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033B1 -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 Google Patents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9033B1 KR100639033B1 KR1020050019434A KR20050019434A KR100639033B1 KR 100639033 B1 KR100639033 B1 KR 100639033B1 KR 1020050019434 A KR1020050019434 A KR 1020050019434A KR 20050019434 A KR20050019434 A KR 20050019434A KR 100639033 B1 KR100639033 B1 KR 100639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pping
- subfield
- mapping data
- data
- subfield map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03—Display of grad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17—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using directory or table look-up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2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having non-binary weigh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8—Improving the black level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프톤 노이즈(Halftone noise)를 감소시키는 서브필드 매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의 인접되는 매핑 구간에서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이 있으면, 그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 사이에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comprising: checking subfield mapping data when noise is present when a plasma display panel is driven; If there is a mapping section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in adjacent mapping sections of the subfield mapping data, the method includes inserting mapping data capable of reducing th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between mapping section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
따라서, 본 발명은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에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실계조 차이를 줄여서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mapping data that can reduce th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into a mapping section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halftone noise can be reduced by reducing real grayscale differences, thereby improving image quality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t works.
하프톤, 노이즈, 서브필드, 매핑, 가중치, 합차 Halftone, noise, subfield, mapping, weighting, sum
Description
도 1은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cell of a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DP;
도 2는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apparatus of a general plasma display panel.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서브필드 매핑 방법의 플로우챠트4 is a flowchart of a subfield mapp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halftone no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20 : 제 1, 2 역감마 조정부 11 : 이득 조정부10,20: first and second reverse gamma adjustment unit 11: gain adjustment unit
12 : 오차 확산부 13 : 서브필드 매핑부12:
14 : 데이터 정렬부 21 : APL 계산부14: data alignment unit 21: APL calculation unit
22 : 타이밍 컨트롤러 30 : 표시 및 선택부22: timing controller 30: display and selection unit
31 : 메모리 31: memory
본 발명은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서브필드 매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에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실계조 차이를 줄여서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서브필드 매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field mapping apparatus for reducing halftone noi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field mapping apparatus for reducing halftone noi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field mapp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that can reduce noise and improve image quality of a plasma display panel.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함)은 가스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킬 때 형광체로부터 발생하는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In general, a plasma display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DP') displays an image using visible light generated from a phosphor when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gas discharge excite the phosphor.
이러한 PDP는 지금까지 표시수단의 주종을 이루어 왔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에 비해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고선명/대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PDP is thinner and lighter than the cathode ray tube (CRT), which has been mainly used for display means, and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high definition / large screen.
도 1은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은 상부기판(10) 상에 형성되어진 주사전극(12Y) 및 유지전극(12Z)과, 하부기판(18) 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전극(20X)을 구비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cell of a three-electrode alternating surface discharge type PDP, wherein the discharge cell of the three-electrode alternating surface discharge type PDP includes a
주사전극(12Y)과 유지전극(12Z)이 나란하게 형성된 상부기판(10)에는 상부 유전층(14)과 보호막(16)이 적층된다. The upper
상부 유전층(14)에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벽전하가 축적된다. Wall charges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are accumulated in the upper
그리고, 보호막(1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스퍼터링에 의한 상부 유전층 (14)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In addition, the
보호막(16)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As the
어드레스 전극(20X)이 형성된 하부기판(18) 상에는 하부 유전층(22), 격벽(24)이 형성되며, 하부 유전층(22)과 격벽(24) 표면에는 형광체(26)가 도포된다. The lower
어드레스전극(20X)은 주사전극(12Y) 및 유지전극(12Z)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격벽(24)은 어드레스전극(20X)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및 가시광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그리고, 형광체(26)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하판과 격벽 사이에 마련된 방전공간에는 가스방전을 위한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다.Inert gas for gas discharge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partition wall.
이러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은 어드레스전극(20X)과 주사전극(12Y) 사이의 대향방전에 의해 선택된 후, 유지 전극쌍(12Y,12Z) 사이의 면방전에 의해 방전을 유지하게 된다. Th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having such a structure is selected by the counter discharge between th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에서는 유지방전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26)가 발광함으로써 가시광이 셀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In th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the
이 결과, 셀들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he cells displays an image.
