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523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231B1
KR100695231B1 KR1020050110864A KR20050110864A KR100695231B1 KR 100695231 B1 KR100695231 B1 KR 100695231B1 KR 1020050110864 A KR1020050110864 A KR 1020050110864A KR 20050110864 A KR20050110864 A KR 20050110864A KR 100695231 B1 KR100695231 B1 KR 100695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ing
substrate
units
b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호
이동법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2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23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크 공정을 수행하는 베이크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판을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 유닛들과,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 유닛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로봇과, 상기 가열 유닛들과 상기 이송 로봇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king unit for performing a baking process,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for sequentially heating the substrate, and at least one of transferring the substrate from one of the heating units to another of the heating units And a housing surrounding the transfer robot and the heating units and the transfer robot.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베이크 공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기판을 이송하는 경우, 베이크 유닛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이송 로봇에 의하여 직접 이송하므로써 이송 중에 증가하는 기판 상의 온도구배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ferring a substrate from one of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performing one bake process to another, the temperature on the substrate increases during transfer by transferring directly by a separate transfer robot installed inside the bake unit. Gradient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처리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1;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3 to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king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a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인덱스부 20 : 처리부10: index portion 20: processing portion

30 : 인터페이스부 40 : 노광부30 interface unit 40 exposure unit

100 : 처리실 160 : 주이송로봇100: processing chamber 160: main feed robot

200 : 베이크 유닛 220 : 가열 유닛200: baking unit 220: heating unit

240 : 보조이송로봇 260 : 하우징240: auxiliary transport robot 260: housing

본 발명은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토리소그래피 공 정에서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ubstrate, and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ubstrate in a photolithography process.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세정, 증착, 포토리소그래피, 에칭, 그리고 이온주입 등과 같은 다양한 공정이 수행된다.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In general, various processes such as cleaning, deposition, photolithography, etching, and ion implantation are performed to manufacture a semiconductor device. Photolithography processes performed to form patterns play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high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도포 유닛, 노광 유닛, 현상 유닛, 그리고 베이크 유닛들을 포함하며, 웨이퍼는 베이크 유닛, 도포 유닛, 베이크 유닛, 노광 유닛, 베이크 유닛, 현상 유닛, 그리고 베이크 유닛을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공정이 수행된다. 웨이퍼가 각각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기 위하여 주이송로봇이 제공되며, 주이송로봇은 각각의 단계로 웨이퍼를 순차적으로 이송한다.A system for perform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includes an application unit, an exposure unit, a developing unit, and a baking unit, and the wafer sequentially includes the baking unit, the coating unit, the baking unit, the exposure unit, the baking unit, the developing unit, and the baking unit. The process is performed while moving. A main transfer robot is provided for the wafer to sequentially go through each step, and the main transfer robot sequentially transfers the wafer to each step.

상기한 단계 중에서 베이크 유닛에 의하여 진행되는 베이크 공정은 웨이퍼를 핫 플레이트나 오븐 등에 의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을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크 공정은 도포 유닛에 의한 도포공정, 노광 유닛에 의한 노광공정, 현상 유닛에 의한 현상공정의 전후에서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계에 적합한 소정 온도로 웨이퍼는 가열된다.The baking process performed by the baking unit in the above-mentioned steps means a process of heating the waf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hot plate or an oven. As described above, the baking step i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coating step by the coating unit, the exposure step by the exposure unit, and the developing step by the developing unit, and the wafer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itable for each step.

베이크 공정 중 특히 현상공정 이후에 실시되는 베이크 공정은 포스트베이크 (postbake) 공정이라고 한다. 포스트베이크 공정은 이전의 베이크 공정보다 높은 온도(일반적으로 100-140℃에서 10-30분)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포토레지스트를 경화(harden)하고 포토레지스트의 에칭 저항(etch resistance)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Among the baking processes, in particular, the baking process carried out after the developing process is called a postbake process. The postbaking process takes place at a higher temperature (typically 10-30 minutes at 100-140 ° C.) than the previous bake process, in order to harden the photoresist and improve the etch resistance of the photoresist. Is done.

