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294B1 - Slope building block - Google Patents
Slope building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5294B1 KR100645294B1 KR1020060072896A KR20060072896A KR100645294B1 KR 100645294 B1 KR100645294 B1 KR 100645294B1 KR 1020060072896 A KR1020060072896 A KR 1020060072896A KR 20060072896 A KR20060072896 A KR 20060072896A KR 100645294 B1 KR100645294 B1 KR 100645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ope
- building block
- block
- anchor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용 축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블록의 전면부에 다양한 무늬나 로고 등과 같은 문양을 형성한 끼움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심미적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고, 축조블록의 적층시 공간부에서 식생되는 식물이 상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에 최대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앵커나 연결부재 없이 사면에 견고히 고정되고, 측면에 측면홀을 구비하여 어소나 어도로서의 역할도 가능하게 하는 사면용 축조블록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block for slopes, the object of which is to insert a fitting plate formed with a pattern such as various patterns or logo on the front of the block to exhibit a variety of aesthetic effects, the stacking of building blocks Plants in the space and time to grow smoothl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building block located at the top, and is firmly fixed to the slope without a separate anchor or connecting member, and has a side hole on the side as It is to provide a building block for the slope that also enables the role.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하부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홈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배면 양단에서 내부방향으로 라운드 되도록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후단을 연결하고 중심부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측면부,배면부의 하부를 연결하되 다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는 바닥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전면부의 삽입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고, 양단으로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으로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는 전면끼움판; 상기 배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사면에 매설되어 몸체부가 사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앵커부; 상기 앵커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앵커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삽입홈 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so that the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lower direc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along the both edges and the front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 inner side roun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 pair of side portions symmetrically formed, a rear portion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side portion and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the sid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having an opening in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Body portion formed;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lower direction so that the front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the front end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formed on the rea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groove at both ends, the front fitting is formed a variety of patterns on the front plate; A pair of anchor portions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rear portion and embedded in the slope so that the body portion is firmly fixed to the slop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and a fix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rotrusion.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을 일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side;
도 2 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을 타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도 3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을 나타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있어 로고가 형성된 전면끼움판을 결합하고 측면홀을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mounting plate formed with a logo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formed side holes;
도 7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축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9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constructio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축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constructio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축조블록 (20) : 몸체부(10): building block (20): body
(21) : 전면부 (21a) : 삽입부21:
(21b) : 걸림홈 (22) : 측면부21b: locking groove 22: side portion
(22a) : 측면홀 (23) : 배면부(22a): side hole 23: rear part
(23a) : 개구부 (24) : 바닥부23a: opening 24: bottom
(24a) : 관통홀 (25) : 공간부24a: through-hole 25: space part
(30) : 앵커부 (31) : 날개부30: anchor portion 31: wing portion
(40) : 고정돌기 (41) : 고정돌기삽입홈(40): fixing protrusion (41): fix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50) : 반원형공간부 (60) : 전면끼움판(50): semicircular space portion (60): front mounting plate
(61) : 돌출부 (62) : 걸림돌기61: projection 62: locking projection
(100) : 기초콘크리트 (101) : 덮개블록(100): foundation concrete (101): cover block
(102) : 잡석 (103) : 사면(102): rubble (103): slope
본 발명은 사면용 축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조블록들의 각각의 전면부에 끼움구조로 고정되고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끼움판을 설치함으로써, 축조블록의 용도가 다양해짐은 물론 심미감이 우수하며, 측면으로 측면홀을 형성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공간부 식생공간 및 어소나 어도로 이용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이고, 다단으로 적층시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이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의 공간부를 덮지 않고 식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접하는 블록과 반원형공간부를 형성하며, 후방으로 형성되는 일체형 앵커부에 의해 사면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사면용 축조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r-sided construction block, and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front mounting plate that is fixed in the fitting structure to the front of each of the construction blocks and the various patterns are formed, the use of the construction block is of course diverse It has excellent aesthetics, and it is nature-friendly by using a predetermined space part vegetation space and an assortment or an inner space formed by forming a side hole at the side, and the block located at the top of the block located at the bottom when stacked in multiple stages. An adjacent block and a semi-circular space portion are formed so that vegetation can be easily made without covering the space portion, and relates to a four-sided construction block that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slope by an integral anchor portion formed rearward.