이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셀의 방전유지기간, 즉 유지방전 횟수를 조절하여 영상 표시에 필요한 계조(Gray Scale)를 구현 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lasma display panel adjusts the discharge sustain period of the cell, that is, the number of sustain discharges, according to the video data, thereby implementing gray scale for displaying an image.
한편, 서브필드 단위로 어드레스를 수행하여 각 서브필드를 온/오프(On/Off) 시킬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표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ddress is performed in units of subfields to express each subfield on or off.
도 2는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의 블록도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100)는 제 1 역감마 조정부(10)와 데이터 정렬부(14) 사이에 접속된 이득 조정부(11), 오차확산부(12) 및 서브필드 매핑부(13)를 구비하고, 제 2 역감마 조정부(20)와 타이밍 컨트롤러(22) 사이에 APL(Average Picture Level) 계산부(21)를 구비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apparatus of a general plasma display panel, wherein the
상기 제 1 및 제 2 역감마 보정부(10,20)는 입력라인으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역감마 보정하여 영상신호의 계조값에 대한 휘도를 선형적으로 변환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inverse
그리고, 상기 이득 조정부(11)는 상기 제 1 역감마 보정부(10)에서 보정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이득을 유효이득만큼 조정한다.The
또한, 상기 오차 확산부(12)는 상기 이득 조정부(1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양자화 오차를 인접한 셀들로 확산시킴으로써, 휘도값을 미세하게 조정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오차 확산부(12)는 데이터를 정수부와 소수부로 분리하고, 소수부에 플로이드-스타인버그(Floid-Steinberg) 계수를 곱한다.To this end, the
그리고, 상기 서브필드 매핑부(13)는 상기 오차 확산부(1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서브필드 패턴에 매핑하고 그 매핑 데이터를 데이터 정렬부 (14)에 공급한다.The
게다가, 상기 데이터 정렬부(14)는 상기 서브필드 매핑부(1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PDP의 데이터 구동부(110)에 공급한다. In addition, the
이 데이터 구동부(110)는 PDP의 데이터 전극들에 접속되어 데이터 정렬부(1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1 수평라인분씩 래치한 후에 래치된 데이터를 1 수평기간 단위로 PDP의 데이터전극들에 공급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APL 계산부(21)는 상기 제 2 역감마 보정부(2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로 APL을 검출하고 검출된 APL에 대응하는 서스테인 펄스수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22)는 상기 APL 계산부(21)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PDP의 데이터 구동부, 스캔/서스테인 구동부 및 공통 서스테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The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는 화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하여 한 프레임을 발광횟수가 다른 여러개의 서브필드로 나누어 시분할 구동하고 있다.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performs time division driving by dividing one frame into several subfields having different emission counts in order to realize gray levels of an image.
즉, 각각의 서브필드에 서스테인 개수를 일정한 원리에 의해서 분배한 다음, 각각의 서브필드를 켜고, 끄는 방식을 통해서 켜져 있는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개수의 합으로 계조가 표현된다. That is, the number of sustains is distributed to each subfield according to a certain principle, and then the gray level is expressed by the sum of the number of sustains of the subfields turned on by turning on and off each subfield.
0 ~ 255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서브필드 매핑(Subfield Mapping)을 하는 방법은 사용된 서브필드 개수 및 실계조 개수에 의해서 무수히 많은 방법이 존재한 다. Subfield mapping to express 0 to 255 gradations has a myriad of method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bfields used and the number of real gradations.
예를 들어, 12개의 서브필드를 사용할 경우, 총 212개의 매핑이 가능하고, 이 매핑 중에서 원하는 실계조 수에 따라서 실계조 수만큼의 메핑을 또 뽑아서 최종 서브필드 매핑이 완성된다.For example, when 12 subfields are used, a total of 212 mappings are possible, and the final subfield mapping is completed by drawing mappings corresponding to the actual tone numbers according to the desired actual tone numbers among the mappings.
일반적으로, 서브필드의 개수는 타이밍 마진(Timing Margin)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가급적 많이 사용할수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이 좋아진다. In general, the more the number of subfields is used within the range that satisfies the timing margin, the better the image quality of the plasma display panel.
