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182B1 - Golf Practice Mat - Google Patents
Golf Practice M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4182B1 KR100694182B1 KR1020060054042A KR20060054042A KR100694182B1 KR 100694182 B1 KR100694182 B1 KR 100694182B1 KR 1020060054042 A KR1020060054042 A KR 1020060054042A KR 20060054042 A KR20060054042 A KR 20060054042A KR 100694182 B1 KR100694182 B1 KR 100694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plate
- golf
- mat
- air layer
- golf pract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조잔디가 부착되는 고무판에 공기층 및 지지체를 형성하여 연습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완화하고 실제 필드에서와 같은 연습효과를 도모함과 아울러 휴대가 용이하며 광폭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ractice mat, in particular, by forming an air layer and a support on the rubber plate attached to the artificial turf to absorb and alleviate the shock that may occur during practice, and to facilitate the practical effect as in the actual field, as well as easy to carry It also aims to provide a golf practice mat tha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매트는, 골프연습용 매트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층을 갖는 튜브형태의 고무판과, 상기 공기층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 및, 상기 고무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인조잔디로 구성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스윙연습시에 헤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Golf training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in the golf training mat, a tubular rubber plate having an air layer therein, at least one support body formed in the air layer, and artificial turf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plate It is configured to be easy to carry and to relieve the impact of the head during the swing practic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골프연습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golf training mat is install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of the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종래 골프연습용 매트의 사용시 골프클럽 헤드의 스윙궤도를 나타내는 상태도,Figure 8a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head when using a conventional golf practice mat,
도 8b는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매트의 사용시 골프클럽 헤드의 스윙궤도를 나타내는 상태도.Figure 8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head when using the golf practic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인조잔디 2,20: 고무판1:
4: 우레탄 폼 10: 골프티4: urethane foam 10: golf tees
12: 골프공 21,51: 공기배출구12:
22: 지지 와이어 25: 지지체22: support wire 25: support
26: 관통공 30: 걸림턱26: through hole 30: locking jaw
40: 공기층 50: 고정판 40: air layer 50: fixed plate
60: 고정구60: fixture
본 발명은 골프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잔디가 부착되는 고무판에 공기층 및 지지체를 형성하여 연습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완화하고 실제 필드에서와 같은 연습효과를 도모함과 아울러 휴대가 용이하며 광폭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training mat,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n air layer and a support on a rubber plate to which artificial turf is attached, to absorb and alleviate the shock that may occur during practice, and to achieve the same practice effect as in a re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ractice mat tha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used in a wide range.
일반적으로, 골프매트는 사용자가 실내연습장이나 필드 등에서 실제 골프장과 같은 조건에서 골프연습을 할 수 있도록 천연 잔디 대신에 바닥에 깔고 그 위에 골프공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스윙 혹은 퍼팅과 같이 실전에서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티샷, 아이언샷, 칩샷 혹은 퍼팅 연습을 하는 위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golf mats are necessary skills in practice, such as swinging or putting, with a golf ball placed on the floor instead of natural grass so that the user can practice the golf in the same conditions as the actual golf course in indoor practice fields or fields. It is used to learn tee shot, iron shot, iron shot, chip shot or putting practice.
이러한 종래의 골프연습용 매트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riefly describing such a conventional golf practice mat is as follows.
종래의 골프연습용 매트는 바닥재인 고무판의 상면으로 인조잔디를 접착하고, 고무판의 하면에 얇은 우레탄 폼을 부착하여 스윙시 골프티나 인조잔디 위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치기 위해 인조잔디를 칠 때 우레탄 폼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있으며, 다른 것으로는 바닥재인 우레탄 폼의 상면으로 인조잔디를 접착하여 스윙시 골프티나 인조잔디 위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치기 위해 인조잔디를 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있다. Conventional golf practice mats attach artificial turf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plate, which is a flooring material, and attach a thin urethane foam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ubber plate to apply the urethane foam when hitting the artificial turf to hit the golf ball or the golf ball on the artificial turf when swinging. It is made to absorb the impact, and the other is to bond the artificial turf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rethane foam which is the flooring material, and to impact the artificial turf to hit the golf ball or the golf ball on the artificial turf when swinging. There is one configured to be absorbed.
