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6469B1 - Sliding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ing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469B1
KR100726469B1 KR1020050112419A KR20050112419A KR100726469B1 KR 100726469 B1 KR100726469 B1 KR 100726469B1 KR 1020050112419 A KR1020050112419 A KR 1020050112419A KR 20050112419 A KR20050112419 A KR 20050112419A KR 100726469 B1 KR100726469 B1 KR 10072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keypad
hinge
main body
slid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4433A (en
Inventor
김용재
이을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11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469B1/en
Publication of KR2007005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46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슬라이드형 단말기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부의 상향 이동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키패드부 및 슬라이드부에 의해 폐쇄되는 제2키패드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제1키패드부에 형성된 키버튼과 제2키패드부에 형성된 핫키와,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를 구비하며, 핫키는 슬라이드부가 좌우로 이동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크게 할 수 있다. A slide type terminal is disclosed. A main body having a slide having a display, a first keypa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moves upward, and a second keypad closed by the slide; a key button and a second keypad formed on the first keypad; A hot key formed in the unit and a slide hinge for allowing the slide unit to move left or right an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and the hot key has a variety of function keys that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unit moves left and right. In addition to this, the display provided in the slide unit can be enlarged.

슬라이드형, 키패드, 핫키 Sliding, Keypad, Hotkey

Description

슬라이드형 단말기{SLIDE TYPE MOBILE TERMINAL}SLIDE TYPE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lid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2.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상향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 unit is moved upward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를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 unit is moved to the left in the slide typ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A.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를 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슬라이드부를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 unit is moved to the left side without moving the slide unit up and down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slide-type terminal shown in FIG.

도 7은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guide member.

도 8은 슬라이드부가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상향 이동할 수 있는 본 발명 의 또 다른 실싱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lide unit may move upwar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좌측 상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 portion is moved upward left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Drawing>

31: 본체부 33: 제1키패드부31: main body portion 33: first keypad portion

35: 키패드 37: 제2키패드부35: keypad 37: second keypad portion

39: 핫키 41: 가이드홈39: Hotkey 41: Guideway

43: 제1방향 힌지부 45: 제2방향 힌지부43: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45: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51: 슬라이드부 53: 슬라이더 51: slide portion 53: slider

55: 헤드부 57: 디스플레이 55: head portion 57: display

63: 제1방향 힌지부 65: 제2방향 힌지부 63: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65: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67: 힌지부재 69: 제1방향 슬라이더 67: hinge member 69: first direction slider

71: 제2방향 슬라이더 75: 가이드 레일 71: second direction slider 75: guide rail

76: 슬라이더 77: 제1방향 힌지부 76: slider 77: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79: 제2방향 힌지부79: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type terminal.

무선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이 여러 분야의 제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여러 방면에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전화기에서도 적용되어 사용자들이 전화기를 휴대할 수 있게 되었고, 어느 장소에서나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라 함은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 포함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in various fields in various fields and provides convenience in various aspects. This wireless communication has also been applied to telephones, allowing users to carry the telephone and use the telephone anywhere. In general, a portable telephone i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 wireless transceiver included in a home wireless telephone as well as a mobile phone which is widely used recently.

휴대폰들은 외형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형, 폴더형(folder-type) 및 슬라이드형(sliding-type)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 및 슬라이드부(15)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각각의 파트에 디스플레이(17) 및 버튼(13)을 같은 방향을 향하는 방식의 핸드폰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전방의 슬라이드부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버튼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의 슬라이드부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본체부 전면에 형성된 키버튼을 노출 시킬 수 있는 핸드폰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키버튼이 형성된 전방의 슬라이드부를 아래로 이동시켜 후방의 슬라이드부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7)를 노출시킬 수 있는 핸드폰도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개방하기 편리하다는 점에 의해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mobile phones can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flip type, folder type and sliding type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r operation method. The sliding type mobile phones are shown in FIG. It means a cell phone in which the slide parts 15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display 17 and the button 13 are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on each part. In general, the sliding type mobile phone may expose the display unit or the key button hidden on the rear side by sliding the front slide unit relatively. For example, there is a mobile phone that can push up the front slide portion to expose the key button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ear.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lso a mobile phone that can expose the display 17 formed on the front of the rear slide unit by moving the front slide unit in which the key button is formed. Such slide-type terminals are widely used today because they are convenient to open a display.

