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6226B1 - Control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226B1
KR100646226B1 KR1020030078128A KR20030078128A KR100646226B1 KR 100646226 B1 KR100646226 B1 KR 100646226B1 KR 1020030078128 A KR1020030078128 A KR 1020030078128A KR 20030078128 A KR20030078128 A KR 20030078128A KR 100646226 B1 KR100646226 B1 KR 10064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asynchronous
synchronous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3293A (en
Inventor
박성수
이동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226B1/en
Publication of KR2005004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2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226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호의 원활한 핸드오버가 가능한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 및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에서 데이터 호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데이터 호 서비스를 받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경계지역으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고, 이동통신단말이 경계지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며,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과 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고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며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되던 데이터 호를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서비스를 연계한 후 이동통신단말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호를 해제함으로써, 동기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 간의 핸드오버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호의 끊김없는 원활한 핸드오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and a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dual band / dual mode capable of smooth handover of a data call in a synchronous mobile network and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ccu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s the mobile IP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the data call ser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boundary ar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enters in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established, the mobile IP is registered,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synchronous. Serviced on mobile networks By connecting the data call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leasing the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ata loss is prevented during handover between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ata call in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amless handover is possible.

Description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 및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Controlling Method and Data Call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Controlling Method and Data Call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과 이동통신망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영역에서 동기 영역으로 이동할때의 핸드오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andover concept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an asynchronous region to a synchronous reg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ff process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영역에서 비동기 영역으로 이동할때의 핸드오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over concept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a synchronous area to an asynchronous area;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ff process from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비동기 이동통신망 200:동기 이동통신망100: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400:이동통신단말 410:안테나4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10: antenna

420:비동기 무선장치 430:동기 무선장치420: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40:공통모듈440: common module

본 발명은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호의 원활한 핸드오버를 위한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 및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and a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for smooth handover of a data call in a synchronous mobile network and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통신망의 진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MT-2000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IMT-2000 시스템은 CDMA2000 기반의 동기방식 시스템과 WCDMA 기반의 비동기 방식 시스템으로 나누어져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evolu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ly, the IMT-2000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global roaming problem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MT-2000 system is divided into CDMA2000 based synchronous system and WCDMA based asynchronous system.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BDM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global ro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eing used in both a synchronous system and an asynchronous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us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s can be used in each of the asynchronous system domain and the synchronous system domain.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 중에 있고, 이에 따라 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Currently,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being built around regions with high service demands, and accordingly,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evolved to include service areas of asynchronous system. When a user moves betwee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between systems is required for continuous service provision.

