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4448B1 - Fitness equipment - Google Patents

Fitness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448B1
KR100704448B1 KR1020060068227A KR20060068227A KR100704448B1 KR 100704448 B1 KR100704448 B1 KR 100704448B1 KR 1020060068227 A KR1020060068227 A KR 1020060068227A KR 20060068227 A KR20060068227 A KR 20060068227A KR 100704448 B1 KR100704448 B1 KR 10070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pper frame
weight
exercis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102006006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4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44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받침부가 형성되어 일정거리 이격된 두개의 기둥프레임과, 상기 두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하측에 결합되어 근력 운동을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중량추를 안착시키는 하단 프레임과, 상기 두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중량추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봉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수직 또는 일정 각도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태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중량추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는 로울러를 거쳐 하향으로 늘어뜨려진 로프와, 상기 로프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각도를 고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for mounting on the ground, two pillar frames spaced apart a certain distance, and seated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to provide a weight for providing a load for strength training A lower frame, an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end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one or more insertion rods coupl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coupled to allow the weight addition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and the upper frame One or more pivot members hinged to pivot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y are coupled vertically or at an angle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a rope that is hung downwardly through a roller connected to the weight 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pivot member. When fix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dle and the rotating member, the rotating member The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운동기구, 높이 조절, 회동부재, 중량추, 로프 Exercise equipment, height adjustment, rotating member, weight, rope

Description

운동기구 {Sporting equipment}Fitness Equipment {Sport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손잡이를 상향 조정할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case of adjusting the handle of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war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손잡이를 하향 조정할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case of adjusting the handle down of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기둥 프레임 102 : 받침부100: pillar frame 102: support

110 : 삽입봉 120 : 중량추110: insertion rod 120: weight

130 : 상단 프레임 132 : 가이드 홀130: top frame 132: guide hole

140 : 하단 프레임 150 : 로프140: lower frame 150: rope

152 : 손잡이 160 : 로울러152: handle 160: roller

200 : 회동부재 210 : 제 1 힌지부200: rotating member 210: first hinge portion

220 : 제 2 힌지부 222 : 가이드 봉220: second hinge portion 222: guide rod

230 : 제 3 힌지부 240 : 고정부230: third hinge portion 240: fixed portion

242 : 조정편 243 : 관통공242: adjusting piece 243: through hole

244 : 고정 볼트 300 : 발판244 fixing bolt 300 scaffold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아래로 잡아 당겨 이 손잡이를 연결하는 로프에 연결된 중량추를 들어올림으로써 근력운동을 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ercise device that can perform strength training by pulling down the handle to lift the weight connected to the rope connecting the handle.

일반적으로 헬스클럽과 같은 실내에서 사용하는 운동기구는 체중 조절 및 심폐 기능 상향 등을 위한 유산소 운동기구와, 근력 단련 및 체형 교정 등을 위한 근력운동기구 등 사용자의 요구와 특성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In general, exercise equipment used indoors such as health clubs are developed in various forms to mee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such as aerobic exercise equipment for weight control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enhancement, and muscle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 training and body correction. It is.

이 중에서도 특히 역기, 벤치 프레스 등 직접 중량체를 들어올려 근력운동을 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있고,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기구적인 구성에 따라 간접적으로 중량체는 들어올려 사용자의 허벅지나 허리 또는 어깨 등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도록 변형된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왔다.Among these, there are exercise devices that can exercise strength by lifting weights directly, such as weights and bench presses, and indirectly by lifting weights according to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using this principle, the user's thigh, waist or shoulder Various types of exercis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modify the back muscles effectively.

상기와 같이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 간접적으로 중량체를 들어올려 근력을 강화시키는 기구 중 로프 일단에 연결된 중량체를 로프 타단에 연결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향에서 하향으로 잡아당겨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기구가 공 지된 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An exercise configured to pull the weigh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indirectly by lifting the weight indirectly by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to pull the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from the top to the bottom using the hand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perform the upper body exercise. As the mechanism is known, the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우선, 상향에서 하향으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근력운동을 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수시로 높이를 조절해야 하나 이를 위한 조작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First, since it has a structure that can perform the strength exercise by pulling from the upward to downward, the height must be adjusted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for this is complicated.

