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654B1 - Power Saving Method Using Receive Diversit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wer Saving Method Using Receive Diversit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8654B1 KR100698654B1 KR1020050000553A KR20050000553A KR100698654B1 KR 100698654 B1 KR100698654 B1 KR 100698654B1 KR 1020050000553 A KR1020050000553 A KR 1020050000553A KR 20050000553 A KR20050000553 A KR 20050000553A KR 100698654 B1 KR100698654 B1 KR 1006986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iver
- power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intens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5—Modular ru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aving techniqu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reception diversity.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전원 절약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수신부와; 제 2 수신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상기 제 1 수신부 및 상기 제 2 수신부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1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 검출부와;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2 수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로드 스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수신하여 해당 전력의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로드 스위치로 제 2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aving method using reception diversity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reception diversity function through two receiving modules, the second receiving unit comprising: processing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pplying the power to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A power supply unit; A power detector which measures and outputs a power intensity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eceiver; A load switch for selectively block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second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Controls the whol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the intensity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detector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receiver to the load switch when the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pow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다이버시티, RF, 수신 신호 강도, 약전계, 강전계Diversity, RF, Received Signal Strength, Weak Field, Strong Fiel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에 필요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quired for a reception diversity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전원 절약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aving process using receive divers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aving techniqu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reception diversity.
다이버시티(Diversity)란 다양성을 의미하며, 통신에서의 의미는 신호가 전달되는 다양한 무선 경로를 뜻한다. 이러한 의미를 가진 다이버시티는 페이딩(Fading)에 의한 전송품질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두 개의 메인과 서브 수신부을 사용하여 다이버시티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단말기의 수신 기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Diversity means diversity, and communication means various radio paths through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Diversity with this meaning is to prevent transmission quality degradation due to fading. Curr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mplements a diversity function by using two main and sub receivers, thereby improving the recep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그러나 종래의 수신 다이버시티 방식은 수신되는 전계의 세기에 관계없이 항상 메인과 서브 수신부 모두를 동작하고 있어, 약전계는 물론 충분한 data의 전송을 보장하는 강전계에서도 서브 수신부을 동작하여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소모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용시간을 줄어들게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eception diversity method operates both the main and sub receivers regardless of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electric field, and operates the sub receiver in the weak field as well as in the strong electric field which ensures sufficient data transmission. Has the disadvantage of consuming. Thi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has the disadvantage of reducing the available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인 수신부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강전계시 전원을 제어하여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방지하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전원 절약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a power saving method using a reception diversity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power in the strong electric field by sens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of the main receiver;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전원 절약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수신부와 제 2 수신부로 구성된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The power saving method using the reception diversit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equipped with a reception diversity function composed of a first receiver and a second receiver.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제 1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수신 세기를 검출하여 저장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수신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제 2 수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eception unit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reception unit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ored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강전계에 속할 경우, 제 1 수신부만을 사용하도록 제어하고, 제 1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약전계에 속할 경우 제 1 수신부와 제 2 수신부 모두를 구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강전계에서 제 2 수신부 동작으로 인한 배터리의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o use only the first receiver wh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eceiver belongs to a strong electric field, and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eceiver When the strength of the weak field belongs to the weak electric field by controlling to drive both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ceiver in the strong field.