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948B1 - Toner Refill Device - Google Patents
Toner Refil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8948B1 KR100738948B1 KR1020060016361A KR20060016361A KR100738948B1 KR 100738948 B1 KR100738948 B1 KR 100738948B1 KR 1020060016361 A KR1020060016361 A KR 1020060016361A KR 20060016361 A KR20060016361 A KR 20060016361A KR 100738948 B1 KR100738948 B1 KR 100738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cartridge
- supply
- unit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너 리필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트리지가 장착되도록 전면에 카트리지장착부를 구비한 케이싱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개폐구를 형성하고, 카트리지장착부의 일측으로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상부 일측으로 통공형태의 주입구를 형성하고, 주입구의 외주연 측으로 공기필터를 형성하며, 주입구의 외측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형성한 토너주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호퍼를 형성하고, 공급호퍼의 하측으로 공급모터의 구동으로 토너를 공급관 측으로 공급시키는 공급스크류를 형성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공급관에서 가압공급구 측으로 공급된 토너를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가압하여 토너주입부와 토너공급관으로 연결하여 토너를 주입하도록 형성하고, 토너공급관에 외측으로 공급체결부를 형성하여 토너주입부의 체결구와 체결되도록 형성한 가압부와, 상기 본체부의 카트리지장착부의 하부에 카트리지안치부가 구비되어 카트리지의 중량을 계량하는 중량측정구를 형성한 계량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공급부와 가압부를 작동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형성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refill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 for opening and closing a front side of a casing having a cartridge mounting portion at the front side so that the cartridge is mounted, and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ir to one side of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A toner injection portion forming a through hole-shaped injection hole on an upper side of the cartridge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an air filt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injection hole, and a fastening portion fastened to an outer side of the injection hol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 supply part which forms a supply hopper on one side and a supply screw which supplies toner to the supply pipe side by driving the supply motor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ly hopper; and the toner supplied to the pressure supply port side from the supply pipe of the supply part by driving the drive motor. Pressurized to connect the toner injection unit and the toner supply pipe to inject the toner, A weighing unit having a supply unit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supply pipe to be fastened to the fastener of the toner injection unit, and a cartridge mounting uni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rtridge mounting unit of the main body to form a weigh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artridg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controller to fill the cartridge with ton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by operating a supply part and a pressurizing part inside the main body par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r ref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를 나타내는 작동상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 state showing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operating state of the toner refil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의 주요부분인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ressing portion which is a main part of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토너 리필장치의 주요부분인 토너주입부에 공급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ly unit is coupled to a toner injection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카트리지 100 : 리필장치10: cartridge 100: refilling device
110 : 본체부 111 : 케이싱110: main body 111: casing
112 : 카트리지장착부 113 : 개폐구112: cartridge mounting portion 113: opening and closing
114 : 흡입부 115 : 진동구114: suction unit 115: vibration hole
116 : 지지구 120 : 토너주입부116: support 120: toner injection unit
121 : 주입구 122 : 공기필터121: inlet 122: air filter
123 : 체결부 124 : 충진개폐구123: fastening portion 124: filling opening and closing
130 : 공급부 131 : 공급호퍼130: supply unit 131: supply hopper
132 : 교반치차 133 : 교반날개132: stirring gear 133: stirring blade
134 : 공급모터 135 : 공급스크류134: supply motor 135: supply screw
136 : 공급관 140 : 가압부136: supply pipe 140: pressurization
141 : 가압실 142 : 가압판141: pressure chamber 142: pressure plate
143 : 가압블록 144 : 회전구143: pressure block 144: rotary ball
145 : 구동모터 146 : 가압공급구145: drive motor 146: pressure supply port
147 : 토너공급관 148 : 공급개폐구147: toner supply pipe 148: supply opening and closing
149 : 공급체결부 150 : 계량부149: supply connection unit 150: metering unit
151 : 중량측정구 152 : 카트리지안치부151: weighing sphere 152: cartridge settlement
160 : 제어부 161 : 콘트롤러160
162 : 표시부 163 : 조작부162: display unit 163: operation unit
164 : 결합센서164: combined sensor
본 발명은 토너 리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토너주입부 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리필되도록 형성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장착부에 삽입되면 토너의 중량을 계량하여 리필될 정량을 표시부로 표시하면서 제어부의 동작으로 공급부를 구동하여 토너주입부를 통하여 토너를 리필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정량으로 토너를 리필시키는 토너 리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refilling device. More particularly, when a cartridge formed with a toner injection unit at the top thereof is inserted into a cartridge mounting unit, the toner refilling device measures the weight of the toner and displays the quantity to be refilled on the display unit. A toner refill device for refilling toner in a quantitative manner quickly and easily by driving the supply unit in operation to refill the toner through the toner injection unit is provided.
