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578B1 - Automation process for welding process and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Automation process for welding process and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4578B1 KR100674578B1 KR1020050035048A KR20050035048A KR100674578B1 KR 100674578 B1 KR100674578 B1 KR 100674578B1 KR 1020050035048 A KR1020050035048 A KR 1020050035048A KR 20050035048 A KR20050035048 A KR 20050035048A KR 100674578 B1 KR100674578 B1 KR 100674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piece
- welding
- transfer
- loading
- bogi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1 process auto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8/00—Welding or cutting not covered by any of the preceding groups, e.g. electrolytic welding
- B23K28/02—Combined welding or cutting procedures or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대차에 설치된 용접기가 가공물에 대한 용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용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이송대차의 이동경로를 단축하여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 welding process, and more particularly, a welding machine installed in a transfer bogie automatically performs welding on a workpiec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welding and to shorten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fer bogi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a welding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은 이송대차 자체에 스폿용접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접을 위해 필요한 용접로봇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초기 설비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로봇 캘리브레이션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유지관리 비용이 현저히 저렴해진다. 또한, 가공물의 이송을 이송대차의 이동 경로가 간단하므로며 설치 면적도 최소화 할 수 있다.In the automated device for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ot welding machine is installed in the feed cart itself, the number of welding robots required for welding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ystem that can reduce the initial capital investment cost and minimize maintenance costs by minimizing the robot calibration requirements. In addition, the movement path of the conveyance bogie for the transfer of the workpiece is simple and the installation area can be minimized.
이송대차, 용접, 가공물, 스폿용접기, 레일, 작업위치, 적재위치, 대기위치. Feed cart, welding, workpiece, spot welder, rail, work position, loading position, standby posi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배치도1 is a planar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automated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의 작업 흐름도2 is a working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on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배치도3 is a planar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utomated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작업 흐름도4 is a working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mation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의 평면배치도5 is a planar view of a welding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10, 120 레일 150, 160 레일전환장치100, 110, 120
300 취출이송장치 400 중간용접장치300 Feeding and
500, 510 이송대차 600, 610 스폿용접기500, 510
본 발명은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대차에 설치된 용접기가 가공물에 대한 용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용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이송대차의 이동경로를 단축하여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 welding process, and more particularly, a welding machine installed in a transfer bogie automatically performs welding on a workpiec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welding and to shorten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fer bogi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a welding operation.
금속 재질의 제품 생산에는 용접 공정이 수반되는 예가 많다. 예컨대 자동차의 생산공정에서 차체는 패널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조립된다. 패널 어셈블리는 다시 서브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제작되므로 자동차 생산공정에서 용접공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고, 용접공정의 자동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대차를 이용한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Production of metal products often involves welding processes. For example,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automobiles, the body is assembled by welding the panel assembly. Since the panel assembly is manufactured by welding the sub-assembly again, the welding process occupies a large portion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process, and an automation system for a welding process using a transfer c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used to improve productivity through automation of the welding process. have.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설비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가공물에 대해 효율적으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특허 제10-0397970호 "용접라인의 대차 이동 시스템"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construct an automated system for the welding process, a lot of facility investment costs are required, and thus a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welding the workpiece is required. Patent No. 10-0397970, "Balancing system of welding line," was developed for this purpose.
