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749B1 - PIP Display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PIP Display Contro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7749B1 KR100677749B1 KR1020050000371A KR20050000371A KR100677749B1 KR 100677749 B1 KR100677749 B1 KR 100677749B1 KR 1020050000371 A KR1020050000371 A KR 1020050000371A KR 20050000371 A KR20050000371 A KR 20050000371A KR 100677749 B1 KR100677749 B1 KR 100677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
- main
- screen
- video signal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94—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constructions for generation of phase shift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IP 표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된 메인방송신호를 메인화면에 표시가능한 상태로 처리하기 위한 메인비디오처리회로, 수신된 PIP신호를 PIP화면에 표시가능한 상태로 처리하기 위한 PIP비디오처리회로, 메인비디오처리회로과 PIP비디오처리회로에서 처리된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비디오신호를 합성하며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비디오신호와의 합성비율의 조절이 가능한 비디오신호 합성부, 및, PIP화면의 출력 중, 자막 표시가 선택되면, 비디오신호 합성부에서 상기 메인비디오 신호와 보조비디오 신호와의 합성비율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PIP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자막을 표시할 경우, PIP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PIP화면이 배치된 영역의 메인화면이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PIP화면이 배치된 영역의 메인화면 영상이나 자막과 같은 중요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 display control system, comprising: a main video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a received main broadcast signal in a state that can be displayed on a main screen, and a PIP video for processing a received PIP signal in a state that can be displayed on a PIP screen A video signal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PIP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processing circuit, the main video processing circuit and the PIP video processing circuit, and adjusting the synthesis ratio between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PIP video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PIP screen. If a subtitle display is selected, the video signal synthesiz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ynthesis ratio between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sub video signal. Thus, when displaying the subtitles while the PIP screen is displayed, the transparency of the PIP screen is adjusted so that the main screen of the area where the PIP screen is placed is viewed, such as the main screen image or the subtitle of the area where the PIP screen is placed. You can watch important information.
디지털 TV, PIP, 자막, 알파블랜딩, 투명도 Digital TV, PIP, Subtitles, Alpha Blending, Transparenc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IP 표시 제어시스템의 구성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IP displa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PIP화면이 표시된 메인화면,2 is a main screen on which a PIP screen is display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된 PIP화면이 표시된 메인화면,3 is a main screen displaying a PIP screen with transparenc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PIP 표시 제어시스템에 의한 PIP 투명도 조절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IP transparency adjustment process by the PIP display control system of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메인신호 처리블럭 11 : 메인튜너10: main signal processing block 11: main tuner
13 : 메인오디오처리회로 15 : 메인오디오증폭기13: main audio processing circuit 15: main audio amplifier
23 : 메인비디오처리회로 33 : 데이터 슬라이서 23: main video processing circuit 33: data slicer
35 : 자막신호처리부 40 : PIP신호 처리블럭35: caption signal processor 40: PIP signal processing block
41 : 보조튜너 43 : PIP비디오처리회로41: auxiliary tuner 43: PIP video processing circuit
48 : PIP오디오처리회로 49 : PIP오디오증폭기48: PIP audio processing circuit 49: PIP audio amplifier
50 : 제어부 60 : 비디오신호 합성부50: control unit 60: video signal synthesis unit
65 : 알파블랜딩 모듈65: alpha blending module
본 발명은 PIP 표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막을 표시하는 동안에는 PIP화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자막 등 메인화면의 중요한 정보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PIP 표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 display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 display control system that prevents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a subtitle from being blocked by displaying a PIP screen transparently or semi-transparently while displaying a subtitle. It is about.
최근 TV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TV가 개발되고 있다. 주요한 기능들로는 한글/영어 자막기능, PIP(PICTURE IN PICTURE:두화면기능)기능, 자동영상조절기능, 수신감도증폭기능, 에너지절약기능 등이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V technology, TVs having various functions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a user's purpose of use. The main functions include Korean / English subtitle function, PIP (PICTURE IN PICTURE) function, automatic image control function, reception sensitivity amplification function, and energy saving function.
