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8191B1 -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191B1
KR100678191B1 KR1020040092958A KR20040092958A KR100678191B1 KR 100678191 B1 KR100678191 B1 KR 100678191B1 KR 1020040092958 A KR1020040092958 A KR 1020040092958A KR 20040092958 A KR20040092958 A KR 20040092958A KR 100678191 B1 KR100678191 B1 KR 10067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7117A (en
Inventor
이지영
박인곤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91B1/en
Publication of KR2006004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1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91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통신 장치는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선면, 후면 및 상기 선후면과 각각 이웃하게 접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양 측면과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선면 또는 후면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 후면 또는 선후면과 이격되며, 상기 본체가 소정의 거리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04052847341-pat00001

휴대 통신, 슬라이딩, 테두리, 프레임.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e disclose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djacent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n edge frame which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and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rear or rear surface, and supports the main body to sl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igure 112004052847341-pat00001

Mobile communication, sliding, borders, frames.

Description

휴대 통신 장치{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테두리 프레임이 제거된 본체를 나타내는 일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body from which an edge fram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테두리 프레임이 제거된 본체를 나타내는 탁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border frame removed.

도 4는 도 1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5는 도 1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FIG. 1;

도 6은 도 1의 저면도.6 is a bottom view of FIG. 1.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본체와 테두리 프레임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일측면도.FIG. 7 is a partially cut away sid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main body and an edge fra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정면도.9 is a front view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테두리 프 레임을 제거한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from which an edge fram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12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본체와 테두리 프레임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일측면도.FIG. 13 is a partial cutaway sid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main body and an edge fram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프레임의 스위칭 수단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15 is a front view showing a cut part of the switching means of the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테두리 프레임을 제거한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16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body from which an edge fram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카메라 폰, 게임 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충격에 저항하거나, 외부 충격에 저항함과 아울러 흔듬 동작으로 편리하게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cellular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held phones (HHPs), camera phones, game phon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inputting frequently used data with a shaking motion and conveniently.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while carrying.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trending toward miniaturization, slimness, grip,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ization direction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the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 is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 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classified into either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wearable position or a manner of wearing. A necklace-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wear 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wrist.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ion-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eans. The variously classified communication device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camera lenses have been adopted i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and the like has been mad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s an external type or a built-in typ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그러나, 통상적인 휴대 통신 장치는 휴대성으로 인하여 자주 지면에 낙하하는 등의 외부 충격이 수시로 가해진다. 예를 들어,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휴대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위하여 경량, 소형 및 슬림화를 추구하고 있으나, 외부 충격, 특히 낙하 시에는 본체의 모서리 부분 등의 손상이 자주 발생된다. 더욱이, 본 체 구조적 강성을 위하여 본체 상하 케이싱을 금속 재질로 구성한다면, 중량감의 증가로 인하여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된다. However,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frequently subjected to external shocks such as falling to the ground due to their portability.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that must be carried at all times pursue lightweight, small size, and slimness for portability. However, damages such as corners of the main body are frequently generated during external shocks, especially drops. Furthermore, if the main body upper and lower casing is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body,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portability is lowered due to the increase in weight.

또한,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터치 동작인 누름 동작만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즉, 사용자는 데이터를 입력하려면, 의식 중에 원하는 키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동작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휴대 통신 장치에서 자주 사용하는 키들은 더욱 더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put the desired data only by pressing the touch operation. That is, the user must touch or press a desired key during consciousness to enter data. However, the keys frequently us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need a way to enter more convenient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충격에 저항할 수 있는 금속성 테두리 프레임을 본체의 측면들을 에워싸게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etallic frame frame surrounding the side surfaces of a main body that can withstand external shock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성 테두리 프레임 내에서 본체가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함으로서 외부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external impact by sliding a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metallic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성 테두리 프레임 내에서 본체가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하게 구성되어짐으로서, 낙하 등에 의해 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흔듬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이중 목적을 달성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main body to sl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metallic frame, thereby minimizing external shocks applied to the main body by falling,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a dual purpose of inputting data in a shaking mo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omplishe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주 사용하는 키를 설정하여 금속성 테두리 프레임의 흔듬 동작을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inputting data that frequently uses a shaking operation of a metallic frame by setting frequently used keys.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선면, 후면 및 상기 선후면과 각각 이웃하게 접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 및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djacent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상기 양 측면과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선면 또는 후면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 후면 또는 선후면과 이격되며, 상기 본체가 소정의 거리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It is always in contact with both sides, and is interviewed with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rear surface or rear surface, it is composed of a border frame that supports the main body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선면, 후면 및 상기 선후면과 각각 이웃하게 접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면들에 제공된 다수의 사이드 키들을 포함하는 본체;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djacent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 keys provided on the surfaces;

