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7574B1 -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574B1
KR100687574B1 KR1020060027609A KR20060027609A KR100687574B1 KR 100687574 B1 KR100687574 B1 KR 100687574B1 KR 1020060027609 A KR1020060027609 A KR 1020060027609A KR 20060027609 A KR20060027609 A KR 20060027609A KR 100687574 B1 KR100687574 B1 KR 100687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ating
coating agent
fluoroelastomer
transpa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래
강정기
구자흥
이선도
Original Assignee
(주) 개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1047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875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to KR102006002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57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 개마텍 filed Critical (주) 개마텍
Publication of KR10068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2/092,697 priority patent/US9134461B2/en
Priority to CN2007800193854A priority patent/CN101454411B/zh
Priority to PCT/KR2007/001491 priority patent/WO2007111465A1/en
Priority to AU2007230045A priority patent/AU2007230045B8/en
Priority to EP07745664.8A priority patent/EP1999220B1/en
Priority to CA2647510A priority patent/CA2647510C/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르 탄성체를 포함하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사용한 렌즈 옥형 가공 방법은, 취급시 스크래치 방지, 옥습기 가공시 축 어긋남 방지, 옥습기 가공시 접착패드 및 점착테이프의 부착으로 인한 작업의 번거로움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한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도포 상태가 투명하기 때문에 렌즈미터로 손쉽게 렌즈의 도수를 오차 없이 측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코팅제는 옥습기 가공 후 쉽게 손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렌즈, 옥습기, 플루오르 탄성체, 축 어긋남