또한, 포스트베이크 공정은 포토레지스트가 조금씩 흘러내리도록 하여 포토레지스트 가장자리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베이크 공정을 포토레지스트 플로우(photoresist flow) 공정이라고도 한다. 이는 웨이퍼 상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에 열을 가하여 포토레지스트의 유동을 유발시킴으로써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개구 사이즈 또는 각종 소자를 연결하는 배선과 같은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스페이스 폭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ostbaking process may cause the photoresist to flow down little by little to modify the shape of the photoresist edge. Therefore, the postbaking process is also referred to as a photoresist flow process. This is to reduce the space width of the photoresist pattern such as the opening size of the photoresist pattern or the wiring connecting various elements by applying heat to the photoresist pattern formed on the wafer to cause the flow of the photoresist.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에서 베이크 유닛은 복수의 가열 유닛들을 구비하며, 웨이퍼는 복수의 가열 유닛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일정 온도씩 상승하도록 가열된다. 이는 웨이퍼를 하나의 가열 유닛에 의하여 높은 온도로 단번에 가열하게 되면 가열 유닛과 인접하는 특정 부분에 열이 과도하게 집중되므로, 특정 부분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웨이퍼 상의 온도 구배(temperature gradient)가 증가하기 때문이다.In the photoresist flow process, the bak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nd the wafer is heated to rise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This is because if the wafer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t one time by one heating unit, heat is excessively concentrated in a specific portion adjacent to the heating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pecific portion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gradient on the wafer is increased. Because.

웨이퍼 표면의 온도를 균일(uniformity)하게 유지하는 것은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웨이퍼 표면의 온도가 불균일하면 온도에 따라 포토레지스트의 유동량이 달라지며, 위치에 따라 패턴의 개구 사이즈 등이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온도가 높은 부분은 다량의 포토레지스트가 유동하므로 개구 사이즈 또는 스페이스 폭이 좁으며, 온도가 낮은 부분은 소량의 포토레지스트가 유동하므로 개구 사이즈 또는 스페이스 폭이 넓다. 따라서, 개구 사이즈 또는 스페이스 폭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 웨이퍼는 복수의 가열 유닛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가열된다.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surface uniform is very important for smoothly performing the photoresist flow process. This is because if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surface is uneven, the flow amount of the photoresist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the opening size of the pattern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has a narrow opening size or space width because a large amount of photoresist flows, and the low temperature portion has a wide opening size or space width because a small amount of photoresist flows. Thus, the wafer is heated step by step through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in order to reduce the deviation of the opening size or the space width.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웨이퍼가 베이크 유닛, 도포 유닛, 베이크 유닛, 노광 유닛, 베이크 유닛, 현상 유닛, 그리고 베이크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공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상기한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을 수행할 때에도 웨이퍼의 이동은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이루어졌다.Conventionally,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wafer is sequentially moved to the bake unit, the coating unit, the bake unit, the exposure unit, the bake unit, the developing unit, and the bake unit by the main transfer robot. In addition, even when performing the photoresist flow process described above, the wafer was moved by the main transfer robot.

따라서,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에서 주이송로봇은 현상 공정이 끝난 웨이퍼를 현상 유닛으로부터 베이크 유닛으로 이송하였으며, 베이크 유닛 내에는 복수의 가열 유닛이 제공되었다. 베이크 유닛으로 이송된 웨이퍼는 각각의 가열 유닛을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수단이 필요하였으며, 웨이퍼는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각각의 가열 유닛으로 이송되었다.Therefore, in the photoresist flow process, the main transfer robot transferred the wafer after the developing process from the developing unit to the baking unit, and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were provided in the baking unit. The wafer transferred to the bake unit needed a transfer means capable of sequentially moving each heating unit, and the wafer was transferred to each heating unit by the main transfer robot.

그러나 주이송로봇의 주된 역할은 각각의 도포 유닛, 노광 유닛, 현상 유닛, 그리고 베이크 유닛들로 웨이퍼를 이송하는 것이므로, 베이크 유닛의 외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웨이퍼를 이송하면 웨이퍼가 베이크 유닛의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However, since the main role of the main transfer robot is to transfer the wafer to each of the application unit, exposure unit, development unit, and bake units, it should be located outside the bake unit. Therefore, when the wafer is transferred by the main transfer robot, the wafer is inevitab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king unit.

