함과 팽창을 조절하는 체인조절기어(154)가 부착되며,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측면에는 상기 교반임펠라(130)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파쇄가 되도록 하는 파쇄기능부(140)가 형성된 반응조(100)와; 내부에 중공부(211)를 갖는 복수의 지지프레임(210) 사이에 냉각파이프(220)가 중공부(211)와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냉각파이프(220)와 인접된 부위에 찬공기를 송풍하여 냉각파이프(220)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30)이 설치되며, 상기 일측 지지프레임(210)은 상기 반응조(100)의 호퍼(110)와 연결관(240)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100)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가열되면서 증발된 증기가 상기 연결관(240)을 통해 지지프레임 (210) 및 냉각파이프(220)를 지나면서 찬공기와 접촉되어 응축되면서 물과 공기로 분리시키는 응축기(200)와; 내부에 안내공(311)을 갖는 열공급관(310)과 촉매관(32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공급관(310)의 내부에는 전기히터(330)가 고정 배치되며, 상기 촉매관(320)의 내부에 열노화 방지용 세라믹담체 (350)와 다수의 백금촉매(340)가 일정 간격으로 고정 배치되고, 상기 열공급관(310)을 상기 응축기(200)의 타측 지지프레임(210)과 연결관(360)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촉매관(320)을 반응조(100)의 호퍼(110)와 연결관(370)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촉매관(320)과 반응조(100)의 호퍼(110)가 연통되도록 연결한 상기 연결관(370)상에는 냉각배출관(380)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기(400)에 의해 열공급관(310)인 전기히터(330)와 촉매관(320)인 백금 촉매층(340)을 지나면서 탈취가 되는 탈취기(300)와; 상기 응축기(200)와 탈취기(300)를 연결하는 연결관(360) 상에 설치되어 응축기(200)를 지난 공기를 탈취기(300)로 압송하는 송풍기(400)와; 상기 응축기(200)의 지지프레임 (210) 하부에 형성된 드레인콕(212)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드레인통(510)의 내부에 다수의 섬유상 활성탄층(520)이 적층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통(510)의 하측에 배수관(530)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20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섬유상활성탄층(520)을 지나면서 최종 여과 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드레인관(500)으로 구성된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ood wast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action tank as a main part of the plant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irring impeller which is a main part of a 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trol unit of the 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the food wast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let for introducing food waste into the
상기 반응조(100)의 교반임펠라(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110)의 반응챔버(111) 내에 수평으로 샤프트축(131)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축(131) 상에 다수의 교반날개(132)가 회동암(133)에 의해 샤프트축(131)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을 두면서 방사형으로 고정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축(131)과 구동모터(150)의 구동축(151)에는 각각 스프라켓(15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스프라켓(152)은 체인(153)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50)의 구동에 따라 교반임펠라(130)가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150)의 구동은 반응조(100) 내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는 시간에 따라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된다.As shown in FIG. 3, the stirring
상기 교반날개(13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밀어 교반하는 교반편(132a)과 그 교반편(132a) 배면부에 경사편(132b)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축(131)의 중간부위를 중심으로 경사편(132b)이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축(131)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교반날개(132)의 교반편(132a)에 의해 상기 샤프트축(131)의 양단부 방향으로 고루 분산되어 교반되고, 샤프트축(13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교반날개(132)의 경사편(132b)에 밀리면서 상기 반응챔버(111)의 중앙으로 모이도록 구성되며, 이 때에 처리된 고형물을 반응쳄버(111)에서 배출시키는 배출구(113)는 상기 교반날개(132)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모이는 위치인 샤프트축(131)의 중간부분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교반임펠라(130)의 교반날개(132)와 호퍼(110)의 반응챔버(111)내벽에 고정 결합되는 파쇄기능부(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인접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회동되는 교반날개(132)와 파쇄기능부(140)사이에서 절단 파쇄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gitating
