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048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9048B1 KR100669048B1 KR1020050078809A KR20050078809A KR100669048B1 KR 100669048 B1 KR100669048 B1 KR 100669048B1 KR 1020050078809 A KR1020050078809 A KR 1020050078809A KR 20050078809 A KR20050078809 A KR 20050078809A KR 100669048 B1 KR100669048 B1 KR 1006690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output
- earph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5/00—Magnetostrictive transducers
- H04R15/02—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어부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control unit
11a: 판단부 11b: 스위칭부11a:
11c: 입출력 제어부 12: 감지부11c: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detection unit
12a: 제1감지부 12b: 제2감지부12a:
13: 입력부 14: 스피커13: input 14: speaker
15: 메모리 16: 통신모듈15: Memory 16: Communication Module
20: 이어폰20: earphone
본 발명은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폰으로의 음성 신호 출력 시 센서를 통한 외부 동작 감지여부에 따라 음성 신호 출력을 스피커로 전환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when the voice signal is output to the earphone, the voice signal output is switched to the speaker according to whether the external motion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신호 인가 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며,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In gener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speaker when a call signal is applied, and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arphone is To be printed.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에 이어폰(2) 또는 핸즈프리(3)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로 통화신호 인가 시 상기 이어폰(2) 또는 핸즈프리(3)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pplies a call signal to the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어폰 또는 핸즈프리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또는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 또는 핸즈프리를 분리해야만 통 화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empts to make a call through a speaker or a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an earphone or a handsfree is conn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disconnected only by disconnecting the earphone or handsfre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ase of use of the user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화 중 이어폰을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을 분리하지 않고도 음성 신호를 스위칭 하여 스피커로의 출력 전환이 가능한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n the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earphone during a call, switching the output to the speaker by switching the voice signal without disconnecting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having a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 및 이어폰과, 센서가 구비되어, 통화 중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이어폰으로의 음성 신호 출력 시, 상기 센서를 통한 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 음성 신호가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with a speaker and earphone, and a senso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accesses during a call, When outputting a voice signal to the earphone, the first fea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voice signal to the speaker according to whether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어폰으로 음성신호 출력 시, 센서를 통한 신호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센서를 통한 신호 감지 시,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위칭 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2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is detected by a sensor when the voice signal is output to the earphone, and when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A second feature is to include a second step of switching the voice signal output to the earphone to be output to the speak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n.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송화부 또는 수화부에 센서가 구비되어, 일정거리 내의 사용자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측면 또는 후면에 다른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다.As shown in FIG. 2,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provided in a transmitter or a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detect whether a user approaches a certain distance. In addition, another sensor is provided on the side or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detect a touch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13)와,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14) 및 이어폰(20)과, 음성 신호 출력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16)과, 센서가 구비되어, 통화 중 사용자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2)와, 상기 이어폰(20)으로의 음성 신호 출력 시, 상기 센서를 통한 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14)로 음성 신호가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n
상기 스피커(14)는 통화 중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이어폰(20)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통화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이어폰(20)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The
이때, 상기 스피커(14)는 상기 제어부(11)의 출력신호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이어폰(20) 연결 시에도 수신된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감지부(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신호 인가 시, 상기 제어부(11)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동작한다.The detector 12 operates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1 when a call signal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즉, 상기 감지부(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신호 인가 시 상기 제어부(11)를 통해 동작신호가 인가되어 온(ON) 동작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를 통해 동작종료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오프(OFF)되어 동작을 종료한다.That is, the sensing unit 12 operates by applying an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control unit 11 when the call signal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call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f is not applied, the operation is turned off as the operation end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control unit 11 to end the operation.