또한, 베이크 유닛은 복수의 가열 유닛에 의하여 고온을 유지하고 있으나, 베이크 유닛의 외부는 베이크 유닛의 내부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므로, 웨이퍼가 베이크 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면 웨이퍼는 냉각될 수 밖에 없다. 특히, 베이크 유닛의 외부에 위치하는 주이송로봇은 대체로 상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파지된 웨이퍼 중 주이송로봇과 접촉한 부분은 상온 상태의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급속히 냉각되며, 웨이퍼 상의 온도 구배(temperature gradient)는 급격하게 증가한다.In addition, the bake unit maintains a high temperature by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but the outside of the bake unit maintains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inside of the bake unit, so that the wafer is inevitably cooled whe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ke unit. In particular, since the main transport robot located outside the bake unit maintains a normal temperature, the portion of the wafer held by the main transport robot in contact with the main transport robot is rapidly cooled by the main transport robot at room temperature.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phase increases rapidly.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크 공정 중에 웨이퍼가 베이크 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can prevent the waf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king unit during the baking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공정으로 웨이퍼를 이송하는 주이송로봇과 별도로 베이크 공정 내에서 웨이퍼를 이송할 수 있는 보조이송로봇을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n auxiliary transport robot capable of transporting a wafer in a baking process, separately from the main transport robot transporting a wafer in each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이퍼 상의 온도를 대체로 균일하게 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a photoresist flow process by making the temperature on a wafer substantially unifor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대한 베이크 공정을 수행하는 베이크 유닛은 상기 기판을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 유닛들과,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 유닛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로봇과, 상기 가열 유닛들과 상기 이송 로봇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king unit that performs a baking process for a substrate includes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that sequentially heat the substrate, and transfer the substrate from one of the heating units to another of the heating units. At least one transfer robot and a housing surrounding the heating units and the transfer robot.

상기 이송 로봇은 병진운동에 의하여 상기 기판을 이송할 수 있다.The transfer robot may transfer the substrate by a translational motion.

상기 이송 로봇은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기판을 이송할 수 있다.The transfer robot may transfer the substrate by a rotational movement.

상기 베이크 유닛은 포토레지스트 플로우(photoresist flow)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The bake unit may be used in a photoresist flow process.

상기 베이크 유닛은 각각의 상기 가열 유닛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ke unit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heat loss generated in each of the heating units.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크 공정에서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는 도포 유닛과 현상 유닛, 복수의 베이크 유닛들 그리고 상기 도포 유닛과 상기 베이크 유닛들 간에 또는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베이크 유닛들 간에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주이송로봇이 제공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크 유닛은 상기 기판을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 유닛들과,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 유닛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이송로봇과, 상기 가열 유닛들과 상기 보조이송로봇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in a baking process includes transferring the substrate between a coating unit and a developing unit, a plurality of bake units and between the coating unit and the bake units or between the developing unit and the bake units. A processing unit provided with a main transfer robot, wherein the bak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for sequentially heating the substrate, and at least one of transferring the substrate from one of the heating units to another of the heating units. At least one auxiliary transport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using surrounding the heating units and the auxiliary transport robot.

상기 가열 유닛들은 상기 주이송로봇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s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generally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transport robot.

상기 가열 유닛들은 상기 주이송로봇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s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transport robot.

본 발명에 의하면, 순차적으로 가열온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된 복수의 가열 유닛들을 이용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방법은 복수의 가열 유닛들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이송로봇을 하나의 하우징 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기판을 이송한 후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이송로봇에 의하여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 유닛 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기판을 이송한 후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가열이 완료된 상기 기판을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cessing a substrate using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that are sequentially set to increase a heating temperature includes disposing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nd at least one auxiliary transfer robot in one housing, and a main transfer.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any one of the heating units by a robot and heating the substrate to a set temperature; and transferring the substrate from one of the heating units to another of the heating units by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And then heating to a set temperature, and recovering the substrate, which has been heated, by a main transfer rob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으로 웨이퍼(W)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 기판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기판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fer W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substrates such as glass substrat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기판 처리 장치(1)는 웨이퍼 상에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 처리 장치(1)는 인덱스부(10), 처리부(20), 그리고 인터페이스부(30)를 가지며, 이들은 순차적으로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인덱스부(10)는 카세트 거치대(12)와 로봇 이동로(14)를 가진다. 웨이퍼와 같은 반도체 기판들이 수용된 카세트(12a)들은 카세트 거치대(12)에 놓여진다. 로봇 이동로(14)에는 카세트 거치대(12)에 놓여진 카세트(12a)와 처리부(20)간 웨이퍼를 이송하는 로봇(14a)이 설치된다. 로봇(14a)은 수평면 상에서 상술한 일방향과 수직한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로봇(14a)을 이송하는 구조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performs a photolithography process on a wafer. Referring to FIG. 1,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n index unit 10, a processing unit 20, and an interface unit 30,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The index unit 10 has a cassette holder 12 and a robot movement path 14. Cassettes 12a in which semiconductor substrates such as a wafer are accommodated are placed in the cassette holder 12. The robot moving path 14 is provided with a robot 14a for transferring wafers between the cassette 12a placed on the cassette holder 12 and the processing unit 20. The robot 14a has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bove-described one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on a horizontal plane. Since the structure for transferring the robot 14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easily configu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처리부(20)는 웨이퍼에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감광액을 도포하는 도포공정과 노광 공정이 수행된 웨이퍼에서 노광된 영역 또는 그 반대 영역의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현상 공정을 수행한다. 처리부(20)에는 도포 유닛(120a), 현상 유닛(120b), 그리고 베이크 유닛(140)이 제공된다. The processing unit 20 performs a coating step of applying a photoresist such as a photoresist to the wafer and a developing step of removing photoresist in an exposed region or the opposite region from the wafer on which the exposure process is performed. The processing unit 2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unit 120a, a developing unit 120b, and a baking unit 140.