그리고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기능이 휴대용 전화기, PDA 또는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됨에 따라 더욱 큰 디스플레이 및 다양한 기능키를 구비한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을 시청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장시간 시청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가 더욱 커지게 되었다. As functions such as a camera and a camcorder are mount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a PDA, or a portable computer, a terminal having a larger display and various function keys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atch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has become more demanded because it needs to watch the display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기능 버튼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e-type terminal that can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function buttons.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type terminal that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provided in the slide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부의 상향 이동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키패드부 및 슬라이드부에 의해 폐쇄되는 제2키패드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제1키패드부에 형성된 키버튼과 제2키패드부에 형성된 핫키와,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를 구비하며, 핫키는 슬라이드부가 좌우로 이동할 때 외부로 노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slide unit having a display, a first keypad uni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unit is moved upward, and a second keypad unit closed by the slide unit; A key button formed on the first keypad portion, a hot key formed on the second keypad portion, and a slide hinge that allows the slide portion to move left or right an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Is expos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힌지는 슬라이드부 또는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부와, 슬라이드부 또는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제1 힌지부를 가이드하는 제2 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힌지부는 가이드홈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이고, 제2 힌지부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 레일일 수 있다.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slide hinge may include a first hinge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slide part or the main body part, and a second hinge part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lide part or the main body part and guiding the first hinge part. Specifically, the first hinge portion may be a slid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may be a guide groove or a guide rail.

그리고 제2 힌지부는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방향 힌지부와, 제1방향 힌지부의 적어도 일 단부에 형성되며 제1방향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2방향 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방향 힌지부는 제1방향 힌지부에 대해 좌우로 연장되거나, 제2방향 힌지부는 제1방향 힌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제1 힌지부는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에 대해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2방향 힌지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hinge part may include a first direction hinge par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and a second direction hinge part formed at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direction hinge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hinge part. Further, the second directional hinge portion extends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al hinge portion, or the second directional hinge portion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al hinge portion, and the first hinge portion is in a closed state or an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It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hinge when in the.

키버튼은 슬라이드부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노출될 때와 슬라이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노출될 때의 기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핫키는 제1방향 힌지부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방향 힌지부의 좌우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key button may have a different function when the slide unit is exposed when the slide unit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when the slide unit is exposed when the slide uni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tkey may be formed outside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and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슬라이드 힌지는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제1방향 힌지부와,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제1방향 힌지부와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제2방향 힌지부와, 제1방향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방향 슬라이더 및 제2방향 슬라이더를 가지며 슬라이드부를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사각은 약 90ㅀ일 수 있다. 그리고 키버튼은 슬라이드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 시 상이한 기능을 갖을 수 있다.The slide hinge has a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It may include a hinge member having a first direction slider and a second direction slider that is slidably inserted therein and slidably couples the slide portion to the main body.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about 90 °. The key button may have a different function when moving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lide 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와, 제1키패드부 및 제1키패드부에 연해서 형성된 제2키패드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제1키패드부에 형성된 키버튼과 제2키패드부에 형성된 핫키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slide having a display, a first keypad and a second keypad 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keypad, and a key button formed in the first keypad. And a hot key formed on the second keypad portion,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를 구비하며, 기 핫키 및 키버튼은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The slide unit includes a slide hinge that allows the slide unit to slide up and down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the hotkeys and key buttons ar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movement of the slide uni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힌지는 본체부 또는 슬라이드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본체부 또는 슬라이드부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된 제2 힌지부와, 체부 또는 슬라이드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제2 힌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slide hing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or the slide portion an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or the slide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or the slide portion, and is movable on the second hinge portion. It may have a first hinge portion to be inserted.

