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5368B1 - Dual screen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Dual screen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368B1
KR100715368B1 KR1020050024593A KR20050024593A KR100715368B1 KR 100715368 B1 KR100715368 B1 KR 100715368B1 KR 1020050024593 A KR1020050024593 A KR 1020050024593A KR 20050024593 A KR20050024593 A KR 20050024593A KR 100715368 B1 KR100715368 B1 KR 10071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ideo signal
main
main screen
su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5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2713A (en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테크
Priority to KR102005002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368B1/en
Publication of KR2006010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368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8Reversible ice-spik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카메라나 외부영상 소스 등과 같이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수단과, 상기 제공되는 영상신호가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고,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되, 주 화면과 주 화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나란히 구비되는 보조화면으로 이루어져,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The disclosed dual screen display system includes a video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such as a camera or an external video sour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rovided video signal is a dual screen mode or a single screen mode and processing the video signal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control mode,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are controlled, and in the single-screen mode,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main screen and the video signal are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Comprising at least one side screen is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dual screen mode include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one image on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채용하면서 가격의 상승은 물론 제품의 크기에 대한 제약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limitation on the size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price increase while employing a large display screen.

주 화면, 보조화면, 화면 제어기, 보조화면 착탈. Detach main screen, sub screen, screen controller, sub screen.

Description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Display system of double screen}Display system of doubl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나타낸 영상신호처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3A to 3C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shown in FIG. 1;

도 4a 내지 도 4c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에 탈부착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4A to 4C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n auxiliary screen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main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dual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카메라 12 : 외부영상 소스10: camera 12: external video source

14 : 디코더 20 : 영상신호처리수단14 decoder 20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1 : 프레임 버퍼 22 : 신호처리 IC21: frame buffer 22: signal processing IC

23 : 화면 제어기 30 : 주 화면23: screen controller 30: main screen

34 : 커넥터 36 : 삽입 구멍34: connector 36: insertion hole

38 : 커버 40 : 보조화면38: cover 40: subscreen

44 : 커넥터 46 : 삽입 돌기44 connector 46: insertion projection

47 : 돌출부 49 : 커버47: protrusion 49: cover

50 : 힌지50: hinge

본 발명은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카메라 등의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구비하고, 큰 크기의 화면이 필요한 경우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creen displa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a main screen and an auxiliary screen ar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camera, and a large size screen is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displaying one image on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PDA 등의 전자기기에는 표시장치가 구비되어 이 표시장치를 통해 필요한 정보나 영상 등을 눈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얻는다.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mcorders, digital cameras, PDAs, and the like are provided with display devices to visually check and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or images through the display devices.

그런데 이러한 전자기기는 대부분 휴대용 제품으로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이면서 무게가 가볍게 제작되기 때문에, 그 표시장치도 작아질 수밖에 없다.However, these electronic devices are mostly portable products, and are manufactured to be small in size and light in weight so that they can be easily carried.

따라서, 전자기기 중에서 특히 휴대용 제품인 경우에는 표시장치를 통해서 대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없고,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대형 표시장치를 채용해야 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그 제품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어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다.Therefore, especially in the case of portable products, the large screen cannot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in order to display the large screen, a large display device must be employed, so that the size of the product increases as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increases. Not easy to carry

또한 표시장치가 커지면, 예를 들어 표시장치가 LCD인 경우 크기에 따른 가격 편차가 심해 쉽게 대형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enlarge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is an LCD, the price variation according to the size is seve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easily enlarged.

상기 전자기기 중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좀 더 설명하고자 한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scribed.

휴대폰, 핸드폰(Cellular phone), PCS폰, 개인 휴대전화, 무선 단말기 등으로 불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 중에 서로 떨어져 있는 사람 간에 무선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서, 상대방과 음성을 주고받거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PCS phones, personal mobile phones, and wireless terminals, are devices that allow individuals to carry and talk wirelessly between people on the move. It is configured to send and receive text messages.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는 일체형의 경우 단말기 상부에, 그리고 폴더형의 경우 단말기 폴더(덮개)에 1개만 설치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2개의 표시장치가 쓰이는 경우는 이른바 듀얼 폴더의 경우이다.In the case of an integrated type, only on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terminal, and in the case of a folder type, two display devices are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 경우 내부에 설치되는 주 표시장치 외에, 폴더 외부에 보조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그것을 통해 단말기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날짜, 시간, 통신감도, 배터리 잔여량, 문자 메시지 수령 통보 등의 간단한 정보를 제공한다.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main display device installed inside, an auxiliary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utside the folder, and the user can receive simple information such as date, time, communication sensitivity, battery level, and notification of receiving a text message even when the terminal is not opened. to provide.