이 중, 수신감도증폭기능(LNA)은 안정되고 더욱 선명한 영상을 제공해 주며, 에너지절약기능은 절전 스위치를 내장하여 대기소비전력을 0으로 낮출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Among them, the reception sensitivity amplification function (LNA) provides a more stable and clearer image, and the energy saving function saves electricity by lower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to zero by a built-in power saving switch.
PIP기능은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으로 압축한 별도의 PIP화면을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으로서, PIP화면에는 메인화면과 동일한 채널 또는 상이한 채널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고, 방송신호가 아닌 VCR, DVD 등의 외부입력장치로부터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PIP기능을 이용하면, 한번에 두 가지 채널을 시청할 수도 있고, TV를 시청하면서 비디오나 DVD를 시청할 수 있다. The PIP function displays a separate PIP screen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compress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main screen. The PIP screen may display the same channel or a different channel as the main screen. Can display an image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Therefore, using the PIP function, you can watch two channels at once or watch a video or DVD while watching TV.
한편, 자막기능은 TV화면에 한글이나 영어 등의 자막을 표시하는 기능으로서, 청각장애인이나 어학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게 된다. 자막기능을 수행하기 위 해서, 방송국에서는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비디오신호의 특정 위치에 삽입하여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측인 TV에서는 비디오신호에서 문자방송 디코더를 통해 문자신호를 분리한 다음, 문자신호를 디코딩하고, 이 문자신호와 별도의 디코딩과정을 거친 비디오신호와 다시 합성하여 TV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메인화면의 일부분에 문자신호가 중첩되어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aption function is to display the subtitles, such as Korean or English on the TV screen, which is helpful to the deaf or language learner. In order to perform the caption function, the broadcasting station inserts and transmits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signal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video signal. Then, the TV on the receiving side separates the text signal from the video signal through a text broadcasting decoder, decodes the text signal, recombines the text signal with a video signal subjected to a separate decoding process, and displays it on the TV screen. Accordingly, the text signal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a part of the main screen.
그런데, 이러한 기능 중 PIP기능과 자막기능이 동시에 실행될 경우, PIP화면과 자막이 중첩됨으로써, 자막이나 메인화면의 중요부분이 가려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사용자는 PIP화면을 자막이 가려지지 아니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으나, 자막이 표시될 때마다 자막의 위치에 따라 시청자가 직접 PIP화면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유발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PIP function and the subtitle function are executed at the same time,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 are overlapped, and thus an important part of the subtitle or main screen may be hidden. Of course, in this case, the user may move the PIP screen so that the subtitles are not obscured, but the viewer may have to move the PIP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titles whenever the subtitles are display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공개 제2001-4144호인 "픽쳐인픽쳐 모드에서의 자막 방송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서는, 픽쳐인픽쳐 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부 방송의 자막신호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PIP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상응하여 적응적으로 자막신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PIP모드시 자막의 위치와 PIP화면의 위치가 겹치지 아니하도록 각각의 좌표값을 설정한 자막표시좌표테이블을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둔다. 그리고, PIP모드와 자막 표시 모드가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자막표시좌표테이블로부터 PIP모드시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자막의 좌표값을 읽어내어 해당 위치에 자막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렇게 자막이 디폴트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PIP화면에 의해 자막이 가려지는 경우, 사용자는 PIP화면을 로테이션시키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자막표시좌표테이블로부터 PIP화면과 자막이 중첩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대한 각각의 좌표값을 인출하여 해당 위치로 자막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PIP화면과 자막이 중첩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4144, "Method for Display Display Control of Subtitle Broadcast in Picture-in-Picture Mode," selects a subtitle signal of a main / sub broadcas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the picture-in-picture mode. An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aption signal is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the PIP screen. To this end, in the PIP mode, the subtitle display coordinate table in which the respective coordinate values are se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ubtitle and the position of the PIP screen do not overlap is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When the PIP mode and the subtitle display mode are simultaneously executed,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subtitles set as default values in the PIP mode are read from the subtitle display coordinate table to display the subtitle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When the subtitle is hidden by the PIP screen even when the subtitle is arranged in the default position, the user can select a function of rotating the PIP screen. Then, each coordinate value for the position where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 do not overlap is extracted from the subtitle display coordinate table to move the subtitl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ly,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s may not overlap.