제2 힌지부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 레일이고 제1힌지부는 가이드홈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The second hinge portion may be a guide groove or a guide rail and the first hinge portion may be a slid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re duplicated there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키패드(35)와 핫키(39)를 구비하는 본체부(31), 가이드홈(41) 및 슬라이더(53)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힌지에 의해 본체부(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부 (51)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부(31)의 일면은 키패드(35)가 형성된 제1키패드부(33)와 핫키(39)가 형성된 제2키패드부(3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키패드부(37)에는 제1힌지부로서 한 쌍의 가이드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41)에는 제2힌지부인 슬라이더(53)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Referring to FIG. 2, a slide 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 hinge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31 having a keypad 35 and a hotkey 39, a guide groove 41, and a slider 53. It includes a slide portion 51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31 by.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includes a first keypad portion 33 having a keypad 35 and a second keypad portion 37 having a hot key 39 formed thereon. A pair of guide grooves 41 are formed in the second keypad portion 37 as a first hinge portion, and the slider 53, which is a second hing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 so as to be movable.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슬라이드부(51)가 본체부(31)에 대해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핫키(39)가 형성된 제2키패드부(37)의 노출이 가능하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2키패드부(37)에 핫키(39)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 버튼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51)의 상면에 구비되는 기능 버튼의 기능을 핫키가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57, 도 4a 참조)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In the slide 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slide unit 51 may move not only in the up-down direction but also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31, the second keypad part 37 having the hotkey 39 formed therein may be us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herefore, since the hot key 39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econd keypad unit 37, the second keypad unit 37 may have various function buttons. In addition, since the hotkey can absorb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51, the size of the display 57 (see FIG. 4A) can be further increased.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31)의 일면에는 제1키패드부(33) 및 제2키패드부(37)가 구비되어 있다. 제1키패드부(3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1)가 상향 이동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며, 제1키패드부(33)에는 키패드(35)가 구비되어 있다. 제2키패드부(37)는 제1키패드부(33)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1)가 상부로 이동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슬라이드부(51)에 의해 폐쇄된다. 제2키패드부(37)에는 핫키(39)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first keypad part 33 and a second keypad part 37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31. As shown in FIG. 4A, the first keypad part 33 is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part 51 moves upward, and the keypad 35 is provided on the first keypad part 33. . The second keypad portion 37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keypad portion 33, as shown in Figure 4a, even if the slide portion 51 moves to the upper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lide unit 51 Closed by). The hot key 39 is formed in the second keypad portion 37.

키패드(35)는 단말기의 통화, 문자 메시지 작성 및 전송 등과 같은 일반적 인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드부(51)를 상향 이동하여 키패드(35)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키패드(35)는 슬라이드부(51)가 상향 이동하는 경우 원래와는 다른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드부(5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본래와는 상이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The keypad 35 performs general functions such as call, text messag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transmit a call or a text message by using the terminal, the user may move the slide 51 to use the keypad 35. In addition, the keypad 35 may have a different function from the original when the slide unit 51 moves upward, and may have a func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ven when the slide unit 51 moves to the left or right side. Can be.

핫키(39)는 제2키패드부(37)에 형성되어, 슬라이드부(51)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시 외부로 노출된다. 핫키(39)는 키패드(35)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핫키(39)는 동영상의 재생, 정지 또는 빨리감기/돼감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위성 통신의 수신, 인터넷 연결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 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핫키(39)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1)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1)의 상향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각각 상이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와 같은 경우 핫키(39)는 음악 파일의 재생, 정지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4c의 경우에는 모바일 게임(mobile game)의 조작 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hot key 39 is formed in the second keypad portion 37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portion 51 mov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he hotkey 39 may perform a different function than the keypad 35. For example, the hotkey 39 may perform a function such as playing, stopping, or fast forwarding / reversing a video. It can also perform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receiving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connecting to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hot key 39 moves from side to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slide unit 51 moves upward as shown in FIG. 4B, and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upward movement of the slide unit 51 as shown in FIG. 4C. When moving from side to side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4B, the hot key 39 may perform a function such as playing or stopping a music file. In the case of FIG. 4C, the hot key 39 may perform a function of an operation key of a mobile game. .

핫키(39)의 위치는 본체부(31)에 형성된 가이드홈(41)의 외측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핫키(39)의 개수는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핫키(39)는 종래의 슬라이드부 상에 디스플레이와 함께 형성된 키 버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부 상에 더욱 큰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The position of the hot key 39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guide groove 41 formed in the main body 31. The number of hot keys 39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Therefore, since the hot key 39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key button formed together with the display on the conventional slide por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larger display on the slide portion.

슬라이드부(51)는 본체부(31)와 슬라이드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부(31)에 대해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슬라이드부(51)의 상면에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57)가 구비되어 있다. The slide unit 51 is coupled by the main body 31 and the slide hinge, and can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well as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unit 51, as shown in Figs. 4A to 4C, a display 57 for displaying various screens is provided.

슬라이드부(51)가 본체부(31)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는 본체부(31)의 일면에 형성된 제2힌지부인 가이드홈(41) 및 가이드홈(41)에 삽입되는 제1힌지부인 슬라이더(53)를 포함한다. The slide hinge for allowing the slide portion 51 to move up and down an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31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 and the guide groove 41, which are second hinge portion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a slider 53 which is a first hinge portion.