이에 따라, 신장이 작은 사용자는 적절한 조작을 하지 못할 경우 손잡이를 잡지 못하게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손잡이를 잡게 되더라도 적정 높이 이상에서 손잡이를 잡아당겨야 하므로 운동량이 과다하게 되어 근육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신장이 큰 사용자는 운동기구에서 일정거리 앞으로 떨어져 손잡이를 잡고 근력운동을 할 수는 있으나 비좁은 공간에 설치될 경우 이마저도 어렵게 되거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다른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으며 바른 자세로 하는 운동이 아니므로 자칫 근육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a user with a small height may not be able to use the handle because the handle may not be properly used, or the handle may be excessively damaged due to an excessive amount of exercise because the handle may need to be pulled at an appropriate height even when the handle is held. In addition, a user who is tall can hold strength by holding the handle away from the exercise equipment at a certain distance, but if it is installed in a narrow space, it may be difficult or occupy a lot of spac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other users. Because it is not a posture exerci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damage the muscles.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configured to be u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with a simple oper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지면에 거치시키 기 위한 받침부가 형성되어 일정거리 이격된 두개의 기둥프레임과, 상기 두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하측에 결합되어 근력 운동을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중량추를 안착시키는 하단 프레임과, 상기 두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중량추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봉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수직 또는 일정 각도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태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중량추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는 로울러를 거쳐 하향으로 늘어뜨려진 로프와, 상기 로프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각도를 고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with a support for mounting on the ground and two pillar frames spaced apart a certain distance, coupled to the lower side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for strength training A lower frame for seating a weight providing a load, an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end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and an upper frame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allow the weight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inserting rod, at least one rotating member hinged to be pivoted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is vertically or at an angle intersecting with the upper frame, and a roll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eight and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A rope hanged downward through the handle, a handle coupled to the rope, and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mber for fixing the pivoting angle portion.

또한, 상기 상단 프레임은 일부분이 관통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가 상기 가이드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로울러를 거쳐 하향으로 늘어뜨려지며,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상단 프레임의 일측에 편심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is formed with a guide hole through which a portion is passed, and the rope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d hangs downward through the roller, and the rotating member is eccentric to one side of the upper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bined.

아울러,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로울러 결합측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의 타단에서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봉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과 결합되는 조정편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adjusting part is formed with a guide rod hinged at the other 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oller coupling side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rod is inserted is formed to adjus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guide rod, and It has a fixed portion including an adjusting piece to be coupled.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공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봉을 구속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bolt coupled to the retractable inside the through hole to restrain the guide r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igur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손잡이를 상향 조정할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손잡이를 하향 조정할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case of adjusting the handle of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esent invention Side view showing a case of adjus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L자형 받침부(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거리 이격된 두개의 기둥프레임과, 상기 두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하측에 결합되어 근력 운동을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중량추(120)를 안착시키는 하단 프레임(140)과, 상기 두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상단에 얹혀져 결합되는 상단 프레임(130)과, 상기 상단 프레임(130)과 하단 프레임(140)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중량추(120)가 끼워지는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봉(110)과, 상기 상단 프레임(130)과 수직 또는 일정 각도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태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200)와, 일단이 상기 중량추(120)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200)에 결합되는 로울러(160)를 거쳐 하향으로 늘어뜨려진 로프(150)와, 상기 로프(15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아래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 비되는 손잡이(152)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L-shaped support portion 102 for mounting on the ground integrally two pillar frames spaced a certain distance, the lower side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A lower frame 140 coupled to the lower frame 140 for providing a weight for strength exercise, and an upper frame 130 mounted on and coupled to an upper end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and the upper frame 130. And one or more insertion rods 110 coupled to connect between the lower frame 140 and the sliding frame 120 so as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weight 120 is fitted, and perpendicular to the upper frame 130. Or one or more pivoting members 200 hinged to pivot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y are coup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t an angle,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eight 120 and coupled to the pivoting member 200. Rope 150 hung downward through the roller 160, which is coupled to the rope 150 and provided to the user to pull down, and the rot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ember 200.

도1 상에서 상기 기둥 프레임(100)은 두개의 L자형 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이와 같은 기둥 프레임(100) 두개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단 프레임(140)과 상단 프레임(13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이러한 L자형 기둥 프레임(100)은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중량추(120)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의 운동기구에서처럼 하중의 크기를 달리하기 위해 다수개를 적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the pillar frame 100 is coupled to form two L-shaped members facing each other such that the two pillar frames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the lower frame 140 and the upper frame 130. Although depicted as engaging, this L-shaped pillar frame 100 is merely illustrative of one embodiment and does not specify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weight 120 may be stacked a plurality of in order to vary the size of the load as in the known general type of exercise equipment.