도 5를 참조로 상기 특허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5 briefly described the automation system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patent as follows.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은, 대차 대기 공정부(S)와, 부품 적재 공정부(L)와, 제1 용접 공정부(W1)와, 제2 용접 공정부(W2)와, 레일(R)과, 용접로봇(10)과 대차로 이루어진다. 대차 대기 공정부(S)는, 중앙에 분기공정부(P)가 배치되며, 분기 공정부(P)를 중심으로 전후좌우측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대차 중간 대기 공정부(S1, S2, S3, S4)와, 제1 및 제2 대차 중간 대기 공정부 (S1, S2) 좌우측으로 제3 및 제4 대차 중간 대기 공정부(S3, S4)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1 내지 제4 대차 대기 공정부(D1, D2, D3, D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품 적재 공정부는 제1 대차 중간 대기 공정부(S1)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서브 어셈블리를 대차에 순차적으로 적재한다. 또한 제1 용접 공정부(W1)는 제3 대차 중간 대기 공정부(S3)의 좌측방으로 배치되어 부품 적재 공정부(L)에서 대차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된 서브 어셈블리를 1차 용접하며, 제2 용접 공정부(W2)는 제4 대차 중간 대기 공정부의 우측방으로 배치되어 제1 용접 공정부(W1)에서 1차 용접된 서브 어셈블리를 2차 용접한다. 제1 용접 공정부(W1) 및 제2 용접 공정부(W2)에서 패널을 각각 용접하기 위해서는 각각 용접기(11)을 구비한 복수의 용접 로봇(10)이 필요하다. 이상의 각 공정부는 레일(R)을 통하여 연결되어 다수의 대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automation system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trolley | bogie waiting process part S, the component loading process part L, the 1st welding process part W1, the 2nd welding process part W2, and a rail. (R) and the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라인의 이송대차 시스템은 용접공정을 세분하여 2차에 걸쳐 용접하고, 대차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주력 및 비주력 생산차종에 대한 대차의 배치를 자유로게 하여 비주력 생산차종에 대한 불필요한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transfer bogie system of the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subdivided into the welding process to weld over two stages, and freely arrange the bogie for the main and non-main production models so as to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bogi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unnecessary capital investment costs for production vehicles.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은 이송대차의 이동경로가 복잡하므로 용접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대차 대기 공정부가 복잡하여 시스템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대된다. 또한 용접작업을, 용접기를 구비한 복수의 용접로봇이 수행하도록 자동화하였다고는 하나, 가공물인 서브 어셈블 리 위에 용접해야할 지점이 많거나 서브 어셈블리의 형상이 복잡하여 구조적 간섭으로 인해 한 대의 용접로봇만으로는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하나의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용접로봇이 필요하고 초기 설비투자 비용이 증대된다. 또한 각 용접로봇은 가공물 위의 복수의 지점을 이동해가면서 용접을 수행하므로 로봇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고, 용접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접로봇의 가동 정밀도가 저하되어 정확한 지점을 용접하지 못하므로 용접 품질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접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로봇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는 시스템 유지관리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However, the automated system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akes a long time for the welding process because the movement path of the feed cart is complicated. In addition, the trolley waiting process is complicated, which increases the area occupied by the system. In addition, although the welding operation is automated to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welding robots equipped with a welding machine, there are many points to be welded on a sub assembly, which is a work piece, or the shape of the sub assembly is complicated. Frequently you can't. Therefore, in order to build an automated system for one welding process, a plurality of welding robots are required, and the initial facility investment cost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each welding robot performs welding while moving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workpiece,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robot, the time required for welding work is long, and the operation accuracy of the welding robot decreases as time passes. Since welding is not possible, the welding quality is also degraded.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welding quality at a certain level, robot calibration must be performed regularly,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system maintenance cost.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은 구조적으로 1차의 가용접과 2차의 본용접으로 이루어진 2회의 용접 작업을 통해 서브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패널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즉, 3회 이상의 용접이 필요한 공정에서는 서브 어셈블리를 수용한 대차가 제1 용접 공정부와 제2 용접 공정부 및 부품 적재 공정부 사이를 수차례 반복하여 이동하여야 한다. 예컨대 제1 서브 어셈블리에 제2 서브 어셈블리를 용접한 후, 차음판 등 다른 부품을 삽입한 채 제3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제조되는 패널 어셈블리의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라인의 이송대차 시스템으로는 부품 적재 공정부에서 제1 서브 어셈블리와 제2 서브 어셈블리를 적재하고, 제1 용접 공정부로 이동하여 제1 서브 어셈블리와 제2 서브 어셈블리를 가용접하며, 제2 용접 공정부로 이동하여 본용접을 거친 후 다시 부품 적재 공정부로 복귀하여 차음판과 제3 서브 어셈블리를 추가로 적재한 다음, 제1 용접 공정부에서 가용접, 제2 용접 공정부에서 본용접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3회 이상의 용접이 필요한 공정에서는 대차의 이동경로가 더더욱 복잡해지고 용접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므로 생산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And the welding system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esupposes to manufacture the panel assembly by welding the sub-assembly through two welding operations consisting of the first primary welding and the second main welding. That is, in a process requiring three or more times of welding, the trolley accommodating the subassembly has to be repeatedly moved several times between the first welding process part, the second welding process part, and the component loading