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448B1 -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 Google Patents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8448B1 KR100698448B1 KR1020010007573A KR20010007573A KR100698448B1 KR 100698448 B1 KR100698448 B1 KR 100698448B1 KR 1020010007573 A KR1020010007573 A KR 1020010007573A KR 20010007573 A KR20010007573 A KR 20010007573A KR 100698448 B1 KR100698448 B1 KR 1006984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terminal
- tact switch
- pressing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신호를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도록 택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버튼이 구비된 단말기에 있어서, 몸체의 관통공 내측에 대향하게 돌출된 회전돌기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돌기에 삽입되어 동작하는 버튼부재를 구성함으로서, 2개의 버튼이 일체화된, 버튼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공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여 대립되는 기능을 동작하는 택트 스위치를 가압하게 함과 아울러, 버튼부재의 어느 곳을 가압하더라도 한 쪽 버튼만 동작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부품 비용을 절감시키는 단말기의 버튼 동작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having a button for pressing a tact switch to transmit an input signal to a printed circuit board, the terminal comprising a rota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protrusion to operate By constituting the button member, it is possible to press the tact switch to operate the function of opposing by rotating around the rotary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tton member, in which the two buttons are integ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a terminal which not only prevents malfunction by operating only one button but also reduces component cos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terminal
도 2는 종래 버튼 입력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2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utton input unit.
a는 정면도이고,a is a front view,
b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도 3은 근래 버튼 입력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3 shows the structure of a recent button input unit.
a는 정면도이고,a is a front view,
b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서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는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a represents the state before being combined,
b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b shows the combined state.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버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tt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단말기 111: 관통공 10: terminal 111: through hole
16: 택트 스위치 17: 인쇄회로기판16: Tact switch 17: Printed circuit board
40: 회전돌기 50: 버튼부재40: rotary projection 50: button member
52: 회전공 53: 누름돌기
52: rotation hole 53: push button
본 발명은 각종 전자 제품의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개의 버튼이 나란히 인접하여 별도의 기능(예: 볼륨(volume)의 up/down, 채널(channel)의 up/down)을 가진 버튼을 일체화하여 2가지 기능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의 버튼 동작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uttons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n particular, two button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integrate buttons having separate functions (for example, volume up / down and channel up / down). It relates to a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that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two functions.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800㎒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이동전화 시스템의 단말기와 1.8㎓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개인 휴대 통신(PCS) 단말기가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portable terminals include terminals of mobile telephone systems using frequencies of 800 MHz and personal digital communication (PCS) terminals using frequencies of 1.8 GHz.
상기와 같은 단말기의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전장부품이 내장되고, 일측 상단부에는 안테나(11a)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10) 몸체(11)가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 몸체(11)의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서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한 수개의 버튼 입력부(12)가 구성되며, 상기 버튼 입력부(12)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10) 몸체(11)의 하부 양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상기 키패 드부(12)를 개방시키거나 누름조작에 의한 전화번호 입력 및 작동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부(13)가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의 상부측과 키패드부(12) 또는 커버 측에 각각 구비되는 송수화부(14)가 구성되며, 상기 송수화부(14)가 구비된 몸체(11)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전기를 충전시키는 밧데리팩(15)이 이동통신 단말기(10) 몸체(11)의 배면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1, hav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embedded therein,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있어, 버튼 입력부의 구조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관통된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11)을 상부에 끼움돌기(112)가 형성된 몸체(11)가 구비되고, 이 몸체(11)의 관통공(111)에 삽입되어 끼움돌기(112)에 고정되는 지지편(21)이 형성되며, 이 지지편(21)의 하부에 텐션 리브(22)가 형성되고, 이 텐션 리브(22)의 하부에 버튼(23)이 구비되며, 이 버튼(23)의 내부에 접점돌기(24)가 형성된 버튼 입력부(20)가 구성된다.In the