상기 양 측면과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선면 또는 후면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 후면 또는 선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본체가 소정의 거리로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 및An edge frame which is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at all times and is interviewed with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or the rear surface, and the main body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흔듬 동작 및 상기 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선택된 면들에 위치한 상기 키를 터치하여 데이터가 입력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Means for inputting data by touching the keys located on the selected surfaces by the shaking motion of the frame and the weight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선면, 후면 및 상기 선후면과 각각 이웃하게 접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djacent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상기 양 측면과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선면 또는 후면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 후면 또는 선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본체를 소정의 거리로 상기 본체 길 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 및An edge frame which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ram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rear or rear surface, and supports the main body to sl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다.
It is composed of a switching mean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sensed signal.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를 둘러싸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100)가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면(105)(top surface)과, 저면(106)(bottom surface), 선면(101)(front surface), 후면(102)(rear surface) 및 상기 선후면(101,102)과 측방향에서 각각 이웃하는 양 측면(103,104)(side surfaces)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은 상기 양측면(103,104)과 상기 본체(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본체의 선면(101) 또는 후면(102)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101), 후면(102) 또는 선/후면(101,102)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과 상기 선면(101), 후면(102) 또는 선/후면(101,102) 사이에는 항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유 공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150)(opening)가 존재한다. 상기 개구(150)는 상기 본체(100)의 슬라이딩이동을 위한 여유 공간이다. 상기 선면(101)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이 접하거나, 상기 후면(102)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이 접하면, 하나의 개구(150)가 제공되고, 상기 선후면(101,102)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이 각각 이격된 상태가 되면, 상기 개구(150)는 두 개가 제공된다. 상기 개구(150)는 모두 상기 본체(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본체(100)는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따라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의 외형도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된다. 도 1과 도 2에는 상기 본체 선면(101)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 간에 제공된 개구(150)가 도시되었다.1 to 5,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to support the main body 100 in a sliding manner. It is composed of a border frame 200.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top surface 105, a bottom surface 106, a front surface 101, a rear surface 102, and the back and rear surfaces 101 and 102. It includes both side surfaces 103 and 104 that are adjacent in the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Preferably, the border frame 20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103 and 104 to support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at all times, and is interviewed with the front surface 101 or the rear surface 102 of the main body or the front surface. (101), rear (102) or line / rear (101, 102). Therefore, there is always at least one free space, in particular at least one opening 150, between the border frame 200 and the front surface 101, the back surface 102, or the line / rear surfaces 101, 102. . The opening 150 is a free space for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front surface 101 and the border frame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e rear surface 102 and the border frame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opening 150 is provided,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101 and 102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the front frame 101 and the border frame 200. When the edge frames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wo openings 150 are provided. The openings 150 are all provided for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us, the outline of the edge frame 200 is also provided in an extend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1 and 2 illustrate an opening 150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front face 101 and the rim frame 200.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양측면(103,10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들(132,142)이 배치된다.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at least one or more keys 132 and 142 ar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103 and 104 of the main body 1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저면(106)에는 카메라 렌즈(113)와, 조명 장치(115)와, 배터리 팩(117)이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113)와 상기 조명 장치(115)는 서로 이웃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113)는 상기 배터리 팩(117)과 서로 이웃한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camera lens 113, the lighting device 115, and the battery pack 117 ar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106 of the main body. The camera lens 113 and the lighting device 115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camera lens 113 is adjacent to the battery pack 117.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은 경량의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서 외부 충격, 구체적으로 낙하 시에 상기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에 저항한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은 연속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0)를 둘러싸게 구성되어서 낙하 시에 지면 등과의 충격으로부터 저항하며, 특히 상기 본체(100)가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에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 내에 상기 본체(100)의 상기 개구(150)가 제공되어져서 상기 본체(100)의 슬라이딩에 따른 충격 흡수가 구현된다.As shown in FIG. 1 again, the frame frame 200 is made of a lightweight metal material to resist external shock, specifically, an impact applied to the main body 100 during a drop. The frame 200 is continuously formed,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body 100 to resist from impact from the ground and the like during the fall, in particular, because the body 100 slides in the frame 200 It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main body 100. The opening 150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in the edge frame 200, so that shock absorption due to sliding of the main body 100 is realized.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은 그의 내면(201)과 상기 본체 양측면(103,104)과 슬라이딩 한다. 또한,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은 그의 외면(20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키 커버(210)가 제공된다. 상기 버튼 키 커버(210)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에서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눌려지게 지지된다. 물론, 상기 버튼 키 커버(210)는 연성 재질(flexible material)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dge frame 200 slides with its inner surface 201 and both sides 103 and 104 of the main body. 1 and 5, the edge frame 2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button key cover 210 on its outer surface 202. The button key cover 210 is supported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n the border frame 200. Of course, the button key cover 21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lexible materia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에 지지된 채로 구속된 상태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 사이에는 구속 수단이 더 구비되어서 양자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이드된다.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본체 양 측면(103,104)을 따라서 각각 리세스된 오목부들(130,140)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들(130,140)과 대응하는 볼록부들(220,222) 구성된다. 상기 오목부들(130,140)과 상기 볼록부들(220,222)이 서로 결합되면, 상기 본체(100)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된다. 상기 오목부들(130,140)은 상기 본체 양 측면(103,104)에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볼록부들(220,222)은 상기 양 측면과 접하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된다.As shown in FIG. 7, the main body 100 slides in a constrained stat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edge frame 200. Therefore, a restrain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edge frame 200 so as to be slid and guided in a coupled state. The restraining means includes recesses 130 and 140 recessed along the side surfaces 103 and 104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convex portions 220 and 22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200 to correspond to the recesses 130 and 140. . When the concave portions 130 and 140 and the convex portions 220 and 22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main body 100 and the edge frame 200 are slidably constrained. The concave portions 130 and 140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sides 103 and 104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convex portions 220 and 222 ext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rder frame 200 in contact with both sides.