또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거의 예외 없이 그 본체(폴더형의 경우, 폴더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내부에 10여 개의 숫자/부호키와 여러 개의 기능키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lmost ten numerals / signal keys and several function keys inside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in the case of a folder type, except for the folder).

즉,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내부는 20개 내외의 키들이 다양한 위치와 각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적 크기를 확대하지 않은 채,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있는 표시장치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That is, since the in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has about 20 keys at various positions and angles, the in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expanding the external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ation method. It is not possible to expand the size of the displa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카메라 등의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나란히 구비하고, 소형 경량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대형 화면을 채용하여 큰 사이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도 높은 가격의 상승을 줄일 수 있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ain screen and the auxiliary screen side by side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camera, side by sid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ompact and lightweigh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screen display system that can easily reduce the increase in price while displaying a large size image by adopting a large scree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카메라나 외부영상 소스 등과 같이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수단과, 상기 제공되는 영상신호가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고,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되, 주 화면과 주 화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나란히 구비되는 보조화면으로 이루어져,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ual scree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such as a camera or an external video source, and the provided video signal in a dual screen mode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for controlling a main screen and an auxiliary screen in the dual screen mode, and controlling the main screen in the single screen mode by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is in a single screen mode or a single screen mod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vide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eans, consisting of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screen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screen side by side, in the case of the dual screen mode, one image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It include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ual scree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 제공수단인 카메라(10), 외부영상 소스(12) 및 디코더(14)와, 영상신호처리수 단(20)과, 표시수단인 주 화면(30) 및 보조화면(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dual-scree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0, the external image source 12 and the decoder 14, which is an image providing means,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20, and display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which are means, are configured.

카메라(10)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광학기기로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처리수단(20)으로 전송한다.The camera 10 is an optical device for taking a picture or a video, and takes an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20.

외부영상 소스(12)는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영상을 제공하는 소스로서, 외부영상 소스(12)를 통해 제공된 영상은 압축된 상태로 제공된다.The external image source 12 is a source for providing an image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the like, and the image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image source 12 is provided in a compressed state.

디코더(14)는 이 압축된 영상을 복원하여 영상신호처리수단(20)에 전송한다.The decoder 14 restores this compressed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20.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입력된 영상신호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제어하여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30)을 제어하여 주 화면에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0 determines whether it is a dual screen mode or a single screen mode according to an input video signal or a user's selection, and processe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it. 40,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and in the single screen mode, the main screen 3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image only on the main screen.

즉,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입력된 영상신호(한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주 화면(30)에 디스플레이 할 영상신호와 보조화면(40)에 디스플레이 할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분리된 각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한 후,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제어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That is, in the dual screen mode,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0 is used to display the input video signal (video signal of one frame) as the video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30 and the video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sub-screen 40. After separating and processing each of the separated image signals,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are controlled to display an image.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분리하지 않고 처리한 후 주 화면(30)을 제어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In the single screen mode, the input image signal is processed without being separated, and then the main screen 3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image.

주 화면(30)은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표시장치이다.The main screen 30 is a display device generally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보조화면(40)은 상기 주 화면(30)의 보조 표시수단으로, 주 화면(3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큰 사이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하고, 주 화면(30)과 같이 영상신호처리수단(20)의 제어에 의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Auxiliary screen 40 is an auxiliary display means of the main screen 30, at least one sid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screen 30 to display a large-size image, the image like the main screen 30 An image is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signal processing means 20.

