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728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card recei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card receiv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2728B1 KR100682728B1 KR1020050028720A KR20050028720A KR100682728B1 KR 100682728 B1 KR100682728 B1 KR 100682728B1 KR 1020050028720 A KR1020050028720 A KR 1020050028720A KR 20050028720 A KR20050028720 A KR 20050028720A KR 100682728 B1 KR100682728 B1 KR 100682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ard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receiv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개의 외부 장착 카드를 쉽게 보관할 수 있고 그 보관된 상태에서 하나의 외부 장착 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을 분리함 없이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카드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receiv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easily store a plurality of externally mounted cards and can use one externally mounted card more conveniently without removing the battery p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ored st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d receiv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카드수용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와 외부 장착 카드 간의 단자간 접속을 허용하되, 복수의 외부 장착 카드를 자체의 케이싱 내측에 적층 수용하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착 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단자를 상기 본체 내의 내부단자에 연결시키는 단자간 연결부를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구비한다.To this end,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llow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mounting card, and accommodates a plurality of external mounting cards stacked inside the casing thereof. A terminal-to-terminal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mounting cards to an internal terminal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ing.
카드수용장치, 단자,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슬롯, 외부단자, 내부단자 Card Receiving Devic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ing Slot, External Terminal, Internal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드수용장치와 분리된 채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parated from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수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그 카드수용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및 외부 장착 카드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is coupled with a main body and an externally mounted c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카드수용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is mounted on a main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수용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그 카드수용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및 외부 장착 카드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ar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is coupled to the body and the external mounting c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수용장치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5 is a us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2: 본체 10: 카드수용장치2: main body 10: card receiving apparatus
11: 케이싱 13: 삽입구11: casing 13: slot
14, 14': 단자연결부 15: 선반14, 14 ': terminal connection 15: shelf
20: 장착슬롯 22: 내부단자20: mounting slot 22: internal terminal
S1, S2, S3: 외부 장착 카드 T: 외부단자S1, S2, S3: External mounting card T: External terminal
본 발명은 카드수용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착 카드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카드수용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receiving apparatu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d receiving apparatu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can be used and stored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유럽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입자 인증 카드(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SIM 카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칩이 자체적으로 장착되어 단말기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특히 암호등 사용자의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 네트워크번호 등의 관련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다. GSM망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SIM 카드에 의해 가입자 인증을 받아야만 통화를 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a global network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in Europe employs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for user authentication. Such a SIM card is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a memory chip itself, and contains almost all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ng a terminal. In particular, the SIM card contains not only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but also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and a network number. It contains the data it contai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GSM network can be called only when the subscriber is authenticated by the SIM card.
한편, 동기식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 진영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로밍을 위해, 상기 SIM 카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인증 카드(user identity module; UIM 카드)를 채용한다.On the other h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amp employs a user identity module (UIM card) corresponding to the SIM card for roaming. .
CDMA 진영에서는, 단말기를 통해 가입자와 서비스 관리를 모두 해결함에 따 라, UIM 카드를 도입할 필요성이 적었으나, 최근, 무선인터넷의 발달 및 모바일 커머스 등의 부가가치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UIM 카드 사용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으며, 그 사용이 확대될 전망이다.In the CDMA camp, it was less necessary to introduce UIM cards as both subscribers and service management were handled through the terminal. However,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and the addition of value-added services such as mobile commerce have made it possible to recognize UIM cards. This is changing and its use is expected to expand.
이러한 UIM 카드와 SIM 카드와 같은 외부 장착 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을 위한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 암호 등의 개인정보가 내장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은행거래 또는 전자상거래 등의 신용거래를 가능케 한다.Externally mounted cards, such as UIM cards and SIM cards, contain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user passwords are embedded, such as banking or electronic commerce, etc. Enable credit transactions.
통상,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각 서비스 주체(예를 들면, 은행)로부터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가 내장된 외부 장착 카드(특히, 스마트카드)를 발급받고, 이 외부 장착 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여 각종 신용거래를 할 수 있다.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user receives an externally mounted card (especially a smart card) in whic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mbedded from each service entity (for example, a bank), and attaches the externally mounted card to the mobile terminal. Various credit transactions can be made.
이를 위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의 배면, 즉 배터리팩 장착부에 하나의 외부 장착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카드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는 한국 특허 공개 제 2004-9256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To this end,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rd holder for mounting one external mounting car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i.e., the battery pack mounting portion. 92566 and the lik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장착 카드의 장착을 위해 매번 배터리팩을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게다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각 서비스 주체별로 다양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여러 개의 외부 장착 카드를 발급받고 있는데 반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중인 하나의 외부 장착 카드의 장착을 허용하여, 여러 개의 외부 장착 카드를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caused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move the battery pack each time to mount the external mounting card. In addition, while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ssued a plurality of external mounting cards to receive a variety of services for each service subject,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ows the mounting of one external mounting card in use, thereby allowing several externa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ounting card can not be stored.
