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512B1 -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landscape or portrait - Google Patents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landscape or portra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4512B1 KR100714512B1 KR1020050067385A KR20050067385A KR100714512B1 KR 100714512 B1 KR100714512 B1 KR 100714512B1 KR 1020050067385 A KR1020050067385 A KR 1020050067385A KR 20050067385 A KR20050067385 A KR 20050067385A KR 100714512 B1 KR100714512 B1 KR 1007145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er
- stopper
- mobile communication
- horizontal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 방향 회전수단, 세로 방향 회전수단 및 스토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rizontal rotating means, a vertical rotating means and a stopper.
본 발명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가 구비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폴더부와, 본체부와 폴더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장치 및 이와 연결된 폴더부를 본체부에 대해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세로 방향 회전수단과; 상기 폴더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더부가 연결장치 및 이와 연결된 본체부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가로 방향 회전수단과; 상기 세로 방향 회전수단 및 가로 방향 회전수단을 수용하는 힌지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key input portion, a folder portion having a display screen, and a connection devic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connecting device comprising: a longitudinal rotation mean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rotate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folder connected thereto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 horizontal rotation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lder part so that the folder part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main body part connected thereto;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nge body for receiving the longitudinal rotation means and the horizontal rotation means.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세로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ly open state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로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서 A-A′방향의 단면도; 그리고,5A and 5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And,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a 및 도 5b에서 B-B′방향의 단면도이다.6A through 6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BB ′ in FIGS. 5A and 5B.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폴더부 2 : 본체부1: folder portion 2: main body portion
3 : 연결장치 10 : 힌지 바디3: connecting device 10: hinge body
11 : 힌지 바디 커버 12 : 관통홀11: hinge body cover 12: through hole
13 : 경사면 13a, 13b : 홀13
20 : 가로 방향 회전수단 21 : 고정 캠20: horizontal rotation means 21: fixed cam
22 : 고정 축 23 : 가동 캠22: fixed shaft 23: movable cam
24 : 스프링 25 : C 링24: spring 25: C ring
30 : 폴더 힌지 31 : 돌출부30: folder hinge 31: protrusion
31a : U자형 홈 32 : 회전축31a: U-shaped groove 32: rotation axis
40 : 제 1스토퍼 41a, 41b : 안착 홈40:
50 : 제 2스토퍼 51 : 몸체50: second stopper 51: body
51a : 제 1돌기 51a : 제 2돌기51a:
51b : 제 3돌기 52 : 돌출부51b: third protrusion 52: protrusion
60 : 탄성부재60: elastic member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 방향 회전수단 및 세로 방향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rizontal rotating means and a vertical rotating means, which can be open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이동통신 산업의 발달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이동통신 단말기’라 칭함)가 많이 보급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장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 신 단말기 자체의 기능도 향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적인면 뿐만 아니라, 그 크기에 있어서도 점차 소형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pop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rket,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is also improving.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the trend is gradually miniaturized in size.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를 추구함과 동시에 데이터 교류의 증가에 따른 데이터 표시 및 동영상을 좀 더 효율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하면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용, VOD(Video On Demand)용 및 게임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 기능이 향상되고 용도가 다양해진 이동통신 단말기가 공급되기 시작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기능 및 크기의 중요성이 더욱 향상되고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more efficiently view the data display and moving imag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ata exchange,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s to be enlarged. Recently,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improved and diversified,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VOD (Video On Demand), and Gaming mobile terminals,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 and size of the display screen has become more important. It is improving.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에 있어서, 대형 중량이면서 번호판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된 구조의 초기 형상은, 별도의 뚜껑에 해당하는 폴더부를 갖는 소위 폴더형(folder type)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 통화를 하지 않는 단순 휴대시에는 번호판 전체를 폴더부를 씌워 보호하고,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itial sha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license plate is completely exposed to the outside with a large weight is being replaced by a so-called folder type having a folder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parate lid. In other words, the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feature of covering the entire license plate with a folder and protecting the appearance even more simply when not carrying a telephone call.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부(1), 본체부(2) 및 폴더부(1)와 본체부(2)를 연결하는 연결장치(3)로 구성된다. 폴더부(1)는 본체부(2)에 대하여 연결장치(3)를 힌지로 하여 도 1에서 화살표 방향에 해당하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본체부(2)에는 번호키, 전원키,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는 키입력부(2a) 및 그 최하단에 위치하는 마이크(2b)를 포함한다. 