본 발명에 상기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은 액정표시장치(LCD)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are provid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한 구성 이외에 도면에 표기하지는 않았으나 작업 메모리공간인 RAM과 프로그램이 내장된 ROM이 더 구비됨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working memory space RAM and the ROM in which the program is further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on an auxiliar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인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 영상신호처리수단(20)을 지난 영상신호는 주 화면(30)에 디스플레이 되며 모든 정보가 데이터 손실없이 구현된다.In the general single screen mode, the video signal passing through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0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30, and all information is implemented without data loss.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즉,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경우에,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하나의 화면으로 활용하여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하나의 영상이 크게 디스플레이 된다.In the dual screen mode, that is, when a large size display is required, one image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by using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as one screen. This is displayed largely.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나타낸 영상신호처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의 블록도이다.3A to 3C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shown in FIG. 1, and are block diagrams in which the video signal of one frame can be divided into two signals.

도 3a에서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영상 저장용 프레임 버퍼(21)와 상기 프레임 버퍼(21)를 공유하는 2개의 신호처리 IC(22a,22b)를 포함한다.In FIG. 3A,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20 includes a frame buffer 21 for storing an image and two signal processing ICs 22a and 22b which share the frame buffer 21.

상기 각 신호처리 IC(22a,22b)에는 화면 제어기(23a,23b)가 각각 구비된다.Each of the signal processing ICs 22a and 22b is provided with screen controllers 23a and 23b, respectively.

프레임 버퍼(21)는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모리 공간으로서, 주 화면과 보조화면으로 나누어 영상 신호를 저장한다.The frame buffer 21 is a memory space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and stores the image signal by dividing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화면 제어기(23a,23b)는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연결되어 각 화면을 제어하고, 신호처리 IC(22a,22b)는 내부에 구비된 화면 제어기(23a,23b)를 제어하며 프레임 메모리(21)를 읽고 쓴다.The screen controllers 23a and 23b are connected to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to control each screen, and the signal processing ICs 22a and 22b control the screen controllers 23a and 23b provided therein. The frame memory 21 is read and written.

각 신호처리 IC(22a,22b)에서는 미도시된 RAM과 ROM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21)를 읽고 써서 내부의 화면 제어기(23a.23b)를 제어하여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Each of the signal processing ICs 22a and 22b operates by RAM and ROM not shown to read and write the frame buffer 21 to control the internal screen controllers 23a and 23b so that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 40) to display the image.

도 3b에서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하나의 신호처리 IC(22c)와 2개의 화면 제어기(23c,23d)를 포함한다.In FIG. 3B,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includes one signal processing IC 22c and two screen controllers 23c and 23d.

신호처리 IC(22c)는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의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 분리된 신호를 화면(30,4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대해 각 화면 제어기(23c,23d)를 제어하여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In the dual screen mode, the signal processing IC 22c separates the input video signal into the video signals of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to display each of the separated signals on the screens 30 and 40. And display the image on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by controlling the screen controllers 23c and 23d with respect to the processed signal.

도 3c에서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하나의 신호처리 IC(22d)와 하나의 화면 제어기(23e)를 포함한다.In FIG. 3C,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includes one signal processing IC 22d and one screen controller 23e.

하나의 화면 제어기(23e)는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분리해서 제어한다.One screen controller 23e controls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separately.

신호처리 IC(22d)는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의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 분리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대해 하나의 화면 제어기(23e)를 제어한다.In the dual screen mode, the signal processing IC 22d separates the input video signal into the video signals of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to process each separated signal, one for the processed signal. To control the screen controller 23e.

이 화면 제어기(23e)는 신호처리 IC(22d)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제어하며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The screen controller 23e controls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with respect to each processed signal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IC 22d, and controls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Display the image.

도 4a 내지 도 4c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에 탈부착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A to 4C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n auxiliary screen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screen.

도 4a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되어 있다가 폴더식으로 주 화면의 측면에 위치되는 형태이다.4A illustrates that the sub screen is locat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screen a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screen in a folder type.

주 화면(30) 및 보조화면(40)은 영상신호처리수단(20)의 제어에 따라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며, 보조화면(20)은 그 측면에 구비되는 힌지(50)에 의해 주 화면(30)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주 화면(30)의 전면부터 후면까지 회전된다.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ar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20, the sub screen 20 is the main screen 30 by the hinge 50 is provided on the side The hinge is rota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ain screen 30 around the hinge.

이때 보조화면(40)은 힌지(50)에 의하여 도면에 도시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sub-screen 4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the drawing by the hinge 50.

