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555B1 -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7555B1 KR100737555B1 KR1020000087563A KR20000087563A KR100737555B1 KR 100737555 B1 KR100737555 B1 KR 100737555B1 KR 1020000087563 A KR1020000087563 A KR 1020000087563A KR 20000087563 A KR20000087563 A KR 20000087563A KR 100737555 B1 KR100737555 B1 KR 100737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output
- error
- leakage
- gen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에 적응 간섭 제어기를 구현하여, 송수신간의 격리도 성능을 향상시키고 잡음 지수(Noise Figure)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기지국의 선형 전력 증폭기 시스템(Linear Power Amplifier System)에서 사용되는 피드백(Feedback) 원리를 변형하여 이용함으로써, 잡음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잡음 신호를 궤환시켜 상쇄시키고, 단말기의 고주파 초단(RF Front End)에서의 고가인 듀플렉서를 대체함으로써,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 상에서의 공간확보에 대한 효율성 및 부품 배치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an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ler in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a terminal to improve isolation performance between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o improve a nois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power of a base station. By modifying the feedback principle used in the linear power amplifier system,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more effectively, and to cancel and cancel the noise signal, and at the RF front end of the terminal. By replacing expensive duplexer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curing space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ease of component placement.
듀플렉서, 기지국, 전력 증폭기, 피드백(Feed back), PCB, 적응 간섭 제어기, 잡음 지수(Noise Figure)Duplexer, Base Station, Power Amplifier, Feed Back, PCB,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ler, Noise Figur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고주파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igh frequency processing apparatus of a base station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 간섭 제어 장치의 동작 구성도이며,2 is an opera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의한 신호 생성기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밴드 패스 필터(BPF)200 ..... Band Pass Filter (BPF)
300 ..... 신호 생성기(Signal Conditioner)300 ..... Signal Conditioner
310, 330 ..... 제1 및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310, 330 ..... First and second hybrid coupler
321, 322 ..... 제1 및 제2 가변 감쇄기(Attenuator)321, 322 ..... First and second variable attenuators
400 ..... 에러신호 발생기400 ..... Error signal generator
500 ..... 동기 검출기(Synchronous Detector)500 ..... Synchronous Detector
600 ..... 제어기(Controller)
600 ..... Controller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적응 간섭 제어기를 구비함으로써, 송수신간 격리도 성능을 향상시키고 잡음 지수(Noise Figure)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에 사용되는 피드백(Feedback) 원리를 변형하여 적용하고, 단말기에서 고주파 수신단(RF Front End)의 듀플렉서를 잡음 신호를 궤환시켜 상쇄시킬 수 있는 제어 장치로 대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잡음 제거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 상에서의 공간확보에 대한 효율성 및 부품 배치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capable of improving isolation performance between transmitters and receivers and improving noise figure performance by providing an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ler in a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back principle used in a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efficient noise canceller by changing and applying it and replacing the duplexer of the RF front end with a control device that can cancel and cancel the noise signal.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pace clearance in the () and ease of component placement.
상기에서 잡음 지수(Noise Figure)라 함은, 신호를 증폭기로 증폭할 때, 입/출력 사이에서의 신호대 잡음(S/N)비가 저하하는 비율을 말하며, 수치는 작을수록 좋다. 단위는 dB(데시벨)을 사용하고, 이상적(理想的)으로는 0dB(1배 : 저하 없음)이며, 잡음 지수(NF)는 "(입력 신호의 S/N) - (출력 신호의 S/N)"(단위 dB)로 표시된다.The noise figure refers to the ratio of the signal-to-noise (S / N) ratio between the input and the output when the signal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the smaller the value. The unit uses dB (decibels), ideally 0 dB (1 times: no degradation), and the noise figure (NF) is "(S / N of input signal)-(S / N of output signal). ) "(In dB).
일반적으로, 휴대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듀플렉서(Duplexer)는 안테나의 바로 뒷단에 장착되어, 송/수신 상황에 따라 안테나를 송신회로 또는 수신회로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듀플렉서는 일종의 필터로써, 송신시에는 송신회로로부터 특정 주파수 밴드만을 추출하여 안테나로 통과시키고, 수신시에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 밴드만을 추출하여 수신회로 로 통과시키는, 즉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분리하여 하나의 안테나로 송/수신 가능케 한다.In general, a duplexer (Duplexer) used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directly behind the antenna, and selectively connects the antenna to a transmitting circuit or a receiving circuit according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situation. The duplexer is a kind of filter that, when transmitting, extracts only a specific frequency band from the transmitting circuit and passes through the antenna, and when receiving, extracts only a specific frequency band from various frequencies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circuit. It separates the receiving frequency from the receiving antenna and makes it possible to transmit / receive with one antenna.