상기 이중 통인 히팅수단(120)은 내부에 히팅챔버(121a)를 갖는 가열프레임 (121)이 상기 호퍼(110)의 하부 및 측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가열프레임(121)에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가열히터(122)가 히팅챔버(121a)내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히팅챔버(121a) 내에는 열매체유(123)가 충진되어 상기 가열히터(122)에 의해 열매체유(123)가 가열되면서 상기 열매체유 (123)에 의해 호퍼(110)가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구성된다.The double tube heating means 1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상기 히팅수단(120)의 가열히터(122)는 단계식 전기공급 방식으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용량을 초기에는 설치전력으로 최대로 공급시켜 조기에 열매체유(123)를 가열시켜 상기 반응챔버(111) 내의 온도가 신속하게 상승되도록 하고, 이 후 상기 가열히터(122)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용량을 (이미 열매체유(123)는 온도 상승이 이루어져 반응챔버(111)내로 전달되는 시간이 필요함) 초기의 절반(1/2)으로 공급시켜 상기 반응챔버(111) 내의 온도가 약 80℃로 전달 될 때까지 가열시키며, 이 후 상기 반응챔버(111) 내의 온도가 약 80℃가 되면 상기 열매체유(123)의 가열히터(122)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용량을 초기 설치전력의 약 1/4로 공급시켜 상기 반응챔버(111)내 운전 온도인 약 80℃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업 종료시까지 가열히터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최소의 소비전력만으로 운전을 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는 단계식 전기공급 방식으로 구성된다.The
실험결과 단계식 전기공급 방식의 소비전력용량은 1차로 설치전력인 4KW 에서 30분 정도 공급되며 2차 2KW로 낮추어 20분 정도 공급되며 최종 1KW의 소비전력 용량으로만 작업 종료 시까지 운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tep-by-step electricity supply system is supplied for 30 minutes at 4KW, which is the installation power first, lowered to 2KW for 20 minutes, and it is configured to operate only until the end of work with the final power consumption of 1KW. have.
상기 반응조(100)의 호퍼(110) 내에는 온도감지센서(160)가 설치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160)에 의해 검출된 온도신호에 따라 가열 히터(122)가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퍼(110)의 측면에는 열매체 보조탱크(170)가 설치되어 상기 히팅수단(120)내에 충진된 열매체유(123)가 가열히타(122)에 의해 열팽창이 일어나면 열매체 보조탱크(170)로 상승되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팽창밸브(171)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내부압력을 외부배출시켜서 내부압력을 낮추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히팅수단(120)은 열매체 보조탱크(170)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The
상기 응축기(200)의 냉각파이프(220)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냉각날개(221)가 형성되어 외부와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상기 냉각파이프(220)를 지나는 증기의 응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탈취기(300)의 백금촉매(340)는 벌집 형상의 세라믹 표면에 백금이 코팅되어 있다.The
상기 구동모터(15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것이 이용되고, 상기 구동 모터(150)의 구동력을 교반임펠라(130)로 전달하는 체인(153)은 체인조절기어(154)에 의해 그 장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탈취기(300)의 전기히터(330)에는 다수의 방열날개(331)를 설치해서 외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상기 송풍기(400)에 들어오는 내부 공기가 전기히터(330)에 의해 가열되어 열공급관(310) 내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킨 후, 촉매관(320)으로 배출되도록 설계구성된다.The
상기 전기 제어부(600)는 운전시간 조작판(601)과 과열 및 과부하시 고장을 알려주거나 기계가 정지됨을 알려주는 고장램프(602)가 있으며, 전원스위치(603)는 1차 인입전기를 받아주는 스위치이고, 운전스위치(604)를 누르면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모든 기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배출스위치(605)를 누르면 최종 부산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배출이 완료되면 정지스위치(606)를 작동시켜 기계기능을 초기화시키도록 구성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반응조(100)의 투입구(112)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호퍼(110)의 반응챔버(111)로 투입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는 호퍼(110)의 하부에 위치한 히팅수단(120)에 의해 반응챔버(111) 내 온도가 약 80℃ 정도로 상승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증기로 증발됨과 동시에, 교반임펠라(1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교반날개(132)의 교반편(132a)에 의해 골고루 분산되어 교반되며, 이때 음식물쓰레기의 크기가 일정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회동되는 교반날개(132)와 파쇄기능부(140) 사이에 부딪치면서 일정크기 이하로 작게 파쇄되면서 조기 건조분해를 돕는다.When the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반응조(100)의 반응챔버(111) 내의 히팅수단(120)의 가열히터(122)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에서 증발된 증기는 연결관(240)을 통해 응축기(200)로 유입되고, 상기 응축기(200)로 유입된 증기는 응축기(200)의 송풍팬(230)에 의해 냉각파이프(220)내를 지나면서 그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응축되어 물과 공기로 분리되며, 상기 물은 드레인콕(212)을 통해 자동 드레인관(500)으로 유입되고, 상기 찬공기는 연결관(360)을 통해 송풍기(400)에 의해 탈취기(300)로 압송된다.In addition, the vapor evaporated from the food waste by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드레인콕(212)을 통해 자동드레인관(500)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섬유상 활성탄층(520)을 지나면서 최종 여과 처리된 후 배수관(5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연결관(360)을 통하여 송풍기(400)에 의해 탈취기(300)로 압송된 공기는 탈취기(300)의 열공급관(310)을 지나면서 전기히터(330)에 의해 약 300~350℃의 온도로 재가열되어 탈취기(300)의 촉매관(320)을 지나면서 열노화 방지용 세라믹담체(350)와 다수의 백금촉매층(340)을 통과해 탈취가 이루어진 다음, 뜨거운 공기는 T자 연결관(370)을 통해 반응조(100)로 재 유입되어 내부 반응챔버(111)내 온도 상승을 돕는다. 상기 T자 연결관 하부의 반응챔버(111)내에 내부 공기 압력부하가 발생되면 미세하게 냉각배출관(3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to the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다 보면 최초 반응조(100)에 투입된 젖은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는 완전히 건조 및 분해되면서 분말형태의 찌꺼기만 남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 process is continuously repeated, the wet food waste put into the
