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0594B1 -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594B1
KR100700594B1 KR1020050098843A KR20050098843A KR100700594B1 KR 100700594 B1 KR100700594 B1 KR 100700594B1 KR 1020050098843 A KR1020050098843 A KR 1020050098843A KR 20050098843 A KR20050098843 A KR 20050098843A KR 100700594 B1 KR100700594 B1 KR 10070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high frequency
frequency signal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5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38Special circuits to enhance selectivity of receiv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때(예를 들어, 수화 상태일 때),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낮춤으로써, 티디엠에이(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는,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값을 가변하고, 상기 가변된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 값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F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GSM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고주파 발생원 120: 전력 증폭 모듈
130: 커플러 140: 안테나 스위치
150: 모바일 스위치 160: 안테나
170: 제어기 180: 감시부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은,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방식으로 운영하여, 다수 가입자(Subscriber) 또는 이동 단말기가 동시에 해당 채널을 점유하여 이동하면서 통신하도록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으로, 유럽 지역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표준 방식이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와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통신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이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방사(Radiation)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의미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GSM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GSM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100)는, 안테나(60)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는 고주파 발생원(10)과; 상기 고주파 발생원(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 모듈(Power Amplifier Module; PAM)(20)과; 상기 전력 증폭 모듈(20)에 의해 증폭된 전력을 검출하는 커플러(Coupler)(30)와; 상기 안테나(60)(ANT)를 통해 방사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기준 전력 값을 발생하고, 상기 기준 전력 값과 상기 커플러(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차이 값을 상기 전력 증폭 모듈(30)에 인가하는 제어기(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증폭 모듈(PAM)(20)은 상기 차이 값을 근거로 상기 고주파 발생원(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전력 증폭 모듈(PAM)(20)은 상기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발생원(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상기 커플러(Coupler)(30)는 상기 전력 증폭 모듈(2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 스위치(40)에 인가한다.
상기 안테나 스위치(40)는 상기 커플러(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예를 들면, TX Signal) 또는 안테나(6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예를 들면, RX Signal)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고주파 신호를 모바일 스위치(50)에 인가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치(50)는 상기 안테나 스위치(40)에 의해 선택된 고주파 신 호를 상기 안테나(60)(ANT)에 인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주파 발생원(10)은 데이터 신호(음성 통화를 위한 데이터 신호 또는 비음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 모듈(20)에 인가한다.
상기 전력 증폭 모듈(20)은 상기 고주파 발생원(10)로부터 인가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전력의 고주파 신호를 상기 커플러(30)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증폭률은 상기 제어기(70)로부터 인가되는 차이 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상기 소정의 증폭률이란, 상기 전력 증폭 모듈(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상기 기준 전력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고주파 발생원(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커플러(30)는 상기 전력 증폭 모듈(2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상기 제어기(70) 및 상기 안테나 스위치(40)에 인가한다.
상기 안테나 스위치(40)는 상기 제어기(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플러(30)로부터 인가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모바일 스위치(50)에 인가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치(50)는 상기 안테나 스위치(4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상기 안테나(60)(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무선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안테나(60)를 통해 방사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전력 값을 발생하고, 상기 기준 전력 값과 상기 커플러 (3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차이 값을 자동 전력 제어(Auto Power Control, APC) 신호로서 상기 전력 증폭 모듈(PAM)(20)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력 값은, 상기 제어기(70)에 미리 설정된 값이며, 상기 전력 증폭 모듈(20)은 상기 기준 전력 값에 대응하는 전력을 발생한다.
이후, 상기 전력 증폭 모듈(PAM)(20)은 상기 차이 값을 근거로 상기 커플러(30)에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이 상기 기준 전력 값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고주파 발생원(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의 증폭률을 제어한다.