process part. For example, a panel assembly manufactured by welding a second subassembly to a first subassembly, and then welding a third assembly while inserting another component such as a sound insulation plate, is loaded with a transfer bogie system of a welding l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Load the first subassembly and the second subassembly in the process part, move to the first welding process part to weld the first subassembly and the second subassembly, move to the second welding process part, undergo main welding, and then the parts After returning to the loading process section, the sound insulation plate and the third sub-assembly are additionally loaded, and then the weld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rst welding process section and the main welding process in the second welding process section. Therefore, in the process requiring three or more wel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rolley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the time required for welding increases,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xpected t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의 이동경로를 단순화하여 용접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ding process automa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elding operation by simplify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rolle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요되는 용접로봇의 수를 최소화하여 설비 투자 비용을 감소시키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that can minimize the number of welding robots required to reduce equipment investment costs and maintenance cost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an automation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는, 이송대차가 대기하는 대기위치와, 상기 이송대차에 가공물을 적재하는 적재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 배치된 작업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와 작업위치 사이를 상기 이송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한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대차가 상기 레일의 작업위치에 있을 때 가공물을 용접하기 위한 스폿용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는, 상기 이송대차가 작업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송대차로부터 가공물을 취출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는 취출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출이송장치가 가공물을 이송하는 동안 가공물을 용접하기 위한 중간용접장치를 더 포함하면 용접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취출이송장치는 다관절 로봇이고, 상기 중간용접장치는 제자리에 정치된 스폿용접기인 것이 설비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An automatic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ndby position where a transfer bogie is waiting, a loading position for loading a workpiece on the transfer bogie, and a work position arranged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loading position, A wel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rail for guiding the transfer bogie to move between a position and a loading position and a work position, the workpiece being welded to the workpiece when the transfer bogie is in the working position of the ra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ot welder for. And the welding device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take-out and transfer device for taking out the workpiece from the transfer bogie and transfer to the subsequent process when the transfer bogie is in the working position. In the automated device for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ake-out and transfer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welding device for welding the workpiece while transferring the workpiece,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number of welding can be increas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ke-out and transfer device is a multi-joint robot, and the intermediate welding device is a spot welder that is settled in place, because it minimizes the capital investment.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은, 스폿용접기가 설치된 이송대차가 대기하는 대기위치와, 상기 이송대차에 가공물을 적재하는 적재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 배치된 작업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와 작업위치 사이를 상기 이송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한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일의 적재위치에 위치된 상기 이송대차에 가공물을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물이 적재된 이송대차를 상기 레일의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송대차가 작업위치에 정지해 있을 때 상기 이송대차에 설치된 스폿용접기가 상기 가공물을 용접하는 단계와, 취출이송장치가 상기 이송대차로부터 상기 용접된 가공물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ed device for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by position where the transfer trolley with a spot welder is waiting, a loading position for loading a workpiece in the transfer trolley, and an operation disposed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loading position 18. An automated system for a welding process comprising a rail having a position and guiding the transfer bogie to move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a loading position and a work position, the step of moving the transfer bogie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a loading position. And loading the workpiece on the transfer bogie positioned at the loading position of the rail, moving the transfer bogie on which the workpiece is loaded to the working position of the rail, and the transfer bogie being stopped at the working position. When the spot welder installed in the conveying bogie welds the workpiece, and the takeout and conveying device is transferred to the conveying bogie. Emit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aking out the welding of the workpiece.