이러한 환경에서는 동기식과 비동기식간의 로밍문제가 최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데이터 호 사용시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이동통신망(cdma2000 1x/Ev-Do)으로 핸드오버를 행할 때, 모뎀 초기화 및 초기 호 설정, 데이터 호 설정 및 MIP 등록 시간 등을 고려할 경우, 10초 이상의 데이터 단절 시간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서비스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environment, the problem of roaming betwee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is the biggest problem. In the related ar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service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perform a handover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dma2000 1x / Ev-Do). At this time, when considering modem initialization and initial call setup, data call setup, and MIP registration time, data disconnection time of 10 seconds or more occurred, and thus, normal data service was difficult.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제어하여 데이터 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호의 끊김없이 원활한 핸드오버가 가능한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 및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to prevent data loss during hando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ata call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of a data c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nd a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capable of handov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 방법은, 데이터 호 접속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는 1단계, 상기 활성화된 비동기 무선장치의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일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비동기 모뎀을 활성화하는 3단계,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모바일 아이피를 획득하고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4단계, 상기 4단계 수행중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를 위한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5단계,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는 6단계,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7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영역으로부터 동기 영역으로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방법은 이동통신단말에서 데이터 호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데이터 호 서비스를 받는 1단계, 상기 1단계 수행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경계지역으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경계지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를 위한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3단계,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는 4단계,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과 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고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는 6단계, 상기 6단계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한 후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되던 데이터 호를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서비스를 연계하는 7단계, 상기 7단계 후 이동통신단말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호를 해제하는 8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동기 영역으로부터 비동기 영역으로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법은 이동통신단말에서 데이터 호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데이터 호 서비스를 받는 1단계, 상기 1단계 수행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경계지역으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경계지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되면 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를 위한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3단계,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는 4단계,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과 비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고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는 6단계, 상기 6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한 후 동기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되던 데이터 호를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서비스를 연계하는 7단계, 상기 7단계 후 이동통신단말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호를 해제하는 8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dual band / dual mode, comprising: a step of activating a radio transceiver of the asynchronous radio device when a dat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the asynchronous radio device; in step 2, activating an asynchronous modem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 the second step; Step 4 of acquiring a mobile IP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a data ser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for a predetermined handover during the step 4, wherein the signal strength is the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reset reference time may elapse. To 6 further comprising: waiting,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to determine whether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tep 7 which performs a handover.
In addition, the data call handover method from the asynchronous region to the synchronous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ata call connectio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s the mobile IP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ata call service In step 1 of receiving, the step 1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undary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the step 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rder area in the step 2 Step 3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step 4 of waiting for a preset reference time to elapse; 5 steps to determine whether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step 6 of setting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gistering the mobile IP, and registering the mobile IP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6, asynchronously moves. And a seventh step of linking the data call serviced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eighth step of releasing data call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seventh step.
In addition, the data call handover method from the synchronous area to the asynchronous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ata call connectio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s a mobile IP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es a data call service. Step 2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undary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step 1 of receiving and performing the step 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rder area in step 2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if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waiting for a preset reference time to elapse; 5 steps to determine whether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step 6 of establishing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gistering the mobile IP, and registering the mobile IP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6, then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venth step of linking the service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and the eighth step of releasing data cal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seventh step.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망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비동기망인 WCDMA 망(1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110) 및 상기 무선국(110)을 제어하는 무선국 제어기(이하 'RNC'라 칭함)(120)와, 상기 RNC(120)와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4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서빙 지피알에스 서비스 노드(Serving GPRS Service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130)와, IP 데이터코어망(이하 'IPDCN'이라 칭함)(140)을 통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 제어 및 패킷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중계장치인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노드(Gateway GPRS Supporting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WCDMA network 100, which is an asynchronous network, includes a wireless station 110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a wireless station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station 110. 120, a Serving GPRS Service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GSN") 130 connected to the RNC 120 to manage mobi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IP data.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data service gateway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GSN'), which is a relay device that performs the packet service control and packet data transmission through a core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IPDCN') (150) (150). ).

또한 상기 RNC(120)에는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160)가 접속되고, 상기 MSC(160)에는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170)가 접속된다.In addition, the RNC 120 is connected to a switch (1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MSC") for performing a call exchange, the MSC (160) is a home location regis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LR') for manag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170) are connected.