이와 같이 고무판 또는 우레탄 폼 등을 인조잔디에 접착하여 성형되는 골프매트는 골프연습자가 스윙하면서 골프공을 정확히 타격하지 못하고 매트를 칠 경우 골프연습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golf mat formed by adhering a rubber sheet or urethane foam to an artificial turf could alleviat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golf practitioner when the golf practitioner swings and hits the mat without accurately hitting the golf ball.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무소재의 판은 탄성도와 경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임팩트시 쿠션을 가지고 함몰되나 그 반발력 또한 매우 강하기 때문에 충격은 매트에 흡수되지 않고 연습자의 팔관절 또는 흉부에 다시 전달되어 부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우레탄 소재의 판은 고무소재에 비해서는 경도가 상당히 낮으나 이 역시 탄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연습자의 팔관절 또는 흉부에 충격을 다시 전달하는 특성을 제거하지 못한다.However, the rubber plate as described above is very high in elasticity and hardness, but when the impact is indented with a cushion, but the repulsive force is also very strong, the impact is not absorbed by the mat, but is transmitted back to the arm or chest of the exerciser to cause injury. The urethane plate has a considerably lower hardness than the rubber material, but also has a very high elasticity, and thus, does not absorb shock and removes the property of transmitting a shock back to the arm or chest of the exerciser. can not do.
또한, 종래의 골프매트는 공 뒷부분의 매트를 가격하여 미스샷이 날 경우에 도 고무 소재 또는 우레탄 소재의 높은 탄성으로 인한 미끌림(slip) 현상이 발생하여 타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실제 필드에서는 미스샷의 경우 땅이 패일 뿐 슬립현상으로 인한 타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사유로 골프매트에서 연습할 때와 실제 필드에서와는 상당한 타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종래의 골프매트는 골퍼들에게 실제필드와 같은 연습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olf mat hits the mat at the back of the ball, even when the shot misses the slip (slip) occurs due to the high elasticity of the rubber material or urethane material, the ball is made, the actual shot in the field In this case, the land is only dug up and the batting due to the slipping phenomenon is not achieved. For this reason, a significant hit difference occurs when practicing on a golf mat and on a real field, and a conventional golf mat has a limitation that golfers cannot provide a practice effect like a real field.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36105호(출원번호 제2001-1158호, 고안의 명칭 : 골프연습용 골프매트)가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improving such a problem, there is a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36105 (application number 2001-1158, the designation name: golf mat for golf practice).
상기 종래기술에 대해 아래의 도면을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1은 종래 골프연습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golf training mat is installed.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골프연습용 골프매트는 인조잔디(1)가 부착되는 고무판(2)과, 상기 고무판(2)의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돌출시켜 골프매트가 지면(5)에 놓인 상태에서 고무판(2) 하부에 에어쿠션(7)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연습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에어쿠션(7)이 흡수·완화하여 실제 필드에서와 같은 연습효과를 도모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golf practice golf mat is a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 하고, 종래의 골프연습용 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Despite the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golf practice ma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사용시 인조잔디가 마모되면 매트 전체를 갈아야 하는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First, when the artificial turf is worn during use,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in using the whole mat,
둘째, 주로 골프장 바닥에 고정되어 사용하므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 점이 있고, 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carry because it is main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golf course,
셋째, 넓은 면적에 설치할 시에 매트가 넓게 형성되므로 고무판이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게 되어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없어, 광폭으로는 사용상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Third, since the mat is formed wide when installed in a large area, the rubber plate is sagging downward by the weight can not mitigate the impact, there was a problem in wide use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조잔디와 고무판으로 골프매트를 형성하되, 인조잔디가 부착된 고무판에 공기층 및 지지체를 형성하여, 스윙시 골프클럽의 헤드가 골프매트에 충돌되었을 때 발생되는 과도한 진동 및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연습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며 광폭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ile forming a golf mat with artificial turf and rubber plate, by forming an air layer and a support on the rubber plate with artificial turf, the head of the golf club when swing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practice mat that can absorb an excessive vibration and impact load generated when it hit a golf mat to prevent injuries of the exerciser, and is portable and can be installed in a wide ran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매트는, 골프연습용 매트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층을 갖는 튜브형태의 고무판과, 공기층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 및, 고무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인조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휴대가 용이하여 일반 골프연습장에서도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golf training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olf training mat, is attached to the tube-shaped rubber plate having an air layer therein, at least one support formed in the air lay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plate It is composed of artificial turf and is easy to carry, so it can be used easily in a general golf practice range.
