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463B1 - Home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Home network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7463B1 KR100657463B1 KR1020040019423A KR20040019423A KR100657463B1 KR 100657463 B1 KR100657463 B1 KR 100657463B1 KR 1020040019423 A KR1020040019423 A KR 1020040019423A KR 20040019423 A KR20040019423 A KR 20040019423A KR 100657463 B1 KR100657463 B1 KR 1006574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me
- passive
- network
- electronic device
- home ser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은 수동형 가전기기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내 구축된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또는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홈서버와, 상태변화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은 한 개 이상의 수동형 가전기기와, 상기 한 개 이상의 수동형 가전기기가 상기 홈서버와 네트워킹되도록 각 센서의 감지결과를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홈서버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은 수동형 가전기기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성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호환성 및 응용범위가 확장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system configured to monitor a status of a passive home appliance not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server performing a state monitoring or operation control of a home appliance connected to a network constructed in a building, and a state change. A sensor is provided for detecting a signal, and at least one passive home appliance not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of each sensor to the home server so that the at least one passive home appliance is networked with the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me serv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bridge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passive home appliances, so that the status monitoring of the passive home appliances that are not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to enable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passive home appliances Home network system is configured of the home network system The shouts and the application range is extended.
홈서버, 수동형 가전기기, 마이컴, 브릿지Home Server, Passive Appliances, Micom, Bridge
Description
도 1 은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ypical home network system;
도 2 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세구성도이다.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홈서버 200: 브릿지100: home server 200: bridge
210: 직렬포트 220: 마이컴210: serial port 220: microcomputer
230: 릴레이 240: 연결포트230: relay 240: connection port
300~302: 수동형 가전기기 400~402: 능동형 가전기기300 ~ 302: Passive home appliances 400 ~ 402: Active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는 수동형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한 개 이상의 수동형 전자기기가 홈서버와 네트워킹되도록 각 수동형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홈서버로 전송하는 동시에, 홈서버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동형 전자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브릿지를 구비하여 수동형 전자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및 동작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for controlling a passive electronic device that is not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state information of each passive electronic device to a home server so that at least one passive electronic device is networked with a home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having a bridg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passiv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tate, and enabling the state monitoring and operation control of the passive electronic device.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home network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최근 들어 가정 또는 건물 내에 구축된 네트워크 망(N)에 전자기기에 속하는 다수개의 가전기기(C1 내지 Cn)를 연결하여 상기 다수개의 가전기기의 상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축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인터넷망(I)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개의 가전기기를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영역을 확장하는 시스템이 개발중이다. In recent years, the construction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C1 to Cn) belonging to an electronic device to a network network N built in a home or building enables mutual control of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t is increasing. In addition, a system for extending the control area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n or outside the building by using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I) is under development.
상기 네트워크망(N)의 사용자가 상기 가전기기(C1 내지 Cn)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기를 홈서버(10)라 하는데, 상기 홈서버(10)는 상기 네트워크망(N)에 연결된 가전기기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 상태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네트워크망(N)에 연결된 다수개의 가전기기(C1 내지 Cn)로 송수신되는 신호 부하를 해결할 수 있는 제어부( 마이컴)가 구비된 능동형 가전기기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인터넷 냉장고가 상기 홈서버(10)로 이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A user of the network N may input a control command to the home appliances C1 to Cn, and a device capable of grasping the state of the home appliance is called a
여기서, 상기 가전기기(C1 내지 Cn)는 크게 마이컴이 구비되어 상기 홈서버(10)로부터 직접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동작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동형 가전기기와, 상기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아 네트워킹 기기로 이용할 수 없고, 사람에 의해 직접 수동으로 입력된 명령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수동형 가전기기로 구분할 수 있다. Here, the home appliances (C1 to Cn) is largely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active home appliances that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directly from the