Description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 방법{A TRANSPARENT COATING AGENT FOR BLOCKING OF LENS AND A EDGING PROCESS OF LEN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루오르 탄성체를 포함하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광학렌즈나 광학부품의 반사 방지막의 제조는 SiO2, ZrO2, Al2O3, TiO2 등의 저굴절, 중굴절, 고굴절 무기산화물을 진공에서 멀티로 증착하여 빛에 의한 반사를 줄어들게 하거나, 선택된 파장의 빛을 흡수 및 반사하게 하여 각종 광학적인 특성을 부여하고, ITO(Indium Tin Oxide) 등을 증착하여 투명전도성을 부여하거나, 전자파를 차단하게 하며,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광학적인 설계를 통하여 컬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진공증착 컬러 코팅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산화물을 이용하여 진공 코팅하였을 경우, 외부의 오염원, 화학약품, 염수, 땀 등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오염물질의 제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 화학물질에 의해서 산화물 내로의 침투가 일어나 광학적인 특성이 설계 값과 다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외부의 물질에 대한 방지막으로 플루오르기를 함유하는 유기실란 등을 이용한 진공코팅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특성을 더욱 향상 시키고자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226942호 등에서는 유기규소화합물과 불소계 오일 등을 혼용하여 발수 및 발유 특성을 강화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의 물질을 코팅한 렌즈의 경우에 표면마찰계수가 극히 낮기 때문에 옥습기(Edger) 가공시 점착테이프를 별도로 부착한 후, 다시 고밀도 부틸 고무재료의 양면에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패드를 부착하여 옥습기의 축과 연결시킨 후 가공을 하게 된다. 그러나, 초발수 렌즈와 같은 표면의 마찰계수가 극히 낮은 렌즈의 경우 점착테이프와 렌즈 표면과의 점착력 부족으로 인해 옥습기 가공시 축 어긋남이 발생하여, 옥습기 가공에 많은 불편함을 겪어 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122238호에서는 초발수 처리된 렌즈 표면에 아세트산비닐수지 막을 도포하여 축 어긋남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옥습기 가공시 점착테이프를 부착하지 않으면 축의 회전에 의한 토크를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도포막 위에 다시 점착테이프를 부착하고, 접착제 패드를 붙인 다음, 옥습기 가공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습기 가공시 별도의 점착테이프 사용 없이도 회전 토크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초발수 렌즈 표면과의 높은 점착성을 가지므로 옥습기 가공시 축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으며, 취급시 또는 가공시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상기 투명 코팅제를 사용한 렌즈 옥형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는 플루오르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루오르 탄성체는 점착성과 탄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렌즈 표면에 도포하면 회전 토크에 대한 저항성과 렌즈 표면과의 점착성으로 인해 별도의 접착 패드나 점착테이프를 렌즈 표면에 붙이지 않고도 쉽게 옥습기 가공을 할 수 있으며, 취급시 외부 이물질 등에 대한 오염방지 및 옥습기 가공시 렌즈 파편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루오르 탄성체는 옥습기 가공 후 쉽게 손으로 제거가 가능하며, 수지를 도포한 상태에서도 렌즈 도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플루오르 탄성체는 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펜, 헥사플루오르아세톤, 1-히드로펜타플루오르프로펜, 퍼플루오르비닐에테르, 퍼플루오르메틸비닐에테르, 트리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루오르 탄성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과정에서 단량체인 에틸렌 및 프로펜 중 1종 이상이 추가되어 공중합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르 탄성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방법은 미국공개특허공보 제4,758,618호, 제4,591,616호, 제3,136,745호, 제6,294,627호 및 제4,418,186호 등에 개시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시판되는 플루오르 탄성체로는, Daiel®(Daikin 사), DyneonTM(3M 사), Tecnoflon®(Solvay Solexis 사), Viton®(DuPont 사) 및 Aflas®(Asahi Glass 사) 등이 있다.
상기 플루오르 탄성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팅제를 사용하여 렌즈 상에 블로킹용 투명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플루오르 탄성체는 고형분 1~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를 용제에 용해하여 코팅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루오르 탄성체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투명 보호막이 충분한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질 수 없고,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시 불균일한 코팅막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용제로는 물, 퍼플루오르헥산, 퍼플루오르헵탄, 퍼플루오르노난, 퍼플루오르메틸펜탄, 퍼플루오르시클로헥산, 퍼플루오르디메틸 시클로헥산, 퍼플루오르톨루엔, 헥사플루오르프로펜옥사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안하이드라이드, 에틸트리플루오르아세테이트, 