한편, 동기망인 CDMA2000 망(2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210)과, 상기 BTS(210)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라 칭함)(220)와, 상기 BSC(220)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를 서비스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이하 ‘PDSN’이라 칭함)(230)와 상기 PDSN(230)에 접속되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는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Data Core Network, 이하 ‘DCN'이라 칭함)(240)와, 상기 BSC(220)와 접속되어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MSC(250)에는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260)가 접속된다.Meanwhile, the CDMA2000 network 200, which is a synchronous network, includes a base station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BTS)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BTS'). BSC '), a Packet Data Service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SN') 230 which is connected to the BSC 220 and serves packet data, and the PDSN 230. A Data Core Network (DCN) 240 connected and performing an Internet access service, and a switch connected to the BSC 220 to perform an exch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SC) ( 250). And the MSC 250 is connected to a home location regis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LR") 260 for manag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또한 상기 IPDCN(140) 및 DCN(240)에는 인증서버(AAA)(310) 및 홈 에이전트(이하 'HA'라 칭함)(320)가 접속된다.Also, an authentication server (AAA) 310 and a home ag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 320 are connected to the IPDCN 140 and the DCN 24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망(200) 및 비동기망(100)은 각각 가입자 정보와 위 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HLR(170 및 260)을 구비하고 있으나, 하나의 HLR(듀얼 스택 홈위치등록기)을 이용하여 동기망(200) 및 비동기망(100)이 가입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ynchronous network 200 and the asynchronous network 100 have HLRs 170 and 260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but have one HLR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The synchronization network 200 and the asynchronous network 100 may be used to share subscribe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듀얼모드/듀얼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 dual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듀얼밴드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식 이동통신과 비동기식 이동통신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프로토콜 스택을 가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dual mode / dual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ocol stack for supporting both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은 크게 나누어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410)와, 동기식 통신을 위한 동기 무선장치(430)와, 비동기식 통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420)와, 동기식 및 비동식 통신시 공통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듈(440)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roadly divided into an antenna 4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a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for synchronous communication. , Asynchronous radio 420 for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a common module 440 for providing common resources i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는 무선송신을 위한 동기 무선송신부(432)와, 무선수신을 위한 동기 무선 수신부(433)와, 동기 모뎀부(434)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무선송신부(432) 및 동기 무선수신부(433)의 일측은 듀플렉서(43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동기 모뎀부(434)와 접속된다. The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includes a synchronous radio transmitter 432 for radio transmission, a synchronous radio receiver 433 for radio reception,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434. The synchronous radio transmitter 432 and One side of the synchronous radio receiver 433 is connected to the antenna 410 through a duplexer 43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434.

또한 비동기 무선장치(420) 역시 무선송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송신부(422)와, 무선수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와, 비동기 모뎀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송신부(422) 및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의 일측은 듀플렉서(42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비동기 모뎀부(424)와 접속된다.In addition, the asynchronous radio device 420 also includes an asynchronous radio transmitter 422 for radio transmission, an asynchronous radio receiver 423 for radio reception, and an asynchronous modem unit 424. The asynchronous radio transmitter 422 and One side of the asynchronous radio receiver 423 is connected to the antenna 410 through the duplexer 42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424.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무선장치(420) 및 동기 무선장치(430) 중 어느 하나만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핸드오프로 인한 전원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각 무선 장치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400)은 데이터 호 이용 중 동기 영역으로부터 비동기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비동기 영역 내에서 인접 비동기 셀로 이동하거나, 비동기 영역으로부터 동기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경우에 대한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 및 핸드오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ctivate only one of the asynchronous radios 420 and the synchronous radios 430 or all of them at the same time,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due to handoff. The activation of each wireless device can be controll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from a synchronous region to an asynchronous region, move to an adjacent asynchronous cell within an asynchronous region, or move from an asynchronous region to a synchronous region during a data call.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rol method and a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영역으로부터 비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리고 비동기 영역으로부터 다시 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a synchronous area to an asynchronous area and again from an asynchronous area to a synchronous area. The control method in the case of moving to.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400)에 전원이 인가(S10)되면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무선장치(430)에 전원을 인가하고 초기화를 수행한다(S20). 이에 따라 동기 모뎀부(434)가 활성화되고 통상적인 위치등록 절차를 통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다(S30).Referring to FIG. 3,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pplies power to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and performs initialization (S20). 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434 is activated and performs the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rough the normal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S30).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호(Data Call, 예를 들어 무선인터넷 접속) 접속 명령(S40)이 있으면 이동통신단말(400)은 데이터 호 접속을 위하여 비동기 무선장치(420)의 RF를 담당하는 비동기 무선송신부 및 비동기 무선수신부(422 및 423)에 전원을 인가하고 초기화를 수행한다(S50).And if there is a data call (for example, wireless Internet access) connection command (S40)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400 is an asynchronous wireless transmitter for the RF of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for data call connection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asynchronous radio receivers 422 and 423 to perform initialization (S50).