슬라이더(53)는 슬라이드부(51)의 하면에 좌우 한 쌍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5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홈(41)은 "工"형상을 가지고 제2키패드부(37)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41)은 본체부(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방향 힌지부(43), 제1방향 힌지부(43)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2방향 힌지부(45)를 구비한다. The slider 53 has a left and right pair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51, and as shown in FIG. 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slide 51. The guide groove 41 has a "engineering" shape and is formed in the second keypad portion 37. The guide groove 41 includes a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43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s 45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43.

제1방향 힌지부(43)는 본체부(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3)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다. 제1방향 힌지부(43)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53)는 슬라이드부(51)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2방향 힌지부(45)는 제1방향 힌지부(43)의 양 단부에 형성된 홈이다. 제2방향 힌지부(45)는 제1방향 힌지부(43)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1방향 힌지부(43)를 따라 이동한 슬라이더(53)는 제2방향 힌지부(45)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방향 힌지부(45)는 제1방향 힌지부(43)의 일 단부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좌측 또는 우측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4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has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er 53, as shown in FIG. The slider 53 mov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43 enabl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portion 5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al hinges 45 are groov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al hinge 43. Since the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45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43, the slider 53 moved along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43 moves to the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45. It becomes possible. The second direction hinge part 45 may be formed symmetrically at one end of the first direction hinge part 43, but may be formed only at one side of the left or right side.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더(53)는 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슬라이더(53)의 형상은 가이드홈(4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슬라이더(53)는 헤드부(55)를 구비하여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에, 슬라이드부(51)가 본체부(31)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lider 5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 to perform a sliding motion. The shape of the slider 5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41. And since the slider 53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55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guide groove 41, the slide 5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31.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부(51)가 슬라이더(53)를 구비하고 본체부(31)가 가이드홈(41)을 구비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단말기는 슬라이드부(51)가 가이드홈(41)을 구비하고 본체부(31)가 슬라이더(53)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e unit 51 is provided with a slider 53 and the body unit 31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4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lid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e The part 51 may be provided with the guide groove 41 and the main body part 31 may be provided with the slider 53.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sli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일반적인 통화, 문자 메시지의 전달 등을 위해 슬라이드부(51)를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53)는 제2방향 힌지부(45)에서 제1방향 힌지부(43)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2방향 힌지부(45)에 위치한다. 슬라이드부(51)의 상향 이동에 의해 제1키패드부(33)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로 인해 키패드(35)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키패드부(35)는 슬라이드부(51)의 상향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슬라이드부(51)에 의해 밀폐된다. Referring to FIG. 4A, the user moves the slide unit 51 upward for a general call, a text message, and the lik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lider 53 is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hinge part 45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hinge part 43 from the second direction hinge part 45. The first keypad part 33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slide part 51, thereby enabling the use of the keypad 35. The second keypad part 35 is sealed by the slide part 51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slide part 51.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슬라이드부(5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면 슬라이드부(51)가 이에 연동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53)는 제2방향 힌지부(45)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부(5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키패드부(37)에 위치한 핫키(39)가 노출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부(5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핫키(39)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5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원래와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키패드(35)를 이용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user pushes the slide 51 to the left or the right, the slide 51 mov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 51.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lider 53 moves left or right along the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45. The hot key 39 located in the second keypad portion 37 is exposed by moving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lide portion 51. Therefore, the hot key 39 can be used by moving the slide part 51 to the left or the right. In addition, the keypad 35 having a func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ay be used by moving the slide portion 51 to the left or the right.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슬라이드부(51)를 상향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핫키(39) 및 키패드(35)의 일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의 재생 또는 위성 방송의 수신 시 핫키(39) 또는 키패드(35)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슬라이드부(51)를 간단하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핫키(39) 또는 키패드(35)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the user may move to the left or the right side without using the slide unit 51 to move the hot key 39 and a part of the keypad 35.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hotkey 39 or the keypad 35 when playing a video 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the hotkey 39 or the keypad 35 by simply moving the slide 51 to the left or the right. Some of can be u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도 5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제1힌지부가 슬라이더(76)이고 제2힌지부가 가이드 레일(75)이다. 슬라이더(76)는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53)와 동일하게 가이드 레일(75)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75)은 본체부(3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본체부(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방향 힌지부(77) 및 제1방향 힌지부(77)의 양 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2방향 힌지부(79)를 구비한다. 5 to 6,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inge portion is a slider 76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is a guide rail 75. The slider 76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75 similarly to the slider 5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rails 75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77 and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77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a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79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방향 힌지부(77)에 삽입된 슬라이더(76)는 슬라이드부(51)의 상하 방향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1방향 힌지부(77)의 외측에는 좌우 대칭으로 핫키(3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방향 힌지부(79)는 제1방향 힌지부(77)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 형성되어 슬라이드부(51)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2방향 힌지부(79)이 제1방향 힌지부(77)의 양 단부에 형성된 경우, 슬라이더(76)는 슬라이드부(51)가 본체부(31)가 폐쇄 또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위치하게 된다. 제2방향 힌지부(79)는 제1방향 힌지부(77)에서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51)는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The slider 76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77 enabl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portion 51. On the outside of the first directional hinge portion 77, a hot key 39 is provided symmetrically. The second directional hinge portion 79 is form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al hinge portion 77 to allow the slide portion 51 to mov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the second directional hinge 79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al hinge 77, the slider 76 is positioned so that the slide 51 is positioned when the main body 31 is in the closed or open state. do. The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79 may extend only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from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77. At this time, the slide unit 51 may move only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제1키패드부(33) 및 제2키패드부(37)를 구비한 본체부(31) 및 디스플레이(미도시)를 구비한 슬라이드부(51)를 포함한다. 제1키패드부(33) 및 제2키패드부(37)에는 키패드(35) 및 핫키(39)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51)의 하면에는 홈 형상의 제2방향 힌지부(65)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31)의 상면에는 제2방향 힌지부(65)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홈 형상의 제1방향 힌지부(63)가 구비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제1방향 힌지부(63) 및 제2방향 힌지부(65)가 각각 90ㅀ의 각도를 갖는다. 또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슬라이드부(51)가 본체부(31)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힌지부재(67)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7,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31 having a first keypad portion 33 and a second keypad portion 37 and a display (not shown). One slide part 51 is included. The first keypad 33 and the second keypad 37 are provided with a keypad 35 and a hot key 39, respectively. A groove-shaped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65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51, and a groove-shaped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65 has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6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63 is provided. In FIG. 7,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63 and the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65 each have an angle of 90 °. In addition, the slide-typ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hinge member 67 to allow the slide unit 51 is mov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31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힌지부재(67)는 본체부(31)와 슬라이드부(51)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드부(51)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면 및 하면에는 제1방향 슬라이더(69) 및 제2방향 슬라이더(71, 점선표시)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제1방향 슬라이더(69) 및 제2방향 슬라이더(71)는 각각 제1방향 힌지부(63) 및 제2방향 힌지부(6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1방향 슬라이더(69)는 제2방향 힌지부(65)와 결합하여 슬라이드부(51)의 좌우측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2방향 슬라이더(71)는 제1방향 힌지부(63)와 결합하여 슬라이드부(51)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The hinge member 67 is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the slide portion 51 to allow the slide portion 51 to move up and down an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rst direction slider 69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second direction slider 71 (dotted line display), respectively. The first direction slider 69 and the second direction slider 71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63 and the second direction hinge portion 65, respectively. Thus, the first directional slider 69 engages with the second directional hinge 65 to allow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lide 51. In addition, the second direction slider 71 is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 hinge portion 63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portion 51.