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PIP화면과 자막이 중첩되지 아니하도록 배치하기 위해, 자막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메인화면이 PIP화면과 자막에 의해 동시에 가려지게 되어 실제로 시청할 수 있는 메인화면의 영역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화면을 통해 시청하는 방송에 대해서는 중요한 정보가 출력되는 부분을 PIP화면이나 자막이 가려버릴 확률이 커지므로, 오히려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상호 적정한 PIP화면과 자막의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일일이 자막표시좌표테이블에 입력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자막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PIP화면의 위치를 변경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음은 자명한 일이다. However, in this prior art, in order to arrange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 so that they do not overlap,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ubtitle, the main screen is obscured by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 at the same time, and the area of the main screen which can be actually watched is drastically reduced. Done. Therefore, the probability that the PIP screen or the subtitle is obscured for a part of the broadcast that is viewed through the main screen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user in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mutually proper PIP screen and the position of the subtitle must be input to the subtitle display coordinate table one by one, it is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it is difficult to adaptive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PIP scree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ubtitle length. Not easy is obvious.
따라서, PIP모드와 자막모드가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 PIP화면이 자막과 중첩되어 자막을 시청하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PIP화면과 자막에 의해 메인화면이 과도히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후술할 본 발명에서는 자막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PIP화면을 투명하게 혹은 반투명하게 표시함으로써, PIP화면에 의해 자막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PIP화면과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도 메인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when the PIP mode and the subtitle mode are output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P screen from overlapping the subtitles and not view the subtitles, and to prevent the main screen from being excessively blocked by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s. You need to find a way to do it.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ubtitles are displayed, the PIP screen is displayed transparently or semi-transparently, thereby preventing the subtitles from being blocked by the PIP screen, and the main screen can be viewed even when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s are displayed. Make sure you have enough spa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IP화면과 자막이 동시에 표시될 경우, PIP화면을 투명하게 표시함으로써, PIP화면에 의해 자막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PIP화면과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도 메인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PIP 표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PIP screen transparently when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s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thereby preventing the subtitles from being blocked by the PIP screen,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screen even when the PIP screen and the subtitles are displayed. It is to provide a PIP display control system for viewing the video.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수신된 메인방송신호를 메인화면에 표시가능한 상태로 처리하기 위한 메인비디오처리회로; 수신된 PIP방송신호를 PIP화면에 표시가능한 상태로 처리하기 위한 PIP비디오처리회로; 상기 메인비디오처리회로과 PIP비디오처리회로에서 처리된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비디오신호를 합성하며, 상기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비디오신호와의 합성비율의 조절이 가능한 비디오신호 합성부, 및; 상기 PIP화면의 출력 중, 자막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비디오신호 합성부에서 상기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비디오신호와의 합성비율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main video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main broadcast signal in a stat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 PIP video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PIP broadcast signal in a state that can be displayed on a PIP screen; A video signal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PIP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main video processing circuit and the PIP video processing circuit, and adjusting a synthesis ratio between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PIP video signal; When the caption display is selected from the output of the PIP screen, the video signal synthesiz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adjust the synthesis ratio of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PIP video signal.