이렇게 구성된 버튼 입력부(20)의 작동과정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23)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23)은 지지편(21)을 중심으로 텐션 리브(22)와 같이 일정각도 회전하여 버튼(23)의 내부에 형성된 접점돌기(24)가 택트 스위치(16)를 가압한다. 이때, 택트 스위치(16)에서 발생된 신호는 인쇄회로기판(17)으로 전달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튼 입력부는, 버튼 입력부의 텐션 리브 설치공간 부족으로 단말기가 소형화로 변화하는데 적용이 어렵고, 두 버튼 사이의 갭(gap)이 적을 때, 금형시 갭의 해당 두께가 얇아 금형 두께 확보시 갭이 커져 디자인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버튼사이의 간격이 가깝기때문에 사용자가 버튼 의 가압시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서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utton input unit as described above is difficult to apply when the terminal changes to miniaturization due to lack of tension rib installation space of the button input unit. When the thickness is secu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is deteriorated due to a large gap,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alfunction occurs by the user pressing two buttons at the same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because the gap between the buttons is clo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 와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고정후크(32)가 형성되고, 내부에 접점돌기(33)가 형성된 버튼(31)을 대향되게 위치시킨 버튼 입력부(3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 버튼 입력부(30)를 몸체(11)의 관통공(111)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버튼 입력부(30)의 고정후크(32)는 관통공(111)의 단부에 걸려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recent years, as shown in Figure 3a, the
이렇게 구성된 버튼 입력부(30)의 작동과정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31)을 가압하면, 버튼(31) 내부에 형성된 접점돌기(33)가 택트 스위치(16)를 가압하며, 가압된 택트 스위치(16)에서 발생된 신호는 인쇄회로기판(17)으로 전달되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그런데 상기와 같은 근래의 버튼 입력부는, 버튼의 둘레에 고정후크를 형성하여 설치공간 부족으로 인한 설치시의 문제점과 금형상 두 버튼사이의 갭이 커져 디자인이 저하되는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버튼의 단부와 택트 스위치간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버튼의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버튼이 2개로 분리되어 부품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버튼사이간의 간격이 가깝기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의 가압시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서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the recent button input unit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hook around the button to solve the problem of installation due to the lack of installation space and the gap between the two buttons on the mold to reduce the design, but the end of the butt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ertai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switch and the button flow occur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rts cost increases by separating the two buttons. There wa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occurs by pressing the buttons at the same time.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2개의 버튼이 일체화된, 버튼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공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여 대립되는 기능을 동작하는 택트 스위치를 가압하게 함과 아울러, 버튼부재의 어느 곳을 가압하더라도 한 쪽 버튼만 동작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부품 비용을 절감시키는 단말기의 버튼 동작구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act switch which operates by opposing functions by rotating around a rota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a button member in which two buttons are integ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a terminal which not only prevents a malfunction from occurring by pressing only one button but also prevents a malfunction by pressing one of the button member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된 신호를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도록 택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버튼이 구비된 단말기에 있어서, 몸체의 관통공 내측에 대향하게 돌출된 회전돌기와; 상기 회전돌기에 삽입되어 동작하는 버튼부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having a button for pressing a tact switch to transmit an input signal to a printed circuit board, the terminal comprising: a rotating protrusion projecting to face an inner side of a through hole of a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button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rotary projection to operat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본 발명은, 입력된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7)에 전달하도록 택트 스위치(16)를 가압하는 버튼이 구비된 단말기(10)에 있어서, 단말기(10) 관통공(111)의 내측에 대향하게 돌출된 회전돌기(4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돌기(40)에 삽입되어 동작하는 버튼부재(5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상기 버튼부재(50)는, 상기 회전돌기(40)가 삽입되는 회전공(52)이 형성된 몸체(51)가 구비되고, 이 몸체(51)의 내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향되게 누름돌기(53)가 구비된다. Th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버튼 동작구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의 관통공(111) 내측에 버튼이 좌.우로 일정각도회전 할 수 있도록 상.하부에 회전돌기(40)를 형성시키고, 버튼부재(50)의 상.하부에 회전공(52)을 관통시킨 후, 상기 회전돌기(40)에 삽입시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킨 다음, 버튼부재(50)의 누름돌기(53)와 동일선상으로 택트 스위치(16)가 부착된 인쇄회로기판(17)을 단말기(10)의 내부에 고정시키면 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5,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
다음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버튼부재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의 업(up)/다운(down)이나 채널의 업(up)/다운(down) 같은 기능을 가진 택트 스위치(16)가 부착된 인쇄회로기판(17)에 신호를 전달하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버튼부재(50)의 누름돌기(53)가 택트 스위치(16)를 가압해야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ember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6, the function of the up (up) / down (down) of the volume or up (down) of the channel (up) In order to implement a function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rinted
따라서, 볼륨의 소리를 높이고자 할 때는, 버튼부재(50)의 일측을 가압한다. 이때, 버튼부재(50)는 회전돌기(40)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일측으로 회전하여 볼륨의 소리를 높이는 기능을 가진 택트 스위치(16)를 누름돌기(53)가 가압함으로서, 택트 스위치(16)의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7)에 전달하여 소리를 높이게 된다.Therefore,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ound, one side of the
다음으로 볼륨의 소리를 줄이고자 할 때는, 버튼부재(50)의 타측을 가압한 다. 이때, 버튼부재(50)는 회전돌기(40)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타측으로 회전하여 볼륨의 소리를 줄이는 기능을 가진 택트 스위치(16')를 누름돌기(53)가 가압함으로서, 택트 스위치(16')의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7)에 전달하여 소리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Next, to reduce the volume of sound, press the other side of the button member (50). 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채널을 변경할 수 도 있는 것이다.
