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4216B1 -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216B1
KR100674216B1 KR1020060055793A KR20060055793A KR100674216B1 KR 100674216 B1 KR100674216 B1 KR 100674216B1 KR 1020060055793 A KR1020060055793 A KR 1020060055793A KR 20060055793 A KR20060055793 A KR 20060055793A KR 100674216 B1 KR100674216 B1 KR 10067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gsten
copper
binder
copper alloy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
노준웅
권영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쎄타텍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쎄타텍,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쎄타텍
Priority to KR102006005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2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Explosive charg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but not dependent on shape of container
    • F42B1/02Shaped or hollow charges
    • F42B1/032Shaped or hollow charg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22F3/15Hot isostatic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7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3/04Compacting only by applying fluid pressure, e.g. by cold isostatic pressing [C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17Multiple heating or additional steps
    • B22F3/1021Removal of binder or fi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 B22F3/225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by injection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22F3/15Hot isostatic pressing
    • B22F2003/153Hot isostatic pressing apparatus specific to 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1/00Treatment under specific atmosphere
    • B22F2201/01Reducing atmosphere
    • B22F2201/013Hydro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기공이 없으며 균일한 미세조직을 갖는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 방법은 텅스텐이 코팅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텅스텐이 코팅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과 바인더의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혼합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체에 포함된 바인더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가 제거된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 및 상기 소결체의 잔류기공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기존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에 비하여 내부 잔류기공이 완전히 제거되어 기계적 물성과 물리적 물성이 향상되어 복잡한 형상의 히트싱크, 전기접점 및 성형작약탄의 라이너 제조시 우수한 물성을 발휘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부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텅스텐-구리 복합분말, 분말사출성형, 열간 등압 성형

Description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UNGSTEN-COPPER ALLOY PAR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구리 분말과 텅스텐 분말이 물리적으로 단순히 혼합된 상태의 텅스텐-구리 혼합분말의 도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텅스텐이 구리 분말을 둘러싼 형태로 화학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의 도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의 기공제거단계 이전의 미세조직을 보여주는 광학현미경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 단면의 미세조직의 광학현미경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 단면의 미세조직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텅스 텐-구리 합금 성형작약탄의 라이너의 기공제거단계에서 금형을 이용한 냉간 또는 열간 압축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두 날 혼합기 2: 압출형 혼합기
3: 볼형상의 금형 4: 열간 등압 성형기
5: 소결체 6: 금형
본 발명은 내부 기공이 없으며 균일한 미세조직을 갖는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텅스텐-구리 합금의 사용 예로서는 컴퓨터에 사용되는 히트싱크 및 전기 접점, 방전용 전극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종래에는 텅스텐-구리 합금 소재의 제조 방법은 텅스텐과 구리 분말을 혼합 하여 일정한 내부 기공을 갖는 텅스텐-구리 혼합분말 성형체를 제조한 후, 소결하여 내부에 기공을 갖는 골격체(skeleton)를 만들고 구리를 녹여서 골격체 내부로 용침(infiltration)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여기서, 상기 "혼합분말(mixed powder)"이라 함은 서로 다른 분말이 단순히 물리적으로 혼합된 상태의 분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구리 분말(10)과 텅스텐 분말(11)이 물리적으로 단순히 혼합된 상태의 텅스텐-구리 혼합분말의 도식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소재는 텅스텐-구리 복합소재 내부에 텅스텐과 구리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영역과 잔류기공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불균질 미세조직을 갖는 텅스텐-구리 합금은 히트싱크(heat sink)나 전기접점 부품으로 사용될 때 불균일한 열전도도와 전기 전도도 및 열팽창계수의 차이를 가져와서 수명단축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소재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텅스텐-구리 