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에 필요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및 제 1 수신부(191) 및 제 2 수신부(192)로 구성되며, 각각 수신을 위한 안테나 및 공지된 RF 회로를 포함하는 RF 수신부(19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17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제 1 수신부(191) 및 제 2 수신부(192)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80)와, 제 1 수신부(191)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 검출부(200)와,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수신부(192)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로드 스위치(21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전력 검출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수신하여 해당 전력의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로드 스위치(210)로 제 2 수신부 (19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required for a reception diversity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diagram shown. 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공통되는 구성은 키패드(110)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표시부(120)에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구동부(130)와, 메모리(140)와, 오디오 재생부(160)와, 오디오 출력부(150)와 배터리(170)를 포함한다. Common configurations of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 a
키패드(110) 다수의 숫자 키와 문자 키 및 기능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상 액정표시장치인 표시부(120)는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13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그래픽 데이터와 백 라이트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한다. The
제 1 및 제 2 수신부(191, 192)로 구성되는 RF 회로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220)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논리적으로 이들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제어 및 키패드(110)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The baseband circuit of the RF circuit composed of the first and
메모리(140)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영역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기본 정보가 저장되는 롬영역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제어부(220)에 의해 엑세스 제어된다. The
오디오 재생부(160)는 예를 들면, 벨소리 재생을 위한 YAMAHA 칩과 같은 음원 재생 칩 또는 MP3 재생을 위한 DSP 칩으로 구성되며, 벨소리, 효과음 또는 음악파일 재생과 같은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재생하여 오디오 출력부(150)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오디오 재생부(160)로부터 재생된 벨소리 또는 효과음, 음악파일과 같은 다양한 재생음을 제어부(2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증폭 이득 값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한다. The
배터리(170)는 니켈 카드늄, 니켈 수소 등이 충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구매시 함께 제공되는 충전기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가 충전된다. 충전된 배터리(17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단말기를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배터리(17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 1 수신부(191) 및 제 2 수신부(192)의 구동에 적절한 전원으로 처리하여 공급한다. The
전력 검출부(200)는 제 1 수신부(191)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라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MSM에서 인식할 수 있는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력 검출부(200)는 제 1 수신부(191)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를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수신 레벨에 대응하는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로드 스위치(210)는 전원 공급부(180)의 출력단과, 제 2 수신부(192)의 전원 공급단 사이에 연결되는 일종의 RF 스위치로써,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수신부(192)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The
제어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전력 검출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수신하여 해당 전력의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로드 스위치(210)로 제 2 수신부(19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The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RF 수신부(190), 전력 검출부(200), 로드 스위치(210) 및 제어부(22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무선 통신 구성에 있어서, 두 개의 RF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두 개의 RF 수신 모듈인 제 1 수신부(191) 및 제 2 수신부(192)는 각각 RF 수신을 위한 안테나 및 공지된 RF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receive diversity function includes two RF receiving modules in its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e two RF receiving modules, the
우선 대역선택 필터(Band select filter)(191-1, 192-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 중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 증폭시켜 줄 수 있도록 대역통과 필터링을 한다. 저잡음 증폭기(LNA : Low Noise Amplifier)(191-2, 192-2)는 공지중의 잡음이 잔뜩 묻어온 수신 RF 신호를 잡음까지 증폭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증폭 처리한다. First, band select filters 191-1 and 192-1 perform bandpass filtering to amplify only a desired frequency band among RF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Low noise amplifiers (LNA) 191-2 and 192-2 amplify the received RF signal, which is full of known noise, while suppressing amplification to noise.
하향변환 혼합기(RF down mixer)(191-3, 192-3)는 적당히 저잡음 증폭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 대역으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한다. RF 국부발진기(RF local oscillator)(191-4, 192-4)는 높은 주파수의 RF 신호를 IF 주파수로 낮추기 위해 RF down mixer에 주파수 합성을 위한 국부발진기(LO) 주파수를 공급한다. The down conversion mixers 191-3 and 192-3 down convert the moderately low noise amplified RF signals into intermediate frequency (IF) bands. RF local oscillators (191-4, 192-4) supply a local oscillator (LO) frequency for frequency synthesis to the RF down mixer to lower the high frequency RF signal to the IF frequency.
위상고정루프(PLL : Phase Locked Loop)(191-5, 192-5)는 RF LO의 출력주파수가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주파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잡아준다. 즉, 주파수 튜닝 기능을 하는 조절부이다. Phase locked loops (PLL) (191-5, 192-5) hold the output frequency of the RF LO so that it can be fixed at a constant frequency without shaking. That is, it is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the frequency tuning function.
채널선택 필터(Channel select filter)(191-6, 192-6)는 원하는 채널만을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IF 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들은 여러 채널들을 다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IF 증폭기(191-7, 192-7)는 RF단의 LNA만으로는 미약한 수신신호를 충분히 증폭시킬 수 없기 때문에, 신호증폭을 수행한다. Channel select filters 191-6 and 192-6 perform bandpass filtering on only desired channels. This is because signals converted to the IF frequency include several channels. Since the IF amplifiers 191-7 and 192-7 cannot sufficiently amplify the weak received signal only by the LNA of the RF stage, the IF amplifiers 191-7 and 192-7 perform signal amplification.