폴더부(1)는 최상단에 스피커(1a)를 포함하는 이어피스가 위치하고, 상기 이어피스 하측으로 데이터 표시수단인 디스플 레이 화면(1b)이 위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1b)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 크기를 고려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1b)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하여 가로 크기(폭)보다 세로 크기(길이)가 더 긴 형태로 형성되나, 이는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 즉 컴퓨터 모니터나 텔레비전 등과 상이한 형태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문제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Th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설치된 폴더부를 이용시 폴더부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90° 회전시키고, 회로적으로 90° 회전시킨 화면을 보여주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안되었으나 디스플레이 화면을 90°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 사용자가 휴대중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proposed that rotates the display screen 90 ° in a folder unit and rotates the circuit 90 ° in a folder unit when the folder unit having the display screen is installed, but rotates the display screen 90 °. In this state, the space occupi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arge, and the user is inconvenient to use while carrying.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folder unit in 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lectively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폴더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경우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older portion from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older portion rotate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키입력부가 구비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폴더부와, 본체부와 폴더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장치 및 이와 연결된 폴더부를 본체부에 대해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세로 방향 회전수단과; 상기 폴더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더부가 연결장치 및 이와 연결된 본체부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가로 방향 회전수단과; 그리고 상기 세로 방향 회전수단 및 가로 방향 회전수단을 수용하는 힌지바디를 구비하여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폴더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key input portion, a folder portion having a display screen, and a connection devic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The connecting device may include: longitudinal rotation mean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rotate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folder connected thereto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 horizontal rotation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lder part so that the folder part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main body part connected thereto; And a hinge body for receiving the vertical rotation means and the horizontal rotation means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the folder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세로 방향 회전수단은 본체부의 일측을 따라서 본체부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힌지바디에 고정 연결되는 폴더 힌지를 구비하여 폴더 힌지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에 대해서 연결장치 및 이와 연결된 폴더부가 세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한다.The longitudinal rotation means has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along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folder hing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hinge bod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folder hinge.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folder portion connected thereto ar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로 방향 회전수단은, 상기 연결장치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폴더부에 고정되는 가동캠을 구비하여 고정축에 대해 폴더부가 세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한다.The horizontal rotating means includes a fixed shaf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connecting device, and a movable cam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and fixed to the folder part, so that the folder portion is vertically held relative to the fixed shaft. Make it open.
나아가 상기 가동캠은, 상기 고정축에 삽입되는 홀과 상기 홀로부터 연장되어 폴더부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구비하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Furthermore, the movable cam has a hole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and a fixed plate extending from the hole and fixed to the folder portion, and configured to not be separated from the fixed shaft by the fixing means.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폴더부의 세로 방향 회전시 가로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제 1스토퍼와; 상기 폴더부의 가로 방향 회전시 세로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제 2스토퍼를 구비하는 스토퍼 장치를 포함하여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회전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first stopper for preventing horizontal rotation during vertical rotation of the folder portion; It includes a stopper device having a second stopper for preventing the longitudinal rotation in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folder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the horizontal or longitudinal rotation.
상기 제 1스토퍼는 상기 힌지바디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폴더부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힌지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인접하는 폴더부의 표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폴더부의 가로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topper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in the hinge body, and when the folder portion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topper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djacent folder portion to protrude outward of the hinge body so that the folder portion is horizontal. It is desirable to prevent directional rotation.
나아가 상기 제 1스토퍼는 일측에 힌지바디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stopper has a handle protruding outward of the hinge body on one side and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moving the handle, so that the user can use it conveniently.
또한 상기 제 2스토퍼는 상기 힌지바디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폴더부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폴더 힌지의 회전축과 맞물려 고정되어 힌지 바디 및 이와 고정된 폴더부의 세로 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topper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hinge body, and when the folder part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stopper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folder hinge to fix the hinge body and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fixed folder part. It can prevent.