일반적으로 통상 암반 또는 토사를 절개하거나 성토한 경사지인 사면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여서 강우에 의하여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되므로 사면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 침식 풍화방지를 위하여 사면용 축조블록을 시공하게 된다.In general, slopes that cut or fill rock or soil are structurally unstable, so accidents that collapse due to rainfall occur, so construction of slope building blocks for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lopes and preventing erosion weathering.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축조블록의 전면에 자연석 무늬나, 회사로고 등과 같은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문양은 최초 축조블록의 제조시 형성되는 것으로 한번 형성하면 수정을 한다거나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various patterns such as natural stone patterns or company logos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building blocks, but such patterns are form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first building blocks, and once formed, problems cannot be modified or replaced. There is this.
또한 상기 축조블록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하고 사면을 따라 축조하게 되는데, 이때 축조블록의 적층시 상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이 하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의 공간부를 덮어버려 공간부에서 식생되는 식물이 원활하게 식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block is provided with a space inside the building along the slope, at this time the stacking of the building blocks to cover the space of the building block located in the top of the building blocks located at the bottom to smooth vegetation in the space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plan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생공간이 상부에 위치하는 식생블록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식생블록의 적층시 식생블록을 후방으로 후퇴되는 계단식축조 방법으로 축조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egetation block is constructed by a stepwise building method in which the vegetation blocks are retracted backward when the vegetation blocks are stacked so that they are not interfered by the vegetation blocks located above.
그러나 이와 같이 계단식 축조시공은 경사진 사면에는 시공이 가능하지만 시공단면이 수직일 경우에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step construction construction is possible on the inclined slope, but when the construction section is vertic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is impossible.
또한 축조블록을 시공할 경우 사면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축조블록의 후방에 별도의 앵커를 연결한 후 후방으로 연장하여 사면에 정착시켜 축조블록을 사면에 고정하였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the construction block to connect to a separate anchor to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block so that it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slope and then extended to the rear to settle on the slope fixed the construction block to the slop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옹벽블록의 축조시 별도의 앵커를 설치할 경우, 블록과 앵커를 별도로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로워 전체적인 시공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별도의 앵커를 마련함에 있어 재료비가 과다하게 투입되어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installing the separate anchors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lock and the anchor are installed separately,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is cumbersome,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in preparing a separate anch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또한 앵커의 사면 설치를 위해 블록 후방의 앵커설치 공간을 확보해야함에 따라, 부지확보에 의한 시공 및 작업 공간에 대한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anchor installation space behind the block to secure the installation of the slope of the anchor,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construction and work space by securing the si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블록의 전면부에 다양한 무늬나 로고 등과 같은 문양을 형성한 끼움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심미적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고, 축조블록의 적층시 공간부에서 식생되는 식물이 상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에 최대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앵커나 연결부재 없이 사면에 견고히 고정되고, 측면에 측면홀을 구비하여 어소나 어도로서의 역할도 가능하게 하는 사면용 축조블록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configured to insert a fitting plate formed with a pattern such as various patterns or logo on the front of the block to exhibit a variety of aesthetic effects, construction When the blocks are stacked, the vegetation planted in the space can grow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to the building block located at the upper part, and it is firmly fixed to the slope without a separate anchor or connecting member, and has side holes at the sides. It is to provide a four-sided construction block that can also serve as a cow or fis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토지나 절개지등의 사면에 축조되어 사면을 구조적으로 안정화시켜주고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조블록에 있어서, 하 부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홈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배면 양단에서 내부방향으로 라운드 되도록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후단을 연결하고 중심부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측면부,배면부의 하부를 연결하되 다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는 바닥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전면부의 삽입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고, 양단으로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으로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는 전면끼움판; 상기 배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사면에 매설되어 몸체부가 사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앵커부; 상기 앵커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앵커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삽입홈 으로 구성되어; 사면축조시 측면부에 의해 측면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과 반원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반원형 공간부를 통해 공간부의 식물이 원활히 식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construction block to be built on the slopes such as land or incision to stabilize the slope structurally and to allow vegetation, is formed to be narrow in width toward the lower direction and along both edges An insertion part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pair of side portions symmetrically formed to be rounded inward from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ening in the center A body portion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the sid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the bottom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lower direction so that the front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the front end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formed on the rea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groove at both ends, the front fitting is formed a variety of patterns on the front plate; A pair of anchor portions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rear portion and embedded in the slope so that the body portion is firmly fixed to the slope; A fixing protrus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and a fix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rotrusion; When the slope is constructed, the side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semi-circular space portion is formed and through this semi-circular spac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getation of the space portion is smoothly vegetated.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부를 통해 공간부를 관통하는 측면홀을 더 형성하여 축조블록이 물에 잠길 경우 상기 공간부가 어소나 어도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side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through the pair of sid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uilding block is immersed in water so that the space portion serves as the more or less.