단계 S50 수행후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통하여 수신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 세기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단말(400)의 위치 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서비스 영역 내인지를 판단한다(S60).After performing the step S5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ervic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ceived through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within the area (S60).

단계 S60에서 이동통신단말(400)의 위치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서비스 영역내라고 판단되면 비동기 무선장치(420)의 비동기 모뎀부(424)에 전원을 인가하고 초기화를 시킨다(S7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power is supplied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424 of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and initialized (S70).

그리고 동기 무선장치(430)를 비활성화하고(S80),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WCDMA 호(에어 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S90).The synchronous radio 430 is deactivated (S80), and a WCDMA call (air interface) is established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rough the asynchronous radio 420 (S90).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을 통하여 HA(320)로부터 모바일 아이피(MIP)를 부여받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100).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receives a mobile IP (MIP) from the HA 320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receives a data service (S100).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를 측정하여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S11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ntinuously measures the signa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n the course of receiving data service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an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go out (S110).

단계 S110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이동통신단말(400)의 위치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을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현재 비활성화 되어있는 동기 무선장치(430)를 활성화(S120)시킨다. 그리고 동기 무선장치(430)를 통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과의 CDMA2000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S1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out of th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that is currently deactivated is activated (S120). The CDMA2000 data call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established through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S130).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HA(320)로부터 모바일 아이피(MIP)를 부여받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140).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receives a mobile IP (MIP) from the HA 320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receives a data service (S140).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를 측정하여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한다(S15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ntinuously measures the signa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ourse of receiving data service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enters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S150).

단계 S150에서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단계 S70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 영역으로부터 비동기 영역으로 이동한 이동통신단말이 다시 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리고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이 다시 비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항상 또는 주기적으로 온(ON)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야 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0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enters th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tep S70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synchronous radio device 420 in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d from the synchronous area to the asynchronous area moves back to the synchronous area, and the mobile terminal moves back to the asynchronous area. Th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hould be measured by always or periodically turning 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영역으로부터 동기 영역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다. 즉, 도 4의 실시예는 도 3과는 달리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만을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an asynchronous area to a synchronous area and no longer receives a signal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ontrol method when the intensity is not measured is shown. That is, the embodiment of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only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nlike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400)에 전원이 인가(S210)되면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무선장치(430)에 전원을 인가하고 초기화를 수행한다(S220). 이에 따라 동기 모뎀부(434)가 활성화되고 통상적인 위치등록 절차를 통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다(S230).Referring to FIG. 4,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2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pplies power to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and performs initialization (S220). 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434 is activated and performs a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rough a general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S230).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호(Data Call, 예를 들어 무선인터넷 접속) 접속 명령(S240)이 있으면 이동통신단말(400)은 데이터 호 접속을 위하여 비동기 무선장치(420)의 RF를 담당하는 비동기 무선송신부 및 비동기 무선수신부(422 및 423)에 전원을 인가하고 초기화를 수행한다(S250).And if there is a data call (for example, wireless Internet access) connection command (S240) from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an asynchronous wireless transmitter for the RF of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for data call connection and Applies power to the asynchronous radio receivers 422 and 423 and performs initialization (S250).

단계 S250 수행후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통하여 수신 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 세기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단말(400)의 위치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서비스 영역 내인지를 판단한다(S260).After performing step S25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ervic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ceived through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within the area (S260).

단계 S260에서 이동통신단말(400)의 위치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서비스 영역내라고 판단되면 비동기 무선장치(420)의 비동기 모뎀부(424)에 전원을 인가하고 초기화를 시킨다(S27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60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power is supplied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424 of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and initialized (S270).