처리부(20)의 일측에는 노광부(4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30)가 제공된다. 인터페이스부(30)에는 노광부(40)와 처리부(20) 간에 웨이퍼를 이송하는 로봇(32)이 배치된다. 로봇(32)은 상술한 일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One side of the processing unit 20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unit 30 that is connected to the exposure unit 40. In the interface unit 30, a robot 32 for transferring a wafer between the exposure unit 40 and the processing unit 20 is disposed. The robot 32 has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bove-described one direction.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처리부(2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처리부(20)는 제1처리실(100a)과 제2처리실(100b)을 귀하는 처리실(100)을 가진다. 제1처리실(100a)과 제2처리실(100b)은 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제1처리실(100a)에는 도포 공정을 수행하는 유닛들이 제공되고, 제2처리실(100b)에는 현상 공정을 수행하는 유닛들이 제공된다. 즉, 제1처리실(100a)에는 도포 유닛(120a)들과 베이크 유닛(140)들이 제공되며, 제2처리실(100b)에는 현상 유닛(120b)들과 베이크 유닛(140)들이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제1처리실(100a)은 제2처리실(100b)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제1처리실(100a)은 제2처리실(100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 인해 웨이퍼는 인덱스부(10), 제1처리실(100a), 인터페이스부(30), 노광부(40), 인터페이스부(30), 제2처리실(100b), 그리고 인덱스부(10)를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즉,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수행시 웨이퍼는 상하방향으로 루프식으로 이동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ocessing unit 20 illustrated in FIG. 1. The processing unit 20 has a first processing chamber 100a and a second processing chamber 100b, and you have a processing chamber 100.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100a and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100b have a stacked structure. Units for performing the coating process are provided in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100a, and units for performing the developing process are provided in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100b. That is, the coating units 120a and the baking units 140 are provided in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100a, and the developing units 120b and the baking units 140 are provided in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100b.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100a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100b.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100a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100b. 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wafer has the index unit 10,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100a, the interface unit 30, the exposure unit 40, the interface unit 30,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100b, and the index unit 10. ) Will be moved sequentially. That is, during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the wafer is moved in a loop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처리실(100a)에는 중앙에 제1이동로(160a)가 길게 제공된다. 제1이동로(160a)의 일단은 인덱스부(10)와 연결되고, 제1이동로(160a)의 타단은 인터페이스부(30)와 연결된다. 제1이동로(160a)의 일측에는 베이크 유닛(140)들이 제1이동로(160a)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제1이동로(160a)의 타측에는 도포 유닛(120a)들이 제1이동로(160a)를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이와 함께, 베이크 유닛(140)들 및 도포 유닛(120a)들은 상하로 복수개가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제1이동로(160a)에는 인터페이스부(30), 도포 유닛(120a), 베이크 유닛(140), 그리고 인덱스부(10)들 간에 웨이퍼를 이송하는 제1주이송로봇(162a)이 제공된다. 제1주이송로봇(162a)이 직선이동되도록 제1이동로(160a)에는 가이드 레일(164a)이 제공된다.The first moving path 160a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100a for a long time. One end of the first moving path 160a is connected to the index unit 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ing path 160a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30. The baking units 140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first moving path 160a on one side of the first moving path 160a, and the coating units 120a ar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ving path 160a. It is arranged in a line along 160a. In addition, the baking units 140 and the coating unit 120a are arranged to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up and down. The first moving path 160a is provided with a first main transfer robot 162a for transferring a wafer between the interface unit 30, the coating unit 120a, the baking unit 140, and the index units 10. A guide rail 164a is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path 160a so that the first main feed robot 162a moves linearly.