또한 상기 전면끼움판은 콘크리트, 목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concrete, wood, synthetic resin.
또한 상기 앵커부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더 형성하여 축조블록이 사면에서 이탈되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용 축조블록.In addition, by forming a w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ide of the anchor portion of the building block for slop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ding block is separated from the slope to prevent collapse.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을 일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을 타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있어 로고가 형성된 전면끼움판을 결합하고 측면홀을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sid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other sid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building block,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mounting plate formed with a logo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formed side holes,
본 발명의 축조블록(10)은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25)를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전방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전방으로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끼움판(60)과, 상기 몸체부(20)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사면에 매설되어 축조블록(10)이 사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앵커부(30)와, 상기 앵커부(3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40)와, 상기 고정돌기(40)와 대응되도록 앵커부(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삽입홈(41)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몸체부(20)는 하부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양측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홈(21b)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21a)가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끼움판(60)이 끼워지는 전면부(21)와, 상기 전면부(21)의 배면 양단에서 대칭을 이루고 내부방향으로 라운드 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22)와, 상기 측면부(22)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부(23)와, 상기 전면부(21), 측면부(22), 배면부(23)의 하 부를 연결하되 양측으로 관통홀(24a)이 구비되어 있는 바닥부(24)로 구성된다.The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전면부(21), 측면부(22), 배면부(23), 바닥부(24)에 의해 상기 공간부(25)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25)에는 식물이 식생되는 것이다.The
상기 공간부(25)는 바닥부(24)에 형성되는 관통홀(24a)을 통해 축조블록(10)의 적층시 수분이나 영양분이 상하??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식생효과가 뛰어나게 된다.The
또한 상기 라운드 되도록 형성되는 측면부(22)에 의해 인접하는 축조블록(10)과 측면부(22)가 서로 맞닿을 경우 반원형공간부(50)가 형성되고 이 반원형공간부(50)를 통해 하측단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의 공간부(25)에서 식생되는 식물이 상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의 하부면에 간섭되지 않고 반원형공간부(50)을 통해 원활한 식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축조블록(10)은 충분한 물과 영양분이 사면에서 공간부(25)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면부(23)에 개구부(23a)를 더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면끼움판(60)은 상기 전면부(21)의 삽입부(21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양단으로는 삽입부(21a)의 걸림홈(21b)에 대응되는 걸림돌기(62)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61)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으로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The
이와 같이 전면부(21)의 삽입부(21a)와 이 삽입부(21a)에 대응되는 전면끼움판(60)의 돌출부(61)는 하부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면끼움판(60)이 전면부(21)에 쐐기형태로 맞물려 끼워지고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us, the
또한 상기 문양은 회사의 로고, 환경친화적 형상인 자연석문양, 방향표시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tern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company logo, natural stone pattern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shape, direction indication.