그리고 동기 무선장치(430)를 비활성화하고(S280),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WCDMA 호(에어 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S290).The synchronous radio 430 is deactivated (S280), and a WCDMA call (air interface) is established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rough the asynchronous radio 420 (S290).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을 통하여 HA(320)로부터 모바일 아이피(MIP)를 부여받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300).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receives a mobile IP (MIP) from the HA 320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receives a data service (S300).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를 측정하여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S31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ntinuously measures the signa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n the course of receiving data service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an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escape (S310).

단계 S310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이동통신단말(400)의 위치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을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현재 비활성화 되어있는 동기 무선장치(430)를 활성화(S320)시킨다. 그리고 동기 무선장치(430)를 통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과의 CDMA2000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S3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0 that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out of th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which is currently deactivated is activated (S320). The CDMA2000 data call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established through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S330).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HA(320)로부터 모바일 아이피(MIP)를 부여받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340).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영역으로부터 동기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여 데이터 호를 이용하면 되므로 이동통신단말의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항상 또는 주기적으로 온(ON)할 필요가 없다.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receives a mobile IP (MIP) from the HA 320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receives a data service (S340).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the asynchronous region to the synchronous region,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use a data call so that the asynchronous radio device 4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ways or periodically turned on. There is no need to do it.

도 5는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영역에서 동기 영역으로 이동할때의 핸드오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andover concept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an asynchronous region to a synchronous region.

도 5를 참조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WCDMA)(100)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기준값이하가 되는 시점(T1)에서 타이머를 작동하여 기준시간(ΔT)이 경과하는 시점(T2)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동기 무선장치(430)를 활성화시켜 핸드오프를 실시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signa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CDMA) 100 falls below the handover reference value to a preset synchronization network (T1), the timer is operated to time (T2) when the reference time ΔT elapses.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ynchronous radio 430 is activated to perform a handoff.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시간(ΔT)이 경과 했을때에도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의 세기가 핸드오버 기준값 이하가 되었을 경우 핸드오프를 실시하였으나, 상기 기준시간(ΔT)동안의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 세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이 소정값 이하가 될때를 핸드오프 실시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becomes less than the handover reference value even when the reference time ΔT elapses, handoff is performed. However,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the reference time ΔT is performed. The average value of the signal strength of 100) may be calculated, and the time whe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set as the time for performing handoff.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ff process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WCDMA, 100)과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S410). 데이터 호 설정 후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모바일 아이피(MIP) 등록 요청을 수행한다(S421).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IPDCN(140)에 접속된 HA(320)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구한다(S422).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establishes a data call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CDMA) 100 through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S410). After establishing the data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performs a mobile IP (MIP) registration request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421). Accordingly,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quests mobile IP registration to the HA 320 connected to the IPDCN 140 (S422).

단계 S422의 모바일 아이피 요구에 따라 HA(320)는 해당 이동통신단말(400) 에 대한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전송한다(S423).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상기 HA(320)로부터의 응답을 이동통신단말(400)로 전송한다(S424).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에서의 모바일 아이피(MIP)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S430).In response to the mobile IP request in step S422, the HA 320 registers the mobile IP for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accordingly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423).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ransmits the response from the HA 3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424).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may obtain a mobile IP (MIP)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receive data requested by the user (S430).

한편,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에서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으로 이동(S440)하게 되면, 즉 각 이동통신망(100 및 200)의 경계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술한 도 5에서의 설명과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동기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which is currently receiving data services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moves from th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the area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440). When the mobile station 100 moves to the boundary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200, the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determined as described in FIG.

상기 조건에 따라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에서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무선장치(430)를 통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과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S4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ccording to the above con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mmunicates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the data call via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Set to (S450).

상기 단계 S450에서 이동통신단말(400)과 동기 이동통신망(200)과의 데이터 호가 설정된다 하더라도 사용자 요청 데이터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을 통하여 제공받는다(S460).Even if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established in step S450, user request data is provided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460).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을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받는 가운데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모바일 아이피(MIP) 등록 요청을 수행한다(S471). 이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200)은 DCN(240)에 접속된 HA(320)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구한다(S472).While receiving user data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performs a mobile IP (MIP) registration request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471). 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requests the mobile IP registration to the HA 320 connected to the DCN 240 (S472).