상기 능동형 가전기기의 예로는 세탁기, 에어컨, 컴퓨터, 텔레비전 등이 있고,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의 예로는 전등, 가스밸브, 전동커튼 등으로서, 개폐기능 또는 온/오프기능과 같이 단순한 기능으로만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능동형 가전기기의 경우에만 상기 홈서버(10)와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네트워킹 가전기기로서 이용될 수 있었다. Examples of the active home appliance include a washing machine, an air conditioner, a computer, a television,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assive home appliance include a lamp, a gas valve, an electric curtain, and operate only with a simple function such as an opening / closing function or an on / off function. . Therefore, only the active home appliance could be used as a networking home appliance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즉, 상기 능동형 가전기기만이 홈서버(10)와 네트워킹이 가능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대상으로 인식될 수 있었고,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은 수동형 가전기기의 경우 수동조작만이 가능하여 홈서버를 이용한 동작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only the active home appliance can be recognized as a control target of the home network system by networking with the
특히, 사용빈도가 높은 전등, 전동커튼과 같은 단순/소형가전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 해결을 위해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모든 가전기기에 마이컴 및 네트워크 모뎀을 구비하여 제어대상을 확장시켰으므로 생산단가가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simple / small appliances such as electric lamps and electric curtains, which are frequently used, cannot be controlled, conventional home network systems are equipped with a microcomputer and a network modem in all home appliances, thereby expanding the control target. In addition to the significant incre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ystem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형 전자기기에 별도 마이컴 및 네트워크 모뎀을 구비하지 않고도 네트워크를 통해 홈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수동형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브릿지를 이용하여 제어대상을 확장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bridge connected to one or more passive electronic devices so that opera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a home server through a network without a separate microcomputer and a network modem. It is intended to provide a network system that can extend the control targe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특징에 따르면, 건물내 구축된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또는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홈서버와, 상태변화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은 한 개 이상의 수동형 전자기기와, 상기 한 개 이상의 수동형 전자기기가 상기 홈서버와 네트워킹되도록 각 센서의 감지결과를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홈서버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동형 전자기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home server for performing a state monitoring or operation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network constructed in the building,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change At least one passive electronic device not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and at least one passive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of each sensor to the home server so that the at least one passive electronic device is networked with the home server,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idge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passive electronic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가전기기를 전자기기의 예로 들어 설명하고, 홈네트워크를 네트워크의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home appliances are described as examples of electronic devices, and home networks are described as examples of networks.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3 은 수동형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세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system for controlling a passive home appliance.
본 발명에 의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은 도 2 에 도시된 바에 따라, 건물내 구축된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또는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홈서버(100)를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includes a home server 100 for performing a state monitoring or operation control of home appliances connected to the network network built in the building.
일반적으로 홈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망(N)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능동형 가전기기(400 내지 402)를 제어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 홈서버(100)는 다수개의 가전기기 중 동작대기/동작진행/동작완료 등의 동작 상태 및 각 가전기기의 고유 기능 중 활성화된 기능의 세부적인 조절사항 등의 상세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home server 100 controls and manages a plurality of active home appliances 400 to 402 connected to the network N. FIG. Therefore, the home server 100 stores and manage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statuses such as operation standby / operation progress / operation completion amo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and detailed adjustments of activated functions among the unique functions of each home appliance. Device.
여기서 능동형 가전기기(400 내지 402)는 마이컴 및 네트워크 모뎀이 구비되어 상기 홈서버(100)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여, 상기 홈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결과를 송신할 수 있는 가전기기로서, 세탁기, 에어컨, 컴퓨터, 텔레비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Here, the active home appliances 400 to 402 are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and a network modem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the home server 100,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home server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and transmit a control result. Examples of the home appliances include a washing machine, an air conditioner, a computer, a television, and the like.
따라서 상기 홈서버(100)는 네트워크 모뎀(M)을 통해 상기 능동형 가전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능동형 가전기기(400 내지 402)의 상태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능동형 가전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령하는 마이컴(미도시)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Therefore, the home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active home appliance through a network modem (M), performs the state monitoring of the active home appliances (400 to 402), the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active home appliance It basically includes a microcomputer (not shown) that issues a.