또한 전면끼움판(60)은 몸체부(20)와 동일한 재질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심미감이 뛰어나도록 하며,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서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기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하며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10)은 전면끼움판(60)의 제조 후 공장에서 미리 몸체부(20)와 전면끼움판(60)을 결합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동시켜 적층함으로써, 현장으로의 이동이 간편하고 시공현장에서는 최소한의 작업으로 블록의 적층작업이 완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앵커부(30)는 몸체부(20)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조블록(10)의 제조 및 운반이 용이하고, 앵커부(30)가 사면에 묻혀짐으로써, 사면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축조블록(10)을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커를 더 설치해야하는 종래의 시공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또한 상기 앵커부(30)의 후방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날개부(31)를 더 형성하여 축조블록(10)이 사면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여 축조블록(10)이 사면에서 이탈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한편 본 발명은 도 6 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20)의 측면부(22)에서 공간 부(25)로 관통되는 측면홀(22a)을 더 형성하여 어소나 어도로 활용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form
즉 측면홀(22a)을 형성함으로써 사면의 축조블록(10) 적층시 물에 잠기는 부분으로는 측면홀(22a)이 형성되어 있는 축조블록(10)을 적층하여 수중생물이 측면홀(22a)을 통해 공간부(25)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서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어소나 어도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forming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면 축조방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lope construction method,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축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의 축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ck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a building state of the build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construction block of
도면에서와 같이 먼저, 몸체부(20)의 전면부(21)에 전면끼움판(60)을 공장에서 미리 결합하고, 이렇게 몸체부(20)와 전면끼움판(60)의 결합으로 형성된 축조블록(10)을 시공현장으로 이동시킨 후 축조하고자 하는 사면(103)의 바닥에 기초콘크리트(100)를 형성하고 이 기초콘크리트(100) 상에 다수의 축조블록(10)을 측면방향으로 배열한다.Firs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여기서 축조블록(10)의 측면부(22)에 의해 축조블록(10)과 인접하는 축조블록(10) 사이에 반원형공간부(50)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
이와 같이 축조블록(10)의 첫 번째 단이 배열되면 상기 축조블록(10)의 상부에 두 번째 단의 축조블록(10)을 적층해 나간다.As such, when the first stage of the
이때 하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과 상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을 서로 엇갈리도록 적층하는 한편, 하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의 고정돌기(40)가 상부에 적층되는 축조블록(10)의 고정돌기삽입홈(41)에 끼워짐으로써 축조블록(10)이 유동되지 않고 적층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tacking
한편 도9, 10 에서와 같이 호안에 본 발명의 축조블록(10)을 설치할 경우에는, 호안의 하측에 위치하여 물에 잠겨지는 부분의 축조블록(10)은 측면홀(22a)이 형성되어 있는 축조블록(10)을 시공하고, 그 상부로는 측면홀(22a)이 형성되지 않은 축조블록(10)을 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ing the
이렇게 물에 잠기는 부분으로는 측면홀(22a)이 형성된 축조블록(10)을 시공함으로써 물고기나 기타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호안정리에 의한 수중생물의 서식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중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is submerged part is provided with a
한편 축조블록(10)을 적층하면서 축조블록(10)의 후방은 잡석(102)과 토사(도시없음)를 채워 넣어 배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또한 축조블록(10)을 소정의 높이까지 적층한 후 최상단에 위치한 축조블록(10)의 상부에는 덮개블록(101)을 덮어 시공을 완료한다.On the other hand, while stacking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서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축조블록(10)이 하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의 공간부(25)를 덮지 않고 공간부(25)의 상부에 반원형공간부(50)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25)에서 식생되는 식물이 상부에 위치하 는 축조블록(10)의 하부면에 간섭받지 않고 보다 높고 넓은 범위로 자라날 수 있어, 식생효율이 매우 뛰어나 친환경적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축조블록(10) 마다 개별적으로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전면끼움판(60)을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can b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front
또한 앵커부(30)에 의해 축조블록(10)이 사면(103)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매우 안정적으로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아울러 물에 잠기는 부분으로는 측면홀(22a)이 형성된 축조블록(10)을 시공함으로써 수중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여 수중생태계를 보호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rt submerged in the water to protect the aquatic ecosystem by providing a habitat space of the aquatic life by constructing the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축조블록(10)은 사면의 경사각에 따라 기초콘크리트(100)의 구배를 조절하여 축조블록(10)의 시공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구배의 사면(103)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끼움판의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하고, 각각의 전면끼움판 