합금의 불균질한 미세조직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텅스텐의 균질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래에 시도된 좀더 개량된 방법으로는 특허등록 10-0490879호에서와 같은 텅스텐-구리 복합 소재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텅스텐 분말과 함께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체를 이용해 텅스텐-구리 성형체를 제조한 후, 상기 성형체를 소결한 다음, 구리를 소결체 내부로 용침시킴으로써 균일한 미세조직을 얻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분말(composite powder)"이라 함은 서로 다른 성분들이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독립된 분말을 의미하며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텅스텐(12)이 구리 분말(10)을 둘러싼 형태로 화학적으로 결합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13)을 보여주는 도식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용침법을 이용해 히트싱크나 군사용 성형 작약탄의 라이너를 제조하는 경우, 텅스텐-구리 골격체를 제품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조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용침 후에는 반드시 후가공이 수반되기 때문에 양산성이 없어 실제로 복잡한 형상의 히트싱크나 성형 작약탄의 라이너 제조공정으로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사용된 또 다른 방법은 위에서 기술한 이러한 용침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텅스텐 분말과 구리 분말을 혼합하여 텅스텐-구리 혼합분말을 분말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의 히트싱크를 제조하였으나 소결밀도가 낮아 열전도성이 떨어지고 텅스텐과 구리 분말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립의 텅스텐 입자가 코팅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을 분말사출공정에 적용하여 텅스텐-구리 합금을 제조함으로써 합금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기공을 최소화하고 텅스텐과 구리가 매우 균질한 조직을 갖도록 하며 열전도도, 연성(ductility),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물성을 갖는 텅스텐-구리 합금을 이용한 히트싱크, 방전용 전극, 전기접점 및 성형작약탄의 라이너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 방법은 산화텅스텐(WO3 혹은 WO2.9) 분말과 산화구리(CuO 혹은 Cu2O) 분말을 혼합 분쇄한 후, 환원성 분위기에서 1단계로 200 ℃ 내지 400 ℃의 온도범위에서 1분에서 5시간 유지한 후, 다시 온도를 올려서 2 단계로 500 ℃ 내지 700 ℃의 온도범위에서 1분에서 5시간 유지한 후, 다시 온도를 올려서 3단계로 750 ℃ 내지 1080 ℃의 온도범위에서 1분에서 5시간 환원 열처리 하여 텅스텐이 구리 분말을 감싸는 구조의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텅스텐-구리 복합 분말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텅스텐-구리 복합 분말로 되어 있는 원재료에 부피비로 30% ~ 70%의 바인더를 혼합하여 사출성형이 가능한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한 바인더가 혼합된 혼합체를 히트싱크나 성형 작약탄의 라이너 등 원하는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사출 성형단계를 통해 사출된 성형체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혼합된 바인더를 녹인 이후 가열을 통해 바인더를 태우는 방법 또는 단지 가열으로만 상기 텅스텐-구리 성형체에 혼합된 바인더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 제거단계에서 바인더가 제거된 성형체를 1100∼1400℃에서 수소 분위기 또는 수소를 포함하는 환원성 분위기에서 소결하여 소결체의 밀도를 이론밀도 대비 95%이상으로 치밀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결 단계에서 치밀화된 소결체를 500∼1400℃에서 5∼200MPa의 압력으로 1분∼10시간동안 열간 등압 성형에 의하여 소결체 내부의 기공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중의 하나인 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 방법은 크게 도 2와 같은 형태의 텅스텐이 코팅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텅스텐-구리 복합분말과 바인더의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체에 포함된 바인더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바인더가 제거된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와, 상기 소결체의 잔류기공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텅스텐이 코팅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산화텅스텐 분말과 산화구리 분말을 텅스텐과 구리의 무게비가 65%:35%가 되도록 칭량하여 초경볼과 함께 산화분말들을 용기에 넣은 후 균질한 혼합 및 분쇄를 위하여 3시간 동안 볼 밀링을 행한다.
상기 볼 밀링된 산화복합분말들은 수소분위기에서 250도의 온도로 1시간 유지하여 구리 분말을 환원한 후, 승온하여 600도에서 1시간 유지하여 환원된 구리분말 위에 텅스텐을 핵 생성시키고, 다시 승온하여 860도에서 1시간 유지하여 텅스텐을 성장시켜 텅스텐이 구리분말 위에서 환원되어 구리를 코팅하도록 한 후, 냉각하여 텅스텐이 코팅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을 제조한다.
이어, 혼합체 제조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텅스텐-구리 복합분말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텅스텐이 코팅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에 부피비로 48%의 바인더를 혼합하여 사출성형이 가능한 혼합체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파라핀왁스(paraffin wax),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스테아릭산(stearic acid)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바인더와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의 혼합 시 균질한 혼합을 위하여 두 날 혼합기(1)와 압출형 혼합기(2)가 사용된다.
이어, 성형체 사출 성형단계로서, 상기 혼합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한 바인더가 혼합된 텅스텐-구리 복합분말 혼합체를 성형하고자 하는 볼 형상의 금형(3)에 주입시키고, 이후 상기 금형(3)으로부터 라이너 형상의 성형체를 사출 성형한다.
이어, 바인더 제거단계로서, 상기 사출 성형단계를 통해 사출된 볼 형상의 성형체로부터 노말 헥산(n-hexane)을 이용하여 혼합된 바인더를 녹인 후 수소 분위기에서 가열을 통해 혼합된 바인더를 제거한다.