상기 본체(1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선형이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들(130,140) 상기 볼록부들(220,222)도 선형으로 연장된다.Sinc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is linear, the concave portions 130 and 140 and the convex portions 220 and 222 also extend linear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금속성 테두리 프레임 내에서 본체가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하게 구성되어짐으로서, 낙하 등에 의해 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흔듬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이중 목적을 달성한 휴대 통신 장치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를 둘러싸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300)가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400) 및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흔듬 동작과 상기 본체(300)의 자중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되게 하는 수단(도 11에 도시됨)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lide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metallic frame, thereby minimizing external impacts applied to the main body by dropping and the lik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hieves the dual purpose of inputting data by shaking ope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00 and a border frame 400 which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main body 300 to support the main body 300 to slide, and the border frame 400. ) And means (shown in FIG. 11) for inputting data by the weight of the main body 300.

상기 본체(300)는 선면(301), 후면(302) 및 상기 선/후면(301,302)과 각각 이웃하는 양 측면(303,30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은 상기 양 측면(303,304)과 상기 본체(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본체의 선면(301) 또는 후면(302)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301), 후면(302) 또는 선/후면(301,302)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과 상기 선면(301), 후면(302) 또는 선/후면(301,302) 사이에는 항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유공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350)가 존재한다. 상기 개구(350)는 상기 본체(300)의 슬라이딩이동을 위한 여유 공간이다. 상기 선면(301)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이 접하거나, 상기 후면(302)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이 접하면, 하나의 개구(350)가 제공되고, 상기 선후면(301,302)과 상기 테 두리 프레임(400)이 각각 이격된 상태가 되면, 상기 개구(350)는 두 개가 제공된다. 상기 개구(350)는 모두 상기 본체(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본체(300)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따라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외형도 상기 본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된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본체 선면(301)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 간에 제공된 개구(350)가 도시되었다.The main body 300 includes a front surface 301, a rear surface 302, and both side surfaces 303 and 304 adjacent to the line / rear surfaces 301 and 302, respectively. Preferably, the edge frame 400 is alway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upport sliding movement of the side surfaces 303 and 304 and the main body 300, or interviews the front surface 301 or the rear surface 302 of the main body, or It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301, the rear surface 302 or the line / rear surfaces 301 and 302. Therefore, there is always at least one free space, specifically at least one or more openings 350, between the border frame 400 and the front surface 301, the rear surface 302, or the line / rear surfaces 301 and 302. The opening 350 is a free space for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300. When the front surface 301 is in contact with the border frame 400, or when the rear surface 302 and the border frame 4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opening 350 is provided,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301 and 3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edge frames 4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wo openings 350 are provided. The openings 350 are all provided for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300. The main body 300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us, the outline of the edge frame 400 is also provided in an extend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300. 8 and 9 illustrate an opening 350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front surface 301 and the edge frame 40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선면(301)에는 사이드 키(345)이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키(345)은 후술하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흔듬 동작에 의해 터치되거나 눌려져서 데이터 입력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한 번 흔듬 동작에 의해 상기 사이드 키(345)는 한번 눌려져서 하나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물론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흔듬 동작은 상기 본체(300)의 자중에 의해 관성의 법칙에 따라서 발생된다.As shown in FIG. 10, a side key 345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main body 100. The side key 345 is touched or pressed by the shaking operation of the edge fram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perform a data input operation. The side key 345 is pressed once by the shaking operation of the frame 400 and one data is input. Of course, the shaking motion of the frame 400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law of inertia by the weight of the main body 30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은 경량의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서 외부 충격, 구체적으로 낙하 시에 상기 본체(300)에 가해지는 충격에 저항한다. 실제로 휴대 통신 장치가 낙하되면, 상기 본체(300)의 모서리 부분에 가장 큰 외부 충격이 발생되며, 특히 휴대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낙하 자주 발생되고, 이러한 낙사 현상은 본체의 구조적 강성을 약화시켜서 그 내부에 보호되는 기판이나 회로부품의 손상을 가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은 플라스틱 재질이나 경량의 신소재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As shown in FIG. 11, the frame frame 400 is made of a lightweight metal material to resist external shock, specifically, an impact applied to the main body 300 during the fall. In fac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alls, the greatest external shock is generated at the corners of the main body 300, and in particular,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requently drops due to user's carelessness, and such fallout phenomenon weakens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main body. It damages the board or the circuit component which is protected insid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rame frame 40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new lightweight material.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은 연속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를 둘러싸게 구성되어서 낙하 시에 지면 등과의 충격으로부터 저항하며, 특히 상기 본체(300)가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에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 내에 상기 본체(300)의 상기 개구가 제공되어져서 상기 본체(300)의 슬라이딩에 따른 충격 흡수, 즉 완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rame 400 is continuously configured,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body so that it is resistant to impact from the ground or the like upon falling, and in particular, the body 300 slides on the frame 200. 300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300 is provided in the edge frame 400 to perform shock absorption, that is, a shock absorbing function, due to the sliding of the main body 300.