상기 제 2스토퍼는 하부에 폴더 힌지의 회전축을 향하여 돌출된 제 3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폴더 힌지의 회전축은 단부에 상기 제 3돌기가 상부로 이동할 경우 맞물리는 역U자형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stopper has a third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rotation axis of the folder hinge at the bottom, the rotation axis of the folder hinge is preferably formed in the end U-shaped groove is engaged when the third projection is moved upward. Do.
또한 상기 제 1스토퍼의 좌우 방향 이동은 상기 제 2스토퍼의 상하 방향 이동과 연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irst stopper may be linked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topper.
상기 제 1스토퍼는 하부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스토퍼는 상부에 제 1돌기를 구비하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탄지되어, 제 1스토퍼가 힌지바디의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 1스토퍼의 안착홈에 탄성부재에 의해서 제 2스토퍼가 상부로 이동하여 제 1돌기가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The first stopper has a seating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second stopp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topper moves to the inside of the hinge body. The second stopper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stopper,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상기 제 2스토퍼는 상부에 일측으로 돌출된 제 2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 2스토퍼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 2돌기는 힌지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폴더부를 밀어줄 수 있어 사용자가 폴더부를 열기에 편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topp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 one sid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when the second stopper moves upward,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s out of the hinge body to push the folde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nient to open a folder part.
상기 제 1스토퍼의 일측에는 하단으로 돌출된 턱이 형성되어, 상기 턱에 상기 제 2스토퍼가 걸려 위치할 경우 상기 제 1스토퍼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됨으로써, 폴더부가 세로 방향으로 열릴 경우 손잡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first stopper is formed with a jaw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and when the second stopper is caught by the jaw, the first stopper is fixed so as not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handle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s fix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부(1), 본체부(2) 및 폴더부(1)와 본체부(2)를 연결하는 연결장치(3)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장치(3)는 본체부(2)의 일측에서 본체에 대해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폴더부(1)의 일측과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장치(3)는 가로 방향 회전시에는 폴더부(1)가 연결장치(3)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하며, 세로 방향 회전시에는 폴더부(1)와 일체로 본체부(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폴더부(1)는 연결장치(3)를 수용하는 공간(1a)을 구비하여 상기 공간(1a)의 표면에는 홀(1c) 및 돌기(1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 통화시 등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 3a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열어 사용하고, DMB나 VOD 등을 시청하거나 게임을 하고자 할 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 3b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열어 디스플레이 화면(1b)를 일반적인 텔레비전과 같은 방향으로 볼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ope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A during a normal call, and ope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B when watching a DMB or VOD or playing a game. You can see 1b) in the same direction as a regular television.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장치(3)의 구성을 살펴보면, 연결장치(3)는 크게 힌지 바디(10), 가로 방향 회전수단(20), 폴더 힌지(30), 제 1스토퍼(40), 제 2스토퍼(50) 및 복수개의 탄성부재(60)로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힌지 바디(10)는 내부에 연결장치(3)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힌지 바디(10)의 하단에는 가로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홀(12)이 형성되어, 폴더 힌지(30)가 관통 홀(1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힌지 바디(10)의 상단 중앙에는 도 4에서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3)이 형성되고, 경사면(13)에는 두 개의 홀(13a, 13b)이 구비된다. 그리고 힌지 바디(10)의 좌측 상단에는 가로 방향 회전수단(20)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고정 캠(21) 및 고정 축(22)이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고정 캠(21)의 상측 및 고정축(22)의 단부측에는 홈(21a, 22a)이 각각 구비된다.The