또한, 골프연습용 매트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상단 에 안착되는 고무판과, 고무판의 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와, 고무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인조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지체에 의해 고무판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광폭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olf training mat, comprising a fixed plate fixed to the bottom, a rubber plat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late, at least one suppo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ubber plate, and artificial turf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plate, By preventing the rubber plate from sagging downw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in a wide width.
바람직하게, 고무판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판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벽이 각각 더 형성되어, 고정판에 고무판이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ide of the rubber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is further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plate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can be installed.
바람직하게, 고무판의 측벽하단에는 고정판에 안착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rubb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fixing plate.
바람직하게, 고정판의 양 말단은 상부로 돌출형성된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스윙시 고무판이 외부충격에 의해 함몰될 때 공기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both ends of the fixing plate is formed of a side wall protruding upward, at least one air outlet is formed in the side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when the rubber plate is recessed by the external impact during the swing do.
바람직하게, 고무판의 측벽에는 공기층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공기층의 공기가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t least one air outlet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rubber plate so that the air of the air layer is discharged, and the air of the air layer is exhausted through the air outlet.
바람직하게, 고무판에는 일정간격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고무판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ubb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support wires ar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rubber plate from sagging.
바람직하게, 고무판의 내측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가장자리보다 중앙의 공기층이 더 깊게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rubber plate is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air layer is formed deeper than the edge to mitigate the external impact.
바람직하게, 지지체는 반원형의 절곡편으로 이루어져, 상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고무판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upport is made of a semi-circular bent pie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easily absorbs the impact and prevents the rubber plate from sagging downward.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는, 내부에 공기층(40)을 갖는 튜브형태의 고무판(20)과 상기 공기층 내부의 고정된 지지체(25)와 상기 고무판(20)의 상면에 부착되는 인조잔디(1)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인조잔디(1)는 접착제를 통해 고무판(20)에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판(20)의 내부에는 일정부피의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층(40)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한 일정부피의 공기층(40)은 사용시 충분히 함몰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는 깊이인 골프공의 1/2 크기 즉, 2cm정도의 깊이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고무판(20)의 재질로는 천연고무나 우레탄 소재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인조잔디(1)의 하부에 탄성도가 낮은 물성을 갖는 즉, 충격시 충분히 함몰되어 충격을 흡수하나 고무나 우레탄 소재에 비해 형상복원속도가 느려 충격이 반발되지 않도록 실리콘이 함유된 합성고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rtificial turf (1) is made to be attached to the
상기 고무판(20) 내에는 지지 와이어(22)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삽입되는데 상기 지지 와이어(22)는 고탄력재질인 합금이나, 합성수지를 적용하여 상기 고무판(20)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상기 고무판(20)의 측면에는 설치시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4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배출구(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기배출구(21)는 고무판(2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고무판(20)은 충격에 의해 내부로 함몰되는데, 이와 같이 함몰된 부피만큼 공기층(4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보다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완화 시킬 수 있게 된다. An
한편, 상기와 같이 고무판(20) 내에 형성된 공기층(40) 사이에는 지지체(25)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고무판(20)이 공기층(40)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상기 지지체(25)는 재질 및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 시킬 수 있도록, 고탄력의 고무재질로 형성된 반원형의 절곡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판(20) 내부의 공기층(40)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의 중간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26)이 더 형성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보다 용이하게 구부러져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하도록 한다. The