상기 테두리 프레임(200)은 흔듬 동작으로 그의 내면 소정 위치에 상기 사이드 키를 누르기 위한 수단(410)이 제공된다. 상기 수단(410)은 상기 본체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수단(410)은 후술하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내면(401)에 형성된 돌출부(422)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수단(410)은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내면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본체 일측면에 제공된 사이드 키의 위치에 따라서 종속된다. 상기 수단(410)은 돌기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border frame 200 is provided with means 410 for pressing the side ke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its inner surface in a rocking motion. The means 410 protrudes in the body direction. The means 410 is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protrusion 42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401 of the edge frame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 means 410 need not be limited to being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400, and is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side ke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means 41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projection.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흔듬 동작에 따른 데이터 입력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ata in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shaking operation of the edge frame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이 상기 본체의 후면에 접하고, 상기 선면(301)과 이격되어 개구(350)가 발생된 경우, 상기 수단(410)과 상기 사이드 키(345)는 이격되어서 데이터 입력 동작이 구현되지 않는다. 도 12에는 사이드 키(345)가 상기 본체 선면(301)에 장착된 것이 예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사이드 키(345)는 상기 본체 후면 또는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edge frame 4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ine surface 301 to generate the opening 350, the means 410 and the side key 345 are generated. ) Are spaced apart so that data input operations are not implemented. In FIG. 12, a side key 345 is mounted on the main body front surface 301. However, the side key 345 may be mounted on the rear o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을 잡고나서 상하로 한 번 흔들면, 관성의 법칙과 상기 본체(3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은 상기 본체 선면(301)과 접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후면과 이격되어서 개구가 발생된다. 동시적으로 상기 수단(410)은 상기 사이드 키(345)를 터치하거나 누른 상태가 되고, 이어서 상기 본체(300)는 자중에 의해 다시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로써, 상기 수단(410)에 의해 상기 사이드 키(345)는 한 번 터치 되거나 눌려져서 데이터 입력 동작이 구현된다. 물론, 상기 사이드 키(345)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 키(345)는 단순 터치 동작으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터치 키나,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키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번호 346은 메탈 돔이고, 참조번호 347은 인쇄회로기판을 지칭한다.When the frame frame 400 is shaken up and down once, by the law of inertia and the weight of the body 300, the frame frame 400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front surface 301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n opening is generated. Simultaneously, the means 410 is in a state of touching or pressing the side key 345, and then the main body 300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12 again by its own weight. As a result, the side key 345 is touched or pressed once by the means 410 to implement a data input operation. Of course, the side key 345 is composed of a key for data input frequently us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side key 345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key for inputting data through a simple touch operation or a key for inputting data in a pressing operation. Reference numeral 346 denotes a metal dome, and reference numeral 347 denotes a printed circuit boar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0)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에 지지된 채로 구속된 상태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300)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 사이에는 양자간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 수단이 더 구비되어서 양자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이드된다.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본체 양 측면(303,304)을 따라서 각각 리세스된 오목부들(330,340)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들(330,340)과 대응하는 볼록부들(420,422) 구성된다. 상기 오목부들(330,340)과 상기 볼록부들(420,422)이 서로 결합되면, 상기 본체(300)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30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된다. 상기 오목부들(330,340)은 상기 본체 양 측면(303,304)에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볼록부들(420,422)은 상기 양 측면과 접하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400)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오목부(330,340)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볼록부들(420,422)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본체(3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선형이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들(330,340) 상기 볼록부들(420,422)도 선형으로 연장된다. 상기 오목부들(330,340)과 상기 볼록부들(420,422)의 표면은 곡면으로 구성되어 원할한 슬라이딩 이동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3, the main body 300 slides in a constrained stat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edge frame 400. Therefore, a constrain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300 and the edge frame 400 so as not to be separated between the main body 300 and the edge frame 400, and the sliding guide is slid in a state where both are coupled. The restraining means includes recesses 330 and 340 recessed along the side surfaces 303 and 304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convex portions 420 and 42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frame 400 and corresponding to the recesses 330 and 340. . When the concave portions 330 and 340 and the convex portions 420 and 42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main body 300 and the edge frame 300 are slidably constrained. The concave portions 330 and 340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side surfaces 303 and 304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convex portions 420 and 422 ext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rder frame 400 which contacts both sides. The concave portions 330 and 340 are reces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convex portions 420 and 422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inc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300 is linear, the concave portions 330 and 340 and the convex portions 420 and 422 also extend linearly. The concave portions 330 and 340 and the surfaces of the convex portions 420 and 422 are curved to provide a smooth sliding movement.