상기 비디오신호 합성부는, 상기 메인비디오신호와 상기 PIP방송신호와의 합성비율을 조절하는 알파블랜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ideo signal synthesizing unit may include an alpha blending module configured to adjust a synthesis ratio between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PIP broadcast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표시의 선택시 상기 알파블랜딩 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troller operates the alpha blending module when the caption display is select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IP 표시 제어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PIP 표시 제어시스템은, 메인신호 처리블럭(10), PIP신호 처리블럭(40), 비디오신호 합성 부(60), 제어부(50)를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IP displa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 display control system includes a main
메인신호 처리블럭(10)은,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메인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튜너(11), 메인오디오처리회로(13), 메인비디오처리회로(23), 메인오디오증폭기(15)를 포함하며, 이와 더불어, 메인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자막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슬라이서(33), 자막신호 처리부(35)를 포함한다. The main
메인튜너(11)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동조하여 메인방송신호를 수신한다. 메인오디오처리회로(13)는 메인방송신호내의 메인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며, 메인오디오증폭기(15)는 메인오디오처리회로(13)에서 처리된 메인오디오신호를 적정한 출력으로 증폭시킨다. 메인비디오신호처리회로는 메인방송신호내의 메인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부의 메인화면에 표시가능한 상태로 처리한다. The
데이터 슬라이서(33)는 메인튜너(11)를 통해 수신된 메인비디오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자막신호를 찾아낸 후 마스킹 펄스를 이용하여 분리해낸다. 일반적으로 자막신호는 메인비디오신호의 제1필드 21번째 라인과 제2필드 284번째 라인에 실려있다. 자막신호 처리부(35)에서는 자막신호의 문자데이터에 상응하는 폰트 그래픽 데이터를 내부의 폰트 메모리에서 읽어내고, 문자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색과 자막위치로 R,G,B 문자 그래픽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The data slicer 33 counts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main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한편, PIP신호 처리블럭(40)은, PIP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PIP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블럭으로서, 보조튜너(41), PIP비디오처리회로(43), PIP오디오처리회로(48), PIP오디오증폭기(49)를 포함한다. 보조튜너(41)는 메인튜너(11)와 마찬가 지로 사용자가 선택한 PIP화면용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동조하여 PIP방송신호를 수신한다. PIP오디오처리회로(48)는 PIP방송신호내의 PIP오디오신호를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 스피커 이외의 제2의 출력장치로 출력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며, PIP오디오증폭기(49)는 PIP오디오처리회로(48)에서 처리된 PIP오디오신호를 적정한 출력 크기로 증폭시킨다. PIP비디오처리회로(48)는 PIP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부의 PIP화면이 크기에 맞추어 압축하여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IP
비디오신호 합성부(60)는, 메인방송신호와 PIP방송신호 중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비디오신호를 합성하여 PIP화면이 포함된 메인화면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비디오신호 합성부(60)는,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방송신호와의 합성시 합성비율을 조절하는 알파블랜딩 모듈(65)을 포함한다. The video
알파블랜딩 모듈(65)은,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방송신호의 합성시 합성비율을 조절하며, 복수개의 먹스(Mux)로 이루어진다. 알파블랜딩 모듈(65)에서는, α값을 이용하여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비디오신호의 합성비율을 조절하며, 메인비디오신호에는 α값을 곱하고, PIP비디오신호에는 1-α값을 곱하여 두 값을 더하면 알파블랜딩되는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합성비율이 조절되면, PIP화면의 투명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PIP화면에 의해 가려졌던 메인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투명도는 미리 제조사에세 설정된 α값에 의해 결정되나,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PIP메뉴에 투명도 조절 메뉴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투명도는 PIP화면이 완전 투명으로 보이는 0%에서 메인화면이 전혀 보이지 않는 불투명인 100% 사이에서 수 내지 수십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한편, 제어부(50)는, 메인신호 처리블럭(10), PIP신호 처리블럭(40), 비디오신호 합성부(60)의 작동을 제어하여 메인화면과 PIP화면의 출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사용자가 PIP화면의 출력을 선택하면, 보조튜너(41), PIP비디오처리회로(43), PIP오디오처리회로(48), PIP오디오증폭기(49), 비디오신호 합성부(60)를 작동시켜 PIP방송신호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메인화면의 일정 위치에 PIP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 때, 알파블랜딩 모듈(65)은 작동하지 아니하며, 이에 따라, PIP화면이 불투명한 상태이므로, PIP화면이 위치한 메인화면은 시청할 수 없다. 한편, 제어부(50)는 PIP화면의 출력 중, 사용자가 자막의 출력을 선택하면, 알파블랜딩 모듈(65)을 작동시켜, PIP비디오신호와 메인비디오신호의 합성비율을 조절함으로써, PIP화면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50)는 데이터 슬라이서(33)와 자막신호 처리부(35)를 작동시켜 자막신호를 처리하여 메인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50)는 자막신호와 PIP방송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 PIP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PIP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도 자막을 볼 수 있도록 한다.