단계 S472의 모바일 아이피 요구에 따라 HA(320)는 해당 이동통신단말(400)에 대한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전송한다(S473). 동기 이동통신망(200)은 상기 HA(320)로부터의 응답을 이동통신단말(400)로 전송한다(S474).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100)에서의 모바일 아이피(MIP)를 획득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을 통하여 제공받던 데이터를 동기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S480).In response to the mobile IP request in step S472, the HA 320 registers the mobile IP for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473).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ransmits the response from the HA 3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474).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may acquire a mobile IP (MIP)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receive data provided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 S480).

그리고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데이터 호를 해제한다(S49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releases the data call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490).

도 7은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영역에서 비동기 영역으로 이동할때의 핸드오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andover concept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a synchronous area to an asynchronous area.

도 7을 참조하면, 동기 이동통신망(200)을 이용한 데이터 호 통신중 비동기 이동통신망(WCDMA)(100)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비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T1)에서 타이머를 작동하여 기준시간(ΔT)이 경과하는 시점(T2)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활성화시켜 핸드오프를 실시한다.Referring to FIG. 7, a timer is operated at a time point T1 during which a signal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CDMA) 100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handover reference value to asynchronous network during data call communication us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t the time T2 at which the reference time ΔT elapses,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is activated to perform a handoff.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시간(ΔT)이 경과 했을때에도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의 세기가 핸드오버 기준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 핸드오프를 실시하였으나, 상기 기준시간(ΔT) 동안의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 세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이 소정값 이상이 될때를 핸드오프 실시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exceeds the handover reference value even when the reference time ΔT elapses, handoff is performed. However,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the reference time ΔT is performed. The average value of the signal strength of 100) may be calculated, and the time whe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may be set as the time for performing handoff.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ff process from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무선장치(430)를 통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과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S510). 데이터 호 설정 후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모바일 아이피(MIP) 등록 요청을 수행한다(S521). 이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200)은 DCN(240)에 접속된 HA(320)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구한다(S522).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establishes a data call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rough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S510). After establishing the data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performs a mobile IP (MIP) registration request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521). 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requests mobile IP registration to the HA 320 connected to the DCN 240 (S522).

단계 S522의 모바일 아이피 요구에 따라 HA(320)는 해당 이동통신단말(400)에 대한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전송한다(S523). 동기 이동통신망(200)은 상기 HA(320)로부터의 응답을 이동통신단말(400)로 전송한다(S524).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의 모바일 아이피(MIP)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S530).In response to the mobile IP request in step S522, the HA 320 registers the mobile IP for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523).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ransmits the response from the HA 3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524).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may acquire a mobile IP (MIP)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receive data requested by the user (S530).

한편, 현재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이동통신단말(400)이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으로 이동(S540)하게 되면, 즉 이동통신단말(400)이 각 이동통신망(100 및 200)의 경계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술한 도 7에서의 설명과 같이 동기 이동통신망(200) 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의 핸드오버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urrently receiving data service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moves from the area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o th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540), that is, moving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moves to the boundary area of e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100 and 200, the handover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determined as described in FIG. 7. .

상기 조건에 따라서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무선장치(420)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S5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the above con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mmunicates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data call via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Set (S550).

상기 단계 S550에서 이동통신단말(400)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데이터 호가 설정된다 하더라도 사용자 요청 데이터는 동기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제공받는다(S560).Even if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established in step S550, the user request data is provided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560).

동기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받는 가운데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모바일 아이피(MIP) 등록 요청을 수행한다(S571).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IPDCN(140)에 접속된 HA(320)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구한다(S572).While receiving user data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performs a mobile IP (MIP) registration request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571). Accordingly,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quests the mobile IP registration to the HA 320 connected to the IPDCN 140 (S572).