이에 반해, 개폐기능 또는 온/오프기능과 같이 단순한 기능으로만 동작하는 전등, 가스밸브, 전동커튼, 창문 등의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는 같이 마이 컴이 별도 구비되지 않아 상기 홈서버(100)와 네트워킹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통해 동작제어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passive home appliances (300 to 302) such as lamps, gas valves, electric curtains, windows, etc., which operate only with simple functions such as opening / closing functions or on / off functions, are not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100) and networking can not be done, the operation control is possible through the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가 병렬로 연결되어 공용 마이컴을 공유할 수 있는 브릿지(200)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와 홈서버(100)간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해져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해 진다.Accordingly, the hom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bridge 200 to which the
상기 브릿지(200)는 홈서버(100)와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 사이의 중간 모듈로서 상기 홈서버가 마이컴을 구비하지 않은 다수개의 가전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모뎀(M)이 연결되는 직렬포트(210)와, 상기 연결포트(240)에 연결된 한 개 이상의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 중 제어대상이 되는 특정 가전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릴레이(230)와, 상기 릴레이(2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동형 가전기기로 상기 홈서버(100)에서 발령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상기 홈서버(100)로 전송하는 마이컴(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ridge 200 is an intermediate module between the home server 100 and the
또한 상기 브릿지(200)는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의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 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연결포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수동형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200 includes a connection port 240 for receiving an operation stat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s of the passive home appliances (300 to 302) to receive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assive home appliances Can be received.
따라서,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가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센서는 수동형 가전기기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상태 변화신호를 생성하여 브릿지(200)로 전송한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센서에서 전송된 상태 변화신호는 릴레이(230)를 통해 전기적으로 마이컴(220)과 연결되고, 상기 마이컴은 상태 변화가 발생한 수동형 가전기기의 상태 신호를 상기 홈서버(100)로 전송한다.The state chan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220 through the relay 230, and the microcomputer transmits the state signal of the passive home appliance in which the state change has occurred to the home server 100.
따라서 상기 홈서버(100)는 브릿지(200)로부터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의 상태변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Therefore, as the home server 100 receives the state change signal of the
예를 들어, 전동커튼(300) 상태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전동커튼(300)에 구비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태변화신호를 상기 브릿지(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브릿지(200)의 릴레이(230)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브릿지(200)의 연결포트(240)를 통해 수신된 전동커튼의 상태변화 신호는 상기 마이컴(220)으로 전송된다.For example, when a state change of the
상기 마이컴(200)은 수신된 전동커튼의 상태변화 신호를 상기 홈서버(100)로 전송하는데, 상기 브릿지(200)는 상기 홈서버(100)와 네트워크 모뎀(M)을 통해 연결된다.The microcomputer 200 transmits the received state change signal of the electric curtain to the home server 100, and the bridge 200 is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modem M.
이때, 상기 네트워크 모뎀(M)은 네트워크망의 종류에 따라 그 상이한 통신규격을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하는바, 전력선 모뎀 또는 무선 RF모뎀이 이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etwork modem (M)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type of network, a power line modem or a wireless RF modem can be used.