상기 상단 프레임(130)은 상기 중량추(120)가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일부분이 관통되는 가이드 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150)가 상기 가이드 홀(13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로울러(160)를 거쳐 하향으로 늘어뜨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upper frame 130 is formed with a guide hole 132 through which a portion penetrates so that the weight 120 can be stably lif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ope 150 is inside the guide hole 132. It is preferable to be inserted into the hanger downward through the roller 160.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동부재(200)의 로울러(160) 결합측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의 타단에서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 봉(222)과, 상기 가이드 봉(222)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관통공(243)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봉(222)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100)과 힌지 결합되는 조정편(242)을 포함하는 고정부(24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40)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243)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봉(222)을 구속하는 고정볼트(244)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상기 가이드 봉(222)을 상기 관통공(243) 내에서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다시 해체할 수 있는 실시 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The adjusting part includes a guide rod 222 hinged to the other 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one end of the roller 160 coupling side of the rotation member 200, and a through hole 243 in which the guide rod 222 is inserted and guided. Is formed to adjust the moving distance of the guide rod 222, and has a fixing part 240 including an adjusting piece 242 hinged to the pillar frame 100. Here, the fixing part 240 is specifically applied to the fixing bolt 244 coupled to the retractable inside the through hole (243) to restrain the guide rod 222, in addition to the guide rod 222 It includes all practicable means for fixing in the through hole 243 or for disassembling the fixing again.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회동부재(200)는 상기 상단 프레임(130)에 수직 방향으로 하나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손잡이(152)는 하나만 구비될 것이므로 이때, 사용자는 한손으로만 상기 중량추(120)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도 있고 또는, 양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152)를 구비할 경우 두손으로 아래로 잡아당겨 상기 중량추(120)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pivot member 2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frame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onfiguration, only one handle 152 will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user may exercise to lift the weight 120 with only one hand, or when the handle 152 can be pulled with both hands. By pulling down with both hands it is possible to exercise to lift the weight (1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회동부재(200)는, 상기 상단 프레임(130)에 일정각도 교차되는 상태로 손잡이(152)가 구비되는 일단과 반대측인 타단이 한 점에서 모이도록 V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기둥 프레임(100)을 상기 상단 프레임(130)과 상기 하단 프레임(140) 중심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V자 형태인 회동부재(200)의 꼭지점에 상기 조절부를 하나만 구비하여도 된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member 200 has one end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provided with the handle 152 in a state intersecting the upper frame 130 by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combined in a V-shape to gather at. In such a configuration, the pillar frame 100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130 and the lower frame 140 so that only one adjustment unit may be provided at a vertex of the V-shaped pivot member 200. Can hav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이에 따라 손잡이(1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2 to 4,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152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eight.

도 2는 일반적인 보통의 신장을 가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초기 셋팅된 형태를 보여준다.Figure 2 shows a form initially set to a height enough to be used by a user with a normal normal height.

상기 회동부재(200)와 상기 상단 프레임(130)은 상호간에 형성된 제 1 힌지부(210)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상태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회동부재(200)의 타단과 상기 가이드봉의 일단에는 상호간에 형성된 제 2 힌지부(220)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222)이 슬라이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240)는 상기 기둥 프레임(100)의 어느 한 부분에서 제 3 힌지부(230)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힌지부(210, 220, 230)는 상기 가이드 봉(222)이 고정부(240)에 의해 구속될 경우 회동이 구속받게 되어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제 3 힌지부는 실질적으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200)의 회동 각도를 고정시키는 조절부의 구성은 이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200 and the upper frame 130 can be rotated up and down in the state of seesaw movement by the first hinge portion 210 formed between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200 and the guide One end of the rod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second hinge parts 220 form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xing part 240 provided so that the guide rods 222 can be slid and fixed may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by the third hinge part 230 in any part of the pillar frame 100. . The first to third hinge parts 210, 220, and 230 are fixed by rotation when the guide rod 222 is constrained by the fixing part 240. In addition, it does not matter even if a 3rd hinge part is not provided substantially. As such,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ing unit for fix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ember 200 may be various other methods.

