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6288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288B1
KR100716288B1 KR1020050052612A KR20050052612A KR100716288B1 KR 100716288 B1 KR100716288 B1 KR 100716288B1 KR 1020050052612 A KR1020050052612 A KR 1020050052612A KR 20050052612 A KR20050052612 A KR 20050052612A KR 100716288 B1 KR100716288 B1 KR 100716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ndicated
menu
user
ite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323A (ko
Inventor
김윤성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288B1/ko
Priority to US11/445,304 priority patent/US7681137B2/en
Priority to CNA2006100937575A priority patent/CN1881403A/zh
Publication of KR2006013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2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입력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를 발생하는 메뉴발생부와; 상기 메뉴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사용자메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메뉴의 항목들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메뉴에 포함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지시되는 항목의 크기가 변경되어 시각적으로 다른 항목들과 차이가 남으로써 사용자가 지시되는 항목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뉴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사용자메뉴가 표시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표시된 사용자메뉴의 각 항목이 도 1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메뉴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사용자서브메뉴가 표시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플레이부 20 : 영상신호처리부
30 : 사용자 입력부 40 : 메뉴 발생부
5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전, 모니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메뉴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로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메뉴를 보면서 사용자메뉴에 포함된 항목들을 각각 지시하고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사용자메뉴를 보면서 다양한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경우, 지시된 항목이 어떤 것인지를 사용자가 확실히 인지하기 위해 다른 항목들과 시각적으로 차이가 나야한다.
지시된 항목이 다른 항목들과 시각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선 택하고자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는 혼동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지시되는 항목의 크기를 변경하여 시각적으로 다른 항목들과 차이가 나게 한다면 사용자가 지시되는 항목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메뉴의 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지시되는 항목의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를 발생하는 메뉴발생부와; 상기 메뉴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사용자메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메뉴의 항목들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의 테두리가 내측방향으로 같은 비율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는 경우 상기 지시되는 항목과 인접한 항목들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 해 상기 항목들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 후에 소정의 크기만큼 확대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서브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서브메뉴상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브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서브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서브항목이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서브항목에 따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될 때까지 1초 이내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사용자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메뉴의 항목들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를 갖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의 테두리가 내측방향으로 같은 비율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의 크기가 축소되는 경우 상기 지시되는 항목과 인접한 항목들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항목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은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 후에 소정의 크기만큼 확대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서브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서브메뉴상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브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서브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상기 서브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서브항목이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브항목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될 때까지 1초 이내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와, 영상신호처리부(20)와, 사용자입력부(30)와, 메뉴발생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후술할 영상신호처리부(20)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과, 영상신호처리부(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패널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패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신호처리부(2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후술할 메뉴발생부(40)로부터 출력되는 메뉴신호를 수신하고, 영상신호와 메뉴신호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10)로 출력한다.
여기서, 메뉴발생부(40)는 영상신호처리부(20)의 일 기능으로 마련되어 영상신호처리부(20)와 단일의 칩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50)에 키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리모트콘트롤(Remote Control, 이하 리모콘(30)),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입력부(30)는 리모콘(30)으로 마련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리모콘(30)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버튼과 키버튼의 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버튼을 조작하면 키신호발생부는 키버튼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발생하고, 키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키신호를 수신한 제어부(50)는 키신호에 대응하여 후술할 메뉴발생부(40)와 영상신호처리부(20) 등을 제어한다.
메뉴발생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100) 및/또는 각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서브메뉴(110)를 발생한다. 메뉴발생부(40)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메뉴(100) 및/또는 사용자서브메뉴(110)에 대응하는 메뉴신호는 전 술한바와 같이 영상신호처리부(20)에서 영상신호와 중첩된다.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사용자메뉴(100)의 항목들 중 리모콘(30)의 키버튼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한다.
리모콘(30)에 메뉴키와, 좌(-)/우(+) 키와, 선택키와, 종료키가 마련되는 경우를 일예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리모콘(30)의 메뉴키를 누르면 제어부(50)는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100)를 발생하게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사용자메뉴(100)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부(10)의 상,중,하,좌,우 등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콘(30)의 좌(-)/우(+) 키를 조작하여 사용자메뉴(100)에 포함된 각 항목을 지시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30)의 우(+) 키를 한번 조작하면 지시된 첫 번째 "INPUT" 항목의 크기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다. 여기서 "INPUT"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될 때까지 1초 이내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크기가 변화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면 사용자는 항목의 변화에 따른 다이나믹한 느낌을 받을 수 없고 오히려 불편하게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지시되는 항목의 테두리가 내측방향으로 같은 비율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지시되는 항목의 테두리와 함께 테두리 안의 표시내용의 크기를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고, 테두리 안의 표시내용의 크기는 변화시키지 않고 테두리만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항목의 테두리가 직사각형인 경우 가로,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의 크기만 축소되도록 하는 등 항목의 테두리가 내측방향으로 축소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리모콘(30)의 우(+) 키를 한 번 더 조작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PICTURE"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작아지거나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는 경우에 지시되는 항목과 인접하여 표시되는 항목들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시되는 항목을 제외한 항목들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의 크기가 변경되는 동안에 지시되는 항목을 제외한 항목들이 함께 위치가 변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이나믹한 시각적 이미지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지시된 항목이 리모콘(30)의 선택키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서브메뉴(110)를 표시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서브메뉴(110)는 적어도 하나 이 상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서브메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메뉴(100)와 함께 선택된 항목 근처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메뉴(100)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서브메뉴(110)만을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하(+) 키를 조작하여 사용자서브메뉴(110)에 포함된 서브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항목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지정되는 서브항목이 전술한 사용자메뉴(100)의 항목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키는 사용자메뉴(100)의 항목을 지정하기 위한 좌(-)/우(+)키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같은 키버튼이 사용자메뉴(100)의 항목을 지정할 때와 서브사용자메뉴(100)의 서브항목을 지정할 때 그 기능을 달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리모콘(30)의 메뉴키를 누르는 경우(S10) 메뉴발생부(4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메뉴(100)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한다(S20). 사용자메뉴(100)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후에 리모콘(30)으로터의 키신호가 감지된 경우(S30) 제어부(50)는 감지된 키신호가 종료키에 대응하는 키신호인지 판단한다(S40).