즉,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사용중이지 않은 외부 장착 카드를 지갑 또는 별도의 보관 장소에 보관하여야만 하며, 이는 외부 장착 카드의 손상 또는 분실을 야기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That is, when us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ust store an externally mounted card that is not in use in a wallet or a separate storage location, which is one cause of damage or loss of the externally mounted car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개의 외부 장착 카드를 쉽게 보관할 수 있고 그 보관된 상태에서 하나의 외부 장착 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을 분리함 없이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ommodate the c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easily store a plurality of external mounting card and makes it possible to use one external mounting card more conveniently without removing the battery p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ored state. To provide a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장착슬롯 내로 여러개의 외부 장착 카드가 보관된 카드수용장치를 장착할 수 있고, 그 카드수용장치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착 카드를 이용해 서비스 주체로부터 신용거래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 card receiv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external mounting cards are stored into the mounting slo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using at least one external mounting card in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receive services such as credit transactions from the subjec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와 외부 장착 카드의 단자간 접속을 허용하는 카드수용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카드수용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착 카드를 자체의 케이싱 내측에 적층 수용하며, 상기 복수의 외부 장착 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단자를 상기 본체 내의 내부단자에 연결시키는 단자간 연결부를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d receiving apparatus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the external mounting card,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is a plurality The external mounting card of the casing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of its own, and an inter-terminal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mounting cards to the internal terminal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ing.
이 카드수용장치는 자체 수용된 복수의 외부 장착 카드 중 하나를 이용해 이 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각종 서비스를 받게 해주고, 또한 여러 외부 장착 카드를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보관할 수 있게 해주어, 외부 장착 카드의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사용 및 보관을 가능케 한다.The card receiving device allow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various services by using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ly mounted cards that are housed in it, and also allows the storage of several externally mounted cards in a sing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more convenient and easier to use and store.
이 때, 상기 단자간 연결부는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가 직접 접속되게 하는 접속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단자간 연결부는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를 간접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중계단자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internal terminal are directly connected. Alternatively, the terminal-to-terminal connecting portion may be a relay terminal which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and indirectly connects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internal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외부 장착 카드와의 단자간 접속을 통해, 외부 장착 카드의 정보를 받아 이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며, 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내부단자가 마련되는 장착슬롯과, 복수의 외부 장착 카드를 자체의 케이싱 내측에 적층 수용하며, 하나의 외부 장착 카드에 대해 외부 장착 카드의 외부단자와 상기 장착슬롯 내의 내부단자를 접속시키는 카드수용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information of an external mounting card and processes it through a terminal-to-termin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an external mounting card. A card slot for accommodating a mounting slot provided with an internal terminal in a stack, and a plurality of external mounting cards stacked inside its casing, and connecting an external terminal of an external mounting card to an internal terminal in the mounting slot with respect to one external mounting card.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1 illustra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는 본체(2), 폴더(3), 그리고, 배터리팩(4)을 포함하며, 본체(2)와 폴더(3)는 서로 힌지로 연결되고, 배터리팩(4)은 본체(2)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1에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가 폴더형 구조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구조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1 in a foldable structure,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는 복수의 외부 장착 카드(S1, S2, S3; 이하 '스마트카드'로 칭함)를 수용 보관하기 위한 사각 박스형의 카드수용장치(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카드수용장치(10)는 이통통신 단말기(1)의 본체(2)에 접속되며, 이를 위해, 상기 본체(2)의 우측면에는 상기 카드수용장치(10)의 탈장착을 위한 사각형의 장착슬롯(20)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tangular box-shaped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드수용장치(10)는, 장착슬롯(20)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카드(S1, S2 또는 S3) 중 하나의 외부단자(T)가 장착슬롯(20) 내에서 노출되고 상기 장착슬롯(20) 내에는 인쇄회로기판(PCB; 미도시됨)에 연결된 내부단자(22; 도 2 및 도 3 참조)가 상기 외부단자(T)에 상응하게 마련되므로, 상기 카드수용장치(10)를 장착슬롯(20) 내에 삽입 장착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스마트카드(S1, S2 또는 S3)와 본체(2) 간의 단자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도 2 및 도 3은 전술한 카드수용장치(10)가 장착슬롯(20) 및 스마트카드(S1, S2, S3)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도 2에서, 장착슬롯(20)은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상단 일부가 절단된 채 도시되어 있다.2 and 3 show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실시예의 카드수용장치(10)는 복수의 스마트카드(S1, S2, S3)를 적층 수용한 채, 그 스마트카드(S1, S2, S3) 중 하나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체(2)와 단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다. 2 and 3, the