이러한 듀플렉서는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약칭함), 수신부의 수신 단자와 공진기(Resonator) 및 커패시터(Capacitor), 송신부의 송신 단자와 공진기 및 인덕터(Inductor), 안테나 단자 등으로 구성된다.The duplexer is a patterned printed circuit board (abbreviated as "PCB"),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resonator (Resonator) and capacitor (Capacitor) of the receiver,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sonator (Inductor), Antenna terminals and the like.
상기에서, 공진기(Resonator)라 함은, 공명 또는 공진을 이용하여 음의 방사를 증가시키고 음 또는 진동을 흡수하며, 주파수 분석 등에 이용하는 장치, 또는 어떤 주파수의 전기 진동으로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공진하는 전기 회로 소자를 말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resonator is a device that increases resonance of a sound by using resonance or resonance, absorbs sound or vibration, and uses the device for frequency analysis or the like which resonates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electric vibration of a certain frequency. Refers to a circuit element.
이와 같은 듀플렉서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고주파 처리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high frequency processing apparatus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uch a duplexer as follows.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고주파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igh frequency processing apparatus of a base station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여기서, 참조부호 101은 송신 신호를 고주파수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업 컨버터이고, 102는 상기 업 컨버터(101)에 의해 상향 변환된 고주파수를 가변적으로 감쇄시키는 가변 감쇄기이며, 103은 상기 가변 감쇄기(103)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를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이고, 104는 상기 전력 증폭기(103)의 출력 신호는 안테나 측으로 경로를 설정해주고, 상기 안테나 측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수신측으로 경로를 설정해주는 듀플렉서(104)이며, 105는 상기 듀플렉서(104)를 통한 송 신 신호를 안테나 측에 연결해주고 동시에 송신 주파수의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궤환시키는 커플러이고, 106은 상기 커플러(105)에서 궤환되는 송신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는 송신레벨 검출기이다.Here,
또한, 참조부호 107은 상기 송신레벨 검출기(106)에서 검출되는 송신 파워를 메인 기지국 측으로 전송하고 그 메인 기지국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변 감쇄기(102) 및 전력 증폭기(103)를 제어하는 제1 모뎀이며, 108은 상기 듀플렉서(104)를 통한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이고, 109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108)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모뎀(10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고, 메인 기지국에서 전달되는 주파수는 수신 신호와 제어신호로 분리해주는 제1 다이플렉서이다.Further,
또한, 참조부호 110은 상기 제1 다이플렉서(109)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 신호와 검출 신호로 분리하고, 메인 모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 다이플렉서(109)측으로 전송해주는 제2 다이플렉서이며, 111은 상기 제2 다이플렉서(110)에서 얻어지는 검출 신호를 기지국 관리부로 전달해주고, 그 기지국 관리부에서 얻어지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다이플렉서(110)로 전달해주는 제2 모뎀이고, 112는 상기 제2 다이플렉서(110)에서 얻어지는 수신신호를 전력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이며, 113, 114는 상기 전력 분배기(112)에서 분배된 수신 신호를 각각 중간주파수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제1 및 제2 다운 컨버터이다.In addition,
여기서, 상기 가변 감쇄기(102), 고전력 증폭기(103), 듀플렉서(104), 커플러(105), 송신레벨 검출기(106), 제1 모뎀(107), 저잡음 증폭기(108), 제1 다이플 렉서(109)는 실제 하나의 보드에 구현되며, 이를 통합하여 고주파 프론트-엔드(RF Front End) 블럭이라 칭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기지국의 고주파 처리 장치는, 크게 고주파 송신 과정, 제어(가변 감쇄기 및 고전력 증폭기) 처리 과정, 송신레벨 검출과정으로 운영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각 과정을 분리하여 설명한다.The high frequency processing apparatus of the base st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largely operated by a high frequency transmission process, a control (variable attenuator and a high power amplifier) process, and a transmission level detection process. Hereinafter, each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먼저, 고주파 송신 과정을 살펴보면, 송신 신호는 업 컨버터(101)에서 고주파수로 상향 변환되고, 가변 감쇄기(102)에서 설정된 감쇄 레벨에 따라 감쇄된 후 고전력 증폭기(103)에서 전력 증폭된다. 이렇게 전력 증폭된 송신 신호는 듀플렉서(104)를 통해 송신 경로로 연결되며, 방향성 결합기인 커플러(105)를 통해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다.First, referring to the high frequency transmission process, the transmission signal is up-converted to the high frequency in the up
다음으로, 송신레벨 검출 과정을 살펴보면, 기지국 관리부(BSM)에서 송신레벨 검출 명령이 하달되면, 제2 모뎀(111)은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다이플렉서(110)에 전달한다. 상기 제2 다이플렉서(110)는 전달되는 제어 명령을 제1 다이플렉서(109)로 전달해주고, 제1 다이플렉서(109)는 이를 제1 모뎀(107)에 전달해준다. 이때 송신레벨 검출기(106)는 커플러(105)에서 얻어지는 송신 레벨을 검출하여 제1 모뎀(107)에 전달하게 되며, 제1 모뎀(107)은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다이플렉서(109)에 전달한다. 제1 다이플렉서(109)는 이 송신레벨 검출신호와 수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2 다이플렉서(110)에 전달하게 되며, 제2 다이플렉서(110)는 수신 신호와 송신레벨 검출신호를 분배하게 되고, 그 분배한 수신 신호는 전력 분배기(112)로 전달하고, 송신레벨 검출신호는 제2 모뎀(111)에 전달 한다. 제2 모뎀(111)은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위 블럭인 기지국 관리부(BSM)에 전달하게 된다.Next, referring to the transmission level detection process, when the transmission level detection command is issued by the base station manager BSM, the