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선면(501), 후면(502) 및 상기 선후면(501,502)과 각각 이웃하게 접하는 양 측면(503,504)을 포함하는 본체(500)와, 상기 양 측면(503,504)과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선면(501) 또는 후면(502)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501), 후면(502) 또는 선후면(501,502)과 이격되고, 상기 본체(500)를 소정의 거리로 상기 본체(500)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600) 및 상기 본체(500)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700)으로 구성된다.상기 스위칭 수단(700)은 상기 본체(500)의 슬라이딩 전후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공함으로서, 데이터 입력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관성의 법칙에 따라서 상기 본체(500)를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본체(500)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600) 내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동하고, 후술하는 센서(S)와 영구 자석(M)이 소정의 거리 이내에 도착하면, 상기 센서(S)가 상기 본체(500)가 이동하였다는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스위칭 수단(700)은 상기 본체(500)의 한 번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스위칭된다.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As illustrated in FIGS. 14 and 15,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surface 501, a rear surface 502, and two side surfaces 503 and 504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501 and 502, respectively. 500 and always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503 and 504, and are interviewed with the front surface 501 or the rear surface 502, or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501, the rear surface 502 or the rear and rear surfaces 501 and 502. The frame frame 600 for sliding the main body 5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5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witching means 70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500 to provide a sensed signal. The switching means 700 detects before and after sliding of the main body 500 and provides a sensed signal, thereby inputting data. For example, when the user slides the main body 500 according to the law of inertia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4, the main body 500 mov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edge frame 600, and a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When S and the permanent magnet M arriv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nsor S outputs a detection signal that the main body 500 has moved. That is, the switching means 700 is switched in one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500.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 수단(700)은 상기 본체(500)에 구비된 센서(S)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600)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S)와 대면하는 영구 자석(M)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S)는 근접 센서, 마그네틱 센서 또는 홀 센서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witching means 700 is composed of a sensor (S) provided in the main body 500 and a permanent magnet (M) provided in the frame frame 600 to face the sensor (S). The sensor S may be configured as one of a proximity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a hall sensor.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S)는 상기 본체의 측면들(503,504) 중, 선택된 하나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는 상기 센서(S)가 상기 본체의 일측면(504)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센서(S)는 상기 본체의 선면(501)이나 후면(502)에 배치되게 변형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영구 자석(M)의 배치 위치도 변형된다.As illustrated in FIG. 16, the sensor 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s 503 and 504 of the main body. In FIG. 16, the sensor S is disposed on one side 504 of the main body. However, the sensor S is deformable to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501 or the rear surface 502 of the main body. Of course, in such a configurati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M is also modified.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프레임(600)은 상기 센서(S)와 대응할 수 있는 영역에 상기 영구 자석(M)이 배치된다. 상기 영구 자석(M)은 상기 테두리 프레임(600)의 일측면을 따라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00)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600) 간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속 수단은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7, the permanent magnet M is disposed in an area that may correspond to the sensor S in the edge frame 600. The permanent magnet M is mounted along one side of the edge frame 600. Since the restraining means for sliding between the main body 500 and the edge frame 600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본체를 감싸는 테두리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테두리 프레임 내에서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하게 구성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저항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본체를 감싸는 테두리 프레임으로 구성되 고, 상기 본체가 상기 테두리 프레임 내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동하게 구성되며, 상기 본체에 제공된 사이드 키와 상응하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돌기 형상의 수단이 제공되어짐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흔듬 동작과 상기 본체의 자중에 따른 관성에 의해 데이터 입력 동작이 구현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 입력 동작이 편리해지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를 감싸는 테두리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가 테두리 프레임 내에서 슬라이딩이동하게 구성되며, 센서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수단이 상기 본체와 테두리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어 짐으로서, 사용자의 흔듬에 의한 상기 본체의 슬라이딩에 따라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은 상기 본체의 한번의 이동에 따라서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rame frame surrounding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sl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frame, so as to resist external shocks It became. 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surrounding the body, the body is configured to mov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frame, and the frame of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side key provided on the body Providing a projection-shaped mean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data input operation is implemented by the shaking motion of the frame and the inertia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main body, thereby achieving the advantage that the data input operation is conveni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rder frame surrounding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border frame, the switching means consisting of a sensor and a permanent magnet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the border frame, respectively, Data can b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of the main body by shaking. Of course, the data input is implemented according to one movement of the main body.