옥타플루오르펜탄올, 2,2-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프로판올, 펜타플루오르프로판올, 헥사데카플루오르노난올, 퍼플루오르-2-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아세톤알콜,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아세틸아세톤, 디메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제로 사용되는 용제에 용해된 플루오르 탄성체에는 공지된 통상의 코팅용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옥형 가공 방법은, 렌즈의 표면에 무기산화물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무기산화물 코팅층 상부에 플루오르기 또는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유기규소화합물 코팅층이 형성된 코팅 렌즈를 사용하여 다음의 단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무기산화물 및 유기규소화합물이 코팅된 렌즈의 표면에 상기 본 발명의 플루오르 탄성체를 포함하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를 코팅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코팅된 렌즈의 코팅층을 경화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경화된 코팅층을 갖는 렌즈를 옥형 가공하는 단계.
본 발명의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사용한 옥형 가공 방법에 적용가능한 렌즈는 일반적인 옥형 가공이 가능한 것이면 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안경 렌즈, 카메라 렌즈, 디스플레이용 필름, 키패드 등의 전자제품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산화물 코팅층은 무기산화물을 단층 또는 다층으로 진공 증착하거나, 표면이 세라믹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산화물 코팅층 위에 플루오르기 또는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유기규소화합물을 진공 또는 액상 으로 코팅하게 된다.
진공 코팅법은 전자빔에 의한 방법이나 열저항 방식에 의한 방법이 모두 사용되며, 증착 가능한 발수 조성물의 예로는 JP-A-61-130902호 공보, JP-A-58-172246호 공보, JP-A-58-122979호 공보, JP-A-58-172242, JP-A-60-40254호 공보, JP-A-50-6615호 공보, JP-A-60-221470호 공보, JP-A-62-148902호 공보, JP-A-9-157582호 공보, JP-A-9-202648호 공보, JP-A-9-263728호 공보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발수층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플루오르기 또는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유기규소화합물은 통상 낮은 표면에너지와 표면마찰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외부의 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기산화물이 코팅된 막 위에 플루오르기 또는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유기규소화합물을 진공증착 또는 액상으로 코팅하였을 경우, 무기산화물과 유기규소화합물과의 축합반응에 의하여 견고한 불소막이 형성되어 낮은 표면마찰계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이 표면처리된 렌즈의 경우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지게 되고, 외부 물질에 대한 부착이 어렵게 되어, 옥습기 가공시 강한 점착테이프의 사용이 요구되며, 이러한 강한 점착테이프를 사용하더라도 옥습기 가공시 축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옥습기 가공시 옥습기 축과 렌즈 사이에 높은 회전 토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 토크를 견디기 위해서는 점착제의 높은 점착강도뿐만 아니라, 점착제의 높은 탄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상의 점착제로 사용되는 아크릴 또는 실리콘 계열의 점착제의 경우, 높은 점착강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옥습기의 경우, 옥습기 축과 렌즈를 연결하는 블록 부품에 3M사의 접착제 패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접착제 패드의 경우 회전 토크에 견딜 수 있는 고밀도 부틸 고무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표면의 접착제와 렌즈표면과의 접착력이 높지 않아 별도의 점착테이프를 렌즈 표면에 붙이지 않은 경우 옥습기 가공시 축 어긋남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플루오르 탄성체의 경우 옥습기 회전축에서 발생하는 회전 토크에 대한 내성이 있으며, 렌즈 표면의 불소성분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점착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옥습기 가공시 별도의 접착패드 및 점착테이프의 사용 없이도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사용되는 플루오르 탄성체를 포함하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는 상기 설명한 방식에 따라 용제에 희석되어 사용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제로 렌즈를 코팅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딥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핀코팅, 플로우 코팅, 롤코팅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공정의 통일성과 균일한 도포막을 얻기 위해서 딥코팅 법을 이용하여 렌즈에 도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1)에서,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는 렌즈 상에 도막 두께가 0.1~100㎛, 바람직하게는 0.1~10㎛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도막 두께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 특성을 거의 나타낼 수 없으며,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길어지며, 