가로 방향 회전수단(20)은 고정캠(21), 고정축(22), 가동캠(23), 스프링(24) 및 C 링(25)으로 구성된다. 고정캠(21) 및 고정축(22)은 힌지 바디(10)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고정축(22)에 가동캠(23), 스프링(24) 및 C 링(25)이 순서대로 삽입된다. 가동캠(23)은 홀(23a)이 형성되어 상기 홀(23a)이 고정축(22)에 삽입됨으로 써, 고정축(22)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판(23b)은 고정홀(23d)에 결합되는 볼트(미도시) 등에 의하여 폴더부(1)에 고정되고, 따라서 가동캠(23)과 폴더부(1)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24)은 고정축(22)에 삽입되어, 탄성력으로 가동캠(23)을 고정캠(21)방향으로 밀어준다. 그리고 고정축(22)의 단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홈(22a)이 형성되어 상기 홈(22a)에 C 링(25)이 끼워지고, C 링(25)은 스프링(24)이 고정축(22)에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스프링(24)의 일측 단부에 맞닿으며 고정된다.Horizontal rotating means 20 is composed of a fixed
폴더 힌지(30)는 세로 방향 회전수단에 해당한다. 폴더 힌지(3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힌지 바디(10)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홀(12)에 삽입 고정된다. 도 4에서 폴더 힌지(30)의 좌측 단부에는 하단에 U자형 홈(31a)을 구비한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회전축(32)이 형성되며, 돌출부(31)와 회전축(32)은 도 3에서의 점선과 같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 형상이다. 회전축(32)이 본체부(2)에 형성된 홀(2d; 도 5a, 도 5b 참조)에 삽입되어, 폴더 힌지(30) 및 이에 고정된 힌지 바디(10)가 상기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상기 가로 방향 회전수단 및 세로 방향 회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폴더부(1)가 본체부(2)에 대하여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때의 문제점은 사용자가 가로 방향으로 열고자 할 때 세로 방향으로도 열리거나, 사용자가 세로 방향으로 열고자 할 때 가로 방향으로도 열리게 되면 폴더부(1)가 본체부(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너덜너덜한 상태가 되어 사용함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 여, 본 발명에서는 폴더부(1)가 가로 또는 세로로 소정 각도 이상 열릴 때에, 다른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providing the horizontal rotating means and the vertical rotating means, the
스토퍼 장치는 폴더부(1)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스토퍼(40)와, 폴더부(1)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스토퍼(50)를 포함한다. 제 1스토퍼(40)는 힌지 바디(10) 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면에 안착홈(41a, 41b)을 구비한 몸체(41)와, 몸체(4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42)로 구성된다. 손잡이(42)는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힌지 바디(10)의 홀(14)을 통해 힌지 바디(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힌지 바디(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안착홈(41a, 41b)은 ‘ㄱ’자 형상으로 2단으로 단차가 진 형상이다. 제 1스토퍼(40)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60a)가 안착되고 이 탄성부재(60a)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1스토퍼(40)는 가로 방향으로 이동 후 원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제 1스토퍼(40)의 몸체(41)는 손잡이(4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탄성부재(60a)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진다. 이 때 몸체(41)의 단부가 힌지바디(10)의 경사면(13)에 형성된 홀(13a)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폴더부(1)에 형성된 홀(1c, 도 3b 참조)에 삽입된다. 그 결과 제 1스토퍼(40)가 폴더부(1)를 고정시키게 되어, 폴더부(1)는 본체부(2)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열릴 수 없는 상태가 된다.The stopper device includes a
제 2스토퍼(50)는 힌지 바디(10) 내에 위치하며, 몸체(51)의 상측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52)가 구비된 형상이다. 돌출부(52)의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 1돌기(51a)가 구비되고, 몸체(51)의 상단 및 하단에도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2돌기(51b) 및 제 3돌기(51c)가 구비된다. 제 1돌기(51a)는 제 1스토퍼(40)의 안착홈(41a, 41b)에 대응하는 구조이고, 제 2돌기(51b)는 힌지 바디(10)의 경사면(13)에 형성된 홈(13b)을 통해 힌지 바디(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폴더부(1)의 돌기(1d, 도 5a 및 도 5b 참조)와 맞닿을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 3돌기(51c)는 폴더 힌지(30)의 돌출부(31)에 형성된 U자형 홈(31a)에 대응하는 구조이다.The
또한 제 2스토퍼(50)에서 돌출부(52)의 하단 및 몸체(51)의 측면에는 탄성부재(60c)가 안착되고, 몸체(51)의 측면 상단에는 탄성부재(60b)가 안착된다. 탄성부재(60c)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2스토퍼(50)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탄성부재(60b)에 의해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스토퍼(50)의 상부 단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장치(3)를 조립할 때, 힌지 바디(10) 내에 폴더 힌지(30), 제 1스토퍼(40), 제 2스토퍼(50) 및 탄성부재(60) 등의 구성요소들을 설치한 후에, 힌지 바디 커버(11)를 힌지 바디(10)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When assembling the connecting
도 5a, 도 5b 및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5a, 5b and 6a to 6c,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서 A-A′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세로로 열릴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를 참 고하면, 제 1스토퍼(40)의 측면에는 탄성부재(60a)가 위치하고, 제 1스토퍼(40)의 몸체(41)는 힌지 바디(10)의 경사면(13)에 형성된 홈(13a)을 통과하여 폴더부(1)에 형성된 홀(1c)에 삽입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폴더부(1)를 가로 방향으로 열고자 하더라도, 상기 제 1스토퍼(40)가 폴더부(1)를 고정 지지하고 있으므로 가로 방향 회전수단(20)은 작동할 수 없게 되며, 폴더부(1)는 본체부(2)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열릴 수 없는 상태이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and FIG. 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tically opened. Referring to FIG. 5A, the