제2처리실(100b)에는 중앙에 제2이동로(160b)가 길게 제공된다. 제2이동로(160b)의 일단은 인덱스부(10)와 연결되고, 제2이동로(160b)의 타단은 인터페이스부(30)와 연결된다. 제2이동로(160b)의 일측에는 베이크 유닛(140)들이 제2이동로(160b)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제2이동로(160b)의 타측에는 현상 유닛(120b)들이 제2이동로(160b)를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이와 함께, 베이크 유닛(140)들 및 현상 유닛(120b)들은 상하로 복수개가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제2이동로(160b)에는 인터페이스부(30), 현상 유닛(120b), 베이크 유닛(140), 그리고 인덱스부(10)들 간에 웨이퍼를 이송하는 제2주이송로봇(162b)이 제공된다. 제2주이송로봇(162b)이 직선이동되도록 제2이동로(160b)에는 가이드 레일(164b)이 제공된다. The second moving path 160b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100b for a long time. One end of the second moving path 160b is connected to the index unit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ing path 160b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30. The baking units 140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second moving path 160b on one side of the second moving path 160b and the developing units 120b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ving path 160b. It is arranged in a line along 160b. In addition, the baking units 140 and the developing unit 120b are arranged to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up and down. The second moving path 160b is provided with a second main transfer robot 162b for transferring the wafer between the interface unit 30, the developing unit 120b, the bake unit 140, and the index units 10. A guide rail 164b is provided on the second moving path 160b so that the second main feed robot 162b moves linearly.

상술한 바와 달리, 제1처리실의 일측에는 제1이동로가 배치되고, 제1처리실의 타측에는 도포 유닛들과 베이크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처리실의 일측에는 제2이동로가 배치되고, 제2처리실의 타측에는 현상 유닛들과 베이크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다. Unlike the above, a first moving path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and coating units and baking units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rocessing chamber. In addition, a second moving path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and developing units and baking units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rocessing chamber.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유닛(200)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 to 7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the baking unit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베이크 유닛(200)은 제1가열유닛(220a), 제2가열유닛(220b), 보조이송로봇(240), 하우징(260)을 포함한다.3 and 4, the bake unit 200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220a, a second heating unit 220b, an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and a housing 260.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은 이송로(160)의 길이방향, 즉 주이송로봇(162)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은 이송로(160)의 길이방향, 즉 주이송로봇(162)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re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160, that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transfer robot 162. However, in contrast, 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160, that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transfer robot 162. .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웨이퍼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도시안됨)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웨이퍼는 제1가열유닛(220a)에 의하여 1차적으로 가열된 이후에 제2가열유닛(220b)을 통하여 2차적으로 가열되어야 하므로, 개구는 제1가열유닛(220a)으로부터 제2가열유닛(220b)으로 웨이퍼가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may have openings (not shown) through which wafers can enter and exit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fer must be heated secondly through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fter being first heated by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he opening is first removed from the first heating unit 220a. It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fer moves to the two heating units 220b.

보조이송로봇(240)은 제1가열유닛(220a)으로부터 제2가열유닛(220b)으로 웨이퍼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이송로봇(2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serves to transfer the wafer from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s shown in FIG. 3, and the first heating unit 220a as shown in FIG. 4. )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보조이송로봇(240)은 여러가지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열유닛(220a)에서 웨이퍼를 파지한 보조이송로봇(240)은 제2가열유닛(220b)까지 병진운동을 한 이후에 제2가열유닛(220b)으로 웨이퍼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열유닛(220a)에서 웨이퍼를 파지한 보조이송로봇(240)은 180°회전하여 제2가열유닛(220b)으로 웨이퍼를 이송할 수 있다. 보조이송로봇(240)에 의한 웨이퍼의 파지는 정전척 또는 기계적 클램프 및 이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may be exercis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 3,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holding the wafer in the first heating unit 220a performs the translational motion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nd then moves the wafer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Can be pass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holding the wafer in the first heating unit 220a may rotate 180 ° to transfer the wafer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Gripping of the wafer by the secondary transfer robot 240 may be accomplished by electrostatic chucks or mechanical clamps and various other methods.