가공 후 제거가 힘든 단점이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도막이 형성된 코팅층을 경화하는 온도는 40~70℃, 바람직하게는 50~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오래 걸리고,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진공 코팅된 무반사층의 크랙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도막이 형성된 코팅층을 경화하는 시간은 1~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가 불완전하게되며, 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렌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투명 코팅제로 코팅된 렌즈의 옥형 가공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옥습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접착패드나 점착테이프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품을 제조하면, 코팅제와 렌즈 표면과의 적절한 점착력과 코팅제 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옥습기 가공시 별도의 접착패드나 점착테이프 없이도 가공이 용이하며, 외부 이물질에 의한 렌즈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팅 도막이 투명하기 때문에 코팅된 상태에서도 렌즈 도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옥습기 가공 후 손으로 쉽게 도막의 제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반사방지막 부착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플라스틱 렌즈로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중합체 렌즈(굴절률 1.499)를 사용하고,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 상에 하드코팅을 수행하였다. 하드코팅 조성물은 시판되고 있는 하드코팅제(MEXMER TE0801, (주)개마텍 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하드코팅공정 조건은 인상속도 15cm/min으로 침지법에 의해 도포한 후, 실온에서 1분 동안 방치 후, 80℃에서 2분 경화 후 도막 상태를 육안검사하고 열경화오븐(120℃)에서 1시간 30분간 가열 경화하여 하드코팅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경화막 상에 진공증착법에 의해, 이산화규소, 지르코니아 및 ITO로 이루어진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반사방지막 위에 발수, 발유 진공증착제(ACMER III, (주)개마텍 사)를 진공증착장치 내에 세트하고, 열저항 방식을 이용하여 진공증착 하였다.
2.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를 사용한 코팅
실시예 1
플루오르 탄성체로서 시판되고 있는 DyneonTM THV220A(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르프로펜의 공중합체, 3M 사)를 고형분 기준으로 10중량%가 되도록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한 용액을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로 사용하여 표면에 발수, 발유 코팅처리가 된 상기 1.의 플라스틱 렌즈를 침지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도포조건은 인상속도 15cm/min으로 하여 도포한 후, 50℃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2
플루오르 탄성체로 시판되고 있는 DyneonTM THV340C(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르프로펜의 공중합체, 고형분 50%, 수분산 용액, 3M 사)를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3
플루오르 탄성체로 시판되는 있는 Viton® A(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르프로펜의 공중합체, 듀폰 사)를 고형분 기준으로 20중량%가 되도록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한 용액을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1.의 반사방지막 부착 플라스틱 렌즈를 본 발명의 플루오르 탄성체로 코팅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렌즈의 표면에 실리콘계 점착제, PET필름, 이형필름으로 구성된 점착테이프를 부착하였다.
3.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1 및 2에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에 대해 이하에 나타낸 평가 방법에 의해 물성을 평가하였다.
(1) 투과율 측정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를 도포하기 전과 후의 광선투과율을 광선투과율 측정기(Haze Guide Plus, BYK Guidener 사)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투명성을 관찰하였다.
(2) 렌즈 도수 측정
렌즈 도수 미터(모델명 CLM3100P, 휴비츠 사)를 사용하여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를 도포하기 전과 도포한 후의 렌즈 도수를 측정하여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의 도포에 따른 렌즈 도수 측정 오차 유무를 관찰하였다.
(3) 축어긋남 측정
난시가 들어가 있는 렌즈는 난시축이 규정 방향이 되도록 하고, 난시가 들어가 있지 않은 렌즈는 광학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규정 방향이 되도록 고정하였다. 종횡비가 큰 게눈형 프레임을 준비하여 기준 프레임으로 하였다.
렌즈를 옥습기(SUPER-TEC, (주)동양광학)를 이용하여 옥습기 가공을 수행하였으며, 옥습기 가공 후의 렌즈를 기준 프레임에 끼워 넣고, 렌즈 미터로 난시축의 어긋남을 측정하였으며, 난시가 들어가 있지 않은 렌즈의 경우 광학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기준 프레임의 광축을 지나는 수평선과의 어긋남 각도를 측정하였다.
렌즈 30장을 옥습기 가공하여 축 어긋남이 허용 범위(±2°)를 초과한 비율을 측정하여 축 어긋남을 측정하였다.