이때, 상기 절곡편은 통상의 고무호스와 같은 고무재질의 관통관을 반으로 절개하여 이루어진 것을 적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ent piece is preferably applied by cutting a half of the through tube made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a rubber hose, it is also prefera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는, 내부에 형 성된 공기층(40)에 의해 골프클럽의 헤드 스윙시 충격을 흡수하고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충격흡수가 가능함과 아울러 고무판(20)에 인조잔디(1)가 부착된 단순한 구조이므로, 휴대가 용이하여 골프연습장에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the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a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upport body of the golf training mat which concerns on.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는, 바닥에 고정된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의 상단에 안착되며, 측벽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고무판(20)과, 상기 고무판(2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체(25)와, 상기 고무판(20)의 상면에 부착된 인조잔디(1)로 구성된다.3 and 4, the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고정판(50)은 바닥에 말뚝이나 볼트와 같은 고정구(60)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재질은 고무나 목판 등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판(50)은 측벽이 상부로 일정높이만큼 돌출형성되고, 이렇게 돌출된 측벽에는 공기배출구(5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구(51)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공기배출구(21)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xing
상기 고무판(20)은 내부에 지지 와이어(22)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루어져, 상기 고무판(20)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고무판(20)의 저면에는 지지체(25)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2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반원형의 고무재질의 절곡편이 적용되어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 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는, 바닥에 고정된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의 상단에 안착되며, 측벽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고무판(20)과, 상기 고무판(2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체(25)와, 고무판(20)의 상면에 부착된 인조잔디(1)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golf training ma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20)은 공기층(40)이 형성된 내측면이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설치시 고무판(20)의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깊은 공기층(40)을 형성하도록 하여 스윙시 골프클럽의 헤드의 충격을 깊은 공기층(40)을 통해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고무판(20)의 내부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지지 와이어(22)가 삽입되고, 상기 고무판(20)의 저면에는 지지체(25)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어 고무판(20)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무판(20)의 측벽에는 공기배출구(2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또한, 상기 고무판(20)에 돌출형성된 측벽하단에는 걸림턱(30)이 더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50)에 안착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rotruding from the
상기 고정판(50)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바닥에 고정구(60)로 고정되며 상면이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50)의 가장자리에 상기 고무판(20)의 걸림턱(30)이 안착 되도록 한다. The fixing
한편, 상기 지지체(25)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25)는 중공형인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조잔디(1)가 부착된 고무판(20)의 저면에 형성되어, 설치시에 하방에 닿는 면적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상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 단면이 사다리꼴의 절곡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편에는 관통공(26)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어, 상부의 고무판(20)의 처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지지체(25)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As shown in FIG. 6, the
이하,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매트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golf training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8a는 종래 골프연습용 매트의 사용시 골프클럽 헤드의 스윙궤도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매트의 사용시 골프클럽 헤드의 스윙궤도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Figure 8a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head when using the conventional golf training mat, Figure 8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head when using the golf training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골프연습용 매트는 우레탄 폼(4)에 인조잔 디(1)가 부착되어 이루어져, 상기 매트 위에 위치한 골프공(12)을 골프클럽의 헤드로 타격하기 위해서는 헤드1(S1)의 지점에서 임팩트를 하게 되고, 이와 같이 골프공(12)와 헤드의 임팩트가 이루진 후에는 골프클럽의 헤드는 골프공(12)의 한개 크기 이상의 앞쪽에 스윙의 최저점인 헤드3(S3)과 헤드4(S4)를 지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golf practice mat is made of artificial turf (1) attached to the urethane foam (4), in order to hit the
그런데, 정상상태에서도 타격에 따른 매트와 골프헤드의 최저점 충격을 골프연습하는 골퍼가 느껴야 하는 상태인데, 골프연습용 매트의 인조잔디의 마모가 있을 경우 또는 계속되는 연습으로 인조잔디(1)가 누울 경우 골퍼에게 주는 헤드 최저점의 충격은 신체에 무리를 주며 스윙의 흐트러짐을 유발하여 실제 골프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스윙을 하게 되었다.By the way, the golfer practicing the golf to feel the impact of the lowest point of the mat and the golf head in accordance with the hitting in the normal state, if the artificial turf of the golf practice mat wears or if the artificial turf (1) is lying down by continuing practice The impact of the head's lowest point on the body exerts a strain on the body and causes disturbance of the swing, which makes the swing undesirable for real golf.