스마트카드(S1, S2, S3)의 적층 수용을 위해, 상기 카드수용장치(10)는 케이싱(11) 전방에 스마트카드(S1, S2, S3)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구(13)를 구비하며, 케이싱(11) 내측면에는 스마트카드(S1, S2, S3)를 이격하여 적층시키기 위한 선반(15)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삽입구(13)의 방향은 케이싱(11)의 어느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며, 상기 선반(15)은 카드수용장치(10)의 슬림화를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In order to accommodate the stack of smart cards (S1, S2, S3), the
특히, 상기한 카드수용장치(10)는 본체(2)의 장착슬롯(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카드(S1, S2 또는 S3)의 외부단자(T)와 장착슬롯(20) 내의 내부단자(22)를 연결시켜주는 단자간 연결부를 포함하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간 연결부는 케이싱(11)의 저면에 형성된 접속구멍(14)으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이 접속구멍(14)은 상기 카드수용장치(10) 내의 최하층에 놓인 제 1 스마트카드(S1)의 외부단자(T)를 장착슬롯(20) 내의 내부단자(22)를 향해 노출시켜, 상기 외부단자(T)와 내부단자(22)의 상호 단자간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The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의 스마트카드(S1, S2, S3)는 IC 칩이 내장된 표준화된 것으로 그 IC 칩과 연결된 8개의 외부단자, 즉, 전원공급접속단자(VCC), 초기화 입력접속단자(RESET). 클럭접속단자(CLK), 접지접속단자(GND), 프로그램 전압접속단자(VPP), 직렬 데이터 접속단자(DATA), 그리고 2개의 예비접속단자(N/C)를 포함한다.For reference, the smart cards S1, S2, and S3 in this embodiment are standardized in which IC chips are embedded, and eight external terminals connected to the IC chip, that is, a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VCC) and an initialization input connection terminal. (RESET). The clock connection terminal CLK, the ground connection terminal GND, the program voltage connection terminal VPP, the serial data connection terminal DATA, and two preliminary connection terminals N / C are include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용장치(10)는 본체(2; 도 1 및 도 2 참조)의 장착슬롯(20) 내로 장착되면, 그 카드수용장치(10) 내에서 최하층에 놓인 제 1 스마트카드(S1)가 활성화된다. 즉, 제 1 스마트카드(S1)는 자체 외부단자(T)가 접속구멍(14)을 통해 장착슬롯(20) 내의 내부단자(22)에 접촉됨으로써 자체 내 IC 칩에 내장된 정보를 전기신호로써 본체(2)내의 CPU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이 때, 스마트카드의 장착여부, 스마트카드의 종류는 CPU에 연결된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 GPIO는 사용자가 프로그래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입출력 포트로서, 스마트카드의 장착여부, 장착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다른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At this time, whether the smart card is installed or not, the type of smart card is recognized by a general purpose input output (GPIO) connected to the CPU. This GPIO is a general input / output port that can be programmed and used by a user. It outputs different levels of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smart card install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수용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카드수용장치(10)는, 스마트카드(S1, S2, S3)의 외부단자(T)와 본체(2)의 장착슬롯(20) 내에 있는 내부단자(22)를 서로 접속시키는 단자 연결부를 갖되, 그 단자 연결부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일면에서 스마트카드(S1, S2, S3)의 외부단자(T)에 접촉하고 그 반대면에서 장착슬롯(20) 내 내부단자(22)에 접촉하여, 두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중계단자(14')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카드수용장치(10)는 단자 연결부를 이루는 중계 단자(14')를 제외하고는 앞선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같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도 5는 카드수용장치(10) 및 그 카드수용장치(10)에 수용된 스마트카드(S1, S2, S3)가 사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제 1, 제 2, 제 3 스마트카드(S1, S2. S3)는 별도의 서비스 주체인 A은행, B은행, C은행으로부터 발급받은 것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the
도 5의 (a)는 제 1 스마트카드(S1)가 카드수용장치(10)의 최하층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 때에는, 제 1 스마트카드(S1)만이 단자 연결부(14)를 통해 본체에 접속되어 활성화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 1 스마트카드(S1)의 발급 서비스 주체인 A은행으로부터 각종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FIG. 5A illustrates a state where the first smart card S1 is disposed on the lowermost layer of the
도 5의 (b) 및 (c)는 카드수용장치의(10)의 최상측에 놓인 제 3 스마트카드(S3)는 그대로 놔둔 채 제 1 스마트카드(S1)와 제 2 스마트카드(S2)의 위치를 바꾸어주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 도 1 참조)는 사용자의 의해 사용중이거나 또는 비사용중일 수 있으며, 스마트카드(S1, S2, S3)의 교체를 위해 배터리팩(4; 도 1 참조)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하여 전원을 off시킬 필요가 없다.5 (b) and 5 (c) illustrate the first smart card S1 and the second smart card S2 while leaving the third smart card S3 placed on the top of the