기저대역 하향변환 혼합기(IF down mixer)(191-8, 192-8)는 IF 단에서 채널선택과 증폭을 마무리하고, 캐리어 주파수를 제거하여 원래 신호가 담긴 주파수 대역인 기저대역(baseband)으로 변환하기 위해 하향변환 믹싱을 한다. IF 국부발진기(191-9, 192-9)는 IF를 baseband로 변환하기 위한 IF down mixer에 LO 주파수를 공급한다. LO 주파수를 고정시키기 위해 IF PLL이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RF 수신부(190)의 구성도는 모든 통신시스템에서 동일하지는 않으며, 기본적인 수신구조에 대한 개념도로 이해하면 충분하다.The baseband IF down mixers 191-8 and 192-8 complete the channel selection and amplification at the IF stage and remove the carrier frequency to convert to the baseband,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original signal is contained. To do this, we perform downconversion mixing. The IF local oscillators 191-9 and 192-9 provide the LO frequency to the IF down mixer for converting IF to baseband. An IF PLL may additionally be used to lock the LO frequency.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전력 검출부(200)는 제 1 수신부(191)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라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MSM에서 인식할 수 있는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력 검출부(200)는 제 1 수신부(191)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를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수신 레벨에 대응하는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로드 스위치(210)는 전원 공급부(180)의 출력단과, 제 2 수신부(192)의 전원 공급단 사이에 연결되는 일종의 RF 스위치로써,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수신부(192)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The
전력 검출부(200)로부터 수신 세기에 따른 DC 전압 값이 출력되면, 제어부(220)는 DC 전압 값을 수신하여 해당 전압이 기준 수신 세기에 따라 산출된 전압 값과 비교한다. When the DC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reception intensity is output from the
비교 결과 전력 검출부(200)로부터 출력된 전압 값이 기준 전압 값보다 더 작을 경우 제어부(220)는 제 1 수신부(1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약전계로 판단하고, 수신 신호의 감도 향상을 위해 제 2 수신부(192)가 구동하도록 로드 스위치(2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로드 스위치(21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 2 수신부(192)로 공급하여 제 2 수신부(192)를 구동하게 한다. 따라서, 신호의 수신 세기가 미약한 약전계일 경우 보다 우수한 신호의 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또한, 제어부(220)의 비교 결과 전력 검출부(200)로부터 출력된 전압 값이 기준 값보다 더 클 경우 제어부(220)는 제 1 수신부(1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강전계로 판단하고, 제 2 수신부(192)에 의해 소모되는 전원 절약을 위해 제 2 수신부(192)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로드 스위치(2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로드 스위치(21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제 2 수신부(192)의 구동을 중지하게 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방지한다. In addition, when the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전원 절약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 른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전원 절약 방법은 우선 제어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들(Idle) 즉, 수신 대기 상태에서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 1 수신부(191)와 제 2 수신부(192)를 활성화시킨다(S101).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국과의 통신 가능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슬롯 모드에 의해 주기적으로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되어 있다. 활성화된 제 1 수신부(191)에 의해 RF 신호가 수신되면, 전력 검출부(200)는 제 1 수신부(19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세기를 샘플링하여 그 레벨에 따라 제어부(220)에서 인식할 수 있는 DC 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20)로 출력함으로써, 제 1 수신부(191)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를 검출한다(S102).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aving process using receive divers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ower saving method using the reception diver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제어부(220)는 전력 검출부(200)로부터 검출되어 전송되는 신호 수신 세기에 따른 DC 전압 값을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고(S103),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부(220)는 제 1 수신부(1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강전계로 판단하고, 제 2 수신부(192)에 의해 소모되는 전원 절약을 위해 제 2 수신부(192)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로드 스위치(2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로드 스위치(21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제 2 수신부(192)의 구동을 중지하게 한다(S104). The
비교 결과 기준값 이하이면, 비교 결과 전력 검출부(200)로부터 출력된 전압 값이 기준 전압 값보다 더 작을 경우 제어부(220)는 제 1 수신부(1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약전계로 판단하고, 수신 신호의 감도 향상을 위해 제 2 수신부(192)의 활성화가 계속 유지되도록 로드 스위치(2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로드 스 위치(21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 2 수신부(192)로 공급하여 제 2 수신부(192)의 활성화를 유지시킨다(S105). 또한, 제어부(220)는 제 1 수신부(1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소정 주기마다 감지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S106).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따라서, 신호의 수신 세기가 미약한 약전계일 경우 RF 수신부(190)의 제 1 및 제 2 수신부(191, 192)를 모두 활성화시킴으로써, 보다 우수한 신호의 수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신호의 수신 세기가 강전계일 경우 제 1 수신부(191)만을 활성화 시켜 제 2 수신부(192) 구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방지한다. Therefore, when the weak reception field of the signal is weak, by activating both the first a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를 검출하여 강전계에서는 제 1 수신부만을 활성화시키고, 약전계에서는 제 1 수신부 및 제 2 수신부 모두 활성화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receiver, and activates only the first receiver in the strong electric field, and activates both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in the weak field. By controlling the recep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battery power consumption.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00553A KR100698654B1 (en) | 2005-01-04 | 2005-01-04 | Power Saving Method Using Receive Diversit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00553A KR100698654B1 (en) | 2005-01-04 | 2005-01-04 | Power Saving Method Using Receive Diversit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80281A KR20060080281A (en) | 2006-07-10 |