다음으로, 제어(가변 감쇄기 및 고전력 증폭기)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ontrol (variable attenuator and high power amplifier) processing process is as follows.
먼저 가변 감쇄기(102)의 제어는, 상기와 같이 기지국 관리부(BSM)에서 송신레벨을 분석한 후 그 제어값을 상기 제2 모뎀(111)에 전달한다. 제2 모뎀(111)은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을 하여 상기 제2 다이플렉서(110)에 전달한다. 제2 다이플렉서(110)는 그 전달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제1 다이플렉서(109)에 전달하게 되며, 제1 다이플렉서(109)는 이를 제1 모뎀(107)에 전달한다. 제1 모뎀(107)은 그 전달되는 제어 명령값에 따라 가변 감쇄기(102)의 감쇄값을 설정해 줌으로써, 가변 감쇄기(102)의 제어가 이루어진다.First, the control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운용되는 종래의 기지국 장치는 고주파수(RF)를 처리하는 각 모듈별로 분리되어 구현되므로, 장치의 사이즈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apparatu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separately for each module that processes high frequency (RF), it has a disadvantage of occupying a large size of the apparatus.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용 듀플렉서는 송/수신부의 공진기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이들 공진기 사이의 주파수 간섭에 따른 커플링 현상을 발생시킨다. 즉, 송/수신 주파수 밴드 말단에 이상 주파수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듀플렉서의 필터 특성이 떨어지며,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용 듀플렉서는 송/수신부의 공진기가 일렬로 연결되어 PCB의 일면에 부착되므로 휴대 통신 단말기의 주 PCB 상에서의 공간 확보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부품의 사이즈 역시 커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duplexer for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a coupling phenomenon due to frequency interference between the resonators of the transmitter / receiver. That is, an abnormal frequency is generated at the end of the transmit / receive frequency band, thereby degrading the filter characteristics of the duplexer, and the duplexer for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CB by connecting the resonators of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in a line.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securing space on the main PCB is reduced, which causes the size of the component to increas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잡음성 신호를 궤환시켜 상쇄시키고, 듀플렉서보다 삽입 손실의 성능이 우수한 수신 대역 필터를 사용하여 삽입 손실을 줄이고, 잡음 지수(Noise Figure)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적응 간섭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insertion loss and improve the noise figure by using a reception band filter having a better insertion loss performance than the duplexer by canceling and canceling a noisy signal. An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apparatus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전력 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누설(Leakage) 신호와 동일한 진폭과 위상으로 변화시키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누설 신호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갖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생성기(Signal Conditioner)와,A signal conditioner for changing a transmission signal output through the power amplifier to the same amplitude and phase as the leakage signal and generating a signal having the same amplitude and phase as the leakage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상기 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신호와 수신 신호를 감산하고, 그 차신호를 에러 신호로 출력하는 에러신호 발생기와,An error signal generator for subtracting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and the received signal and outputting the difference signal as an error signal;
상기 에러신호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에러 신호와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혼합하여 누설 신호 제거 값을 검출하는 동기 검출기(Synchronous Detector)와,A synchronous detector for detecting a leakage signal cancellation value by mixing an error signal output from the error signal generator and a reference signal corresponding to a transmission signal;
상기 동기 검출기에서 출력된 누설 신호 제거 값을 증폭 및 재처리하여 상기 신호 생성기에 누설 신호 제거 신호를 전달해주는 제어기(Controller)로 구성된 것을 장치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fer th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signal to the signal generator by amplifying and reprocessing th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value output from the synchronization detector.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적응 간섭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 간섭 제어 장치의 동작 구성도이다.2 is an opera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대역폭으로 출력하는 밴드 패스 필터(BPF)(200)와, 송신 신호를 누설 신호와 동일한 진폭과 위상으로 변화시키는 신호 생성기(300)와, 상기 신호 생성기(300)에서 생성된 신호와 수신 신호를 감산하여 에러 신호로 출력하는 에러신호 발생기(400)와, 상기 누설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추적하여 상기 신호 생성기(300)를 제어하는 동기 검출기(500)와, 상기 동기 검출기(5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60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rein,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signal, a band pass filter (BPF) 200 for receiving the reception signal from the antenna and outputting the signal at a specific bandwidth, and changing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same amplitude and phase as the leakage signal