도 3은 신장이 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봉(222)을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신장이 작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봉(222)을 상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3 shows the fixed state by sliding the guide rod 222 downward so that it can be used by a user with a large elongation, Figure 4 show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uide rod 222 upward to be used by a user with a small elongation The fixed state is shown.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 만일 손잡이(152)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상기 가이드 봉(222)의 구속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 봉(222)이 고정부(24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회동부재(200)가 하향으로 갑작스럽게 회동되어 사용자를 다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봉(222)의 슬라이딩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owever, in such a structure, if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152 or the restraint state of the guide rod 222 becomes poor and the guide rod 222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240, the pivot member 200. ) May be suddenly rotated downward to injure the user,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stop means for limiting the sliding movement range of the guide rod 222.

도 4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Figure 4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

도 4에 도시된 운동기구는 회동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면서도, 상기 회동부재(200)의 회동 각도를 고정시키는 조절부를 하나만 구비할 수 있도록 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나의 상기 회동부재(200)는 상기 상단 프레임(130)의 일측에 편심되는 상태로 결합된다.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4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adjusting unit for fix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ember 200 while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ota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eccentric state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130.

이와 같이 회동부재(200)의 결합위치가 상단 프레임(130)으로부터 편심된 이유는 받침부 하단에 구비된 발판(300)을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운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손잡이(152)의 위치를 적정 위치보다 약간 높게 할 경우, 손잡이(152)에 손이 닿지 않으므로 이때, 발판(300)을 디디고 올라서서 손잡이(152)를 잡고 아래로 내려와 운동을 하면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키에 맞게 기구를 설정하면 팔을 들어올렸을 때 중량추(120)가 장치 바닥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발판(300)을 구비하여 좀더 높은 위치에서 손잡이(152)를 잡을 수 있도록 하면 중량추(120)가 장치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rotation member 200 is eccentric from the upper frame 130 is to utilize the footrest 30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handle 152 to increase the amount of exercise by the user. When slightly higher than the proper position, the handle 152 does not reach the hand, at this time, stepping up the footrest 300, grab the handle 152 and down to exercise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In addition, when the mechanism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he weight 120 may hit the bottom of the device when the arm is raised, and thus noise may be generated. Thus, the footrest 300 is provided to hold the handle 152 at a higher position. The weight 120 can prevent the noise generated by hitting the device.

또한, 이와 같이 편심된 위치에서 회동부재(200)가 설치될 경우는 제 1 힌지부(210)에 상기 로프를 안내하는 로울러(160)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되어야 편심된 위치에서 중량추를 무게의 편차없이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eccentric position as described above, a roller 160 for guiding the rope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first hinge portion 210 so that the weight is different from the weight in the eccentric position. It can be lifted withou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xample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여러 사용자가 자신의 특징에 맞는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user by a simple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number of users can do strength exercise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Claims (5)

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받침부(102)가 형성되어 일정거리 이격된 두개의 기둥프레임과,Two pillar frames spaced a certain distance by forming a support portion 102 for mounting on the ground, 상기 두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하측에 결합되어 근력 운동을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중량추(120)를 안착시키는 하단 프레임(140)과,A lower frame 140 coupled to the lower side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to seat the weight 120 to provide a load for strength exercise; 상기 두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프레임(130)과,An upper frame 130 coupled to an upper end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상기 상단 프레임(130)과 하단 프레임(14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중량추(12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봉(110)과,One or more insertion rods 110 coupled between the upper frame 130 and the lower frame 140 so that the weights 120 are slidably moved upward and downward; 상기 상단 프레임(130)과 수직 또는 일정 각도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200)와,At least one pivot member 200 hinged to be pivoted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130 is vertically or at an angle intersecting with the upper frame 130; 일단이 상기 중량추(120)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200)에 결합되는 로울러(160)를 거쳐 하향으로 늘어뜨려진 로프(150)와,A rope 15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downwardly through the roller 160 coupled to the weight 120 and coupled to the pivot member 200; 상기 로프(150)에 결합되는 손잡이(152)와,A handle 152 coupled to the rope 150, 상기 회동부재(200)의 회동 각도를 고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justment unit for fix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ember (200).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단 프레임(130)은,The upper frame 130, 일부분이 관통되는 가이드 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150)가 상기 가이드 홀(13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로울러(160)를 거쳐 하향으로 늘어뜨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A guide hole (132) through which a portion thereof is formed, and the rope (1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3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 through the roller (160) dow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회동부재(200)는 상기 상단 프레임(130)의 일측에 편심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The rotating member 200 is a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eccentric state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13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조절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회동부재(200)의 로울러(160) 결합측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의 타단에서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 봉(222)과,A guide rod 222 which is hinged at the other 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one end of the roller 160 engaging side of the rotation member 200, 상기 가이드 봉(222)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관통공(243)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봉(222)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조정편(242)을 포함하는 고정부(2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The guide rod 22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243 is formed to adjust the moving distance of the guide rod 222, and includes an adjusting piece 242 coupled to the pillar frame 100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overnment (240).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고정부(240)는,The fixing part 240, 상기 관통공(243)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봉(222)을 구속하는 고정볼트(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bolt 244 coupled to the retractable inside the through hole (243) to restrain the guide rod (222).
KR1020060068227A 2006-07-20 2006-07-20 Fitness equipment Expired - Fee Related KR100704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27A KR100704448B1 (en) 2006-07-20 2006-07-20 Fitness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27A KR100704448B1 (en) 2006-07-20 2006-07-20 Fitness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448B1 true KR100704448B1 (en) 2007-04-09