또한, 상기 감지부(12)는 송화부 또는 수화부에 구비되어, 일정거리 내의 사용자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12a)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12 is provided in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the
상기 제1감지부(12a)는 적외선 센서와 같이, 일정거리 내의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센서는 수신감도가 낮아 단거리 측정이 가능한 것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거의 근접했을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제1감지부(12a)는 상기 센서를 통해 일정거리 내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로 제1감지신호(P1)를 인가한다.In addition, when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s detected by the sensor, the
또한, 상기 제2감지부(12b)는 터치 센서, 압력센서 등과 같이 접촉에 따른 파형, 전류, 압력 등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2감지부(12b)는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터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1)로 제2감지신호(P2)를 인가한다.In this case, when the touch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det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nsor, the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감지부(12)를 통한 신호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1a)와, 음성신호의 경로와 상기 이어폰(20) 또는 스피커(14)간의 출력을 스위칭 하는 스위칭부(11b)와, 상기 판단부(11a)를 통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1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 제어부(1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11 is a determination unit 11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2, and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output of the path of the voice signal and the
상기 판단부(11a)는 상기 제1감지부(12a) 및 제2감지부(12b)를 통한 신호 감지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11a)는 상기 제1감지부(12a)와 상기 제2감지부(12b)로부터 동시에 제1감지신호(P1) 및 제2감지신호(P2)가 감지되는지, 혹은 상기 제1감지부(12a)를 통한 제1감지신호(P1)만 감지되거나, 상기 제2감지부(12b)를 통한 제2감지신호(P2)만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1a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상기 입출력 제어부(11c)는 상기 판단부(11a)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감지부(12a) 및 제2감지부(12b)로 동작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더 이상 통화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부(12a) 및 제2감지부(12b)로 동작종료신호를 인가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signal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11a, the input /
또한, 상기 입출력 제어부(11c)는 통화신호 인가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이어폰(20)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음 성 신호가 상기 이어폰(2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이때, 상기 입출력 제어부(11c)는 상기 이어폰(20)을 통한 음성 신호 출력 시 상기 판단부(11a)를 통해 상기 제1감지부(12a) 및 제2감지부(12b)로부터 제1감지신호(P1), 제2감지신호(P2)가 동시에 감지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11b)로 제1출력전환신호(T1)가 인가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input /
또한, 상기 입출력 제어부(11c)는 상기 이어폰(20) 연결 시 출력신호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스피커(14)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판단부(11a)를 통해 상기 제1감지부(12a) 및 제2감지부(12b)로부터 제1감지신호(P1), 제2감지신호(P2)가 동시에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칭부(11b)로 제2출력전환신호(T2)가 인가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
상기 스위칭부(11b)는 상기 이어폰(20)을 통한 음성 신호 출력 시, 상기 입출력 제어부(11c)로부터 제1출력전환신호(T1)가 인가되면, 상기 이어폰(20)으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스피커(14)로 출력되도록 한다.The
즉, 상기 스위칭부(11b)는 상기 입출력 제어부(11c)로부터 제1출력전환신호(T1)가 인가되면, 상기 이어폰(20)과의 음성 신호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스피커(14)와의 음성 신호 경로를 연결한다.That is, when the first output switching signal T1 is applied from the input /
또한, 상기 스위칭부(11b)는 상기 스피커(14)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입출력 제어부(11c)로부터 제2출력전환신호(T2)가 인가되면, 상기 스피커(14)와의 음성 신호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이어폰(20)과의 음성 신호 경로를 연결한다.In addition, when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신호 인가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연결된 이어폰(20)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도 4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 접촉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된 제2감지부(12b)를 통해 터치 동작을 감지한다.As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call signal is appli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정거리 내 접근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송화부 또는 수화부에 구비된 제1감지부(12a)를 통해 이를 감지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4b, when the user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first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is is detected through 12a.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제1감지부(12a) 및 제2감지부(12b)를 통해 제1감지신호(P1), 제2감지신호(P2)가 동시에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어폰(20)으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스피커(14)로 출력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통화신호가 수신되면(S1), 이어폰 연결 여부를 판단하여(S2),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어폰을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S3).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S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arphone is connected (S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utput a voice signal through the earphone (S3).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화부 또는 수화부 및 측면 또는 후면에 구 비된 센서를 온(ON) 시켜 사용자의 접근여부를 감지한다(S4).At this time, the sensor provided on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and the side or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o detect the user's approach (S4).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화부 또는 수화부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일정거리 내의 사용자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된 터치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접촉 여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동작을 감지한다.That is, it detects whether the user approaches a certain distance through an infrared sensor provided in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lso through the touch sensor or pressure sensor provided on the side or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 the touch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act.
상기 이어폰을 통한 음성 신호 출력 시,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한 신호 감지 여부 및 적외선 센서를 통한 신호 감지 여부를 판단하여(S5,S6), 상기 터치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통해 동시에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으로의 음성 신호 출력을 차단하고(S7), 상기 스피커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S8).When the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earphon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and whether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S5, S6), and when the signal is simultaneously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Block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to the earphone (S7),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8).
이때, 상기 스피커 구동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도 함께 온(ON) 되어 구동되도록 한다(S9).At this time, when driving the speaker, the microphone is also turned on (ON) to be drive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9).