만일, 상기 브릿지(200)에 연결된 다수개의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가 동시에 상태 변화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릴레이(230)가 구동되어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의 상태변화 신호를 마이컴(220)으로 전송하게 된다.If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홈서버(100)가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각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에 별도의 마이컴 및 네트워크 모뎀을 장착하지 않고도, 상기 브릿지(200)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Therefore, the home server 100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micom and network modem in each of the passive home appliances (300 to 302) in order to monitor the state of the passive home appliances (300 to 302), the bridge ( The state monitoring of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의 온/오프 또는 개폐 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홈서버(100)는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의 동작 제어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when a driving unit (not shown) capable of controlling on / off or opening / closing of the
즉, 상기 홈서버(100)가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로부터 상태변화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의 동작제어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홈서버(100)는 상기 브릿지(200)로 해당하는 수동형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That is, when the home server 100 receives the state change signal from the
상기 브릿지(200)의 마이컴(220)은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릴레이(230)가 구동되어 상기 마이컴(220)과 수동형 가전기기는 연결포트(24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microcomputer 220 of the bridge 2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예를 들어, 가스밸브(301)의 센서가 상기 가스밸브(301)가 오픈된 것을 감지하여 가스밸브 상태신호를 상기 홈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홈서버(100)가 상기 가스밸브(301)를 닫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령하는 경우, 상기 브릿지(200)가 상기 가스밸브(320)와 홈서버(100) 사이에서 상태신호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중개한다.For example, the sensor of the
이에 따라, 상기 홈서버(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가스밸브(320)의 구동부(미도시)가 동작되어 상기 가스밸브를 닫게 된다.Accordingly, the driving unit (not shown) of the gas valve 32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home server 100 is operated to close the gas valve.
따라서, 제어신호를 수신한 수동형 가전기기(300 내지 302)가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상기 홈서버(100)는 상기 수동형 가전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동작제어도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동형 전자기기에 별도 마이컴 및 네트워크 모뎀을 구비하지 않고도 네트워크망을 통해 홈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수동형 전자기기의 상태 모니터링은 물론,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홈서버와 상기 수동형 전자기기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중개하는 브릿지를 이용하여 상기 홈서버의 제어대상을 확장시켜 저 비용으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home server through a network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microcomputer and a network modem in a passive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bridge that mediat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etween the home server and the passiv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target of the home server can be extended to build an efficient network system at low cos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19423A KR100657463B1 (en) | 2004-03-22 | 2004-03-22 | Home network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19423A KR100657463B1 (en) | 2004-03-22 | 2004-03-22 | Home network syste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94252A KR20050094252A (en) | 2005-09-27 |
| KR100657463B1 true KR100657463B1 (en) | 2006-12-13 |
Family
ID=3727511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194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7463B1 (en) | 2004-03-22 | 2004-03-22 | Home network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5746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09887A (en) * | 2006-07-25 | 2008-01-30 | 최윤정 | Home management system |
| CN105867159A (en) * | 2016-05-31 | 2016-08-17 | 邓俊生 | Network control system of smart home |
-
2004
- 2004-03-22 KR KR1020040019423A patent/KR1006574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94252A (en) | 2005-09-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56871B1 (en) | 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 |
| CN100454855C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household appliances | |
| US20140253301A1 (en) |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 |
| US20110112692A1 (en) |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and heaters with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s | |
| KR200427916Y1 (en) |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using direct digital controller of keypad type and 2-wire DC power line communication | |
| KR101091001B1 (en) | Muliti-tap for sensor network system having dimming function | |
| KR100657463B1 (en) | Home network system | |
| KR20030050407A (en) | PLC remote control switch | |
| EP1570576B1 (en) | Method for setting home code of home network system | |
| KR100836886B1 (en) | Power control system with human body sensor | |
| KR100511621B1 (en) | Home network system by electric charging equipment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ame control method | |
| EP3703426B1 (en) | Wireless device and device control system | |
| KR20060096558A (en) | Door lock control method in home network system | |
| KR101673576B1 (en) | Smart build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Fatimah et al. | Iot Based Home Automation | |
| JPH09215067A (en) | Intelligent system for consumer electric product | |
| JP2004320146A (en) |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 |
| CN201919033U (en) | Home intelligent wireless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 |
| CN109982031B (en) | Household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 |
| WO2009037573A2 (en) | Utility outlets as a security system | |
| KR20060117655A (en) | Standby Power Reduction Method Using Zigbee Structure | |
| KR100437044B1 (en) |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 JP2005354159A (en) | Communication module | |
| KR101608329B1 (en) | A sensor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dual communication mode and the method thereof | |
| KR100712922B1 (en) | Network integrated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20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