일반적으로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 등에는 카트리지에 담겨 있는 분말 가루 형태의 토너(toner)를 사용하여 복사 또는 인쇄를 하게 되는데, 상기 토너가 담겨지는 카트리지는 소모품이면서도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In general, a copying machine or a laser printer is used to copy or print by using a powder toner contained in a cartridge. Since the cartridge containing the toner is a consumable and relatively expensive, it is used by refilling the toner in the cartridge. Sometimes.
상기와 같이 토너를 리필하기 위한 토너 리필장치의 일례에 대한 종래의 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5729호의 "토너 리필장치"에서 찾아 볼 수 있다.As a conventional example of an example of a toner refilling apparatus for refilling toner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found in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5729.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토너 리필장치는 토너가 수용되며 밀폐형으로 이루어지는 탱크(1)와, 상기 탱크(1)에 수용된 토너가 인입되도록 상기 탱크(1)와 연결되는 실린더(2)와, 상기 실린더(2) 내의 감속 모터(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탱크(1)에서 유입된 토너를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회전스크류(4)와, 상기 회전스크류(4)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토너가 카트리지(C)에 인입되도록 상기 실린더(2)에 연결되는 노즐(5)과, 상기 실린더(2)와 노즐(5)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스크류(4)에 의하여 노즐(5) 측으로 이동하는 토너를 필요에 따라 이동을 제한하는 개폐 밸브(6)와, 상기 노즐(5)이 카트리지(C)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트리지(C)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카트리지(C) 내로 토너가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C)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 배출 관로(7)와, 토너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배출 관로(7)에 연결되는 집진탱크(8)와, 상기 공기 배출 관로(7)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진이 상기 집진탱크(8)로 유입되도록 상기 집진탱크(8)에 관로로 연결되는 진공기(9)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prior art, a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ior art includes a tank (1) in which toner is received and which is sealed, a cylinder (2) connected to the tank (1) so that the toner contained in the tank (1) is drawn in, and The rota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토너 리필장치는 토너가 수용되어진 탱크(1)의 하측에 설치된 회전스크류(4)가 감속 모터(3)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탱크(1)의 내부에 충진되어진 토너가 노즐(5)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toner refil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toner filled in the
상기와 같이 노즐(5) 측으로 이동되는 토너는 일정압력에 의해 카트리지(C)에 주입되며, 이때 카트리지(C)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 관로(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진공기(9)의 동작으로 상기 공기 배출 관로(7)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진을 집진탱크(8)로 유입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oner moved to the
그러나, 종래기술의 토너 리필장치는 회전스크류의 이송만으로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카트리지 내부로 원활한 토너 충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oner is filled in the cartridge only by transferring the rotating screw, thereby preventing smooth toner filling into the cartridge.
즉, 회전스크류를 통한 토너의 이송만으로는 카트리지 내부에 충진압을 형성할 수 없어 카트리지 입구에만 토너가루가 쌓이게 되어 충진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다.That is, only the transfer of the toner through the rotating screw can not form the filling pressure inside the cartridge, so toner powder accumulates only at the inlet of the cartridg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filling efficiency.
또한, 종래기술의 토너 리필장치는 회전스크류에 공급되는 탱크에 저장된 토너는 장시간이 지나면 토너의 특성에 의해 굳거나 뭉침이 발생하여 회전스크류로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toner stored in the tank supplied to the rotating screw is hardened or aggrega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ner after a long time, so that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is not properly supplied to the rotating screw.
그리고, 종래기술의 토너 리필장치는 카트리지의 내부에 남은 토너의 잔량을 알지 못함에 따라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카트리지 내부에 토너가 주입되는 양을 측정하여야 함으로써, 자동화 할 수 없으므로 리필이 난해하고 과잉된 충진으로 외부로 토너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cannot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toner supplied because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remaining in the cartridge is not known, so that an operator must manually measure the amount of toner being injected into the cartridge. Since it could not be automated, refilling was difficul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oner leaked out due to excessive filling.
