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987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1987B1 KR100651987B1 KR1020040074882A KR20040074882A KR100651987B1 KR 100651987 B1 KR100651987 B1 KR 100651987B1 KR 1020040074882 A KR1020040074882 A KR 1020040074882A KR 20040074882 A KR20040074882 A KR 20040074882A KR 100651987 B1 KR100651987 B1 KR 1006519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locker
- separation
- mobile communication
- terminal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과,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수납홈 내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부의 힘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팩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록커와, 수납홈 및 록커에 형성되어 록커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수단 및, 수납홈 내에서 스프링의 나사선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록커 조립시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고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erminal body, a battery pack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body, a spring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terminal body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to the outside A lock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ttery pack by moving by the force of the spring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locker to prevent the lock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in an assembled state; It is form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thread of the spring in the receiving groove is made of a fixing rib for fixing the spring when assembling the locker.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록킹장치, 스프링, 이탈방지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pack, locking device, spring, separation preven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록킹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터리팩이 장착된 것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battery pack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device shown in FIG. 1 is assembl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록킹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터리팩이 장착된 것을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a battery pack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device shown in FIG. 1 is assembl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단말기 본체 13 : 수납홈11: terminal body 13: storage groove
15 : 스프링 17 : 고정리브15: spring 17: fixed rib
19 : 탈착방지돌기 21 : 가이드홈19: Desorption prevention protrusion 21: Guide groove
23 : 록커 25 : 스토퍼23: Rocker 25: Stopper
27 : 가이드 29 : 록킹돌기27: guide 29: locking protrusion
31 : 배터리 33 : 록킹홈31: battery 33: locking groov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본체에 스프링을 고정시켜 락커를 조립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when assembling the locker by fixing the spring to the terminal body.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반복적으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록킹(locking) 장치를 통해 단말기 본체에 팩(pack) 상태로 록킹 및 언록킹(unlocking)되게 결합된다.In general, a battery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locked and unlocked in a pack state to the terminal body through a locking device. are combined to be unlocking).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는 록킹돌기가 형성된 록커(locker)가 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수납홈 내에 위치하는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외부의 힘과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한 록커의 이동에 의해 록킹홈을 갖는 배터리팩을 록킹 및 언록킹시킨다.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such that a locker (locker)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located in an accommodating groov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due to external force and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he battery pack having the locking groove is locked and unlocked by the movement of the locker.
상기에서 록킹 장치는 힘을 가하여 록커를 단말기 본체의 상부 방향인 스프링의 압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배터리팩을 부착시키고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어 록킹돌기가 배터리팩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이 배터리팩을 누르는 것에 의해 록킹된다. 그리고, 힘을 가하여 록커를 단말기 본체의 상부 방향인 스프링의 압축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키면 록킹돌기가 배터리팩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이 배터리팩은 언록킹 상태가 되어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The locking device applies a force to move the locker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spring, which is the upper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and then attaches the battery pack and removes the force so that the locking device is repositio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pack is locked by pressing the battery pack. When the locker is moved again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spring, which is the upper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by applying a force, the locking protrusion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of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pack is unlocked and is detachable.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는 록커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말기 본체에 록커를 조립할 때 스프링이 움직이므로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ssemble because the spring moves when assembling the locker to the terminal body because the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er is not fix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을 고정시켜 단말기 본체에 록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easily assemble a locker to the terminal body by fixing the sp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과,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수납홈 내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부의 힘과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팩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록커와, 상기 수납홈 및 상기 록커에 형성되어 상기 록커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수단 및, 상기 수납홈 내에서 상기 스프링의 나사선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록커 조립시 상기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고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erminal body, a battery pack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body, a spring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terminal body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cker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and moves by an external force and a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o lock or unlock the battery pack, and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locker and the locker is assembled. It is formed to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separation from the, and the fixing rib for fixing the spring when the locker is form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screw thread of the spring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에서 분리방지수단은 상기 단말기로 부터 상기 록커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분리방지수단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수직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분리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includes a first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locker from being separated in the elastic direction of the spring from the terminal, and a second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sepa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상기에서 제 1 분리방지수단은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탈착방지돌기와, 상기 록커의 내부 표면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록커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탈착방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separ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of a removal preventing projec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stopper formed to exte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er is supported by the removal preventing projection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locker.
상기 탈착방지돌기는 스프링의 압축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고 탄성 방향으로 수직면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detachment preventing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spring and a vertical surface in the elastic direction.