또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더 이상 통화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0), 상기 터치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오프(OFF) 시키고, 동작을 종료한다(S11).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signal is no longer applied from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0), the touch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are turned off (OFF), and the operation ends (S1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can be applied within this protected rang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출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통화신호 인가 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되어있는 경우, 무의식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를 귀에 갖다 대거나, 혹은 이어폰으로의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을 분리하기 않고도 센서 동작에 따라 음성 신호가 자동으로 스피커로 스위칭 되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call signal is appli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is unconsciously touched to the ear or Or, if the call to the earphone is not possible, the user's convenience is greatly increased by allowing the voice signal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sensor operation without disconnecting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78809A KR100669048B1 (en) | 2005-08-26 | 2005-08-26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 CNA2006101092472A CN1921665A (en) | 2005-08-26 | 2006-08-03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78809A KR100669048B1 (en) | 2005-08-26 | 2005-08-26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669048B1 true KR100669048B1 (en) | 2007-01-16 |
Family
ID=377791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788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048B1 (en) | 2005-08-26 | 2005-08-26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69048B1 (en) |
| CN (1) | CN1921665A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1133242A3 (en) * | 2010-04-22 | 2011-12-1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Use of mobile computing device sensors to initiate a telephone call or modify telephone operation |
| KR101398171B1 (en) | 2014-02-06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CN104639722A (en) * | 2013-11-07 | 2015-05-20 | 华为终端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voice call |
| US9826342B2 (en) | 2015-04-08 | 2017-1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10298733B2 (en) | 2015-11-12 | 2019-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using bio-signal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761841B2 (en) | 2010-01-08 | 2014-06-24 | Gn Netcom A/S | Personal conferencing device |
| WO2011083143A1 (en) * | 2010-01-08 | 2011-07-14 | Gn Netcom A/S | A personal conferencing device |
| CN101800922A (en) * | 2010-02-26 | 2010-08-1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talkback volume |
| CN101860377A (en) * | 2010-05-11 | 2010-10-1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antenna of same |
| CN102891914B (en) * | 2011-05-11 | 2015-12-09 | 深圳市福智软件技术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witch the method for answer mode |
| CN103078992A (en) * | 2012-12-13 | 2013-05-01 | 陈梓铭 |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voice call in portable equipment |
| CN103051997A (en) * | 2012-12-26 | 2013-04-17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Earphone and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playback through earphone |
| US8706162B1 (en) * | 2013-03-05 | 2014-04-22 | Sony Corporation | Automatic routing of call audio at incoming call |
| CN104122982B (en) * | 2013-04-26 | 2017-12-29 | 联想(北京)有限公司 | A kind of method for handover control and electronic equipment |
| TWI590640B (en) * | 2014-04-25 | 2017-07-01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Voice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CN104065827A (en) * | 2014-06-30 | 2014-09-24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Terminal voice mod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
| CN104601815A (en) * | 2015-01-12 | 2015-05-06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Answer device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
| CN104935729B (en) * | 2015-04-28 | 2018-05-25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Audio-frequency inputting method and device |
| CN116527810B (en) * | 2016-08-26 | 2025-03-11 | 荣耀终端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outputting audio,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06375576B (en) * | 2016-08-31 | 2019-08-2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channel and mobile terminal |
| CN106921803A (en) * | 2017-03-29 | 2017-07-04 | 联想(北京)有限公司 | The player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multi-medium data |
| CN110381410B (en) * | 2019-08-13 | 2020-10-23 | 美特科技(苏州)有限公司 | Earphone wearing detection method and device, Bluetooth earphone and storage medium |
-
2005
- 2005-08-26 KR KR1020050078809A patent/KR1006690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8-03 CN CNA2006101092472A patent/CN1921665A/en active Pending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1133242A3 (en) * | 2010-04-22 | 2011-12-1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Use of mobile computing device sensors to initiate a telephone call or modify telephone operation |
| US8358977B2 (en) | 2010-04-22 | 2013-01-2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Use of mobile computing device sensors to initiate a telephone call or modify telephone operation |
| CN104639722A (en) * | 2013-11-07 | 2015-05-20 | 华为终端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voice call |
| KR101398171B1 (en) | 2014-02-06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US9826342B2 (en) | 2015-04-08 | 2017-1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10298733B2 (en) | 2015-11-12 | 2019-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using bio-signal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921665A (en) | 2007-02-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669048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oice output switch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
| EP1154621B1 (en) | Mobile station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 | |
| US20020094789A1 (en) | Portable radio terminal device | |
| KR100813067B1 (en) | How to implement the function key of earphone | |
| KR2010006045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mobile terminal | |
| KR10067732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volu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US2011009106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rong recognition of earphone insertion | |
| KR100640347B1 (en) | Digital camera and ear microphone connection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US2014025481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al modes in a bluetooth earphone | |
| JP2003219024A (en) |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 |
| KR20110002173A (en) |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or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 |
| KR100334683B1 (en) | Alert device utilizing ear jack in mobile phone | |
| US8385849B2 (en) | Standby mode switch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ame | |
| KR101153329B1 (en) | Method for Volume Control From Sense in Comunication Apparatus | |
| KR10119675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pad | |
| KR2017000711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 signal and terminal | |
| KR100806939B1 (en) | Bluetooth wireless headset with hold and mute mode | |
| KR200356181Y1 (en) | Compatible multi-functional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audio apparatus | |
| KR100538880B1 (en) | Method of Handsfree using Bluetooth Module | |
| KR100775834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ll function when folder is off and its operation method | |
| KR10131427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for same | |
| CN107770880B (en) | Wireless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 |
| KR20060073810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tenna matching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
| KR100617791B1 (en) | Ear microphon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 KR200240579Y1 (en) | A earphone with hands-free use for a mobile pho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1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11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