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한 PIP표시 제어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IP display control syste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전원이 공급되고, 메인튜너(11)를 통해 메인방송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메인비디오처리회로(23)를 작동시켜 처리된 메인비디오신호를 메인화면(70)으로 출력하고, 메인오디오처리회로(13) 및 메인오디오증폭기(15)를 작동시켜 처리된 메인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When the power is supplied and the main broadcas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이렇게 메인화면(7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PIP 모드를 선택하면(S110), 제어부(50)는 보조튜너(41)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연동하여 PIP방송신호를 수신한다(S120). 그런 다음, 제어부(50)는 PIP비디오처리회로(43)를 작동시켜 PIP비디오신호를 PIP화면(80) 크기에 맞게 압축하여 출력한다(S130). 그리고, 제어부(50)는 PIP오디오처리회로(48), PIP오디오증폭기(49)를 작동시켜, PIP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을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70)의 일측에 PIP화면(80)이 출력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PIP mode while the
이렇게 PIP화면(8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자막모드를 선택하면(S140), 제어부(50)는 데이터 슬라이서(33)와 자막신호 처리부(35)를 작동시켜, 자막신호를 메인화면(70)에 출력가능하도록 처리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caption mode while the
이와 동시에, 제어부(50)는 비디오신호 합성부(60)의 알파블랜딩 모듈(65)을 작동시켜, PIP화면(80) 영역의 메인비디오신호와 PIP비디오신호와의 합성비율을 조절한다(S150). 이 때, 합성비율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합성비율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 PIP화면(80)을 출력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이렇게 PIP화면(80)의 투명도가 조절되면, 제어부(50)는 자막을 메인화면(70)에 출력시킨다(S160). 이 때, PIP화면(80)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P화면(80)이 생성된 영역에서도 메인화면(7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PIP화면(8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도 PIP화면(80) 영역에 표시되는 자막을 읽을 수 있다. When the transparency of the
이와 같이, 본 PIP 표시 제어시스템을 사용하면, PIP화면(80)이 표시된 상태에서 자막모드가 선택되면, PIP화면(80)의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PIP화면(80)이 배치된 영역의 메인화면(70)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막과 PIP화면(80)에 의해 메인화면(70)이 과도히 차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PIP화면(80)이 배치된 영역의 메인화면(70) 영상이나 자막과 같은 중요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막을 시청하기 위해 PIP화면(80)을 끄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IP display control system is used, when the caption mode is selected whil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IP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자막모드가 선택되면, PIP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PIP화면이 배치된 영역의 메인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막과 PIP화면에 의해 메인화면이 과도히 차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PIP화면이 배치된 영역의 메인화면 영상이나 자막과 같은 중요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ption mode is selected while the PIP screen is displayed, the transparency of the PIP screen is adjusted so that the main screen of the area where the PIP screen is disposed can be viewed. Therefore, by preventing the main screen from being excessively blocked by the subtitles and the PIP screen, it is possible to watch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a main screen image or a subtitle of the area where the PIP screen is arranged.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Furth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hich should be taken as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00371A KR100677749B1 (en) | 2005-01-04 | 2005-01-04 | PIP Display Contro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00371A KR100677749B1 (en) | 2005-01-04 | 2005-01-04 | PIP Display Control Syste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79948A KR20060079948A (en) | 2006-07-07 |
| KR100677749B1 true KR100677749B1 (en) | 2007-02-02 |
Family