수회 반복되는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은, 각각 이송대차가 대기하는 대기위치와, 상기 이송대차에 가공물을 적재하는 적재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 배치된 작업위치를 구비하 고,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와 작업위치 사이를 상기 이송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열 레일 및 제2열 레일과, 상기 제1열 및 제2열 레일 각각의 이송대차에 설치되고 가공물을 용접하기 위한 스폿용접기과, 상기 제1열 및 제2열 레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열 레일의 이송대차로부터 가공물을 취출하여 상기 제2열 레일의 이송대차로 이송하는 취출이송장치와,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취출이송장치가 가공물을 이송하는 동안 가공물을 용접하는 중간용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취출이송장치는 다관절 로봇이고, 상기 중간용접장치는 제자리에 정치된 스폿용접기인 것이 설비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In order to perform the welding operation repeated several times, the welding system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standby position waiting for the transfer bogie, the loading position for loading the workpiece on the transfer bogie, and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loading position A first row rail and a second row rail having a work position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nd guiding the transfer cart to move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the stacking position and the work posi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pot welder installed in each of the second row rails to transport the workpieces,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w rails, and taking out the workpieces from the transfer bogies of the first row rails. A take-out and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rail to a transfer bogie, and an intermediate welding table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rails and welding the workpiece while the take-out and transfer device transfers the workpie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ooth.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keout and transfer device is a multi-joint robot, and the intermediate welding device is a spot welder that is settled in place, because it minimizes the capital investment.
그리고 수회 반복되는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은, 스폿용접기가 설치된 제1 이송대차가 대기하는 대기위치와, 상기 제1 이송대차에 가공물을 적재하는 적재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 배치된 작업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와 작업위치 사이를 상기 제1 이송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열 레일의 상기 제1 이송대차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일의 적재위치에 위치된 상기 제1 이송대차에 가공물을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물이 적재된 제1 이송대차를 상기 레일의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이송대차가 작업위치에 정지해 있을 때 상기 제1 이송대차에 설치된 스폿용접기가 상기 가공물을 용접하는 단계와, 스폿용접기가 설치된 제2 이송대차가 대기하는 대기위치와, 상기 제2 이송대차에 추가 가공물을 적재하는 적재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 배치된 작업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위치와 적재위치와 작업위치 사이를 상기 제2 이송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열 레일의 상기 제2 이송대차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1 취출이송장치가 상기 제1 이송대차로부터 상기 용접된 가공물을 취출하여 상기 제2 이송대차에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이송대차를 상기 작업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적재위치로 이동된 제2 이송대차에 추가 가공물을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추가 가공물이 적재된 제2 이송대차를 작업위치로 재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이송대차에 설치된 스폿용접기가 상기 가공물과 추가 가공물을 용접하는 단계와, 제2 취출이송장치가 상기 제2 이송대차로부터 상기 용접된 가공물들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은, 추가적인 용접 작업의 수행을 위해, 상기 제1 취출이송장치가 상기 가공물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동안 상기 제1열 및 제2열 레일 사이에 설치된 중간용접장치가 상기 가공물을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 작업의 횟수를 더 추가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이송대차를 상기 작업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이송대차가 작업위치에 정지해 있을 때 상기 제2 이송대차에 설치된 스폿용접기가 상기 가공물을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order to perform the welding operation repeated several times,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on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by position where the first transfer bogie with the