이어, 소결 단계로서, 상기 바인더 제거단계에서 바인더가 제거된 볼 형상의 텅스텐-구리 성형체를 수소분위기에서 1200℃에서 1시간 동안 소결하여 성형된 볼이 기계적 강도와 물리적 특성을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소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의 밀도는 이론밀도 대비 98∼99%를 나타내게 된다.
도 4는 소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 내부의 미세조직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소결체가 매우 치밀하고 균일한 조직을 보이고 있으나 미세 기공이 일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소결체 내부 기공 제거 단계에서는 상기 소결 단계를 통해 치밀화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을 열간 등압 성형기(4)에 넣고 1200℃의 온도에서 200 MPa의 압력으로 5시간동안 열간 등압 성형하여 텅스텐-구리 합금 볼 내부의 미세 기공을 모두 제거한다.
상기 열간 등압 성형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의 밀도는 이론밀도 대비 100%를 나타냈으며 도 5는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의 실제형상을 보여주는 실물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으로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 내부의 미세조직을 보여주는 광학현미경 사진으로서,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간 등압 성형 후 소결체 내부의 잔류기공이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볼 단면의 미세조직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텅스텐과 구리가 매우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텅스텐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텅스텐-구리 합금 소결체 내부 잔류기공 제거 단계에서 열간 등압 성형 대신 사출체의 형상에 따라 금형을 이용한 냉간 압축 성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성형작약탄의 라이너의 기공제거단계에서 금형을 이용한 냉간 압축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이너 형상의 소결체(5)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된 금형(6)에 삽입한 후 프레스를 이용하여 냉간 금형 압축 성형하여 소결체(5) 내부의 기공을 제거하게 되면, 정밀하게 가공된 금형(6)에 따른 소결체(5)의 미세한 치수변화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에 비하여 내부 조직이 균일하고 잔류기공이 없는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갖는 텅스텐-구리 히트싱크, 전기접점 및 성형작약탄의 라이너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텅스텐-구리 합금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기공을 최소화 하고 텅스텐이 매우 미세하게 분산되어 있으므로 열과 전기 전도도, 연성, 인장강도, 피로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본 발명으로 제조된 텅스텐-구리 합금 성형 작약탄의 라이너는 기존 텅스텐-구리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물성이 우수하고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산화텅스텐(WO3 혹은 WO2.9) 분말과 산화구리(CuO 혹은 Cu2O) 분말을 혼합 분쇄한 후, 환원성 분위기에서 1단계로 200 ℃ 내지 400 ℃의 온도범위에서 1분에서 5시간 유지한 후, 다시 온도를 올려서 2 단계로 500 ℃ 내지 700 ℃의 온도범위에서 1분에서 5시간 유지한 후, 다시 온도를 올려서 3단계로 750 ℃ 내지 1080 ℃의 온도범위에서 1분에서 5시간 환원 열처리 하여 텅스텐이 구리 분말을 감싸는 구조의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텅스텐-구리 복합 분말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텅스텐-구리 복합 분말로 되어 있는 원재료에 부피비로 30% ~ 70%의 바인더를 혼합하여 사출성형이 가능한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한 바인더가 혼합된 혼합체를 히트싱크나 성형 작약탄의 라이너 등 원하는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사출 성형단계를 통해 사출된 성형체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혼합된 바인더를 녹인 이후 가열을 통해 바인더를 태우는 방법 또는 단지 가열으로만 상기 텅스텐-구리 성형체에 혼합된 바인더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 제거단계에서 바인더가 제거된 성형체를 1100∼1400℃에서 수소 분위기 또는 수소를 포함하는 환원성 분위기에서 소결하여 소결체의 밀도를 이론밀도 대비 95%이상으로 치밀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결 단계에서 치밀화된 소결체를 500∼1400℃에서 5∼200MPa의 압력으로 1분∼10시간동안 열간 등압 성형에 의하여 소결체 내부의 기공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기공 제거단계는 상기 치밀화된 소결체를 금형을 이용한 냉간 또는 열간 압축 성형에 의하여 소결체 내부의 기공을 제거하고 치수변화를 보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단계에서 소결체의 치밀화가 이론밀도 대비 97%이상으로 매우 높은 경우 소결체 내부의 기공을 제거하는 열간 정수압 성형이나 금형압축성형이 생략됨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방전용 전극.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성형 작약탄의 라이너.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전기 접점.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히트싱크.