그런데, 실계조 개수의 경우 많이 사용하면 의사 윤곽 노이즈(False Contour Noise)가 발생하고, 적게 사용하면 하프톤 노이즈(Halftone Noise)가 발생하는 보상 문제가 있다. However, if the number of real gradations is large, false contour noise is generated, and if less, halftone noise is generated, a compensation problem occurs.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Module)에서는 R,G,B 각각 8비트 ~ 10비트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는 계조 표현력을 가지고 있고, R,G,B 각각 28 ~ 210개수의 계조를 표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lasma display module (Module) has a gray scale expressing power capable of expressing a gray level of 8 to 10 bits each of R, G, and B, and expresses 28 to 210 gray levels of each of R, G, and B.
그런데, 28 ~ 210 계조를 표현하려면, 28 ~ 210개의 계조를 제어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However, in order to express 28 to 210 gray scales, a plasma display module control technology capable of controlling 28 to 210 gray scales is required.
이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하나, 메모리 사이즈 증가 등의 문제로 인해서 실제로는 하프톤(Halftone) 기술을 이용하여 28 ~ 210개의 계조를 만들어낸다. Theoretically enough, but due to problems such as increased memory size, it actually uses halftone technology to produce 28 to 210 gradations.
하프톤(Halftone)과 관련 기술에는 무수히 많은 방법이 존재하며, 각각의 방법의 장단점이 다르다. There are a myriad of methods for halftones and related technologies, each with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하프톤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후술되는 3가지가 있다. There are three typical techniques for halftones described later.
첫째, 패터닝(Patterning) 기법이다. 이 기법에서는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패 턴들을 반복적으로 생성하고, 하나의 셀이 일정한 명도수준으로 설정되게 하고, 이보다 높은 모든 명도 수준에서도 설정되게 하는 방법이다. First is patterning. In this technique, patterns that are typically used are generated repeatedly, one cell is set at a constant brightness level, and a setting is performed at all higher brightness levels.
둘째, 에러 확산(Error diffusion) 기법으로, 컬러 영상이나 흑백 영상을 좀더 적은 양의 비트/픽셀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이다. Second, an error diffusion technique is a technique for representing a color image or a black and white image with a smaller amount of bits / pixels.
즉, 하나의 값을 추정하고 실제 값과 추정된 값 사이의 오류를 계산하여 이웃 화소들에 유포하는 기법이다. That is, a technique of estimating one value, calculating an error between the actual value and the estimated value, and distributing it to neighboring pixels.
셋째, 디더링(Dithering) 기법이다. Third is the dithering technique.
하나의 영상을 하나의 디더 행렬(Dither matrix)로 임계화함으로써, 생성하고, 영상화소가 디더 행렬의 값보다 큰 곳이면 어디든지 그에 대응되는 출력도트가 출력된다. By thresholding one image with one dither matrix, an output dot corresponding thereto is generated wherever the image pixel is larger than the value of the dither matrix.
전술된 계조는 각각의 서브필드(Subfield)에 서스테인(Sustain) 개수를 일정한 원리에 의해서 분배한 다음, 각각의 서브필드를 켜고, 끄는 방식을 통해서 켜져있는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개수의 합으로 표현된다. The gray level described above is expressed as the sum of the number of sustains of subfields that are turned on by distributing the number of sustains to each subfield according to a certain principle, and then turning each subfield on and off.
하기의 표 1은 서브필드 매핑(Subfield Mapping)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subfield mapping.
상기 표 1에서, 서브 필드 매핑의 가장 오른쪽의 가중치(Weight) 합으로 표시된 부분의 값 크기에 따라 계조가 표현이 된다. In Table 1, the gray level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value size of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sum of the rightmost weights of the subfield mappings.
예를 들어, 28개의 계조를 표현할 경우, 이를 모두 실계조로 표현하려면 28개의 계조 매핑이 필요하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expressing 28 gray levels, 28 gray level mapping is required to express all of them as real grays.
그러나, 하프톤(Halftone) 기법을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이 256개보다 작은 62개의 실계조수를 가지고 256개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halftone technique is used, 256 gray levels can be represented with 62 real gray numbers smaller than 256 as shown below.
62개는 실계조 그대로 표현하고, 나머지 256 - 62 = 194개의 계조는 62개 실계조를 바탕으로 하프톤(Halftone) 기법을 사용하여서 만들어낼 수 있다. 62 are represented as actual gray scales, and the remaining 256 to 62 = 194 gray scales can be generated using the halftone technique based on 62 real gray scales.