Family

ID=3816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2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4448B1 (en) 2006-07-20 2006-07-20 Fitness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44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9236A3 (en) * 2010-03-25 2012-01-19 Graa Innovations, Llc Shoulder plex apparatus and method
KR101133724B1 (en) 2011-08-29 2012-04-09 원종애 A rope health machine of magnet type
KR101518197B1 (en) * 2015-02-09 2015-05-15 서정근 weight training device
WO2021075637A1 (en) * 2019-10-15 2021-04-22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Full body workout equipment using elastic ban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826A (en) * 1996-05-01 1997-11-18 Senoo Kk Muscle training apparatus
US20030032530A1 (en) 2000-03-06 2003-02-13 Scott Sechrest Fuctional trainer
KR200305529Y1 (en) 2002-10-31 2003-03-03 변현정 A weight train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826A (en) * 1996-05-01 1997-11-18 Senoo Kk Muscle training apparatus
US20030032530A1 (en) 2000-03-06 2003-02-13 Scott Sechrest Fuctional trainer
KR200305529Y1 (en) 2002-10-31 2003-03-03 변현정 A weight training machi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9236A3 (en) * 2010-03-25 2012-01-19 Graa Innovations, Llc Shoulder plex apparatus and method
KR101133724B1 (en) 2011-08-29 2012-04-09 원종애 A rope health machine of magnet type
KR101518197B1 (en) * 2015-02-09 2015-05-15 서정근 weight training device
WO2021075637A1 (en) * 2019-10-15 2021-04-22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Full body workout equipment using elastic bands
KR20210044379A (en) * 2019-10-15 2021-04-23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Body exercise apparatus using elastic band
KR102254963B1 (en) * 2019-10-15 2021-05-24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Body exercise apparatus using elastic b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0179A (en) Multi-station exercising apparatus
KR101518197B1 (en) weight training device
CA2711120C (en) Exercise apparatus
US5378209A (en) Apparatus for exercising arms and legs vertically
WO2001019460A2 (en) Squat exercise apparatus
KR101904909B1 (en) Fitness equipment with weights
KR100704448B1 (en) Fitness equipment
CN210963751U (en) A sit-up fitness equipment that fits the waist and back
KR101600627B1 (en) Stretching and muscle strengthening implement using elastic band
CN104606849B (en) multifunctional fitness chair
KR20180050032A (en) Health equipment for upper body handle control device
KR100868718B1 (en) Inclined motion load control device
KR200494892Y1 (en) complex exercise equipment for pilates
CN111729247B (en) A split type fitness equipment
KR102340922B1 (en) weight exercise equipment
CN212067599U (en) Sit-up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device
KR200463831Y1 (en) Health equipment for upper body handle control device
KR101064309B1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CN112843621A (en) Stretching exercise device for arm training
KR200374873Y1 (en) Total health machine
US12311217B2 (en) Squat machine
KR200334046Y1 (en) Exerciser for legs
KR200439260Y1 (en) Comprehensive Health Fitness
KR200379517Y1 (en) shoulder press
CN219091016U (en) Rotation adjusting structure of outdoor body-build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4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4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