KR1020060055793A 2006-06-21 2006-06-21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Active KR10067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793A KR100674216B1 (ko) 2006-06-21 2006-06-21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793A KR100674216B1 (ko) 2006-06-21 2006-06-21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4216B1 true KR100674216B1 (ko) 2007-01-25

Family

ID=3801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793A Active KR100674216B1 (ko) 2006-06-21 2006-06-21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216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25B1 (ko) * 2007-06-15 2008-04-16 주식회사 쎄타텍 공조기용 냉매 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냉매 분배관
KR101447314B1 (ko) * 2012-03-02 2014-10-07 주식회사 쎄타텍 구리 라이너 및 그 제조방법
CN104722753A (zh) * 2015-03-24 2015-06-24 中国石油集团川庆钻探工程有限公司 一种射孔弹药型罩用钨铜粉末制备方法
KR101538890B1 (ko) * 2014-06-23 2015-07-22 주식회사 풍산 성형 작약탄의 열수축 조립방법
KR20200052841A (ko) 2018-11-07 2020-05-15 (주)메탈라이프 탄소 분말을 갖는 MoCu 방열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889674A (zh) * 2020-08-13 2020-11-06 山东威尔斯通钨业有限公司 一种钨铜与铜结合件一次烧结成型的制备方法
CN112011711A (zh) * 2020-08-31 2020-12-01 江苏腾征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新型钨铜合金材料制造方法
CN113102751A (zh) * 2021-04-16 2021-07-13 昆明理工大学 一种氯化钠颗粒表面包覆铜的方法
CN113414386A (zh) * 2021-05-28 2021-09-21 中南大学 一种梯度还原氧化物低温制备块体合金的方法
CN114932222A (zh) * 2022-06-17 2022-08-23 合肥工业大学智能制造技术研究院 一种提高钨铜合金致密度的方法
CN114959333A (zh) * 2022-05-31 2022-08-30 河源市凯源硬质合金股份有限公司 一种钨铜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125474A (zh) * 2022-06-29 2022-09-30 苏州仓立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缝连接的耐高温的等离子电极及其制备方法
KR20230016760A (ko) * 2021-07-26 2023-02-03 주식회사 비츠로넥스텍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의 제조방법, 고인성 및 고열전도성을 갖는 텅스텐-구리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117840434A (zh) * 2023-05-24 2024-04-09 成都广大精微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气密性封装用钨铜合金复杂形状零件的制备方法
CN118268580A (zh) * 2024-02-28 2024-07-02 南昌大学 一种激光增材制造用球形钨铜复合粉末的制备方法
WO2025189542A1 (zh) * 2024-03-12 2025-09-18 河南科技大学 一种高致密钨铜合金的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3265A (ja) * 1991-05-08 1992-11-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放熱基板材料の製造方法
JPH07216477A (ja) * 1994-01-28 1995-08-15 Toho Kinzoku Kk 銅タングステン合金の製造方法
JPH0931587A (ja) * 1995-07-13 1997-02-04 Toshiba Corp 固相焼結W−Cu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7451A (ko) * 2002-11-30 2004-06-05 국방과학연구소 텅스텐-구리 복합재료의 구리 스며나옴 억제 소결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3265A (ja) * 1991-05-08 1992-11-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放熱基板材料の製造方法
JPH07216477A (ja) * 1994-01-28 1995-08-15 Toho Kinzoku Kk 銅タングステン合金の製造方法
JPH0931587A (ja) * 1995-07-13 1997-02-04 Toshiba Corp 固相焼結W−Cu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7451A (ko) * 2002-11-30 2004-06-05 국방과학연구소 텅스텐-구리 복합재료의 구리 스며나옴 억제 소결법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346A3 (en) * 2007-06-15 2009-02-26 Ceta Tech Inc Method of manufacturing y-shape refrigerant distributor for air conditioning and y-shape refrigerant distributor manufactured thereby
US20100170584A1 (en) * 2007-06-15 2010-07-08 Cetatech, Inc. Method of manufacturing y-shape refrigerant distributor for air conditioning and y-shape refrigerant distributor manufactured thereby
KR100821325B1 (ko) * 2007-06-15 2008-04-16 주식회사 쎄타텍 공조기용 냉매 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냉매 분배관
KR101447314B1 (ko) * 2012-03-02 2014-10-07 주식회사 쎄타텍 구리 라이너 및 그 제조방법
KR101538890B1 (ko) * 2014-06-23 2015-07-22 주식회사 풍산 성형 작약탄의 열수축 조립방법
CN104722753A (zh) * 2015-03-24 2015-06-24 中国石油集团川庆钻探工程有限公司 一种射孔弹药型罩用钨铜粉末制备方法
CN104722753B (zh) * 2015-03-24 2017-01-18 中国石油集团川庆钻探工程有限公司 一种射孔弹药型罩用钨铜粉末制备方法