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선면, 후면 및 상기 선후면과 각각 이웃하게 접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 및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djacent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상기 양 측면과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선면 또는 후면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 후면 또는 선후면과 이격되며, 상기 본체를 소정의 거리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It is always in contact with both sides, and the frame is interviewed with the rear or rear, spaced apart from the front, rear or front and rea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border frame for sliding the suppo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제공되어서 슬라이딩 여유 공간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pening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dge frame to provide a sliding clear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서 낙하 시에 상기 본체를 보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o protect the main body when the frame is dr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탑이 제공되어서 상기 본체의 사이트 키와 접하거나 누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key top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rame to contact or press a site key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 내면 사이에는 구속 수단이 더 구비되어 양자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이드하고,According to claim 1, Between both side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straining means sliding guide in a state in which both are coupled, 상기 구속 수단은 The restraining means 상기 본체 양측면을 따라서 리세스된 오목부; 및Recesses recessed along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상기 테두리 프레임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와 대응하는 볼록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And a 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양측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양측면과 접하는 내면을 따라서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cave portion extends along the both side surfaces, and the convex portion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h side surfaces.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선면, 후면 및 상기 선후면과 각각 이웃하게 접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면들에 제공된 다수의 사이드 키들을 포함하는 본체;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djacent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 keys provided on the selected surfaces; 상기 양 측면과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선면 또는 후면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 후면 또는 선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본체를 소정의 거리로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 및An edge frame which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ram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rear or rear surface, and supports the main body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흔듬 동작 및 상기 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선택된 면들에 위치한 상기 키가 터치되어서 데이터가 입력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And means for allowing data to be input by touching the keys located on the selected surfaces due to the shaking operation of the frame and the weight of the main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흔듬에 의해 상기 선택된 사이드 키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돌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means is constituted by a protrusion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said frame to touch or press said selected side key by said shak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항시 존재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선면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 상기 후면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 또는 상기 선후면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존재함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According to claim 8, At least one or more openings are always present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order frame, the opening is present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border frame, the back and the border frame or between the line back and the border frame.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에 구속된 상태로 슬라이딩 동작 및 정지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main body performs a sliding operation and a stopping operation in a state of being constrained to the edge fra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이드 키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한 번의 흔듬에 따라서 한 번 입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selected side key is input once according to one shake of the fra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외부 충돌 시에 보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frame is made of metal to protect against an external collis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은 띠 형상으로 연속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frame is continuous in a band shap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키는 상기 본체의 선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ide key is arrang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선면, 후면 및 상기 선후면과 각각 이웃하게 접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djacent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상기 양 측면과 항시 접한 상태이고, 상기 선면 또는 후면과 면접하거나, 상기 선면, 후면 또는 선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본체를 소정의 거리로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 및An edge frame which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ram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rear or rear surface, and supports the main body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And switching means f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sensed sign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witching means 상기 본체에 구비된 센서; 및A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상기 테두리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와 대면하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And a permanent magnet provided at the edge frame and facing the senso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또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홀 센서 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18.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sensor is composed of a proximity sensor, a magnetic sensor or a hall senso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18.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sensor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main bod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본체의 한 번의 슬라이딩으로 동작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said switching means is operated by one sliding of said main body.
KR1020040092958A 2004-11-15 2004-11-15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xpired - Fee Related KR1006781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958A KR100678191B1 (en) 2004-11-15 2004-11-15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958A KR100678191B1 (en) 2004-11-15 2004-11-15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17A KR20060047117A (en) 2006-05-18
KR100678191B1 true KR100678191B1 (en) 2007-02-02