현재 GSM 단말기는 3GPP 스펙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의 레벨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3GPP 스펙에 규제된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의 오차 허용률(tolerance)은 정상적인 경우(normal) ±3dB ~ ±5dB 정도이고, 최대 ±4dB ~ ±6dB 정도로, 상당히 크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기준 전력 값에 대응하는 전력을 고정적으로 발생함으로써 티디엠에이(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노이즈가 크고,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기준 전력 값(예를 들면, 33dBm) 보다 낮은 전력(예를 들면, 32dBm)으로도 우수한 통신 감도 및 통화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기준 전력 값에 대응하는 전력을 고정되게 발생함으로써 1dBm(33dBm-32dBm=1dBm)에 해당하는 티디엠에이(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노이즈가 발생하고, 배터 리의 사용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TDMA 노이즈란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송화 상태일 때)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서 생기는 217Hz의 잡음이 수신음에 들리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통화 품질은 수화 성능에 의해서 좌우되는데, TDMA 노이즈가 수화 성능에 크게 악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고,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TDMA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는,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력 값을 가변하고, 상기 가변된 제1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 값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는,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 모듈과; 상기 전력 증폭 모듈에 의해 증폭된 전력을 검출하는 커플러(Coupler)와;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을 증폭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전력 값을 가변하고, 상기 가변된 제 1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률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전력 값을 가변하는 단계와; 상기 가변된 제 1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수신하는 상태일 때,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감소된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송신하는 상태일 때, 상기 기준 전력 값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된 기준 전력 값에 따 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고,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TDMA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을 이용한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력이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200)는, 단말기의 안테나(160)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는 고주파 발생원(110)과; 상기 고주파 발생원(1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 모듈(Power Amplifier Module; PAM)(120)과;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에 의해 증폭된 전력을 검출하는 커플러(Coupler)(130)와;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감시부(180)와;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160)를 통해 방사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또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값을 가변하고, 상기 가변된 기준 전력 값과 상기 커플러(1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차이 값을 상기 전력 증폭 모듈(130)에 인가하는 제어기(170)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 증폭 모듈(PAM)(120)은 상기 차이 값을 근거로 상기 고주파 발생원(1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전력 증폭 모듈(PAM, Power Amplifier Module)(120)은 상기 기변된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발생원(1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은, 상기 커플러(1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이 상기 가변된 기준 전력 값보다 크면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고, 상기 커플러(1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이 상기 가변된 기준 전력 값보다 작으면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킨다.
상기 커플러(Coupler)(130)는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 스위치(140)에 인가한다.
상기 안테나 스위치(140)는 상기 커플러(1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예를 들면, TX Signal) 또는 안테나(16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예를 들면, RX Signal)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고주파 신호를 모바일 스위치(150)에 인가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치(150)는 상기 안테나 스위치(140)에 의해 선택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안테나(160)(ANT)에 인가한다.
이하에서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을 이용한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을 이용한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고주파 발생원(110)은 안테나(160)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에 인가한다(S11).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은 상기 고주파 발생원(110)으로부터 인가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전력의 고주파 신호를 상기 커플러(130)에 인가한다(S12). 여기서, 상기 소정의 증폭률은 상기 제어기(170)로부터 인가되는 차이 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상기 소정의 증폭률이란,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상기 가변된 기준 전력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고주파 발생원(1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커플러(130)는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상기 제어기(170) 및 상기 안테나 스위치(140)에 인가한다.
상기 안테나 스위치(140)는 상기 제어기(1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플러(130)로부터 인가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모바일 스위치(150)에 인가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치(150)는 상기 안테나 스위치(14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상기 안테나(160)(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무선 전송한다.