KR20200052841A (ko) 2018-11-07 2020-05-15 (주)메탈라이프 탄소 분말을 갖는 MoCu 방열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889674A (zh) * 2020-08-13 2020-11-06 山东威尔斯通钨业有限公司 一种钨铜与铜结合件一次烧结成型的制备方法
CN112011711A (zh) * 2020-08-31 2020-12-01 江苏腾征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新型钨铜合金材料制造方法
CN113102751A (zh) * 2021-04-16 2021-07-13 昆明理工大学 一种氯化钠颗粒表面包覆铜的方法
CN113414386A (zh) * 2021-05-28 2021-09-21 中南大学 一种梯度还原氧化物低温制备块体合金的方法
KR20230016760A (ko) * 2021-07-26 2023-02-03 주식회사 비츠로넥스텍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의 제조방법, 고인성 및 고열전도성을 갖는 텅스텐-구리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32974B1 (ko) * 2021-07-26 2023-05-17 주식회사 비츠로넥스텍 텅스텐-구리 복합분말의 제조방법, 고인성 및 고열전도성을 갖는 텅스텐-구리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114959333A (zh) * 2022-05-31 2022-08-30 河源市凯源硬质合金股份有限公司 一种钨铜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959333B (zh) * 2022-05-31 2022-11-11 河源市凯源硬质合金股份有限公司 一种钨铜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932222A (zh) * 2022-06-17 2022-08-23 合肥工业大学智能制造技术研究院 一种提高钨铜合金致密度的方法
CN114932222B (zh) * 2022-06-17 2023-11-07 合肥工业大学智能制造技术研究院 一种提高钨铜合金致密度的方法
CN115125474A (zh) * 2022-06-29 2022-09-30 苏州仓立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缝连接的耐高温的等离子电极及其制备方法
CN115125474B (zh) * 2022-06-29 2024-03-22 苏州仓立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缝连接的耐高温的等离子电极及其制备方法
CN117840434A (zh) * 2023-05-24 2024-04-09 成都广大精微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气密性封装用钨铜合金复杂形状零件的制备方法
CN117840434B (zh) * 2023-05-24 2025-01-21 成都广大精微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气密性封装用钨铜合金复杂形状零件的制备方法
CN118268580A (zh) * 2024-02-28 2024-07-02 南昌大学 一种激光增材制造用球形钨铜复合粉末的制备方法
WO2025189542A1 (zh) * 2024-03-12 2025-09-18 河南科技大学 一种高致密钨铜合金的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216B1 (ko) 텅스텐-구리 합금 부품 제조방법
KR100462274B1 (ko) 텅스텐-구리계 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된복합분말을 이용한 방열판용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CA2502192C (en) Method of making metallic and/or ceramic parts of near-net shape
EP1436436A1 (en)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tungsten and bronze
KR100490879B1 (ko) 균일한 조직을 갖는 텅스텐-구리(W-Cu) 합금 및 그제조 방법
RU2320739C2 (ru) Плотный самосмазывающийся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меха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из эт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30007448A (ko) 고밀도 성형 부품의 제조를 위한 분말 야금 방법
KR20220099107A (ko) 3차원 물체를 제조하기 위한 구형 분말
Zhao et al. Material extrusion printing of WC-8% Co cemented carbide based on partly water-soluble binder and post-processing
CN1994627A (zh) 一种CuSn10合金的注射成形方法
KR100594602B1 (ko) 구리 기재 저열팽창 고열전도 부재의 제조 방법
KR100490880B1 (ko) 텅스텐-구리 복합재료의 구리 스며나옴 억제 소결법
US20140077403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oloured ceramic parts by pim
JPH09143591A (ja) W−Cu合金焼結体の製造方法
KR101830697B1 (ko) 분말사출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Gülsoy et al. Development of poly (2-ethyl-2-oxaline) based water-soluble binder for injection molding of stainless steel powder
KR970001558B1 (ko) 극초미립의 복합분말물질의 제조방법
AU2010284750B2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metal-matrix composite of significant deltaCTE between the hard base-metal and the soft matrix
JP2014055344A (ja) 焼結チタン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7038811A1 (en) Injection moulding processes, especially metal injection moulding processes
Aksöz et al. NiTi SMA parts production with different porosity ratios
JP4752749B2 (ja) 粉末冶金用鉄粉の製造方法
KR100386431B1 (ko) 구리가 도금된 텅스텐 분말을 이용한 텅스텐-구리복합재료의 실형상화 방법
Zainudin et al.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Yttria Stabilized Zirconia (YSZ) Prepared by Ceramic Injection Moulding (CIM)
KR101563957B1 (ko) 분말사출성형용 피드스톡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