일반적으로 서브필드 매핑에서 실계조의 개수를 많이 사용할 경우, 하프톤(Halftone)에 의존하는 정도는 줄어들게 되며, 따라서 각각의 하프톤(Halftone) 기법이 지니는 특유의 하프톤 노이즈도 줄어들게 된다. In general, when a large number of real tones are used in the subfield mapping, the degree of dependency on halftones is reduced, and thus, the halftone noise of each halftone technique is also reduced.
그러나, 실계조를 많이 사용할 경우 의사 윤곽(False Contour)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when a lot of real gradations are used, a problem arises in that a large number of false contours occur.
따라서, 적절한 개수의 실계조수에 따른 서브필드 매핑이 필요하다. Therefore, subfield mapping according to the actual number of real numbers is necessary.
서브필드 매핑할 경우, 의사 윤곽(False Contour)과 하프톤 노이즈간의 적절한 보상을 통해서 실계조의 개수를 결정한다. In the case of subfield mapping, the number of real gradations is determined through appropriate compensation between false contour and halftone noise.
적절한 보상의 기준은 사람, 업체마다 다를 수 있으며, 어느 것에 비중을 더 두느냐에 따라서 적절한 실계조 개수가 정해진다. Appropriate compensation standards can be different for each person and company, and the appropriate number of real gradations is determined by which weight is added.
상기 표 1은 62개 실계조 사용의 예인데, 실계조 62개로 하프톤 기법을 사용 256개의 계조를 만들어 낸다.(물론 256개 이상의 계조 표현도 가능하다.) Table 1 shows an example of using 62 real gray scales, and using 62 halftones produces 256 gray scales (of course, more than 256 gray scales can be expressed).
이 때, 실계조 사용 개수가 정해지면 그에 따른 최적의 서브필드 매핑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number of actual gray scales is determined, optimal subfield mapping is performed accordingly.
화질 최적화를 위한 서브필드 매핑을 완료한 후, 패턴 발생기(Pattern Generator) 등을 사용하여 실제로 256개(또는 그 이상)의 계조가 잘 표현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After the subfield mapping for the image quality optimization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256 (or more) gray scales are well represented by using a pattern generator.
이 때, 0부터 255까지의 계조 중에서 62개는 실계조이므로 깨끗하게 표현이 잘 된다. At this time, 62 of the gradations from 0 to 255 are real gradations, so they can be expressed clearly.
그러나, 나머지 194개는 하프톤(Halftone) 기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계조이므로, 사용한 하프톤(Halftone) 기법에 따른 특유의 하프톤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remaining 194 are grayscales produced by the halftone technique, the unique halftone noise generated by the halftone technique used is generated.
예를 들어, 디더(Dither) 기법을 사용한 경우, 디더 마스크(Dither Mask)에 따른 디더 노이즈(Dither Noise)가 발생이 된다. For example, when a dither technique is used, dither noise due to a dither mask is generated.
디더 노이즈(Dither Noise)가 발생하는 부분은 실계조 차이가 큰 부분에서 발생한다. Dither noise occurs at the part where the real tone difference is large.
그리고, 서브필드 매핑할 경우, 실계조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부분을 방지하도록 서브필드 매핑을 하는데 상대적으로 작은 실계조 차이에 의해서도 하프톤 노이즈(Halftone Noise)가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When subfield mapping is performed, subfield mapping is performed to prevent a large gap between real gray scales, and halftone noise may be severely generated even by a relatively small gray scale difference.
이 때, 디더 마스크(Dither Mask)의 경우, 계조에 의해서 사용하는 마스크가 달라지는데 디더 마스크의 켜고 꺼짐이 심하게 불규칙할 경우, 그 마스크를 사용하는 계조에서 디더 노이즈가 심하게 나타난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dither mask, the mask used by the gray level is different, but when the dither mask is very irregularly turned on and off, dither noise appears severely in the gray level using the mask.