spot welder is waiting, and loading the workpiece in the first transfer bogie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row rail having a loading position and a working position disposed between the waiting position and the loading position and guiding the first transport cart to move between the waiting position and the loading position; Moving a transport cart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a stacking position; loading a workpiece on the first transport cart located at a stacking position of the rail; and working the rail on the first transport cart on which the workpiece is loaded. Moving to a position, and the spot welder installed in the first conveying bogie to weld the workpiece when the first conveying bogie is stopped at the working position. And a standby position where the second transfer bogie on which the spot welder is installed is waiting, a loading position for loading additional workpieces on the second transfer bogie, and a working position arranged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loading position, Moving the second transport cart of the second row rail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work position to guide the second transport cart to move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stacking position and the work position; Extracting the welded workpiece from the first transport cart and loading the welded workpiece on the second transport cart; moving the second transport cart from the working position to a stacking position; and the second moved to the stacking position. Stacking additional workpieces on a transfer cart, moving the second transfer cart on which the additional workpieces are loaded to a working position, and Characterized in that a welding machine comprising: a stage, a second takeout and transfer device for welding the workpiece and additional workpieces taken out of the welded workpieces from the second transport vehicl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ed device for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an additional welding operation, the intermediate metho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ow and second row rails while the first takeout and transfer device takes out and transports the workpiece. Preferably, the weld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welding the workpiece. In order to further add the number of welding operations, the spot welder installed in the second transfer bogie when the second transfer bogie is stopped at the working position before moving the second transfer bogie from the working position to the loading position.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welding the workpiece.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ed device for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배치도이다.1 is a planar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automated device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레일(100)은 이송대차(5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이송대차가 대기하는 대기위치(S)와, 이송대차에 가공물을 적재하는 적재위치(L)와, 대기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 배치된 작업위치(W)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대차(500)는 서브 어셈블리와 같은 가공물(50)을 적재하고 레일(100)을 따라 대기위치(S)와 적재위치(L)와 작업위치(W) 사이를 이동한다. 특히 이송대차(500)에는 가공물(50, 51, 52)을 용접하기 위한 스폿용접기(6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대차(500)에 대한 가공물(50)의 적재는 작업자(3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별도의 적재용 로봇에 의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The
취출이송장치(300)는 상기 이송대차가 작업위치(W)에 있을 때 상기 이송대차로부터 가공물을 취출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인 다관절 로봇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takeout and