하우징(260)은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 보조이송로봇(240)을 감싼다. 베이크 유닛(200)은 웨이퍼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열이 웨이퍼에 대하여 집중될 수 없고 다량의 열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베이크 유닛(200) 내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6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housing 260 surrounds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nd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Since the baking unit 200 is for heating the waf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n 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re exposed to the outside, heat cannot be concentrated on the wafer and a large amount of heat loss is achieved. This happens. Therefore, the housing 260 may be provided to prevent heat in the baking unit 200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이송로(160)와 대향되는 하우징(260)의 일측에는 웨이퍼가 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도시안됨)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는 주이송로봇(162)을 통하여 이송된 웨이퍼를 베이크 유닛(200) 내로 수용하거나 베이크 유닛(200)으로부터 주이송로봇(162)으로 웨이퍼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이다. 복수의 개구들이 제공되는 경우에 하나의 개구는 수용을 위한 통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개구는 배출을 위한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opening (not shown)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260 facing the transfer path 160 to allow the wafer to enter and exit. The opening is a passage for receiving the wafer transferred through the main transport robot 162 into the bake unit 200 or for ejecting the wafer from the bake unit 200 to the main transport robot 162.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openings are provided, one opening can be used as a passage for receiving, and the other opening can be used as a passage for discharge.

또한, 각각의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은 차단부재(도시안됨)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은 웨이퍼를 단계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장비이므로,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열이 웨이퍼에 대하여 집중되지 않아 다량의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을 감싸도록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may include a blocking member (not shown). Since 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re for heating the wafer in stages, the heat is generated when 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re exposed to the outside. Large concentrations of heat loss can occur as it is not concentrated on the waf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eat loss by installing a blocking member to surround each of the first heating unit 220a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베이크 유닛(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주이송로봇(162)은 제1가열유닛(220a)으로 웨이퍼를 이송하며, 이송된 웨이퍼는 제1가열유닛(220a)에 의하여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제1가열유닛(220a)을 통한 가열이 완료되면, 보조이송로봇(240)은 제1가열유닛(220a) 내의 웨이퍼를 파지한 이후에 제2가열유닛(220b)으로 이송한다. 보조이송로봇(2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병진운동이나 회전운동을 통하여 웨이퍼를 이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king unit 200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main transfer robot 162 transfers the wafer to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he transferred wafer to the first heating unit 220a By heat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n the heating by the first heating unit 220a is completed,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transfers the wafer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fter gripping the wafer in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may transfer the wafer through a translational or rotational motion as described above.

제2가열유닛(220b)으로 이송된 웨이퍼는 제2가열유닛(220b)에 의하여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며, 가열이 완료된 웨이퍼는 주이송로봇(162)에 의하여 회수된다. 회수된 웨이퍼는 주이송로봇(162)에 의하여 다음 공정을 위하여 이송된다.The wafer transferred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nd the wafer which has been heated is recovered by the main transfer robot 162. The recovered wafer is transferred by the main transfer robot 162 for the next process.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베이크 유닛(200)은 제1가열유닛(220a), 제2가열유닛(220b), 제3가열유닛(220c), 보조이송로봇(240), 하우징(260)을 포함한다. 이는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본 베이크 유닛(200)에 제3가열유닛(220c)이 추가된 형태이다.Next, referring to FIGS. 5 to 7, the baking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heating unit 220a, a second heating unit 220b, a third heating unit 220c, an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and a housing 260. ). This is a form in which the third heating unit 220c is added to the baking unit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상기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에서 웨이퍼는 복수의 가열 유닛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가열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두 개의 가열 유닛이 제공되는 경우 제1가열유닛(220a)은 웨이퍼 상의 포토레지스트가 반응하기 직전의 온도로 1차적으로 웨이퍼를 가열하며, 제2가열유닛(220b)은 포토레지 스트가 반응하는 온도로 웨이퍼를 2차적으로 웨이퍼를 가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을 더욱 세밀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더 많은 수의 가열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hotoresist flow process, the wafer is heated step by step by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wo heating units are provided, the first heating unit 220a primarily heats the wafer to a temperature just before the photoresist on the wafer reacts, and the second heating unit ( 220b) may heat the wafer secondary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photoresist reacts. Alternatively, a larger number of heating units may be provided to further advance the photoresist flow process.