도 5의 (c)는 카드수용장치(10)의 최하측에 제 2 스마트카드(S2)가 놓여진 상태를 보여주며, 이 상태에서는, 제 2 스마트카드(S2)가 전술한 장착슬롯(20; 도 1 내지 도 4 참조) 내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의 (c)의 상태에서 B은행으로부터 각종 금융 또는 신용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FIG. 5C shows a state where the second smart card S2 is placed on the lowermost side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thus,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drawings It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서비스 주체로부터 발급받은 외부 장 착 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함에 있어서, 그 복수의 외부 장착 카드를 카드수용장치 내에 수용한 채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보관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외부 장착 카드의 손상 및 분실을 막아주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n external mounting card issued from a plurality of service subject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lurality of external mounting cards can b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card receiving apparatus. This prevents damage and loss of the externally mounted card.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장착 카드의 교체를 위해 배터리팩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며, 이는 외부 장착 카드 이용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또한, 배터리팩의 잦은 분리, 결합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손상을 막아주는 효과를 추가로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remove the battery pack for the replacement of the external mounting card, which provides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external mounting card, and also prevents dam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frequent removal and combination of the battery pack. Provide additional effect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28720A KR100682728B1 (en) | 2005-04-06 | 2005-04-06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card receiving apparatus |
| CNA2006100034751A CN1845465A (en) | 2005-04-06 | 2006-02-10 | Card contain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28720A KR100682728B1 (en) | 2005-04-06 | 2005-04-06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card receiv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06220A KR20060106220A (en) | 2006-10-12 |
| KR100682728B1 true KR100682728B1 (en) | 2007-02-15 |
Family
ID=370643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287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2728B1 (en) | 2005-04-06 | 2005-04-06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card receiv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82728B1 (en) |
| CN (1) | CN1845465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1753646B (en) * | 2008-12-19 | 2013-09-04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fixing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88054A (en) * | 2001-05-08 | 2002-11-25 | 자크리토에 악치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나우치노-프로이즈보드스트베노에 오비에디네니에 "핌-인베스트" | Process for preparing nitrogen trifluoride |
| KR20030039123A (en) * | 2001-11-12 | 2003-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in a mobile phone |
-
2005
- 2005-04-06 KR KR1020050028720A patent/KR1006827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2-10 CN CNA2006100034751A patent/CN184546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88054A (en) * | 2001-05-08 | 2002-11-25 | 자크리토에 악치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나우치노-프로이즈보드스트베노에 오비에디네니에 "핌-인베스트" | Process for preparing nitrogen trifluoride |
| KR20030039123A (en) * | 2001-11-12 | 2003-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in a mobile phone |
Non-Patent Citations (2)
| Title |
|---|
| 2002880540000 |
| 2003391230000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845465A (en) | 2006-10-11 |
| KR20060106220A (en) | 2006-10-1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623305B2 (en) | Dual SIM (subscriber indentity module) card connector | |
| US6179649B1 (en) | SIM card incorporated in battery pack of terminal | |
| US5933328A (en) | Compact mechanism for removable insertion of multiple integrated circuit cards into portabl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 |
| US7418272B2 (en) | Battery pack having a dual-type smart card interface | |
| EP1986124B1 (en) | Method and means for using additional cards in a mobile station | |
| US6102743A (en) | Data card connector | |
| EP0556970B1 (en) | Memory module reader suitable for a radio telephone | |
| US20070259567A1 (en) | Multiple mode micro memory card connector | |
| US20140104767A1 (en) | Inline tray assembly for receiving multiple data cards | |
| JP5366401B2 (en) | Multi-plug SIM card with improved positioning performance | |
| US20090305541A1 (en) |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and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incorporating same | |
| US7112082B2 (en) | Miniature memory card/SIM card dual-function connector | |
| CN100508408C (en) | Card loading slo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
| US20040082210A1 (en) | Cartridge carrying multiple integrated circuit cards for removable insertion into portabl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 |
| KR100682728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card receiving apparatus | |
| KR200438503Y1 (en) | Smart Card Adapter for Mobile Devices | |
| KR100683835B1 (en)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493334B1 (en) | A battery pack having a dual-type smart card interface | |
| KR100573284B1 (en) | Card mounting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608832B1 (en) | Multi socket of portable terminal | |
| KR100881327B1 (en) | SIM car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 KR200350772Y1 (en) | Socket for Installing Card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0413779Y1 (en)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050055412A (en) | Socket for combined use of two different types of memory cards | |
| KR200341101Y1 (en) | Smart Card Socke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20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