(4) 잔유물 측정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를 도포, 건조 후 박리 한 다음 표면의 잔유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포된 막을 손으로 박리한 후, 접촉각 측정기(케이에스브이 인스트루먼트사 씨에이엠 100)를 이용하여 물에 대한 접촉각의 변화를 관찰하여 코팅조성물의 잔유물이 표면에 잔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2
투과율(%) 도포 전 98% 도포 전 98% 도포 전 98% 98% 98%
도포 후 93% 도포 후 92% 도포 후 91% - -
렌즈 도수 측정 (근시도수/난시도수) 도포 전 -2.00/-1.25 도포 전 -2.00/-1.25 도포 전 -2.00/-1.25 -2.00/-1.25 -2.00/-1.25
도포 후 -2.00/-1.25 도포 후 -2.00/-1.25 도포 후 -2.00/-1.25 - -
축 어긋남 발생률 0% 0% 0% 95% 15%
잔유물 발생 (접촉각) 도포 전 112° 도포 전 111° 도포 전 113° 112° 점착필름 부착 전 112°
박리 후 112° 박리 후 111° 박리 후 113° - 점착필름 부착 후 11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사용한 렌즈 옥형 가공 방법은, 취급시 스크래치 방지, 옥습기 가공시 축 어긋남 방지, 옥습기 가공시 접착패드 및 점착테이프의 부착으로 인한 작업 의 번거로움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한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도포 상태가 투명하기 때문에 렌즈미터로 손쉽게 렌즈의 도수를 오차 없이 측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코팅제는 옥습기 가공 후 쉽게 손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플루오르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에 있어서, 플루오르 탄성체는 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펜, 헥사플루오르아세톤, 1-히드로펜타플루오르프로펜, 퍼플루오르비닐에테르, 퍼플루오르메틸비닐에테르, 트리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단량체가 중합 또는 공중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 탄성체는 단량체인 에틸렌 및 프로펜 중 1종 이상이 더 공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4. 플루오르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에 있어서, 플루오르 탄성체와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플루오르 탄성체의 함량이 1~7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물, 퍼플루오르헥산, 퍼플루오르헵탄, 퍼플루오르노난, 퍼플루오르메틸펜탄, 퍼플루오르시클로헥산, 퍼플루오르디메틸 시클로헥 산, 퍼플루오르톨루엔, 헥사플루오르프로펜옥사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안하이드라이드, 에틸트리플루오르아세테이트, 옥타플루오르펜탄올, 2,2-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프로판올, 펜타플루오르프로판올, 헥사데카플루오르노난올, 퍼플루오르-2-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아세톤알콜,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아세틸아세톤, 디메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6. (1) 렌즈의 표면에 무기산화물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무기산화물 코팅층 상부에 플루오르기를 함유하는 유기규소화합물 코팅층이 형성된 코팅 렌즈의 표면에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를 코팅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코팅된 렌즈의 코팅층을 경화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경화된 코팅층을 갖는 렌즈를 옥형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옥형 가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코팅은 0.1~100㎛의 도막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옥형 가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경화는 40~70℃에서 1~1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옥형 가공 방법.
KR1020060027609A 2006-03-27 2006-03-27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방법 Ceased KR100687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609A KR100687574B1 (ko) 2006-03-27 2006-03-27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방법
US12/092,697 US9134461B2 (en) 2006-03-27 2007-03-27 Edging process of lens using transparent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lens
CA2647510A CA2647510C (en) 2006-03-27 2007-03-27 Edging process of lens using transparent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lens
EP07745664.8A EP1999220B1 (en) 2006-03-27 2007-03-27 Edging process of lens using transparent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lens
CN2007800193854A CN101454411B (zh) 2006-03-27 2007-03-27 使用保护透镜用的透明涂层的透镜磨边方法
PCT/KR2007/001491 WO2007111465A1 (en) 2006-03-27 2007-03-27 Edging process of lens using transparent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lens
AU2007230045A AU2007230045B8 (en) 2006-03-27 2007-03-27 Edging process of lens using transparent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609A KR100687574B1 (ko) 2006-03-27 2006-03-27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574B1 true KR100687574B1 (ko) 2007-02-27