물론, 디더 마스크를 제작할 경우 이 점을 고려하고 최적화시키지만, 그래도 저온, 고온 등의 QA 테스트 환경에서는 디더 노이즈가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Of course, when manufacturing a dither mask, thi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optimized, but dither noise will be severe in QA test environments such as low and high temperature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에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실계조 차이를 줄여서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서브필드 매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mapping data that can reduce the difference in weighted sum in a mapping section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 the halftone noise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real grayscale difference so that the plasma display can be reduc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which can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a panel.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양태(樣態)는, 역감마 보정되고 이득이 조정되어, 오차가 확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서브필드 패턴에 매핑하여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과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매핑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브필드 매핑부와; A preferred aspect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look up table by mapping the digital video data RGB with inverse gamma corrected and gain-adjusted to subfield patterns. A subfield mapping unit for generating subfield mapping data and outputting the mapping data;
상기 서브필드 매핑부에서 생성된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A memory for storing a look up table generated by the subfield mapping unit;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의 인접되는 매핑 구간에서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 사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에서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표시 및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서브필드 매핑 장치가 제공된다.Display the subfield mapping data and select mapping data that can reduce th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from a lookup table stored in the memory between mapping period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in adjacent mapping periods of the subfield mapping data. A subfield mapping apparatus for reducing halftone noise, comprising a display and a selectable portion, is provid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다른 양태(樣態)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체크하는 단계와;Another preferred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checking the subfield mapping data, if there is noise when driving the plasma display panel;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의 인접되는 매핑 구간에서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이 있으면, 그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 사이에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서브필드 매핑 방법이 제공된다.If there is a mapping section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 in adjacent mapping sections of the subfield mapping data, inserting mapping data capable of reducing a difference in weighted sum between mapping section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 is included; A subfield mapping method is provided that reduces tone no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의 블록도로서, 역감마 보정되고 이득이 조정되어, 오차가 확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서브필드 패턴에 매핑하여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과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매핑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브필드 매핑부(13)와; 상기 서브필드 매핑부(13)에서 생성된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이 저장되는 메모리(31)와;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의 인접되는 매핑 구간에서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 사이에 상기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에서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표시 및 선택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톤 노이즈(Halftone noise)를 감소시키는 장치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gamma-corrected and gain-adjusted, error-diffused digital video data (RGB) is mapped to a subfield pattern to look up table. A
상기 룩업 테이블은 256개 서브필드가 매핑된 매핑 데이터이고,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는 256개 보다 작은 개수의 서브필드가 매핑된 매핑 데이터이다. The lookup table is mapping data in which 256 subfields are mapped, and the subfield mapping data is mapping data in which fewer than 256 subfields are mapped.
그리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에 포함된 제 1과 2 역감마 조정부(10,20), 이득 조정부(11), 오차확산부(12), 데이터 정렬부(14), APL 계산부(21)와 타이밍 컨트롤러(22)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고, 도 3의 '300'은 PDP이다.The first and second inverse
그러므로, 이러한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장치는 제 1 역감마 조정부(10)에서 역감마 보정되고 이득 조정부(11)에서 이득이 조정되어, 오차확산부(12)에서 오차가 확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서브필드 매핑부(13)에서 서브필드 패턴에 매핑하고 그 매핑 데이터를 데이터 정렬부(14)에 출력한다.Therefore, the apparatus for reducing such halftone noise is inverse gamma corrected in the first inverse
상기 서브필드 매핑부(13)에서는 256개의 실계조에 서브필드가 매핑된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과 256개 이하의 실계조에 서브필드가 매핑된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선택부(3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노이즈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매핑 데이터를 체크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noise occurs in the plasma display panel, the display an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서브필드 매핑 방법의 플로우챠트로서, S10단계에서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동되면, 노이즈가 존재하는 가를 체크한다.(S20단계)FIG. 4 is a flowchart of a subfield mapp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halftone no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asma display panel is driven as in step S10, it is checked whether noise is present.
그 후, 상기 S20단계에서, 노이즈가 존재하면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체크한다.(S30단계)Thereafter, in step S20, if noise exists, the subfield mapping data is checked (step S30).