중간용접장치(400)는 통상적인 스폿용접기로서,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용접팁만이 가동되어 공간 상의 동일 지점만을 용접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즉, 용접로봇과 같이 다관절을 가진 복잡한 장치일 필요가 없다. 이는 다관절 로봇인 취출이송장치(300)가 가공물을 이송하면서 가공물 상의 용접이 필요한 지점을 스폿용접기의 용접팁 앞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 제어방법의 일실시예의 작업 흐름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이송대차(500)를 레일(100)의 대기위치(S)로부터 작업위치(W)를 거 쳐 적재위치(L)로 이동시킨다(S11). 적재위치(L)에서는 용접할 가공물(50)을 작업자(30)가 이송대차(500)에 적재한다(S12). 가공물이 적재되면 이송대차(500)를 적재위치(L)로부터 작업위치(W)로 이동시킨다(S13). 작업위치(W)에 이송대차(500)가 정지하면 이송대차(500)에 설치된 스폿용접기(600)가 가공물의 소정의 지점에 대해 용접을 수행한다(S14). 이송대차(500)에서 용접이 완료되면 취출이송장치(300)가 이송대차에 접근하여 가공물을 취출한 다음 후속 공정을 위해 이송시킨다(S15). 이 때 취출이송장치(300)는 다관절 로봇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취출이송장치(300)가 가공물을 후속 공정을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중간용접장치(400)가 가공물에 대해 재차 용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작동절차를 거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을 제어하면 1회 내지 2회에 걸친 용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2 showing the working flow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mation system for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on system for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배치도이다.3 is a planar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utomation system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열 레일(110)은 제1 이송대차(5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제1 이송대차(500)가 대기하는 대기위치(S)와, 제1 이송대차에 가공물(50, 51)을 적재하는 적재위치(L)와, 대기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 배치된 작업위치(W)를 구비한다.The
제1열 레일(110)에는 대기위치(S), 적재위치(L) 및 작업위치(W)가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대기위치, 적재위치 및 작업위치가 복수 구비될 경우 이송대차(500) 또한 복수 구비될 수 있으며 종류가 서로 다른 가공물(50, 51) 에 대해 한꺼번에 용접작업이 가능해진다. 다만 각 위치가 복수 구비될 경우 구조적으로는 작업위치(W)를 중심으로 대기위치(S)와 적재위치(L)가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작업위치(W)에는 이송대차의(500) 이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레일전환장치(150)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2열 레일(120)의 작업위치(W)에도 레일전환장치(160)가 필요하다. 각 레일전환장치(150, 160)는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또한 제2열 레일(120)은 제2 이송대차(5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제1열 레일(110)과 대칭되도록 제2 이송대차(510)가 대기하는 대기위치(S)와, 제2 이송대차(510)에 추가 가공물(52)을 적재하는 적재위치(L)와, 대기위치(S)와 적재위치 사이에 배치된 작업위치(W)를 구비한다. 제2열 레일(120)의 대기위치, 적재위치 및 작업위치 또한 제1열 레일(110)에서와 같이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열 레일(120)의 적재위치(L)에서는 제1열 레일(110)과 달리 추가 가공물(52)이 적재되는데, 추가 가공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차음판을 들 수 있다. 제2열 레일(120)은 반드시 제1열 레일(110)과 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제1열 레일과는 무관하게 대기위치, 적재위치, 작업위치의 수를 증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 이송대차(500)와 제2 이송대차(510)는 각각 제1열 레일(110)과 제2열 레일(120)을 따라 대기위치, 적재위치, 작업위치를 각각 이동한다. 특히 제1 이송대차(500)와 제2 이송대차(510) 각각에는 각 가공물들(50, 51, 52)을 용접하기 위한 스폿용접기(600, 610)가 설치되어 있다.The
취출이송장치(300)는 제1열 레일(110)과 제2열 레일(12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취출이송장치(300)는 제1열 레일(110)의 작업위치(W)에 위치한 제1 이송대차(500)로부터 가공물(50, 51)을 취출하여 제2열 레일(120)의 작업위치(W)에 위치한 제2 이송대차(510)로 이송한다. 취출이송장치(300)는 통상적인 다관절 로봇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takeout and
중간용접장치(400)는 제1열 레일(110)과 제2열 레일(120) 사이에 설치된다. 취출이송장치(300)는 가공물(50, 51)을 이송하는 동안 가공물을 용접하기 위한 것으로, 제자리에 정치된 스폿용접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간용접장치(400)는 용접로봇과 같이 다관절을 가진 복잡한 장치일 필요가 없다. 이는 다관절 로봇인 취출이송장치(300)가 가공물을 이송하면서 가공물 상의 용접이 필요한 지점을 중간용접장치(400)의 용접팁 앞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취출이송장치(300)와 중간용접장치(400)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작업 흐름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제1열 레일(110)의 제1 이송대차(500)를 대기위치(S)로부터 적재위치(L)로 이동시킨다(S21). 제1열 레일(110)의 적재위치(L)에서는 용접할 가공물(50, 51)을 작업자(30)가 선택적으로 이송대차(500)에 적재한다(S22). 가공물(50, 51)이 적재되면 제1 이송대차(500)를 적재위치(L)로부터 작업위치(W)로 이동시킨다(S23). 작업위치(W)에 제1 이송대차(500)가 정지하면 제1 이송대차(500)에 설치된 스폿용접기(600)가 가공물의 소정의 지점에 대해 용접을 수행한다(S24). 제1 이송대차(500)에서 용접이 완료되면 취출이송장치(300)가 제1 이송대차에 접근하여 가공물을 취출한 다음 후속 공정을 위해 이송시킨다(S26a 내지 S26c). 이 때 취출이송장치(300)는 다관절 로봇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취출이송장치(300)가 가공물을 후속 공정을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정치된 스폿용접기와 같은 중간용접장치(400)가 가공물에 대해 재차 용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취출이송장치(300)는 먼저 제1 이송대차로부터 가공물을 취출한 후(S26a), 정치된 스폿용접기의 용접팁 앞에 가공물의 소정의 지점이 위치하도록 하여 정치된 스폿용접기가 가공물에 대해 용접을 수행하도록 하고(S26b), 용접이 완료되면 제2열 레일(120)의 제2 이송대차(510)로 가공물을 적재한다(S26c). 