The channel may be changed in the above mann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단말기의 버튼 동작구조는, 2개의 버튼이 일체화된, 버튼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공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여 대립되는 기능을 동작하는 택트 스위치를 가압하게 함과 아울러, 버튼부재의 어느 곳을 가압하더라도 한 쪽 버튼만 동작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부품 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wo buttons to be integrated, and to press the tact switch to operate the function of opposing by rotating around the rotary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tton member. No matter where the member is pressurized, only one button is operated to prevent malfunctions, and the cost of parts is reduced.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07573A KR100698448B1 (en) | 2001-02-15 | 2001-02-15 |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07573A KR100698448B1 (en) | 2001-02-15 | 2001-02-15 |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0067164A KR20020067164A (en) | 2002-08-22 |
| KR100698448B1 true KR100698448B1 (en) | 2007-03-23 |
Family
ID=2769449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100075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8448B1 (en) | 2001-02-15 | 2001-02-15 |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984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05696B1 (en) * | 2004-06-04 | 2011-0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Keypress prevention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87171A (en) * | 1993-09-16 | 1995-03-31 | Mitsubishi Electric Corp | Push button device |
| JP2005197038A (en) * | 2004-01-05 | 2005-07-21 | Hosiden Corp | Switch with fingerprint authentication function |
| KR20060040365A (en) * | 2004-11-05 | 2006-05-10 | 주식회사 팬택 | Integrated side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70002480A (en) * | 2005-06-30 | 2007-01-05 | 주식회사 팬택 | Navigation Key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
| JP2017197038A (en) * | 2016-04-28 | 2017-11-02 | マツダ株式会社 | Seat back structure |
-
2001
- 2001-02-15 KR KR1020010007573A patent/KR1006984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87171A (en) * | 1993-09-16 | 1995-03-31 | Mitsubishi Electric Corp | Push button device |
| JP2005197038A (en) * | 2004-01-05 | 2005-07-21 | Hosiden Corp | Switch with fingerprint authentication function |
| KR20060040365A (en) * | 2004-11-05 | 2006-05-10 | 주식회사 팬택 | Integrated side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70002480A (en) * | 2005-06-30 | 2007-01-05 | 주식회사 팬택 | Navigation Key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
| JP2017197038A (en) * | 2016-04-28 | 2017-11-02 | マツダ株式会社 | Seat back structure |
Non-Patent Citations (4)
| Title |
|---|
| 07087171 |
| 1020060040365 |
| 1020070002480 |
| 17197038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0067164A (en) | 2002-08-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10314B1 (en) | Key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 |
| KR100313144B1 (en) | Watch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 |
| KR100834633B1 (en) | Keypad combination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 |
| US20030153282A1 (en) |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key assemblies | |
| KR100496960B1 (en) | Structure of display apparatus | |
| KR100790105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decoration cover used as key input device | |
| JP2005327715A (en) |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 and discharge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 |
| KR100698448B1 (en) | Button opera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 |
| KR100946531B1 (en) | Side key assembly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 |
| KR20040110827A (en) | Key buttom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 KR100619856B1 (en) | Side keys on handheld terminal | |
| KR100617152B1 (en) | Side button device | |
| KR200162075Y1 (en) | One touch type cellular phone | |
| KR20040009948A (en) | Side key assembly structure of mobile phone | |
| KR100325246B1 (en) | Hing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ing unit in flip-type portable telephone | |
| JPH1141334A (en) | Module structure for key button | |
| KR20090006599A (en) | Side Key Inpu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US20040147233A1 (en) | Power key assembly fro electronic devices | |
| KR200168332Y1 (en) | Flip switch structure of portable radio telephone | |
| KR101085757B1 (en) | Keypad device of mobile terminal | |
| KR200166418Y1 (en) | A sticker having phone dialler | |
| KR101126380B1 (en) |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 KR200402969Y1 (en) |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 JP3701435B2 (en) | Microphone holding structure | |
| KR970000976Y1 (en) | Operating device of radio call knob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3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31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