도 5a의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열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잡이(42)를 도 2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5b와 같이 제 1스토퍼(40)가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고, 탄성부재(60a)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하게 된다. 제 1스토퍼(4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60c)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하여 제 2스토퍼(50)는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안착홈(41a)에 안착되어 있던 제 2스토퍼(50)의 제 1돌기(51a) 역시 이동하여 안착홈(41b)에 안착된다.A case of open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5A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moves the
도 5b를 참고하면, 제 1스토퍼(40)는 폴더부(1)의 홀(1c) 및 힌지 바디(10)의 홈(13a)에서 빠져 나오고 더 이상 폴더부(1)를 고정 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폴더부(1)는 가로 방향 회전수단(20)에 의해 도 5b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스토퍼(50)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2돌기(51b)는 본체부(2)의 표면(2c)보다 위로 돌출되면서 폴더부(1)에 형성된 돌기(1d)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주고, 폴더부(1)는 본체부(2)에 대하여 살짝 열린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폴더부(1)를 가로 방향으로 열기 쉽게 된다.Referring to FIG. 5B, the
이 때 폴더부(1)가 가로 방향으로 열 수 있는 도 5b의 상태에서는 세로 방향으로는 열릴 수 없어야 하므로, 제 2스토퍼(50)의 제 3돌기(51c)는 폴더 힌지(30)의 돌출부(31)에 형성된 U자형 홈(31a)에 맞물리며 고정된다.(도 6c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폴더 힌지(30)의 회전축(32)이 본체부(2)의 홀(2d)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32)을 축으로 폴더힌지(30)가 회전함으로써, 폴더 힌지(30)는 세로 방향 회전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이나, 도 5b 및 도 6c와 같이 제 3돌기(51c)가 U자형 홈(31a)에 맞물려 고정되면 폴더 힌지(30)는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 5b 상태에서 폴더부(1)는 본체부(2)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는 열리지 못하고, 가로 방향으로만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in the state of FIG. 5B in which the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폴더부(1)를 닫으면, 폴더부(1)에 형성된 돌기(1d)가 제 2스토퍼(50)의 제 2돌기(51b)를 아래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스토퍼(50)는 다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2스토퍼(50)가 어느 정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돌기(51a)가 안착홈(41b)에서 빠져나오면서, 탄성부재(60a)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 제 1스토퍼(40)가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스토퍼(50)의 제 1돌기(51a)는 안착홈(41a)으로 다시 안착되어 도 5a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user closes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제 1스토퍼(40) 및 제 2스토퍼(50)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정 각도 이상 열린 경우에는 손잡이(42)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폴더부(1)가 세로 방향으로 열릴 때 사용자가 실수로 손잡이(42)를 작동시켜 제 1스토퍼(40)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폴더부(1)와 연결장치(3)와의 연결이 해 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구체적으로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a 및 도 5b에서 B-B′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6a는 폴더부(1)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탄성부재(60b)는 제 2스토퍼(50)의 상단 부분과 힌지 바디(10) 사이에 압축 설치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6a를 참고하면 제 1스토퍼(40)의 하단 우측에는 아래로 돌출된 턱(43)이 형성된다. 제 2스토퍼(50)는 탄성부재(60b)에 의해 도 6a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고 있으나, 제 3돌기(51c)가 폴더 힌지(30)의 돌출부(31)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이다.Specifically, FIGS. 6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in a direction BB ′ in FIGS. 5A and 5B, and FIG. 6A shows a closed state of the
폴더부(1)가 세로 방향으로 약 15° 열리면, 도 6a에서 돌출부(31)을 제외한 힌지 바디(10), 제 1스토퍼(40) 및 제 2스토퍼(50)는 폴더부(1)와 같이 15° 회전하여 도 6b와 같은 형상이 된다. 이 때 상대적으로 돌출부(31)가 회전한 형상이므로 제 2스토퍼(5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고, 탄성부재(60b)의 탄성력을 받고 있던 제 2스토퍼(50)는 힌지 바디(10)에 대하여 이동하면서 제 1스토퍼(40)의 우측에 형성된 턱(43)에 걸리게 된다. 제 2스토퍼(50)가 상기 턱(43)에 걸리면, 제 1스토퍼(40)는 도 5b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도 4a의 상태로 고정되고, 제 1스토퍼(40)의 손잡이(42) 역시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폴더부(1)가 소정 각도, 여기서는 약 15° 이상 열리면 폴더부(1)는 가로 방향으로는 열릴 수 없는 상태가 된다.When the