단계 S572의 모바일 아이피 요구에 따라 HA(320)는 해당 이동통신단말(400)에 대한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전송한다(S573).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상기 HA(320)로부터의 응답을 이동통신단말(400)로 전송한다(S574).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의 모바일 아이피(MIP)를 획득하고 동기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제공받던 데이터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S580).In response to the mobile IP request in step S572, the HA 320 registers the mobile IP for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ransmits the response message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573).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ransmits the response from the HA 3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574).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may acquire a mobile IP (MIP)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receive data provided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 S580).

그리고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과의 데이터 호를 해제한다(S59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releases the data call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59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에 의하면,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데이타 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에 대해 핸드오버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동기식 이동통신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호의 끊김없는 원활한 핸드오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with a data cal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By preventing data loss during handover to the terminal, seamless handover of the data call is possible in the synchronous mobile network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7)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를 구비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으로서,An antenna for radio 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for performing a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and performing 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ynchronous radio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데이터 호 접속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는 1단계,Step 1 of activating a radio transceiver of the asynchronous radio when a dat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상기 활성화된 비동기 무선장치의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2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through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the activated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상기 2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일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비동기 모뎀을 활성화하는 3단계,A third step of activating an asynchronous modem of the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in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2,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모바일 아이피를 획득하고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4단계,Obtaining a mobile IP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data service through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상기 4단계 수행중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를 위한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5단계,A fif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for a handover during the fourth step;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는 6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tep 6 of waiting for a preset reference time to elapse;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And determining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and performing a handover. 7.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1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의 초기 전원 투입시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초기 접속 이동통신망을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설정하고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Before performing the step 1, when the initial power is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setting and connecting an initial acc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ethod of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2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이 아닐 경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모바일 아이피를 요청하고 데이터 호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If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in step 2, requesting a mobile IP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a data call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7단계는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 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일 경우 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고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Step 7 is a step of activating a synchronous radio and performing a handover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fter the reference time elapses.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6단계는,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할때 까지 상기 신호세기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이며,Step 6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until the reference time elaps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상기 7단계는,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의 평균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 이하일 경우 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고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Step 7 is a step of activating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and performing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Contro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mode.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7단계 이후, 이동통신단말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제어방법.And after the step 7,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를 구비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과 모바일 아이피 등록/관리를 위한 홈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An asynchronous mobile device having an antenna for radio 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 asynchronous radio device for performing a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and a synchronous radio device for performing 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A data call handover method betwee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home agent for mobile IP registration / management, 이동통신단말에서 데이터 호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데이터 호 서비스를 받는 1단계,A step 1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s a mobile IP throug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a data call service when a data call connectio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1단계 수행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경계지역으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2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step 1; 상기 2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경계지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를 위한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3단계,Determining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for hando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undary area in step 2;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는 4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four steps of waiting until a preset reference time elapses,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는 5단계,Determining whether to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상기 5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과 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고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는 6단계,In step 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step 6 of setting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gistering the mobile IP, 상기 6단계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한 후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되던 데이터 호를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서비스를 연계하는 7단계,Registering the mobile IP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6 and then linking the service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call serviced by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7단계 후 이동통신단말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호를 해제하는 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And an eight step of releasing data call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seventh step.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1단계는, 이동통신단말에서 데이터 호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 동통신단말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이 홈 에이전트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In the first step, when a data call connection event occu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 mobile IP registration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according to the requ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ing a mobile IP registration to the home agent and receiving a respons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6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이 홈 에이전트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In the sixth step, setting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a mobile IP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ing a mobile IP registration with an agent and receiving a response; and a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5단계는,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 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일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Step 5 is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Handover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4단계는,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때 까지 상기 신호세기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이며,In step 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is calculated until a preset reference time elapses. 상기 5단계는,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 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의 평균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 이하일 경우 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고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In the step 5,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if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step of activating the synchronous radio and determining that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7단계 이후,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비동기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8단계; 및An eighth step after the seventh step, by measuring a signa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wireless transceiver of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and check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asynchronous area;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비동기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3단계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방법.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asynchronous reg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dual-band / dual mod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nine steps to proceed to the third step and repeating the subsequent process.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를 구비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과, 모바일 아이피 등록/관리를 위한 홈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An asynchronous mobile device having an antenna for radio 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 asynchronous radio device for performing a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and a synchronous radio device for performing 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In the data call handover method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home agent for mobile IP registration / management, 이동통신단말에서 데이터 호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고 데이터 호 서비스를 받는 1단계,A step 1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s a mobile IP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a data call service when a data call connectio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1단계 수행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경계지역으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2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step 1; 상기 2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경계지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되면 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가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를 위한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3단계,Determining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or handover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undary region;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는 4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four steps of waiting until a preset reference time elapses,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는 5단계,Determining whether to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상기 5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과 비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고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하는 6단계,In step 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step 6 of setting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gistering the mobile IP, 상기 6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피를 등록한 후 동기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되던 데이터 호를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서비스를 연계하는 7단계,Step 7 of registering the mobile IP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6 and linking the data call serviced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7단계 후 이동통신단말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호를 해제하는 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방법.And an eight step of releasing data call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seventh step.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1단계는, 이동통신단말에서 데이터 호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이 홈 에이전트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법.In the first step, when a data call connection event occu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questing a mobile IP registration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questing, by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home IP to the home agent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receiving a response. 2.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s dual band / dual mod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6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간의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이 홈 에이전트로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법.In the step 6, setting a dat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a mobile IP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request home Requesting a mobile IP registration with an agent and receiving a response; and a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5단계는,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일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법.Step 5 is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fter the reference time passes, wherein the data call ha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dual band / dual mode is performed. Over way.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4단계는, 상기 신호세기가 상기 기준값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신호세기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이며,In step 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until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elapses. 상기 5단계는, 상기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의 평균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 이하일 경우 비동기 무선장치를 활성화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데이터 호 핸드오버 방법.Step 5 is a step of determining that aft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when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o activate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and performs a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band / dual mode.
KR1020030078128A 2003-11-05 2003-11-05 Control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pired - Fee Related KR100646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28A KR100646226B1 (en) 2003-11-05 2003-11-05 Control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28A KR100646226B1 (en) 2003-11-05 2003-11-05 Control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93A KR20050043293A (en) 2005-05-11
KR100646226B1 true KR100646226B1 (en) 2006-11-17