제어부(50)에 의해 감지된 키신호가 종료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메뉴발생부(4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사용자메뉴(100)를 삭제한다(S220).
제어부(50)에 의해 감지된 키신호가 좌(-)키 또는 우(+)키에 대응하는 키신호인 경우 메뉴발생부(40)는 사용자메뉴(100)에 포함된 항목들 중 소정의 기준항목으로부터 각각 좌측항목 또는 우측항목을 지시한다(S70, S80). 이때, 지시된 항목은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다(S90).
임의의 항목이 지시된 후에 사용자가 선택키를 누르면(S100)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메뉴발생부(40)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사용자메뉴(100)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한다(S110).
서브사용자메뉴(100)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후에 사용자가 리모콘(30)의 키를 누르는 경우 제어부(50)는 입력되는 키신호가 종료키에 대응하는 키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30). 제어부(50)에 의해 감지된 키신호가 종료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메뉴발생부(4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서브사용자메뉴(100)를 삭제한다(S220). 제어부(50)에 의해 감지된 키신호가 상(-)키 또는 하(+)키에 대응하는 키신호인 경우 메뉴발생부(40)는 서브사용자메뉴(100)에 포함된 서브항목들 중 소정의 기준서브항목으로부터 각각 상측 서브항목 또는 하측 서브항목을 지시한다(S170, S180). 이때, 지시된 서브항목은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다(S190).
임의의 서브항목이 지시된 후에 사용자가 선택키를 누르면(S200) 제어부(50)는 선택된 서브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S210).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과정을 도 7의 (a) 내지 도 7의 (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100)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상태에서, 다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가 리모콘(30)으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50)는 지시되는 항목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도 7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 후에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만큼 확대되었다가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시되는 항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 후에 소정의 크기만큼 커진 후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는 과정을 하나의 주기라고 했을 때 제어부(50)는 지시되는 항목이 여러 개의 주기를 연속적으로 갖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과정을 도 8의 (a)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100)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상태에서, 다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가 리모콘(30)으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50)는 지시되는 항목을 디스플레이부(10)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 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의 고정된 위치가 도 8의 (a)에 도시된 다수의 항목들 중 3번째 "SOUND" 항목이 있는 위치인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30)의 우(+)키를 누르면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항목들을 모두 왼쪽으로 한칸씩 이동시켜 4번째에 있던 "CHANNEL" 항목을 3번째 자리에 위치하도록 한 후 "CHANNEL" 항목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일 좌측에 있던 "INPUT" 항목은 제일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30)의 좌(-)키를 누르면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항목들을 모두 오른쪽으로 한칸씩 이동시켜 2번째에 있던 "SOUND" 항목을 3번째 자리에 위치하도록 한 후 "SOUND" 항목이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도 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메뉴발생부(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일 우측에 있던 "INPUT" 항목은 제일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시 또는 선택되는 항목은 항상 디스플레이상의 고정된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는 어떤 항목이 지시 또는 선택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메뉴의 항목을 지시하는 단계와 지시되는 항목을 선택하여 각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메뉴의 항목을 지시하자마자 지시된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메뉴에 포함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지시되는 항목의 크기가 다이나믹하게 변경되어 시각적으로 다른 항목들과 차이가 남으로써 사용자가 지시되는 항목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를 발생하는 메뉴발생부와;
    상기 메뉴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사용자메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메뉴의 항목들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의 테두리가 내측방향으로 같은 비율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는 경우 상기 지시되는 항목과 인접한 항목들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항목들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 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 후에 소정의 크기만큼 확대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서브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서브메뉴의 서브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서브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되는 서브항목이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서브항목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될 때까지 1초 이내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상기 메뉴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사용자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메뉴의 항목들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를 갖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의 테두리가 내측방향으로 같은 비율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의 크기가 축소되는 경우 상기 지시되는 항목과 인접한 항목들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항목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은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된 후에 소정의 크기만큼 확대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서브메뉴 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서브메뉴상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브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서브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상기 서브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서브항목이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브항목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될 때까지 1초 이내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지시되는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소정의 크기만큼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된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52612A 2005-06-17 2005-06-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16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612A KR100716288B1 (ko) 2005-06-17 2005-06-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445,304 US7681137B2 (en) 2005-06-17 2006-06-0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user menu