이에 따라 보조화면(4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 화면(3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시켜서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사이즈의 크기를 줄여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조화면(40)을 주 화면(30)의 측부에 위치시켜 하나의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ub screen 40 is not used, the main screen 30 is position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screen 30 to reduce the size and hassle in use, thereby making it easy to carry, and when using the sub screen 40, It can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screen 30 and used as one screen.

도 4b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에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가 필요시 기구적인 단자를 통해 주 화면에 연결되는 형태이다.4B is a form in which an auxiliary screen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ain screen and then connected to the main screen through a mechanical terminal when necessary.

주 화면(30)에는 측면에 삽입 구멍(36)을 형성하고 영상신호를 보조화면(40)과 교환하도록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34)가 구비된다.The main screen 3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34 including a pin to form an insertion hole 36 on the side and exchange an image signal with the sub screen 40.

보조화면(40)에는 상기 삽입 구멍(36)과 대응되는 위치의 측면에 삽입 돌기(46)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34)와 접속되어 영상신호가 교환되는 또 다른 커넥터(44)가 구비된다.The auxiliary screen 40 is provided with another connector 44 which forms an insertion protrusion 46 at a side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36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4 to exchange image signals. .

상기 보조화면(40)은 주 화면(30)과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또 접속된 커넥터(34,44)를 통해서 주 화면(30)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sub screen 40 may be supplied with power separately from the main screen 30, and may be supplied with power of the main screen 30 through the connected connectors 34 and 44.

사용자에 의해 보조화면(40)의 삽입 돌기(46)가 주 화면(30)의 삽입 구멍(36)에 삽입되고, 주 화면의 커넥터(34)와 보조화면의 커넥터(44)가 결합되어 접속되는 경우,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합쳐 하나의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insertion protrusion 46 of the sub-screen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6 of the main screen 30 by the user, and the connector 34 of the main screen and the connector 44 of the sub-screen are coupled and connected. In this case,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may be combined and used as one screen.

도 4c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의 본체 내부에 내삽되어 있다가 슬라이드식으로 돌출되어 주 화면의 측면에 위치되는 형태이다.4C illustrates that the auxiliary screen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main screen and then slides out to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main screen.

보조화면(40)은 주 화면(30)의 본체 내부의 슬라이드식으로 내삽되어 사용자가 보조화면(40)을 누르거나 밖으로 인출함으로써 주 화면(30)에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된다.The sub screen 40 is interpolated in the main body of the main screen 30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user presses or pulls out the sub screen 40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screen 30 or protrudes outward.

상기 주 화면(30)의 테두리에는 커버(38)를 형성하되, 주 화면의 측부에는, 보조화면(40)과 접하는 부위가 분리되는 공간에 의해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의 영상이 떨어져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테두리에 커버를 형성하지 않는다.The cover 38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main screen 30, but the side of the main screen 30, the image of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by a spac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sub-screen 40 is separated Do not form a cover on the rim so that it is not displayed apart.

이때 보조화면(40)에는 주 화면(30)과 접하는 부위를 제외하여 테두리에 커버(49)를 구비하고 모서리 부위에는 돌출부(47)를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screen 40 is provided with a cover 49 at the edge except for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ain screen 30 and a protrusion 47 at the corner portion.

보조화면(4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주 화면(30)에 내삽하여 보관하고. 사용하는 경우 주 화면(30)의 본체에서 밖으로 슬라이드 시켜 돌출시키면 주 화면(30)에 보조화면(40)이 측면에 위치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If you do not use the sub-screen (40) to interpolate and keep in the main screen (30). In case of use, when the main screen 30 slides out from the main body of the main screen 30, the sub screen 4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screen 30 and can be used as one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dual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내부에 구비된 화면 제어기(23)를 초기화한 상태에서(S502), 카메라(10)나 외부영상 소스(12)와 디코더(14)를 통해 영상신호가 스위칭 되어 입력되는 경우(S504),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한다(S506).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0 inputs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camera 10 or the external image source 12 and the decoder 14 while the screen controller 23 provided therein is initialized (S502). If it is (S5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ual screen mode or single screen mode (S506).