제2 이송대차(510)가 가공물을 적재받는 위치는 제2열 레일(120)의 작업위치(W)이다. 가공물이 적재되면 제2 이송대차(510)에 설치된 스폿용접기(610)가 가공물에 대해 다시 한번 용접을 수행한다(S27). 용접이 완료되면 제2 이송대차(510)는 제2열 레일(120)의 적재위치(L)로 이동시킨다(S28). 제2열 레일(120)의 적재위치(L)에서는 추가 가공물(52), 예컨대 차음판과 같은 것을 제2 이송대차(510)에 추가로 적재시킨다(S29). 그런 다음 제2 이송대차(510)는 작업위치(W)로 재이동시킨다(S30). 작업위치(W)에서 제2 이송대차(510)에 설치된 스폿용접기(610)가 가공물(50, 51) 및 추가 가공물(52)에 대해 용접을 수행한다(S31). 끝으로 제2 이송대차(510)로부터 취출이송장치(300)가 가공물 및 추가 가공물을 취출하여 후속 공정을 위해 이송시킨다(S32). 가공물 및 추가 가공물의 취출을 위해서는 취출이송장치(300) 이외에 별도의 다른 취출이송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의 다른 취출이송장치 또한 통상의 다관절 로봇인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4, which show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system for a welding proces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on system for a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first. 1 moves the
이상과 같은 작동절차를 거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을 제어하면 3회에 걸친 용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용접할 가공물이나 추가 가공물의 유무에 따라 용접을 수행하는 횟수는 2회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단계들 중 제1 이송대차(500)로부터 취출된 가공물을 취출이송장치(300)가 이송하는 동안 용접하는 단계(S26b)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4회 이상의 용접이 필요할 경우에는 작업위치의 수를 증가 시키거나 중간용접장치(400)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레일의 수를 증가시키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By controlling the welding system for the wel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go through the operation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is to perform the welding three times automatically. The number of welding operations can be adjusted to two or more tim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workpiece or additional workpiece to be welded. That is, the step S26b of welding the workpiece taken out from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공정용 자동화 시스템은 이송대차 자체에 스폿용접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접을 위해 필요한 용접로봇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초기 설비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로봇 캘리브레이션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유지관리 비용이 현저히 저렴해진다. 또한 이송대차에 설치된 스폿용접기가 할당된 지점에 대한 용접만 수 행하면 되므로 이송대차 외부에 설치된 용접로봇이 다수회 반복적으로 용접하여야 하는 것에 비해 용접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물의 이송을 이송대차의 이동 경로가 간단하므로며 설치 면적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레일이 설치된 경우에도 가공물의 이송은 이송대차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취출이송장치와 함께 수행되므로 이송대차의 필요없는 반복적 이동이 감소하며, 특히 취출이송장치가 가공물을 이송하는 동안에도 용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용접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spot welding machine is installed on the transport cart itself,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welding robots required for weld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ystem that can reduce the initial capital investment cost and minimize maintenance costs by minimizing the robot calibration requirements. In addition, only welding to the spot welder assigned to the feed cart needs to be carried out. Therefore, welding robots installed outside the feed cart need to be welded many time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movement path of the conveyance bogie for the transfer of the workpiece is simple and the installation area can be minimized. Furthermore, even when a plurality of rails are installed, the conveyance of the workpiece is performed not only with the conveyance bogie, but also with the takeout and transfer device,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repetitive movement of the conveyance bogie, and in particular, welding is carried out while the takeout and transfer device transfers the workpiece. As a result, the time required for the welding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35048A KR100674578B1 (en) | 2005-04-27 | 2005-04-27 | Automation process for welding process and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35048A KR100674578B1 (en) | 2005-04-27 | 2005-04-27 | Automation process for welding process and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12513A KR20060112513A (en) | 2006-11-01 |