Family

ID=3714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9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8191B1 (en) 2004-11-15 2004-11-15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19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448A (en) * 1994-06-16 1996-01-12 Mitsubishi Materials Corp Portable telephone set
JPH09321847A (en) * 1996-05-29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otective equipment for portable equipment
KR20030029172A (en) * 2001-10-05 200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lephone with exterior edge case having replaceable property
KR20040074294A (en) * 2003-02-17 200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Scent bottle-type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448A (en) * 1994-06-16 1996-01-12 Mitsubishi Materials Corp Portable telephone set
JPH09321847A (en) * 1996-05-29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otective equipment for portable equipment
KR20030029172A (en) * 2001-10-05 200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lephone with exterior edge case having replaceable property
KR20040074294A (en) * 2003-02-17 200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Scent bottle-type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17A (en)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388B1 (en)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key
KR100678162B1 (en) Sliding and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341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up / down keys
KR10063010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pop up type keypad
KR100703495B1 (en) Two-way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100689531B1 (en) Clamshell device
KR20050100478A (en) Portable phone with automatic sliding pop-up type display unit
KR20040018169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81259A (en) Semi automatic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KR100663550B1 (en) Folding Portable Device
KR100678200B1 (en) Folding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KR100630116B1 (en) Data entry keys of the mobile device and their key arrays
KR10053993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89468B1 (en) Sliding combined swing type portable device
KR100703509B1 (en) Sliding handheld mobile game console
KR100678191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2005003612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KR100663501B1 (en) Portabl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17740B1 (en)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100506223B1 (en) Portable phone
KR101058654B1 (en) Two Way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594025B1 (en) Portable phone and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thereof
KR20060121483A (en) Sliding type mobile device
KR20010026579A (en) Digital camera phone
KR200364949Y1 (e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12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