ID=3717146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003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7749B1 (en) | 2005-01-04 | 2005-01-04 | PIP Display Control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7774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1520B1 (en) | 2007-10-08 | 2013-1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storaging a moving picture in thereof and ethod for playing a moving picture in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39774B1 (en) * | 2005-12-12 | 2007-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 func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716171B1 (en) * | 2010-04-01 | 2017-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84740A (en) * | 1998-05-11 | 1999-12-06 | 구자홍 | How to Blend Digital On-Screen Displays |
| KR20000036690A (en) * | 2000-03-25 | 2000-07-05 | 김태근 | Informations Provide System during Digital Broadcasting Seeing and Hearing and Mothod thereof |
| KR20000065696A (en) * | 1999-04-08 | 2000-11-15 | 윤종용 | Method for performing multiple alpha blending and multi-window in dtv receiver |
| KR20010087398A (en) * | 1999-09-25 | 2001-09-15 | 요트.게.아. 롤페즈 | User interface generation |
| US20020171682A1 (en) | 1992-12-15 | 2002-11-21 | Sun Microsystem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in a dis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windows |
| JP2003219308A (en) | 2002-01-23 | 2003-07-31 | Sony Corp |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screen display control apparatus |
-
2005
- 2005-01-04 KR KR1020050000371A patent/KR1006777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20171682A1 (en) | 1992-12-15 | 2002-11-21 | Sun Microsystem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in a dis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windows |
| KR19990084740A (en) * | 1998-05-11 | 1999-12-06 | 구자홍 | How to Blend Digital On-Screen Displays |
| KR20000065696A (en) * | 1999-04-08 | 2000-11-15 | 윤종용 | Method for performing multiple alpha blending and multi-window in dtv receiver |
| KR20010087398A (en) * | 1999-09-25 | 2001-09-15 | 요트.게.아. 롤페즈 | User interface generation |
| KR20000036690A (en) * | 2000-03-25 | 2000-07-05 | 김태근 | Informations Provide System during Digital Broadcasting Seeing and Hearing and Mothod thereof |
| JP2003219308A (en) | 2002-01-23 | 2003-07-31 | Sony Corp |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screen display control apparatu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1520B1 (en) | 2007-10-08 | 2013-1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storaging a moving picture in thereof and ethod for playing a moving picture in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79948A (en) | 2006-07-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109974B2 (en) |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n on-screen display (OSD) | |
| EP0660602B1 (en) | Subtitle display apparatus | |
| KR100261904B1 (en) | Headphone sound output device | |
| JP4814934B2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 |
| US20070002179A1 (en) |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 |
| JP2007221269A (en) | Display signal control device, display signal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 KR100677749B1 (en) | PIP Display Control System | |
| GB2274226A (en) | Television receiver with movable image | |
| JP2007235794A (en) | Television receiver | |
| JP2007336313A (en) | 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 US20050280744A1 (en)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combined mode set-up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
| JP2009118166A (en) | Television receiver | |
| KR100722027B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 |
| JP2006279447A (en) | Television receiver | |
| KR0182455B1 (en) | Apparatus for osd displaying sound equalizer level in widevision | |
| KR100682759B1 (en) | Multi-channel video synthesis broadcast receiver and its synthesis method | |
| JP2005295262A (en) | Program receiving system and program receiving apparatus | |
| JP2006014004A (en) | Two-screen TV control method | |
| KR20010004144A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caption broadcasting in picture in picture mode | |
| JP2010010888A (en) |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 KR10032368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iterature of the TV | |
| KR200195311Y1 (en) | Display control unit of television set | |
| KR10107459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 |
| KR20050056439A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010076433A (en) | Digital TV for Caption display App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12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