| KR100674578B1 true KR100674578B1 (en) | 2007-01-25 |
Family
ID=376207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35048A Expired - Lifetime KR100674578B1 (en) | 2005-04-27 | 2005-04-27 | Automation process for welding process and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7457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50684B1 (en) * | 2009-08-27 | 2010-03-31 | (주)우신시스템 | A moving cart system for variety type vehicle production l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63095B1 (en) * | 2007-08-28 | 2008-10-13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Piston assembly method system of engin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3169481A (en) * | 1989-11-28 | 1991-07-23 | Mitsubishi Heavy Ind Ltd | Automatic panel assembling apparatus |
| JP2000158135A (en) * | 1998-11-26 | 2000-06-13 | Honda Motor Co Ltd | Automatic welding system |
| JP2001252769A (en) * | 2000-03-06 | 2001-09-18 | Honda Motor Co Ltd | Automatic welding equipment |
| JP2002239729A (en) * | 2001-02-13 | 2002-08-28 | Kawasaki Heavy Ind Ltd | Welding method and welding system |
-
2005
- 2005-04-27 KR KR1020050035048A patent/KR10067457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3169481A (en) * | 1989-11-28 | 1991-07-23 | Mitsubishi Heavy Ind Ltd | Automatic panel assembling apparatus |
| JP2000158135A (en) * | 1998-11-26 | 2000-06-13 | Honda Motor Co Ltd | Automatic welding system |
| JP2001252769A (en) * | 2000-03-06 | 2001-09-18 | Honda Motor Co Ltd | Automatic welding equipment |
| JP2002239729A (en) * | 2001-02-13 | 2002-08-28 | Kawasaki Heavy Ind Ltd | Welding method and welding system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50684B1 (en) * | 2009-08-27 | 2010-03-31 | (주)우신시스템 | A moving cart system for variety type vehicle production line |
| WO2011025147A3 (en) * | 2009-08-27 | 2011-04-21 | 주식회사 우신시스템 | Cart moving system in production line for various car model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12513A (en) | 2006-11-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074460B1 (en) | Vehicle body assembl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 |
| CN112041112B (en) | Assembly welding or splicing production line for automobile body-in-white components | |
| EP0711701B1 (en) | Assembling method of products and assembling apparatus of the same | |
| JP2018039082A (en) | Robot system | |
| US20050230374A1 (en) | Multi-architecture flexible assembly structure and method | |
| JPH071204A (en) | Vertical turret lathe | |
| EP1286880B1 (en) | A method and a plant for assembly | |
| KR100674578B1 (en) | Automation process for welding process and control method | |
| US9180566B2 (en) | Flexible assembly process | |
| KR100310563B1 (en) |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 |
| JP4799521B2 (en) | Body assembly equipment and body production method | |
| CN113664354B (en) | Projection welding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field | |
| KR950006368B1 (en) | Automatic welding device | |
| CN1273263C (en) | Method and equipment for welding vehicle body structural components | |
| JP2000210834A (en) | Jig unit replacement device | |
| JP3023438B2 (en) | Transfer processing equipment | |
| JP5355262B2 (en) | Work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 |
| CN113560758B (en) | Automatic mixed-flow tailor-welding line design process for cab assembly of medium-heavy truck | |
| CN118371818B (en) | Flexible 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arc welding of integrated card chassis | |
| KR100670855B1 (en) | Feed Balance System for Welding | |
| KR100435667B1 (en) | Side otr assembly system in vehicle | |
| KR20040017645A (en) | A moving cart system for welding process | |
| JP2002144196A (en) | Production line system | |
| JP2004337942A (en) | Robot for holding object to be welded and welding system using welding robot | |
| CN119635132A (en) | A highly flexible automated production line and production method for automobile front and rear enclosure assembli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