CNA2006100937575A CN1881403A (zh) 2005-06-17 2006-06-19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612A KR100716288B1 (ko) 2005-06-17 2005-06-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323A KR20060132323A (ko) 2006-12-21
KR100716288B1 true KR100716288B1 (ko) 2007-05-09

Family

ID=3751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6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6288B1 (ko) 2005-06-17 2005-06-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81137B2 (ko)
KR (1) KR100716288B1 (ko)
CN (1) CN18814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87275S1 (en) * 2000-01-04 2004-03-02 Apple Computer, Inc. User interface for computer display
JP5219705B2 (ja) * 2008-09-12 2013-06-2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676113B2 (ja) * 2010-01-27 2015-02-2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EP3161581A1 (en) 2014-06-27 2017-05-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EP4439231A3 (en) 2014-07-21 2024-12-11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WO2016022204A1 (en) 2014-08-02 2016-02-11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CN106797415A (zh) 2014-09-02 2017-05-31 苹果公司 电话用户界面
EP3719644A1 (en) 2014-09-02 2020-10-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US10254948B2 (en) 2014-09-02 2019-04-09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WO2016144385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EP4327731A3 (en) 2015-08-20 2024-05-15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2175065B2 (en) 2016-06-10 2024-12-2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relocating one or more complications in a watch or clock interface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340778B2 (en) 2019-05-06 2022-05-24 Apple Inc.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0878782B1 (en) 2019-09-09 2020-12-29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EP4439263A3 (en) 2020-05-11 2024-10-1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DK202070624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2182373B2 (en) 2021-04-27 2024-12-31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20230236547A1 (en) 2022-01-24 2023-07-2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indicating ti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359B1 (ko) 1997-02-14 2001-01-15 윤종용 화면확대 포인트입력기능을 갖는 컴퓨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8377A (ja) 1986-12-12 1988-06-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522898B2 (ja) * 1992-09-08 1996-08-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動的カストマイズ方法及びグラフィックリソ―ス・エディタ
DE69432199T2 (de) * 1993-05-24 2004-01-08 Sun Microsystems, Inc., Mountain View Graphische Benutzerschnittstelle mit Verfahren zur Schnittstellebildung mit fernsteuernden Einrichtungen
JP2000116955A (ja) 1999-11-01 2000-04-25 Konami Co Ltd アイコン表示制御装置、コマンドの入力支援方法、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タ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
US5956035A (en) * 1997-05-15 1999-09-21 Sony Corporation Menu selection with menu stem and submenu size enlargement
JPH11110480A (ja) * 1997-07-25 1999-04-23 Kuraritec Corp テキストの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686918B1 (en) * 1997-08-01 2004-02-03 Avid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or modifying 3D animations in a non-linear editing environment
JP2000089877A (ja) 1998-09-16 2000-03-31 Ricoh Co Ltd 表示装置と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30025676A1 (en) * 2001-08-02 2003-0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nsor-based menu for a touch screen panel
US6907225B1 (en) * 2001-10-19 2005-06-14 Nokia, Inc. Selective media capture via a communication device
CA2387936A1 (en) * 2002-05-29 2003-11-29 Ibm Canada Limited-Ibm Canada Limitee Menu user interface with size differentiation between enabled and disabled menu items
US7594181B2 (en) * 2002-06-27 2009-09-22 Siebel Systems, Inc. Prototyp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US20040148591A1 (en) * 2003-01-23 2004-07-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automated application context delivery to transla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359B1 (ko) 1997-02-14 2001-01-15 윤종용 화면확대 포인트입력기능을 갖는 컴퓨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323A (ko) 2006-12-21
US20070006096A1 (en) 2007-01-04
CN1881403A (zh) 2006-12-20
US7681137B2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28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01015B1 (ko) 지시자 위치 제어 방법
KR1012822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01016B1 (ko) 온-스크린메뉴선택방법및그장치
KR2007006607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62544A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JP2005197991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10102465A (ja) Gui変更方法及び変更装置
KR20060114909A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7148783A (ja) コンピュータ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8145863A (ja) 表示制御装置
KR101371660B1 (ko) 가상 트랙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JP2008027196A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の表示設定方法
KR2007004333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JP2009080709A (ja) 情報表示装置の表示方法
KR1007639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97780B1 (ko) 키공유방법및동일기능공유방법
JPH10312187A (ja) 拡大縮小表示装置及び方法
KR101424970B1 (ko) 복수 개의 화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35426B1 (ko) 휴대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20110013997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70098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140492A (ja) 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247593B1 (ko) 오에스디 메뉴 선택방법
JP2018106766A (ja) 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5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