제1가열유닛(220a)과 제2가열유닛(220b), 제3가열유닛(220c)의 배열방법 및 개구(도시안됨)의 형성방법에 대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nd the third heating unit 220c 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opening (not shown)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they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의 보조이송로봇(240) 제공될 수 있으며, 보조이송로봇(240)은 제1가열유닛(220a)으로부터 제2가열유닛(220b)으로, 제2가열유닛(220b)으로부터 제3가열유닛(220c)으로 웨이퍼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조이송로봇(240)은 제1가열유닛(220a)으로부터 제3가열유닛(220c)에 이르기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보조이송로봇(240)은 병진운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one auxiliary transport robot 240 may be provided, and the auxiliary transport robot 240 may be provided from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nd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 To transfer the wafer to the third heating unit 220c. That is, the auxiliary transport robot 240 may move from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o the third heating unit 220c, and the auxiliary transport robot 240 may translate.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보조이송로봇(240a, 240b)이 제공될 수 있다. 제1보조이송로봇(240a)은 제1가열유닛(220a)으로부터 제2가열유닛(220b)으로 웨이퍼를 이송하며, 제2보조이송로봇(240b)은 제2가열유닛(220b)으로부터 제3가열유닛(220c)으로 웨이퍼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6 and 7, two auxiliary transfer robots 240a and 240b may be provided. The first auxiliary transfer robot 240a transfers the wafer from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and the second auxiliary transfer robot 240b is heated to the third heating unit from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It serves to transfer the wafer to the unit 220c.

도 6에 도시한 보조이송로봇(240a, 240b)은 도 3에 도시한 보조이송로봇(240)과 마찬가지로 병진운동을 하며, 도 7에 도시한 보조이송로봇(240a, 240b)은 도 4에 도시한 보조이송로봇(240)과 마찬가지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외에 보조이송로봇(240a, 240b)의 작동방법은 도 3 및 도 4와 동일하다.The auxiliary transport robots 240a and 240b shown in FIG. 6 perform a translational motion similarly to the auxiliary transport robot 240 shown in FIG. 3, and the auxiliary transport robots 240a and 240b shown in FIG. 7 are shown in FIG. 4. Like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is a rotational movement.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a, 240b) is the same as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크 유닛(200)은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하우징(260) 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열유닛(220a, 220b, 220c)도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재(도시안됨)를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king unit 200 may include a housing 260 for preventing heat loss, and each heating unit 220a, 220b, 220c may also have a blocking member (not shown) to prevent heat loss. ) May be provided.

이하,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treating a substr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8.

먼저, 복수의 가열 유닛들(220a, 220b)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이송로봇(240)을 하나의 하우징(260) 내에 배치한다(S10). 하나의 하우징(260)은 하나의 베이크 유닛(200)이 되며, 독자적으로 한 단계의 베이크 공정을 수행한다.First,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220a and 220b and at least on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are disposed in one housing 260 (S10). One housing 260 becomes one baking unit 200, and independently performs one baking process.

다음으로, 주이송로봇(162)에 의하여 제1가열유닛(220a)에 기판을 이송한 후 제1가열유닛(220a)에 의하여 기판을 설정온도로 가열한다(S20).Next, after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heating unit 220a by the main transfer robot 162, the substrate is heated to the set temperature by the first heating unit 220a (S20).

다음으로, 보조이송로봇(240)에 의하여 제1가열유닛(220a)로부터 제2가열유닛(220b)으로 기판을 이송한 후 제2가열유닛(220b)에 의하여 설정온도로 가열한다(S30).Next,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heating unit 220a to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by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and then heated to the set temperature by the second heating unit 220b (S30).

다음으로, 가열이 완료된 기판을 주이송로봇(162)에 의하여 회수한다(S40).Next, the substrate is heated is recovered by the main transfer robot 162 (S40).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베이크 유닛(200)은 보조이송로봇(240)을 포함하며, 보조이송로봇(240)에 의하여 복수의 가열유닛 사이에서 기판이 이송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bake unit 200 includes an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and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by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240.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크 공정 중에 웨이퍼가 베이크 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송시에 발생하는 웨이퍼의 온도 구배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f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king unit during the baking process,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wafer generated during transfer can be minimized.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크 공정 중에 웨이퍼를 이송하는 이송로봇이 베이크 유닛 내부에 위치하므로, 이송시에 발생하는 웨이퍼의 온도 구배를 최소화할 수 있 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fer robot for transferring the wafer during the baking process is located inside the baking uni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wafer generated during the transfer.

본 발명에 의하면, 웨이퍼 상의 온도를 대체로 균일하게 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resist flow process can be performed smoothly by making the temperature on the wafer substantially uniform.