Family

ID=3724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1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6226B1 (en) 2003-11-05 2003-11-05 Control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2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376B1 (en) * 2006-02-06 2012-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Saving Method of Dual Mod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79664B1 (en) * 2006-02-28 2009-01-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Traffic hand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257110B1 (en) * 2006-04-12 2013-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et service reconnection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93A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5620A1 (en) Signaling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JP3757374B2 (en) Inter-system handover
US8068446B2 (en) Method of efficiently processing dormant state in packet service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US7957352B2 (en) Inter-system handoff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TWI423702B (en) Tracking area choice
EP1929828B1 (en)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7974630B1 (en) Releasing a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345626B2 (en) Handover method for minimizing packet call reconnection delay time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chemes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US20140160976A1 (en) Exchange of Mobility Information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WO2006080749A1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CN101779386A (en) Transmission of uplink power control parameters during handover
WO2008053844A1 (en) User device and method used in user device
JP4606470B2 (en) Data call handover method for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6226B1 (en) Control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of dual band /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802024B (en) Method for carrying out management on information of terminal quitting idle mode
KR100612685B1 (en)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JP4584319B2 (en) Handover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 bo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KR101005176B1 (en) Handover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KR20050037894A (en)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527776A (en) Handover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KR101004824B1 (en) Handover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RU2722418C2 (en) Alarm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KR100976935B1 (en) Handover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WO202517906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feeder link unavailability management
KR100367410B1 (en) Method for reducing time latency in handover proced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U15-X000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11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10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