따라서, 사용자는 제1키패드부(33)에 구비된 키패드(35)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슬라이드부(5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키패드(35)의 일부 또는 전부 그리고 핫키(39)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부(51)를 상향 이동한 경우 슬라이드부(51)를 좌우측으로 이동하면 키패드(35)의 전부 및 핫키(39)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51)를 상향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드부(51)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면 키패드(35)의 일부 및 핫키(39)를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keypad 35 provided in the first keypad unit 33, the user moves the slide unit 51 to the left or right to move some or all of the keypad 35 and the hotkey 39. Can be used. That is, when the slide unit 51 is moved upward, when the slide unit 51 is moved left and right, all of the keypad 35 and the hot key 39 can be exposed and used, and the slide unit 51 is not moved upward. When the slide unit 51 is moved left and right in the state, a portion of the keypad 35 and a hot key 39 can be u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본체부(3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된 제2힌지부인 가이드홈(41) 및 가이드홈(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힌지부인 슬라이더(53)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부(31)의 일면에는 키패드(35)를 구비하는 제1키패드부(33)와 핫키(39)를 구비하는 제2키패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de groove 41 and a guide groove 41, which are second hinge portion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a slider 53 which is a first hinge portion inserted slidably. In addition, a first keypad 33 having a keypad 35 and a second keypad 37 having a hot key 39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31.