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시각적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심미감이 뛰어나며, 라운드형 측면부에 의해 인접하는 블록들의 사이에 반원형공간부가 제공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축조블록에서 자라는 식물이 상부에 위치하는 반원형공간부를 간섭없이 원활하게 식생되도록 하여 식생효율이 매우 뛰어나고, 축조블록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앵커부에 의해 제조, 운반, 시공이 용이하고 사면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고, 기초콘크리트부의 구배를 조절하여 축조블록의 시공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측면부에 측면홀을 형성하여 어소나 어도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late is easy to combine and fix the various patterns are formed, each front plate can be installed separately to show a variety of visual effects It has excellent aesthetics, and the semicircular space is provided between adjacent blocks by the round side part so that vegetation growing in the lower construction block is vegetated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Very excellent, easy to manufacture, transport, and construction by an anchor formed integrally to the rear of the building block, more firmly fixed to the slope, and can adjust the construction angle of the building block by adjusting the gradient of the foundation concrete portion, Side hole is formed in the side part, so it can be used as an etho or fish The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72896A KR100645294B1 (en) | 2006-08-02 | 2006-08-02 | Slope building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72896A KR100645294B1 (en) | 2006-08-02 | 2006-08-02 | Slope building block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645294B1 true KR100645294B1 (en) | 2006-11-15 |
Family
ID=3765443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728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5294B1 (en) | 2006-08-02 | 2006-08-02 | Slope building bloc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45294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21946B1 (en) * | 2007-05-08 | 2008-04-15 | 주식회사 오륙개발 | Reinforcement block |
| KR101082008B1 (en) * | 2011-03-14 | 2011-11-09 |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 Anti-fouling retaining wall mounting structure |
| KR200463755Y1 (en) * | 2012-07-11 | 2012-11-27 | 이용교 | The Multipurpose Eco-Environment Block |
| KR101918891B1 (en) * | 2018-03-13 | 2018-11-15 | 김성회 | Block module for stone wall |
| KR102437778B1 (en) * | 2021-11-16 | 2022-08-30 | (주)녹색산업 | Gabion wall block |
-
2006
- 2006-08-02 KR KR1020060072896A patent/KR1006452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21946B1 (en) * | 2007-05-08 | 2008-04-15 | 주식회사 오륙개발 | Reinforcement block |
| KR101082008B1 (en) * | 2011-03-14 | 2011-11-09 |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 Anti-fouling retaining wall mounting structure |
| KR200463755Y1 (en) * | 2012-07-11 | 2012-11-27 | 이용교 | The Multipurpose Eco-Environment Block |
| KR101918891B1 (en) * | 2018-03-13 | 2018-11-15 | 김성회 | Block module for stone wall |
| KR102437778B1 (en) * | 2021-11-16 | 2022-08-30 | (주)녹색산업 | Gabion wall block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645294B1 (en) | Slope building block | |
| JP2011144615A (en) | Assembly vegetation block compatible with environment | |
| KR101029317B1 (en) | Retaining Wall Vegetation Block | |
| KR102116487B1 (en) | Retaining wall | |
| KR100943222B1 (en) | Plant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rd there of | |
| KR100427564B1 (en) | Embankment block | |
| KR101366837B1 (en) | Vegetation block and retaing wall structure using that | |
| KR100626572B1 (en) | Building blocks | |
| KR101313863B1 (en) | Planting life block a combined use fishway | |
| KR200340941Y1 (en) | The block which provides the space where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fish live | |
| KR101280330B1 (en) | The basis block for prevention digging | |
| KR200424156Y1 (en) | Vegetation block for slope construction | |
| KR100754977B1 (en) | Prefabricated Stone Fixed Structure | |
| KR200297571Y1 (en) |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 |
| KR100663257B1 (en) | Retaining wall blocks | |
| KR100763874B1 (en) | Retaining Wall Block for Vegetation | |
| KR200409800Y1 (en) | Retaining wall blocks | |
| KR200408078Y1 (en) | Connected Vegetation Shore Block | |
| KR200221900Y1 (en) | Block for plants | |
| KR200463755Y1 (en) | The Multipurpose Eco-Environment Block | |
| KR200352989Y1 (en) | A structure of wood for inclination face | |
| KR100402203B1 (en) | block | |
| KR200348351Y1 (en) | Base Plant Embankment Block | |
| KR200413594Y1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Shore Block | |
| KR200285001Y1 (en) | block for growth plant life of shore prote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11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