이후 상기 모터(150)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임펠라(130)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교반임펠라(130)의 교반날개(132)에 형성된 경사편(132b)이 분말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샤프트축(131)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배출구(113) 방향으로 모이게 함으로써 상기 반응조(100)의 배출구(113)를 통해 처리된 분말형태의 부산물을 원활하게 배출처리할 수 있다.Then, when the stirr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반응조 내에서 음식물쓰레기가 파쇄 및 건조되면서 증기가 발생되고, 응축기에서는 상기 반응조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하여 물과 공기로 분리되며, 탈취기에서는 상기 응축기에서 분리된 공기를 탈취하여 반응조로 재 공급하고, 상기 자동 드레인관의 활성탄층에서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이물질을 최종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이 작업 설정시간까지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최초 반응조 내에 투입된 젖은 상태의 음식물쓰레기가 완전히 건조 분해가 이루어져 분말형태의 찌꺼기로 남으므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를 보다 위생적이고 신속하게 감량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is crushed and dried in the reaction tank to generate steam, the condenser condenses the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reaction tank is separated into water and air, in the deodorizer The air separated from the condenser is deodorized and re-supplied to the reaction tank, and the process of finally filtering and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of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condenser to the outside in the activated carbon layer of the automatic drain pipe is continuously repeated until the working time. Since the wet food waste put into the reactor is completely dry and decomposed, it remains as powdery residues, thereby reducing the treatment of food waste more hygienical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반응조의 반응챔버 내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 건조시키는 히팅수단의 가열히터가 단계식 전기 공급 방식에 의해 가열됨으로 최소에너지로 가동되며, 공기 순환 재유입 방법으로 반응조 내부로 재 유입시켜 운전중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없어 냄새 및 열손실 발생이 전혀 없고 기존 건조 분해기의 단점인 냄새 발생 및 운전비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주어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heater of the heating means for heating and dry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chamber of the reaction tank is heated by a stepwise electric supply method and operated with minimum energy, Since there is no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by re-introducing into the reactor, there is no odor and no heat loss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by minimizing the odor generation and operation cost,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dry cracker.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교반임펠라의 정방향 회전시 반응조의 반응챔버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교반날개에 의해 골고루 분산되면서 교반되어 히팅수단에 의해 건조됨과 아울러 상기 교반임펠라의 역방향 회전시 교반날개에 의해 중앙으로 모이게 됨으로 처리된 분말형태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기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ersed while the food waste put into the reaction chamber of the reaction tank during the forward rotation of the stirring impeller evenly dispersed by the stirring blade is dried by the heating means and the stirring blade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tirring impeller It is also effectiv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device because it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processed food waste in the form of being collected in the cent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07797A KR100626590B1 (en) | 2005-01-27 | 2005-01-27 | Food waste hand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07797A KR100626590B1 (en) | 2005-01-27 | 2005-01-27 | Food waste handl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4-0004310U Division KR200349559Y1 (en) | 2004-02-19 | 2004-02-19 | Food wastes treatment machin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24478A KR20050024478A (en) | 2005-03-10 |