여기서, 전력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수신 경로로 누설되면 수신기상의 저잡음 증폭기(미도시)에서 비선형 특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수신기 경로에서 루프(Loop)를 형성했을 때, 루프 이득(Loop Gain)이 "1" 이하로 되게 하고, 동위상 상태로 증폭기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설계를 한다. 즉, 동위상으로 발생되는 잡음은 루프를 궤환시킴으로써 그 진폭을 줄인다.In this case, when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power amplifier (not shown) leaks into the reception path, a non-noise characteristic may occur in the low noise amplifier (not shown) on the receiver. Thus, when a loop is formed in the receiver path, the loop gain ( Loop Gain) is set to "1" or less, and is designed so that it does not enter the amplifier in phase. In other words, noise generated in phase reduces its amplitude by feedback to the loop.
또한, 상기 누설 신호는 진폭과 위상이 항상 변할 수 있으므로 카운터(Counter)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추적(Tracking) 기능을 수행한 후 로킹(Locking, 부호 확장 문자에 대하여, 다음 차례의 정해진 부호 확장 문자가 나타날 때까지, 이 문자에 이어지는 모든 부호화 표현, 또는 표현의 해석을 변경하는 성질을 갖는 것)의 기능이 수행 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leakage signal may always change in amplitude and phase, after the tracking function is performed while generating a counter signal, the next fixed sign extension character appears for the locking (sign extension) character. Until all of the encoded representations following this character, or of varying interpretation of the representation, are perform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응 간섭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상기 신호 생성기(Signal Conditioner)(300)는 전력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누설(Leakage) 신호와 동일한 진폭과 위상으로 변화시키고, 즉 누설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생성하고, 동기 검출기(Synchronous Detector)(500)에서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항상 누설 신호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다음으로 에러신호 발생기(400)에서는 상기 신호 생성기(300)에서 생성된 신호와 수신 신호를 감산하여, 그 차신호를 에러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동기 검출기(600)는 상기 에러신호 발생기(400)에서 출력되는 에러 신호와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혼합하여 누설 신호 제거 값을 검출하여 출력한다.Next, the
여기서, 누설 신호와 신호 생성기(300)에서 발생된 신호의 차를 에러(Error) 신호라 명명하고, 송신 출력 신호가 동기 검출기(500)로 입력되는 경로상의 신호를 기준(Reference) 신호라 명명할 경우, 상기 기준 신호와 에러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하므로, 믹서(Mixer)(510)의 출력은 직류(DC)로 출력되며, 상기 기 믹서(510)의 성질에 의해 기준 신호의 진폭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믹서(510)의 직류(DC) 값은 에러 신호의 진폭에 비례하게 된다.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kage signal and the signal generated by the
다음으로, 제어기(600)에서는 상기 동기 검출기(500)에서 출력된 누설 신호 제거 값을 증폭 및 재처리하여 신호 생성기(300)의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신호 생성기(300)에 누설 신호 제거 신호를 전달해준다.Next, the
도 3은 첨부한 도면 도 2에 의한 신호 생성기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FIG. 2.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신호를 안테나측으로 연결해주고 동시에 송신 주파수의 대응하는 신호를 궤환시켜,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제1 및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310, 330)와, 상기 고주파수를 가변적으로 감쇄시키며, 진폭을 조정하는 제1 및 제2 가변 감쇄기(Attenuator)(321, 322)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first and second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신호 생성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310)에서 안테나로부터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누설 신호와 제어기(600)로부터 입력되는 누설 신호 제거 신호(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이들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출력한다. 상기 위상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은 가변 감쇄기(320)에서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감쇄시켜 진폭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330)에서는 상기 가변 감쇄기(3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감쇄기(321, 322)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신호를 하나로 결합하여 에러신호 발생기(400)로 출력한다.First, the first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 간섭 제어 장치"에 따르면, 잡음 신호를 궤환시켜서 제거하고, 기지국의 선형 전력 증폭기(Linear Power Amplifier System)에서 사용되는 피드백(Feedback) 원리를 변형함으로써, 잡음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aptation interference contro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scribed above, by reducing the noise signal by feedback, by modifying the feedback (Feedback) principle used in the linear power amplifier system of the base station This has the advantage of making noise removal more effective.