Family

ID=3810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609A Ceased KR100687574B1 (ko) 2006-03-27 2006-03-27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7574B1 (ko)
CN (1) CN10145441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0652A (ja) * 2011-08-31 2013-03-14 Nikon-Essilor Co Ltd 眼鏡用レンズ
KR20170013863A (ko) * 2014-05-30 2017-02-07 도카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어긋남 방지용 코팅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5632A (zh) * 2012-11-09 2013-05-15 江苏淘镜有限公司 真空镀膜方法得到的超防水保护膜
CN106680905A (zh) * 2015-11-05 2017-05-17 大金工业株式会社 具有表面处理层的物品
JP2021177200A (ja) * 2018-07-31 2021-11-11 日本電産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方法、光学部品、及びレンズアッセンブリ
US20200064520A1 (en) * 2018-08-22 2020-0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mart multifunctional lens coatin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1866A (ja) 2002-07-29 2004-02-26 Seiko Epson Corp 防汚性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4157147A (ja) 2002-09-13 2004-06-03 Seiko Epson Corp 防汚性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KR20050017748A (ko) * 2003-08-08 2005-02-23 남상욱 렌즈 가공 시의 축 이동과 표면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보호막을 형성시킨 안경렌즈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보호막 코팅액
KR20050020973A (ko) * 2003-06-10 2005-03-0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방오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6056B1 (fr) * 2003-06-13 2009-07-03 Essilor Int Procede de traitement d'un verre apte au debord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1866A (ja) 2002-07-29 2004-02-26 Seiko Epson Corp 防汚性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4157147A (ja) 2002-09-13 2004-06-03 Seiko Epson Corp 防汚性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KR20050020973A (ko) * 2003-06-10 2005-03-0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방오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17748A (ko) * 2003-08-08 2005-02-23 남상욱 렌즈 가공 시의 축 이동과 표면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보호막을 형성시킨 안경렌즈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보호막 코팅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0652A (ja) * 2011-08-31 2013-03-14 Nikon-Essilor Co Ltd 眼鏡用レンズ
KR20170013863A (ko) * 2014-05-30 2017-02-07 도카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어긋남 방지용 코팅제
KR102388853B1 (ko) 2014-05-30 2022-04-19 도카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어긋남 방지용 코팅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4411B (zh) 2012-06-13
CN101454411A (zh)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30045B2 (en) Edging process of lens using transparent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lens
US9910545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CA1293655C (en) Anti-reflection optical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0687574B1 (ko) 렌즈 블로킹용 투명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옥형 가공방법
US6815056B2 (en) Antireflection film
US12146040B2 (en) Water-repellent, oil-repellent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repellent, oil-repellent member
KR100971841B1 (ko) 방오층을 갖는 렌즈
JP2019066515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反射防止層付き偏光板
KR20140058565A (ko) 반사 방지막 및 반사 방지판
US20090011255A1 (en) Method for Producing Product Having Stain-Proofing Layer and Product Having Stain-Proofing Layer
WO1999037477A1 (en) Multi-layer topcoat for an optical member
US12174342B2 (en) Optical device having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KR20170117811A (ko) 내오염 기능성 코팅 소재
US20090232978A1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Article
US6680080B1 (en) Method for antiglare treatment and material having antiglare properties
JP4420476B2 (ja) 表面改質膜用組成物,表面改質膜,表示装置用フィルター,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KR100689110B1 (ko) 저 표면에너지를 갖는 렌즈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렌즈 코팅 방법 및 렌즈 옥형 가공 방법
KR101681964B1 (ko) 습식 저반사코팅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안경렌즈
CN101400746A (zh) 具有防污层的产品的制造方法和具有防污层的产品
JPH01275130A (ja) 低反射透明成形体
JPS63280790A (ja) 帯電防止物品
JPH0781978A (ja) ガラス製光学部品における撥水性を有する反射防止膜
CN222331807U (zh) 导电玻璃及显示装置
JP2004252437A (ja) 反射防止部材
JP2001116904A (ja) 多層反射防止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8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70823

Decision date: 20100601

Appeal identifier: 200710000234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23

Effective date: 2010060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006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70823

Decision date: 20100601

Appeal identifier: 200710000234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006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10211

Appeal identifier: 2010200004663

Request date: 2010070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702

Effective date: 20110211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10304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00702

Decision date: 20110211

Appeal identifier: 2010200004663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PJ200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00601

Patent event code: PJ20021S05I

Request date: 20110309

Appeal identifier: 201130000056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10714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406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1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10526

Request date: 20110406

Appeal identifier: 20111050000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10406

Effective date: 2011052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1105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110406

Decision date: 20110526

Appeal identifier: 2011105000028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10603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PJ2202 Remand (patent court)

Appeal identifier: 2011240007089

Decision date: 20120120

Request date: 20110718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309

Effective date: 20110714

PJ1303 Judgment (supreme court)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11071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10309

Appeal identifier: 201130000056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718

Effective date: 20110211

PJ220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Patent event code: PJ22012S01I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20227

Request date: 2012022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12130000039

Decision date: 201203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27

Effective date: 2012031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9D

Patent event date: 2012031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20227

Decision date: 20120315

Appeal identifier: 2012130000039

EXTG Ip right invalidated
PC2102 Extinguishment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12061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718

Effective date: 20120120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60425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10718

Decision date: 20120120

Appeal identifier: 201124000708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