핫키(39)는 가이드홈(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부(51)의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키패드(35) 및 핫키(39)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1)를 우측 상향 이동하여 키패드(35) 및 핫키(39)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e hot key 39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4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movement of the slide portion 51.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keypad 35 and the hot key 39, as shown in FIG. 7, the user can move the keypad 35 and the hot key 39 by moving the slide unit 51 to the right upward.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도 7에서 제1힌지부가 슬라이더이고 제2힌지부가 가이드 레일(도 5의 75 참조)일 수 있다.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the first hinge portion may be a slider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may be a guide rail (see 75 of FIG. 5).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s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본 발명은 기능 버튼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lide-type terminal that can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function buttons.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lide-type terminal that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provided in the slide unit.

Claims (1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와;A slide unit having a display;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향 이동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키패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폐쇄되는 제2키패드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A main body part including a first keypad par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part moves upward and a second keypad part closed by the slide part; 상기 제1키패드부에 형성된 키버튼과 상기 제2키패드부에 형성된 핫키와;A key button formed on the first keypad portion and a hot key formed on the second keypad portion;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를 구비하며,It has a slide hinge for allowing the slide portion to move in the left or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핫키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좌우로 이동할 때 외부로 노출되고,The hotkey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unit moves left and right, 상기 키버튼은 상기 슬라이드부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노출될 때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노출될 때의 기능이 서로 상이한 슬라이드형 단말기.And the key button has a different function when the slide unit is exposed when the slide unit move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when the slide unit is exposed when the slide unit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와;A slide unit having a display;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향 이동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키패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폐쇄되는 제2키패드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A main body part including a first keypad par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part moves upward and a second keypad part closed by the slide part; 상기 제1키패드부에 형성된 키버튼과 상기 제2키패드부에 형성된 핫키와;A key button formed on the first keypad portion and a hot key formed on the second keypad portion;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를 구비하며,It has a slide hinge for allowing the slide portion to move in the left or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핫키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좌우로 이동할 때 외부로 노출되고,The hotkey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unit moves left and right, 상기 키버튼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 시 상이한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The key button is a slide type terminal having a different function when moving to the left or right of the slid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112419A 2005-11-23 2005-11-23 Sliding Terminal Expired - Fee Related KR1007264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19A KR100726469B1 (en) 2005-11-23 2005-11-23 Sliding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19A KR100726469B1 (en) 2005-11-23 2005-11-23 Sliding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433A KR20070054433A (en) 2007-05-29
KR100726469B1 true KR100726469B1 (en) 2007-06-11

Family

ID=3827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4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6469B1 (en) 2005-11-23 2005-11-23 Sliding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4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43B1 (en) 2006-09-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slidin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0361B (en) * 2018-06-29 2022-0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Skateboard hinges and mobile terminal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895A (en) * 2004-05-0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31097A (en) *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팬택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32296A (en) * 2004-10-12 2006-04-17 조영길 Sliding Cell Phone
KR20060040386A (en) * 2004-11-05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display device
KR20060042196A (en) * 2004-10-13 2006-05-12 주식회사 테우스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p, down, left and right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895A (en) * 2004-05-0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31097A (en) *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팬택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32296A (en) * 2004-10-12 2006-04-17 조영길 Sliding Cell Phone
KR20060042196A (en) * 2004-10-13 2006-05-12 주식회사 테우스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p, down, left and right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same
KR20060040386A (en) * 2004-11-05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43B1 (en) 2006-09-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slid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433A (en) 200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7813776B2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21337B1 (en) Side sliding electronics
KR100810263B1 (en)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module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reof
US7567830B2 (en) Rotating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50712B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JP3796222B2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395100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keys moved up/down by rotation
KR100800843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sliding module
US7853301B2 (en)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780158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810763B1 (en) Sliding Terminal
KR100726469B1 (en) Sliding Terminal
KR100664169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079430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ing in four directions
KR100648643B1 (en) Sliding Terminal
US20090075707A1 (en) Portable slide terminal opened in a bar shape
KR100803457B1 (en) Sliding module of dual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5811B1 (en)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KR100719002B1 (en) Bidirectional Multislide Handheld Terminal
KR20060031097A (e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2910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20070002598A (en) Sliding personal mobile device
KR101177770B1 (en)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44133B1 (en) Handheld terminal with split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6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