이때 이중화면 모드나 단일화면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영상신호에 포함시켜 영상신호처리수단(20)에서 이 영상신호를 분석해서 판별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이중화면 모드나 단일화면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영상신호처리수단(20)에서 이를 감지하여 판별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data indicating the dual screen mode or the single screen mode may be included in the vide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0 may analyze the video signal to determine the video signal, and may select the dual screen mode or the single screen mode by the user's input. In this case,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0 may detect and determine the same.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 영상신호처리수단(20)에서 보조화면(40)이 주 화면(30)에 연결되어 보조화면(40)에서도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판별한다(S508).In the dual screen mode,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20 determines whether the sub-screen 40 is connected to the main screen 30 to display the image on the sub-screen 40 (S508).

보조화면(40)이 연결된 경우,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의 영상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주 화면(30)의 영상신호와 보조화면(40)의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각각의 화면 제어기(23)를 제어한다(S510).When the auxiliary screen 40 is connected,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0 separates the input video signal into the video signal of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and the video signal of the separated main screen 30. And control the respective screen controller 23 by processing the video signal of the sub screen 40 (S510).

화면 제어기(23)의 제어에 따라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는 서로 분리 되게 처리된 영상이 나타나되(S512), 주 화면(30)의 측면에 보조화면(40)이 위치되어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통합한 하나의 화면에 자기가 나타내고자 하는 영상(기호나 문자 등 포함)을 크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screen controller 23,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screen 40 appear to be proces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S512), the sub-screen 4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screen 30 On one screen in which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are integrated, an image (including a symbol or a character) to be displayed by the user can be largely displayed.

S506단계에서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나, 이중화면 모드이더라도 S508단계에서 보조화면(40)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보조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입력된 영상신호를 분리하지 않고 신호를 처리하여 주 화면 제어기를 제어한다(S520).In the case of the single screen mode in step S506 or even in the dual screen mode, when the sub-screen 40 is not connected in step S508 and the image cannot be displayed on the sub-screen,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20 inputs the input video signal. The main screen controller is controlled by processing a signal without separating the signal (S520).

주 화면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주 화면(30)에는 분리되지 않고 처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S522).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screen controller, the processed image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30 without being separated (S522).

상기한 바와 같이,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구비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채용하면서 가격의 상승은 물론 제품의 크기에 대한 제약을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screen 30 and the sub screen 40 may be provided to adopt a large display screen, thereby increasing the price and limiting the size of the product.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카메라 등의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주 화면의 측면에 보조화면을 착탈식으로 구비하고, 소형 경량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대형 화 면을 채용하여 큰 사이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도 높은 가격의 상승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screen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screen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camera, and can be made compact and lightweight. It is easy to use, and the large screen can be used to display large sized images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price.

Claims (9)