반면에,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매트는 고무판(20) 저면에 지지체(25) 및 내부에 지지 와이어(22)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측벽이 돌출형성되고 내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고무판(20)과 상기 고무판(20)에 부착된 인조잔디(1)로 이루어져, 골프연습장의 바닥에 고정판(50)을 고정하여 안착시켜 사용하거나, 고정판(50) 없이 공기층(40)이 바닥과 매트 사이에 형성되도록 골프연습장 바닥에 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olf training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the
따라서,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1(S1)지점에서 골프공(12)과 임팩트된 상태에서 골프클럽의 헤드는 계속해서 적정의 스윙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헤드2(S2)지점에서는 헤드1(S1) 보다 더 최저점에 내려가 있게 된다. 이 정도의 최저점까지는 기존의 매트가 충격을 흡수해 낼 수 있으나, 공의 한개 크기 정도에서 이루어지는 최저점 헤드3(S3)과 헤드4(S4)의 위치에서는 기존의 매트에서는 매트에서 흡수하지 못해 발생된 2차 충격으로 인해 골퍼의 부상 내지는 스윙 자세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매트는 헤드3(S3) 및 헤드4(S4)지점의 최저점이동에도 내부의 공기층(40)이 함몰되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전혀 골퍼에게 충격을 주지 않게 되며, 공기층(40)의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복원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인입되어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8B, the head of the golf club continues to move along the proper swing trajectory in the impacted state wit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연습용 매트의 사용에 의하여, 스윙연습시 헤드의 충격을 흡수하여 연습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가 용이하여 골프연습장 바닥에 놓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층에 형성된 지지체에 의해 고무판이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폭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넓은 면적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golf practic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impact of the head during the swing practice to prevent injuries of the practitioners, as well as easy to carry and can be conveniently placed on the floor of the golf practice ground, air layer By preventing the rubber plate from sagging by the support formed on the substrate, the rubber sheet can be manufactured in a wide width and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a large area.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54042A KR100694182B1 (en) | 2006-06-15 | 2006-06-15 | Golf Practice M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54042A KR100694182B1 (en) | 2006-06-15 | 2006-06-15 | Golf Practice Ma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694182B1 true KR100694182B1 (en) | 2007-03-16 |
Family
ID=416231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540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4182B1 (en) | 2006-06-15 | 2006-06-15 | Golf Practice Ma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94182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51939B1 (en) | 2010-12-17 | 2013-04-08 | 이재웅 | Golf practice golf mat |
| KR101834089B1 (en) * | 2016-11-25 | 2018-03-02 | 김진우 | Return rail for putting training appliance |
| KR20180048157A (en) * | 2016-11-02 | 2018-05-10 | 주식회사 골프존 | Golf mat |
| KR102052729B1 (en) * | 2018-11-02 | 2020-01-22 | 주식회사 비지피 | Tee Mat for Golf |
| WO2021060809A1 (en) * | 2019-09-27 | 2021-04-01 | 주식회사 골프존 | Golf mat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1157258U (en) | 1975-06-06 | 1976-12-15 | ||
| JPS59127674U (en) | 1983-02-18 | 1984-08-28 | 佐藤 建治 | golf practice mat |
| JPS602574U (en) | 1983-06-17 | 1985-01-10 | ソ−コ−株式会社 | golf practice mat |
| JPH0586375U (en) * | 1991-07-11 | 1993-11-22 | 田中食品機械株式会社 | Golf practice mat |