상기 감시부(180)는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고, 그 감시 결과를 상기 제어기(170)에 출력한다(S13).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송신 또는 수신하는 데이터는 음성 통화를 위한 데이터 또는 비음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값을 가변하고, 상기 가변된 기준 전력 값과 상기 커플러(1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차이 값을 자동 전력 제어(Auto Power Control, APC) 신호로서 상기 전력 증폭 모듈(130)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력 값은 상기 제어기(170)에 미리 설정된 값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가 수신 상태일 때,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값(예를 들면, 33dBm)을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면, 1dBm)만큼 감소시킨다(S16). 반면,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가 송신 상태일 때,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값(예를 들면, 33dBm)을 그대로 유지한다(S15).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1dBm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단말기의 기준 전력 값에 따른 오차 허용률(tolerance)한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력 증폭 모듈(PAM)(120)은 상기 감소시키는 미리 설정된 값을 근거로 상기 커플러(130)에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이 상기 가변된 기준 전력 값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고주파 발생원(1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전력의 증폭률을 제어한다(S17). 예를 들면,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은, 상기 차이 값을 보상함으로써, 상기 가변된 기준 전력 값에 대응하는 전력을 발생한다. 즉,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은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낮춤으로써,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상가 단말기의 출력 전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TDMA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은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낮춤으로써,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때(예를 들어, 수화 상태일 때),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낮춤으로써, 티디엠에이(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때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낮추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때(예를 들어, 수화 상태일 때),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낮춤으로써, SAR(Specific Absorption Rate), HAC(DCR(Dropped Call Rate)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TDMA 방식의 단말기의 안테나(160)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 모듈(120)과;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에 의해 증폭된 전력을 검출하는 커플러(Coupler)(130)와;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감시부(180)와;
    상기 감시된 단말기의 상태를 근거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을 증폭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전력 값을 가변하고, 상기 가변된 제 1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률을 제어하는 제어기(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가변된 제 1 기준 전력 값과 상기 커플러(1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차이 값을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 모듈(120)은,
    상기 차이 값을 근거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70)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일 때, 상기 제 1 기준 전력 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제 1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상기 전력 증폭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TDMA 방식의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하는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일 때,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감소된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송신하는 상태일 때, 상기 기준 전력 값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된 기준 전력 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050098843A 2005-10-19 2005-10-19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0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43A KR100700594B1 (ko) 2005-10-19 2005-10-19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43A KR100700594B1 (ko) 2005-10-19 2005-10-19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594B1 true KR100700594B1 (ko) 2007-03-28

Family

ID=4156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8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0594B1 (ko) 2005-10-19 2005-10-19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5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4718A1 (en) 1994-07-29 1996-02-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KR970056857A (ko) * 1995-12-26 1997-07-31 김광호 저전력소모를 위한 전원제어회로를 가지는 시분할교신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KR19980034625A (ko) * 1996-11-08 1998-08-05 김인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비 감소장치 및 방법
KR20010001748A (ko) * 1999-06-08 2001-01-05 윤종용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무선 단말기의 범용입출력부 제어 장치및 방법
WO2001020935A1 (en) 1999-09-17 2001-03-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power control method and a radio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4718A1 (en) 1994-07-29 1996-02-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KR970056857A (ko) * 1995-12-26 1997-07-31 김광호 저전력소모를 위한 전원제어회로를 가지는 시분할교신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KR19980034625A (ko) * 1996-11-08 1998-08-05 김인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비 감소장치 및 방법
KR20010001748A (ko) * 1999-06-08 2001-01-05 윤종용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무선 단말기의 범용입출력부 제어 장치및 방법
WO2001020935A1 (en) 1999-09-17 2001-03-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power control method and a radio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21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link quality indication
JP3228741B2 (ja) 電力増幅器の飽和検出および訂正方法および装置
KR1003504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57337B1 (ko) 휴대전화
FI100072B (fi) Menetelmä lähetystehon säätämiseksi sekä radiojärjestelmä
KR100443225B1 (ko) 수신기에 대한 자동 이득 제어장치
GB2444565A (en) Base station repeater
US2010027351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0812497A2 (en) Radio frequency transceiver system for digital communication
JP2003243997A (ja) 送信出力回路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
JP3096670B2 (ja) マイクロセルに対する負荷を測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304139B1 (en) Transmitter adjusting output power
US20070142007A1 (en) Control method for producing a ramp of output power and transmitter utilizing the same
US62265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se station transmitted forward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7177659B2 (en) Power ampl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14036272A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US5987307A (en) Power control in wireless radio tranceivers
KR20020014839A (ko) 기지국 송신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cdma 이동 통신시스템
JPH11330870A (ja) 増幅器線形化装置の適応制御方法
JP2006197264A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制御方法
KR100744811B1 (ko)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0594B1 (ko)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19294B1 (ko) 휴대단말기의 무선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88258A (ja) 移動体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10079083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류 소모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3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32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