상기에서 제 2 분리방지수단은 상기 수납홈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록커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of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and guid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cker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상기에서 고정리브는 상기 스프링이 압축 방향측에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The fixed rib is formed so that the spring is insert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s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록킹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터리팩이 장착된 것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록킹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터리팩이 장착된 것을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ttery pack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device shown in FIG. 1 is assembl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pack mounted with the bb line when the locking device shown in FIG. 1 is assembl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는 스프링(15), 고정리브(17), 록커(23), 탈착방지돌기(19), 가이드홈(21), 스토퍼(stopper : 25), 가이드(27)을 포함한다.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에서 스프링(15)은 록킹홈(33)이 형성된 배터리팩(31)이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11)에 형성된 수납홈(13) 내에 위치하여 조립된 록커(23)를 탄성 지지한다.The
고정리브(17)는 수납홈(13) 내에 형성되며 스프링(15)이 탄성 방향, 즉, 단말기 본체(11)의 하부 방향과 수직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에서 고정리브(17)는 스프링(15)의 압축 방향측이 삽입되어 탄성을 갖는 부분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도록 한다. 그러므로, 고정리브(17)는 스프링(15)을 고정시켜 단말기 본체(11)에 록커(23)를 조립할 때 이 스프링(15)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리브(17)가 스프링(15)의 탄성을 갖는 부분이 크게 감소되지 않도록 하므로 이 스프링(15)은 단말기 본체(11)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된 록커(23)를 원위치시키는 복원력이 감소되지 않는다.The
록커(23)는 스프링(15)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외부의 힘과 상기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록킹돌기(29)가 록킹홈(33)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배터리팩(31)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킨다.The
상기에서 록커(23)를 단말기 본체(11)의 상부 방향인 스프링(15)의 압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배터리팩(31)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힘을 제거하면 록커(23)는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므로 록킹돌기(29)가 록킹홈(33)에 삽입되어 배터리팩(31)을 누르는 것에 의해 록킹된다. 그리고, 배터리팩(31)이 록킹된 상태에서 록커(23)를 단말기 본체의 상부 방향인 스프링의 압축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키면 록킹돌기(29)가 록킹홈(33)에서 이탈되므로 배터리팩(31)은 언록킹 상태가 되어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탈착방지돌기(19), 가이드홈(21), 스토퍼(25) 및 가이드(27)는 록커(23)가 조립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11)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수단이다. 상기에서 탈착방지돌기(19) 및 스토퍼(25)는 록커(23)가 스프링(15)의 탄성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분리방지수단이고, 가이드홈(21) 및 가이드(27)는 록커(23)가 단말기 본체(11)의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분리방지수단이 된다.
상기에서 제 1 분리방지수단을 이루는 탈착방지돌기(19)는 수납홈(13)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스토퍼(25)는 록커(23)의 내부 표면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록커(23)가 단말기 본체(11)에 조립된 상태에 탈착방지돌기(19)에 탄성 지지되게 형성된다. 탈착방지돌기(19)는 스프링(15)의 압축 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져 록커(23)를 조립할 때 스토퍼(25)가 이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탄성 방향으로 수직면을 가져 록커(23)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토퍼(2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제 1 분리방지수단은 단말기 본체(11)로 부터 록커(23)가 스프링(15)의 탄성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esorption prevention projection (19) forming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제 2 분리방지수단을 이루는 가이드홈(21)은 수납홈(13)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가이드(27)는 록커(23)의 양측에 형성되어 록커(23)가 단말기 본체(11)에 조립되면 가이드홈(21) 내에 가이드(27)가 삽입된다. 그러므로, 제 2 분리방지수단은 록커(23)가 단말기 본체(11)의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attery lock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수납홈(13) 내에 형성된 고정리브(17)에 스프링(15)을 탄성 방향, 즉, 단말기 본체(11)의 하부 방향과 수직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때, 고정리브(17)에 스프링(15)을 탄성을 갖는 부분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도록 압축 방향측을 삽입시킨다. The
그리고, 단말기 본체(11)에 록커(23)를 조립한다. 상기에서 록커(23)는 가이드홈(21)에 가이드(27)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25)가 탈착방지돌기(19)의 경사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수직면에 접촉될 때까지 스프링(15)을 압축하도록 힘을 가하여 조립한다. 이 때, 스프링(15)이 고정리브(17)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록커(23)의 조립이 용이하다.Then, the