카메라나 외부영상 소스 등과 같이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수단;Image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such as a camera or an external video source; 상기 제공되는 영상신호가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고,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신호처리수단; 및Determining whether the provided video signal is a dual screen mode or a single screen mode, and processe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to control the main screen and the auxiliary screen in the dual screen mode, and to control the main screen in the single screen mode Image signal processing means; And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되, 주 화면과 주 화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나란히 구비되는 보조화면으로 이루어져,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되,Display the vide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and consists of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screen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screen side by side, one image on the main screen and the auxiliary screen in the dual screen mode Including a display means to be displayed,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영상신호에 포함된 이중화면 모드나 단일화면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및/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하여 이중화면 모드인지 판단하며,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analyzes data indicating a dual screen mode or a single screen mode included in the video signal and / or analyzes a user input to determine whether the video signal is a dual screen mode.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 상기 보조화면의 연결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보조화면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영상신호를 분리하지 않고 표시하며, 상기 보조화면이 연결된 경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주 화면의 영상신호와 보조화면의 영상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In the dual screen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screen is connected, and when the auxiliary screen is not connected,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without being separated. When the auxiliary screen is connected, the video signal provided from the main screen and the auxiliary signal are auxiliary. And dividing the video signal of the screen and processing and displaying the separated video sig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 화면과 보조화면은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is a dual screen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C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모리 공간인 영상 저장용 프레임 버퍼와,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may include a frame buffer for storing an image which is a memory space for displaying an image on a main screen and an auxiliary screen; 상기 프레임 버퍼를 공유하여 읽고 쓸 수 있고. 내부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는 화면 제어기가 각각 구비된 2개의 신호처리 IC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frame buffer can be shared and read and written. A dual screen display system comprising two signal processing ICs each provided with a scre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영상신호를 주 화면과 보조화면의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 분리된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화면 제어기를 각각 제어하는 하나의 신호처리 IC와,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in the dual screen mode, separates a video signal into a video signal of a main screen and an auxiliary screen, processes each divided video signal, and controls a screen controller with respect to the processed video signal. Signal processing IC, 상기 신호처리 IC에 의해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각각 제어하는 2개의 화면 제어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wo screen controllers for respectively controlling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by the signal processing 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영상신호를 주 화면과 보조화면의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 분리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하나의 화면 제어기를 제어하는 하나의 신호처리 IC와,The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in the dual screen mode, separates a video signal into a video signal of a main screen and an auxiliary screen, processes each separated signal, and controls one screen controller with respect to the processed video signal. Signal processing IC, 상기 신호처리 IC에 의해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는 1개의 화면 제어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scre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by the signal processing 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화면은 주 화면의 측면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auxiliary screen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main screen by a hinge and rotates about a hinge axi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화면이 주 화면에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가 필요시 기구적인 단자를 통해 주 화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auxiliary screen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ain screen,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screen through a mechanical terminal when necessar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화면이 주 화면의 본체 내부에 내삽되어 있다가 슬라이드식으로 돌출되어 주 화면의 측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sub-screen is interpolated in the main body of the main screen, and is slidably protruded to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main screen.
KR1020050024593A 2005-03-24 2005-03-24 Dual screen display system Expired - Fee Related KR100715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593A KR100715368B1 (en) 2005-03-24 2005-03-24 Dual screen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593A KR100715368B1 (en) 2005-03-24 2005-03-24 Dual screen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713A KR20060102713A (en) 2006-09-28
KR100715368B1 true KR100715368B1 (en) 2007-05-08

Family

ID=3762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5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5368B1 (en) 2005-03-24 2005-03-24 Dual screen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3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3746B (en) * 2016-02-26 2021-05-25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50435B1 (en) * 2020-11-20 2022-01-13 김수현 Secondary display unit for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321Y1 (en) 2000-01-28 2000-07-01 정순애 Terminal for comprising auxiliary screen
KR20010028824A (en) * 1999-09-27 2001-04-06 윤종용 Sub-display tasking control device of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20060378A (en)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ual screen of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373976B1 (en) * 2000-04-25 2003-02-26 정순애 Apparatus of terminal for comprising auxiliary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for
KR100460299B1 (en) 2003-12-01 2004-12-09 하나 마이크론(주) Portable terminal having single extended screen for dual display panels,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display thereof and control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824A (en) * 1999-09-27 2001-04-06 윤종용 Sub-display tasking control device of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187321Y1 (en) 2000-01-28 2000-07-01 정순애 Terminal for comprising auxiliary screen
KR100373976B1 (en) * 2000-04-25 2003-02-26 정순애 Apparatus of terminal for comprising auxiliary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for
KR20020060378A (en)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ual screen of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460299B1 (en) 2003-12-01 2004-12-09 하나 마이크론(주) Portable terminal having single extended screen for dual display panels,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display thereof and control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713A (en)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1973B2 (en)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portable device using external display device
US8170478B2 (en) Cell phone terminal, method for start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US9928811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image display
EP2048861B1 (en) Portable terminal
CN106998377A (en) Terminal device
US2015006196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apparatus thereof, and expanded display system
CN108713185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transmitting images thereof
CN114115769A (en) A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08203726A (en) Opening/closing typ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video switching method
CN112817675B (en) Interface display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00050696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via display in low power state
US2007013936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a common display screen
US20170118318A1 (en) Mobile Phone
CN110795021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10044296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icture-in-picture function
JP20051982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display and backlight in portable terminals
US888496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4859796B2 (en) Open / clos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715368B1 (en) Dual screen display system
JP201213865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cklight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5072734A (en) Camera attached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ed for the mobile terminal
CN113946398B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and storage medium
EP1863259A1 (en) Mobile terminal having wide viewing function digital broadcasting
KR100735705B1 (en) Mobile terminal having video communication function and video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KR20050087597A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ariably displaying in difference area with screen electronic touch interfaces window according to input interface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5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