그 다음,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의 인접되는 매핑 구간에서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이 있으면, 그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 사이에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삽입시킨다.(S40와 S50단계)Next, if there is a mapping section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 in adjacent mapping sections of the subfield mapping data, mapping data for reducing the difference in weighted sum is inserted between mapping section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 And step S50)
여기서, 상기 삽입되는 매핑 데이터는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보다 서브필드 개수가 많은 매핑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보다 서브필드 개수가 많은 매핑 데이터는, 미리 저장된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apping data to be inserted may be extracted and inserted from mapping data having a greater number of subfields than the subfield mapping data, and the mapping data having a greater number of subfields than the subfield mapping data may be stored in the previously stored subfield. It is preferably mapping data.
그리고, 상기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보다 서브필드 개수가 많은 매핑 데이터의 서브필드 개수는 256개이고,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는 256개보다 작은 개수의 서브필드를 갖는다. The number of subfields of the mapping data having a greater number of subfields than the subfield mapping data is 256, and the subfield mapping data has a number of subfields smaller than 256.
여기서, 하기의 표 2와 같이, 16과 17번째의 매핑 구간 사이에서는 다른 매핑 구간에서보다 가중치의 합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즉, 52-37=15)Here, as shown in Table 2 below, it can be seen that the sum of weights is larger between the 16th and 17th mapping sections than in the other mapping sections (ie, 52-37 = 15).
하기의 표 3은 256개의 실계조(0 ~ 255)에 서브필드가 매핑된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나타낸 것이다.Table 3 below shows a look up table in which subfields are mapped to 256 real gray scales (0 to 255).
도 4에서 흐름도의 S50단계에서, 상기 표 3에 제시된 256개의 실계조에 서브필드가 매핑된 룩업 테이블에서 가중치 합(즉, 실계조)의 차이를 줄여주기 위한 매핑 데이터를 추출하여 삽입한다.In step S50 of the flowchart of FIG. 4, mapping data for reducing the difference of weight sums (ie, real gradations) is extracted from the lookup table in which subfields are mapped to 256 real gradations shown in Table 3, and inserted.
즉, 하기의 표 4와 같이, 상기 16과 17번째의 매핑 구간의 가중치 중간값에 해당하는 실계조 45를 삽입시킨다. That is, as shown in Table 4 below, the real gradation 45 corresponding to the median weight value of the 16th and 17th mapping periods is inserted.
상기 256개의 실계조에 서브필드가 매핑된 룩업 테이블은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다.The lookup table in which subfields are mapped to the 256 real gray scales is stored and used in a memory.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계조 차이가 큰 인접 실계조 사이, 즉,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에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실계조 차이를 줄여서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lftone noise is reduced by inserting mapping data capable of reducing the difference of weighted sums between adjacent real gray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real grays, that is, a mapping interval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duced.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중치 합의 차이가 큰 매핑 구간에 가중치 합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실계조 차이를 줄여서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mapping data capable of reducing th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into a mapping section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weighted sums, thereby reducing halftone noise by reducing real grayscale differences, thereby improving image quality of the plasma display panel.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specific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19434A KR100639033B1 (en) | 2005-03-09 | 2005-03-09 |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19434A KR100639033B1 (en) | 2005-03-09 | 2005-03-09 |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98127A KR20060098127A (en) | 2006-09-18 |
| KR100639033B1 true KR100639033B1 (en) | 2006-10-25 |
Family
ID=376296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194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9033B1 (en) | 2005-03-09 | 2005-03-09 |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39033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1085495A2 (en) | 1999-09-17 | 2001-03-21 |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 Plasma display apparatus |
-
2005
- 2005-03-09 KR KR1020050019434A patent/KR1006390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1085495A2 (en) | 1999-09-17 | 2001-03-21 |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 Plasma displa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98127A (en) | 2006-09-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499102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3891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JP4464633B2 (en) |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 |
| US2005016234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itialization in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533727B1 (en) |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US2005011071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gray scale in display device | |
| KR2004008318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n average picture level being based on asymmetric cell | |
| JP3006363B2 (en) | PDP drive method | |
| EP1615199A2 (en) |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 |
| JP4160575B2 (en) |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639033B1 (en) | Subfield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tone Noise | |
| JP2005128542A (en) |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733881B1 (en) |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
| JP2970332B2 (en) | PDP drive circuit | |
| KR100738816B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514259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86910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607258B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625478B1 (en) |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 KR100658359B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625476B1 (en) |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 KR2005011100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2004003831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JP2005326635A (en) | Driving method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 KR20060106498A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0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02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