록커(23)는 조립된 상태에서 탈착방지돌기(19)와 스토퍼(25)로 이루어진 제 1 분리방지수단에 의해 단말기 본체(11)에서 스프링(15)의 탄성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가이드홈(21)과 가이드(27)로 이루어진 제 2 분리방지수단에 의해 단말기 본체(11)의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힘을 가하여 록커(23)를 단말기 본체(11)의 상부 방향인 스프링(15)의 압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1)에 배터리팩(31)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록커(23)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록커(23)는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며, 이에 의해, 록킹돌기(29)가 록킹홈(33)에 삽입되어 배터리팩(31)을 눌러 록킹한다. 그리고, 배터리팩(31)이 록킹된 상태에서 록커(23)를 단말기 본체(11)의 상부 방향인 스프링의 압축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키면 록킹돌기(29)가 록킹홈(33)에서 이탈되므로 배터리팩(31)은 언록킹 상태가 되어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The battery lock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applies the force to mov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홈 내에 고정리브가 형성되어 스프링을 탄성을 갖는 부분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도록 압축 방향측을 탄성 방향과 수직되게 삽입하여 고정시키므로 단말기 본체에 로커를 조립할 때 이 스프링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rib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spring is inserted and fixed perpendicularly to the elastic direction so that the spring does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portion having elasticity. Do no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이 고정리브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단말기 본체에 록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locker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terminal body because the spring is fixed so as not to move by the fixing rib.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74882A KR100651987B1 (en) | 2004-09-18 | 2004-09-18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B2005100510325A CN100394699C (en) | 2004-09-18 | 2005-02-25 | A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74882A KR100651987B1 (en) | 2004-09-18 | 2004-09-18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25969A KR20060025969A (en) | 2006-03-22 |
| KR100651987B1 true KR100651987B1 (en) | 2006-12-01 |
Family
ID=3660570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748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1987B1 (en) | 2004-09-18 | 2004-09-18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51987B1 (en) |
| CN (1) | CN100394699C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218637A (en) * | 2014-08-20 | 2014-12-17 | 长兴飞扬动力能源科技有限公司 | Electric vehicle range extending device |
| CN205376593U (en) | 2015-12-14 | 2016-07-06 |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 Unmanned aerial vehicle batter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
| US10442533B2 (en) | 2015-12-14 | 2019-10-15 | Autel Robotics Co., Ltd. | Battery use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
| CN110608357A (en) * | 2019-08-16 | 2019-12-24 |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 wall mount |
| CN110972011A (en) * | 2019-11-29 | 2020-04-07 | 歌尔股份有限公司 | Bluetooth earphon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SG72688A1 (en) * | 1996-04-26 | 2000-05-23 | Motorola Inc | Battery housing for different sized batteries |
| KR100315673B1 (en) * | 2000-01-11 | 2001-11-29 | 윤종용 | Locking device for battery pack in portable radiotelephone |
| KR100425094B1 (en) * | 2001-07-02 | 2004-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ructure of a detachable battery pack for a mobile phone |
| US7403802B2 (en) * | 2002-04-11 | 2008-07-22 | Lg Electronics Inc. | Battery and battery locking unit of mobile terminal |
-
2004
- 2004-09-18 KR KR1020040074882A patent/KR10065198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2-25 CN CNB2005100510325A patent/CN10039469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0394699C (en) | 2008-06-11 |
| CN1750416A (en) | 2006-03-22 |
| KR20060025969A (en) | 2006-03-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760997B1 (en) | Battery locking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 |
| US7690233B2 (en) | Portable device and mechanical key | |
| US8320122B2 (en) |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 US7043282B2 (en)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battery mounting device of the equipment | |
| JP4048303B2 (en) | Battery cover lock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 US20080196553A1 (en) | Electrical Device, in Particular an Electrical Hand-Held Power Tool | |
| KR100425094B1 (en) | structure of a detachable battery pack for a mobile phone | |
| KR100640369B1 (en) | Built-in battery pack case lock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 |
| JP2012033489A (en) | Battery lid lock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 |
| KR10065198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US20060019530A1 (en) |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
| KR100587311B1 (en) | Battery pack cover lock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535965B1 (en) | Holding or unholding device of battery pack of mobile phone using toggle spring | |
| KR100629882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battery holder | |
| KR200168353Y1 (en) | Fixing Structure Of Locker For Fixing Battery Of Mobil Telephone | |
| KR200285666Y1 (en) |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 |
| KR100504806B1 (en) | Fixing apparatus for battery in mobile device | |
| KR100547886B1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 KR20030056688A (en) | Eject device in mobile phone | |
| KR100511313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battery within | |
| KR100514684B1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having plane cam | |
| KR101037862B1 (en) | Battery lock on portable terminal | |
| KR100651988B1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040048719A (en) | Mobile phone | |
| KR20070002135A (en) | Battery lock of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12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