또한, 단말기에서 고가인 듀플렉서를 대체함으로써, PCB 상에서의 공간 확보에 대한 효율성 및 부품 배치에 대한 용이성이 증대되며, 장치의 부품 사이즈 또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replacing the expensive duplexer in the terminal, the efficiency of securing space on the PCB and ease of component placement is increased, and the component size of the device is also reduc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00087563A KR100737555B1 (en) | 2000-12-30 | 2000-12-30 |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00087563A KR100737555B1 (en) | 2000-12-30 | 2000-12-30 |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0057263A KR20020057263A (en) | 2002-07-11 |
| KR100737555B1 true KR100737555B1 (en) | 2007-07-10 |
Family
ID=2769040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000875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7555B1 (en) | 2000-12-30 | 2000-12-30 |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3755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1027892B (en) * | 2003-05-27 | 2011-06-22 | 美商内数位科技公司 | Multimode wireless device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circuitry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53982A (en) * | 1999-12-02 | 2001-07-02 | 송문섭 | Voltage control oscillator of dual band intermediate frequency in a mobile station |
-
2000
- 2000-12-30 KR KR1020000087563A patent/KR10073755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53982A (en) * | 1999-12-02 | 2001-07-02 | 송문섭 | Voltage control oscillator of dual band intermediate frequency in a mobile station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1-53982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0057263A (en) | 2002-07-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418678B1 (en) | Front-end module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 US7734311B2 (en) | Multimode communication apparatus | |
| KR100360895B1 (en) | System for Combining RF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Circulator and Method for Cancelling Transmission Signal thereof, and Front-End for RF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
| US9698861B2 (en) | RF module for wireless unit configured for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 |
| US2011025685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ntenna Isolation Using Signal Cancellation | |
| US955974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hannel transceiver communications | |
| CN101018063A (en) | Method and device for cancelling interferences | |
| US6771941B2 (en) |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of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 US6937675B2 (en) | Apparatus for improv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characteristics in a CDMA mobile terminal | |
| KR100406869B1 (en) | Frequency multiplex transceiver and method for eliminating crosstalk | |
| EP1710920A1 (en) | Receiving modulated radio signals | |
| US6393011B1 (en) | Receiving circui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eed forward linearizer | |
| US6892056B1 (en) | Subscriber station with duplex antenna amplifier | |
| KR100737555B1 (en) | Adaptive Interference Contro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329262B1 (en) | A cancellation circuit of inter-modulation product by RF passive component in repeater | |
| JP2926574B1 (en) | High frequency folded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and transmission / reception wireless device including the circuit | |
| EP0957587B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transmitter overload in a transmit scanning receiver | |
| KR20000074437A (en) |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with phase compensation circuitry | |
| JP3781543B2 (en) | Wireless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system using the same | |
| KR2006008244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noise from a wireless transceiver | |
| US6807399B1 (en) |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of repeater system | |
| JP2743868B2 (en) | FDD system transmitter | |
| KR100744304B1 (en) | Single tone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JP2009296237A (en) | Interference remov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 JP2514571Y2 (en) | Transmit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7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70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