그리고 도 6c는 도 4b 상태와 같이 폴더부(1)가 가로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며, 제 2스토퍼(50)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3돌기(51c)가 폴더 힌지 (30)의 U자형 홈(31a)에 맞물린 모습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돌출부(31)는 제 2스토퍼(50)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폴더부(1)는 세로 방향으로는 열릴 수 없는 상태가 된다.6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한쪽 방향으로만 열리도록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세로로 소정 각도 이상 열릴 경우 가로로는 열릴 수 없도록 설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so as to be opened in only on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y providing a stopper.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so that it can not be opened horizontally when opened verticall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longs to the claims of th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67385A KR100714512B1 (en) | 2005-07-25 | 2005-07-25 |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landscape or portra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67385A KR100714512B1 (en) | 2005-07-25 | 2005-07-25 |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landscape or portrai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13047A KR20070013047A (en) | 2007-01-30 |
| KR100714512B1 true KR100714512B1 (en) | 2007-05-07 |
Family
ID=380129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673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512B1 (en) | 2005-07-25 | 2005-07-25 |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landscape or portrai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1451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02562B1 (en) * | 2007-05-10 | 2008-02-13 | (주)쉘-라인 | Hinge devic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39418A (en) * | 2003-10-25 | 2005-04-29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A folder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axis hinge |
-
2005
- 2005-07-25 KR KR1020050067385A patent/KR10071451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39418A (en) * | 2003-10-25 | 2005-04-29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A folder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axis hinge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공개특 1020050039418호 *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13047A (en) | 2007-01-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865151B2 (en) |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 KR100677420B1 (en) | Body rotation type mobile terminal | |
| KR100998937B1 (en) | Sliding and Rotation Complex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US7596358B2 (en) |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
| EP1758343A2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 US7034755B2 (en) |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
| JP4783847B2 (en) | Mobile device | |
| JP2005147401A (en) | Sliding / rotating type mobile terminal sliding / hinge device | |
| KR100640452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 CN1874668B (en) |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lens assembly | |
| US7440782B2 (en) |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 |
| US20080199002A1 (en) |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 |
| KR20050066671A (en) | Double rotation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
| KR100810229B1 (en) | Hinge guide device of swing type portable terminal | |
| EP2040440A1 (en) | Dual direction opening/closing hinge module and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 |
| KR100714512B1 (en) |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landscape or portrait | |
| KR100681068B1 (en) | Sliding / Hinge Device of Sliding / Rotating Type Mobile Terminal | |
| KR100790187B1 (en) | Hinge Device for Gam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773679B1 (en) | Folder / slide cell phone | |
| KR101049764B1 (en) | Swing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 KR19980014749U (en) | Flip cover switchgear of portable cordless phone | |
| KR100845222B1 (en) | Flip cover on mobile phone | |
| JP4454676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CN1797965B (en) |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 |
| KR20070031624A (en) | 360 ° rotatable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4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42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