본 발명에 의하면, 웨이퍼를 가열할 때 가열 유닛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eat loss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when heating the wafer.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판에 대한 베이크 공정을 수행하는 베이크 유닛에 있어서,In the baking unit performing a baking process for a substrate, 상기 기판을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 유닛들;A plurality of heating units for sequentially heating the substrate;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 유닛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로봇;At least one transfer robot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from one of the heating units to another of the heating units; 상기 가열 유닛들과 상기 이송 로봇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A housing surrounding the heating units and the transfer robot, 상기 베이크 유닛은 포토레지스트 플로우(photoresist flow) 공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크 유닛.The bake unit is a b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used in the photoresist flow (proces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베이크 유닛은 각각의 상기 가열 유닛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크 유닛.The baking unit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heat loss generated in each of the heating units. 베이크 공정에서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in the baking step, 도포 유닛과 현상 유닛, 복수의 베이크 유닛들 그리고 상기 도포 유닛과 상기 베이크 유닛들 간에 또는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베이크 유닛들 간에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주이송로봇이 제공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A processing unit provided with a coating unit and a developing unit, a plurality of baking units and a main transfer robot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between the coating unit and the baking units or between the developing unit and the baking units, 상기 베이크 유닛은,The baking unit, 상기 기판을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 유닛들과;A plurality of heating units for heating the substrate;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 유닛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이송로봇과;At least one auxiliary transfer robot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from one of the heating units to another of the heating units; 상기 가열 유닛들과 상기 보조이송로봇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장치.And a housing surrounding the heating units and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열 유닛들은 상기 주이송로봇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장치.And the heating unit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transport robo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열 유닛들은 상기 주이송로봇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장치.And the heating unit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feed robot. 순차적으로 가열온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된 복수의 가열 유닛들을 이용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cessing a substrate using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set to sequentially increase the heating temperature, 복수의 가열 유닛들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이송로봇을 하나의 하우징 내에 배치하는 단계와;Placing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nd at least one auxiliary transfer robot in a housing;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기판을 이송한 후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one of the heating units by a main transfer robot and heating the substrate to a set temperature; 상기 보조이송로봇에 의하여 상기 가열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 유닛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기판을 이송한 후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Transferring the substrate from one of the heating units to another of the heating units by the auxiliary transfer robot and then heating the substrate to a set temperature; 가열이 완료된 상기 기판을 주이송로봇에 의하여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방법.And recovering the substrate, which has been heated, by a main transfer robo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열유닛들은,The heating units, 상기 기판을 1차적으로 가열하는 제1 가열유닛; 및A first heating unit that primarily heats the substrate; And 상기 제1 가열유닛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기판을 2차적으로 가열하는 제2 가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And a second heating unit for secondarily heating the substrate heated by the first heating unit.
KR1020050110864A 2005-11-18 2005-11-1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s Expired - Fee Related KR1006952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64A KR100695231B1 (en) 2005-11-18 2005-11-1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64A KR100695231B1 (en) 2005-11-18 2005-11-1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231B1 true KR100695231B1 (en) 2007-03-14

Family

ID=3810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8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5231B1 (en) 2005-11-18 2005-11-1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2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362A (en) *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uel cell manufacturing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355A (en) * 1993-11-19 1995-06-02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st treatment
JPH1092733A (en) 1996-09-13 1998-04-10 Tokyo Electron Ltd Treatment system
KR20000024866A (en) * 1998-10-02 2000-05-06 윤종용 Boat of diffus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KR20030058008A (en)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Track system with multi bake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355A (en) * 1993-11-19 1995-06-02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st treatment
JPH1092733A (en) 1996-09-13 1998-04-10 Tokyo Electron Ltd Treatment system
KR20000024866A (en) * 1998-10-02 2000-05-06 윤종용 Boat of diffus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KR20030058008A (en)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Track system with multi bake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362A (en) *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uel cell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850704B1 (en) * 2022-08-30 2025-08-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uel cell manufactur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8699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US6227786B1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JPH1092733A (en) Treatment system
KR101087463B1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s, Substrate Transfer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KR20200042255A (en) Method for cooling hot pla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CN101496139A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JP7354206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102099103B1 (en) Method for cooling hot plate and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KR101706735B1 (en) Transfer unit,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KR1006952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s
KR1022821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US86737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rate-mask alignment
KR20170074377A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20010054262A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hotolithography process
KR101010157B1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20230083410A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081704B1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KR20200132827A (en) Method for cooling hot pla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US20250264803A1 (en) Lithography track system
KR102296280B1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KR100666354B1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for Photolithography Process
KR20050082514A (en) Method treating substrates i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KR102222458B1 (en) Docking assembly,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ssembly, and Dock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KR20060064788A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20080024301A (en) Bake unit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3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3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