| KR100698654B1 true KR100698654B1 (en) | 2007-03-23 |
Family
ID=3717166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005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8654B1 (en) | 2005-01-04 | 2005-01-04 | Power Saving Method Using Receive Diversit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986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103712A (en) * | 2005-03-28 | 2006-10-04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terminal power control method implemented with reception diversity functio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52132A (en) | 1983-09-01 | 1985-03-25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Diversity reception system in mobile station |
| JPH0265533A (en) * | 1988-08-31 | 1990-03-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diversity receiver |
| JPH07123037A (en) * | 1993-10-28 | 1995-05-12 | Fujitsu Ltd | Diversity receiver |
| JP2003101475A (en) | 2001-09-26 | 2003-04-04 | Kyocera Corp | Mobile terminals and base stations |
| KR20050005536A (en) * | 2002-06-04 | 2005-01-13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Method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an input device |
-
2005
- 2005-01-04 KR KR1020050000553A patent/KR1006986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52132A (en) | 1983-09-01 | 1985-03-25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Diversity reception system in mobile station |
| JPH0265533A (en) * | 1988-08-31 | 1990-03-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diversity receiver |
| JPH07123037A (en) * | 1993-10-28 | 1995-05-12 | Fujitsu Ltd | Diversity receiver |
| JP2003101475A (en) | 2001-09-26 | 2003-04-04 | Kyocera Corp | Mobile terminals and base stations |
| KR20050005536A (en) * | 2002-06-04 | 2005-01-13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Method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an input device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1020050000553 - 685777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80281A (en) | 2006-07-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373907B1 (en) | Wireless terminal device | |
| JPH11187463A (en) | Mobile radio receiver | |
| US7991371B2 (en) | Automatic gain control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
| JP2005295348A (en) | Receiving machine | |
| KR19990007380A (en) | Power saving device | |
| KR100735326B1 (en) | Low Power Wireless Transceiver with Subsampling Structure | |
| KR100698654B1 (en) | Power Saving Method Using Receive Diversit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
| US20030203722A1 (en) |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radio receiver | |
| US2014037806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figuring a two-way radio device to operate in a control station mode or a non-control station mode | |
| JPH11298348A (en) | Receiver | |
| KR100455999B1 (en) | Method for dispalying partial information in mobile phone for power saving | |
| KR20060064359A (en) |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 JP2005341366A (en) | Mobile phone terminal | |
| JP2944180B2 (en) |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 |
| JP4108585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
| JP2002033673A (en) | Mobile radio communication receiver | |
| KR101075589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ble to receive Radio broadcasting | |
| JPH1093489A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diversity receiving method | |
| WO199501015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the battery life in cordless telephones | |
| JPH06350477A (en) | 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 |
| KR100626527B1 (en) | Method of Saving Gain State of Received Sign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Electric Field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 JP3425970B2 (en) | Small radio | |
| KR20000040558A (en) | Method for receiving radio broadcasting in portable phone inserting radio receiver | |
| JPH08307302A (en) | Bias changing circuit | |
| KR013115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of wireless telepho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3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31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