| KR200410268Y1 (en) | 2005-08-26 | 2006-03-07 | 임준혁 | Separate, Shock Absorbing Golf Practice Mat |
-
2006
- 2006-06-15 KR KR1020060054042A patent/KR1006941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1157258U (en) | 1975-06-06 | 1976-12-15 | ||
| JPS59127674U (en) | 1983-02-18 | 1984-08-28 | 佐藤 建治 | golf practice mat |
| JPS602574U (en) | 1983-06-17 | 1985-01-10 | ソ−コ−株式会社 | golf practice mat |
| JPH0586375U (en) * | 1991-07-11 | 1993-11-22 | 田中食品機械株式会社 | Golf practice mat |
| KR200410268Y1 (en) | 2005-08-26 | 2006-03-07 | 임준혁 | Separate, Shock Absorbing Golf Practice Mat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51939B1 (en) | 2010-12-17 | 2013-04-08 | 이재웅 | Golf practice golf mat |
| KR20180048157A (en) * | 2016-11-02 | 2018-05-10 | 주식회사 골프존 | Golf mat |
| KR101969363B1 (en) * | 2016-11-02 | 2019-04-16 | 주식회사 골프존 | Golf mat |
| KR101834089B1 (en) * | 2016-11-25 | 2018-03-02 | 김진우 | Return rail for putting training appliance |
| KR102052729B1 (en) * | 2018-11-02 | 2020-01-22 | 주식회사 비지피 | Tee Mat for Golf |
| WO2021060809A1 (en) * | 2019-09-27 | 2021-04-01 | 주식회사 골프존 | Golf ma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803826A (en) | User-friendly golf swing practice mat | |
| WO2009137869A1 (en) | Boxing training device | |
| US8157667B2 (en) | Golf swing training aid | |
| US9254431B1 (en) | Golf mat | |
| KR100694182B1 (en) | Golf Practice Mat | |
| TWI410263B (en) | Bunker mat for golf practice | |
| CA3019924A1 (en) | Portable golf mat | |
| US20120178546A1 (en) | Golf practice mat apparatus | |
| KR101198114B1 (en) | Mat for golf training | |
| KR100947968B1 (en) | Golf mat for exercise | |
| US20060135278A1 (en) | 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putting | |
| EP1354613A1 (en) |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 |
| CN102686286A (en) | device for teeing golf balls | |
| US6974390B2 (en) | Golf practice system | |
| KR100905672B1 (en) | Mat for golf practice | |
| US20190374836A1 (en) | Golf swing practice mat for strengthening swing and increasing club head speed | |
| KR100694183B1 (en) | Golf Practice Mat | |
| KR101629817B1 (en) | Mat for training golf | |
| KR200489695Y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hitting device for practice of foot volleyball | |
| JP3137859U (en) | Golf practice wedge block | |
| CN200998579Y (en) | kick practice ball | |
| KR20110002239U (en) | Mat for swing practice of golf | |
| WO2013031627A1 (en) | Golf swing training machine | |
| KR101960358B1 (en) | Mat for training golf | |
| KR100629966B1 (en) | Putting Practice Golf Bal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 PJ0206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6 |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4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629 Effective date: 2011021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03 Effective date: 20110218 |
|
| PJ1301 | Trial decis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110218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Invalidation, Appeal Ground Text : 0694182 Appeal request date: 20100803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0100001972 Decision date: 20110218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Appeal Ground Text : 0694182 Appeal request date: 20100629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010000166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3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30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