| KR100626590B1 true KR100626590B1 (en) | 2006-09-22 |
Family
ID=3723161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07797A Expired - Lifetime KR100626590B1 (en) | 2005-01-27 | 2005-01-27 | Food waste handl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2659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25651B1 (en) * | 2005-11-23 | 2007-06-07 | 최지도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0792143B1 (en) * | 2007-03-13 | 2008-01-04 | 전영희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1422849B1 (en) * | 2008-02-14 | 2014-07-25 | 코웨이 주식회사 | Internal circulation type food processor equipped with dehumidifier |
| CN102083556B (en) * | 2008-05-16 | 2013-03-20 | Enic有限公司 | Food garbage disposer |
| KR100881642B1 (en) * | 2008-07-04 | 2009-02-04 | 김복순 | Food Waste Condensation Drying Equipment |
| KR101236614B1 (en) * | 2012-08-10 | 2013-02-27 | 주식회사 이피텍 | Offensive odor treatment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unit |
| KR20140078960A (en) * | 2012-12-18 | 2014-06-26 | 이영희 | Drying Apparatus With Pyrolysis Function |
| JP2014152077A (en) * | 2013-02-08 | 2014-08-25 | Shin Etsu Chem Co Ltd | Heating furnace for drawing optical fiber preform |
| KR101447503B1 (en) * | 2014-01-22 | 2014-10-08 | 임희경 | Device for recycling of dead animals and plant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
| KR102186437B1 (en) * | 2018-04-23 | 2020-12-03 | 주식회사 에스엘씨코리아 | Device for treating sewage sludge |
| KR102170292B1 (en) * | 2018-09-13 | 2020-10-26 | 이종하 | apparatus removing bad smell of waste food and harmful gas when drying waste food and method removing bad smell and harmful gas using the apparatus |
| KR102261308B1 (en) * | 2020-11-06 | 2021-06-07 | 김수철 | Bio-oil extraction device |
| KR102261305B1 (en) * | 2020-11-06 | 2021-06-07 | 김수철 | Food waste reduction drying treatment device |
| KR102360982B1 (en) * | 2021-04-21 | 2022-02-09 | 하모니 사회적협동조합 | Caffeine re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offee grounds clay powder using this device |
| CN118666246B (en) * | 2024-08-21 | 2024-12-06 | 山东雷宁埃环保科技有限公司 | Ozone generator for advanced sewage treatment |
-
2005
- 2005-01-27 KR KR1020050007797A patent/KR10062659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24478A (en) | 2005-03-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626590B1 (en) | Food waste handler | |
| CN102083556B (en) | Food garbage disposer | |
| KR200349559Y1 (en) | Food wastes treatment machine | |
| USRE44676E1 (en) | Food garbage disposer | |
| KR100686957B1 (en) | Food waste handler | |
| JP4405531B2 (en) | Drying equipment | |
| KR101147225B1 (en) | Garbage dryer using magnetron | |
| KR19990038997A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 KR20090122579A (en) | Food waste disposal method and device | |
| KR200383472Y1 (en) |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using home | |
| KR100529025B1 (en) | Apparatus for proceeding garbage | |
| KR20020041753A (en) | Garbage processing machine | |
| WO2005099920A1 (en) | Food waste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 KR20100106813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foods | |
| KR101479849B1 (en) | Drying Apparatus With Pyrolysis Function | |
| KR20120059835A (en) | Garbage dehydration apparatus for home use | |
| KR100745630B1 (en) | Drying room of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 KR200396633Y1 (en) | Drying Apparatus for food garbage | |
| KR100912379B1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 KR100613663B1 (en) | Control Method of Food 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 |
| KR100512256B1 (en) | A treatment apparatus of a food refuse | |
| KR200383027Y1 (en) |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tus | |
| KR200158821Y1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 KR102719350B1 (en) | Malodor combustion drying apparatus by wet steam closed circulation | |
| KR102719360B1 (en) | IoT base malodor combustion drying apparatus by wet steam closed circul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8 | Dual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50127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4081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