아울러, 종래기술의 토너 리필장치는 내부에 토너의 충진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없으므로 충진상태를 확인하여 완충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거쳐야 함으로써, 공정이 확대되고 인력이 낭비되어 생산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ior art has to go through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lling state of the toner in the interior of the toner from the outside to determine whether the filling state is fully buffered, the process is expanded, manpower is wasted and production costs increase there wa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리필되는 카트리지의 중량을 외부에 표시부로 표시하여 충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면서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토너를 자동으로 공급시켜 리필하는 것으로 리필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fill by automatically supplying the toner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unit while checking the filling state from the outside by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cartridge to be refilled with a display unit on the outsid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프린터에 장착되어 인쇄용 토너를 공급하는 카트리지가 장착되도록 전면에 카트리지장착부를 구비한 케이싱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개폐구를 형성하고, 카트리지장착부의 일측으 로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형성한 본체부와,Such a toner refil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object is formed in the printer to open and close the front and rear opening of the casing having a cartridge mounting portion on the front to mount the cartridge for supplying the printing toner,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A main body part having a suction part to suck air into one side thereof;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상부 일측으로 토너가 충진되는 통공형태의 주입구를 형성하고, 주입구의 외주연 측으로 카트리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공기필터를 형성하며, 주입구의 외측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형성한 토너주입부와,To form a through-hole inlet to the toner is fil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rtridge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to form an air filter so that the air flow of the cartridge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inlet, and formed a fastening portion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inlet Toner injection unit,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으로 토너가 공급되도록 저장하는 공급호퍼를 형성하고, 공급호퍼의 하측으로 공급모터의 구동으로 토너를 공급관 측으로 공급시키는 공급스크류를 형성한 공급부와,A supply part which forms a supply hopper for storing the toner to be supplied to on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upply screw for supplying the toner to the supply pipe side by driving the supply motor under the supply hopper;
상기 공급부의 공급관에서 가압공급구 측으로 공급된 토너를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가압하여 토너주입부와 토너공급관으로 연결하여 토너를 주입하도록 형성하고, 토너공급관에 외측으로 공급체결부를 형성하여 토너주입부의 체결구와 체결되도록 형성한 가압부와, The toner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to the pressure supply port is pressurized by the driving motor to connect the toner injection unit with the toner supply pipe to inject the toner, and the supply fastening part is formed on the toner supply pipe to fasten the toner injection unit. A pressing unit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sphere,
상기 본체부의 카트리지장착부의 하측으로 카트리지가 안치되는 카트리지안치부가 구비되어 카트리지의 중량을 계량하는 중량측정구를 형성한 계량부와,A metering portion provided with a cartridge settled portion in which the cartridge is placed below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 form a weighing spher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artridge;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계량부에 측정된 중량에 의해 공급부와 가압부를 작동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형성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ler which controls a controller to fill the cartridge with toner at a constant pressure by operating the supply unit and the pressurizing unit by the weight measured by the weighing unit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부는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장착부의 일측부에 카트리지를 진동시키는 진동구를 형성하고, 타측부에 진동되는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형성하여 카트리지의 내부에 충진되는 토너가 카트리지 내부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충진되도록 카트리지에 진동형태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forms a vibrating port for vibrating the cartridge on one side of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cartridge is mounted, and forms a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cartridge vibrat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toner filled in the cartridge is inside the cartrid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vibrating flow in the cartridge to be evenly filled throughout.
그리고, 상기 공급부는 토너가 저장되는 공급호퍼의 내측으로 기어 형태의 교반치차를 형성하고, 교반치차에 복수로 돌출된 날개형태의 교반날개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시간의 지체로 인해 토너에서 발생되는 굳기현상을 교반날개가 구비된 교반치차의 회전으로 방지시켜 원활하게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n, the supply unit forms a gear-shaped stirring gear inside the supply hopper in which the toner is stored, and forms a plurality of wing-shaped stirring blades protruding from the stirring gear, thereby continuously rotating the inside of the toner due to the delay of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moothly supply toner by preventing the hardening phenomenon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gear provided with a stirring blade.
또한, 상기 가압부는 공급부의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토너를 가압공급구의 하부에 공간형태로 형성된 가압실로 공급하고, 가압실의 일측 하부에서 압력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가압블록을 형성하되, 가압블록을 좌우로 이송하도록 결합된 회전구를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형성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회전구가 회전하면서 가압블록을 전후로 이송시키고, 가압블록에 형성된 가압판이 전후로 이송하면서 가압실 내부에 압력을 증가시켜 공급된 토너의 압력을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surizing unit supplies a toner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of the supply unit to the pressurizing chamber formed in a space form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izing supply port, and forms a pressurizing block having a pressurizing plate for pressurizing the pressure from one side of the pressurizing chamber, It is form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motor to rotate the rotating sphe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to move the pressure block back and forth while the rotary sphere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the pressure plate formed on the pressure block transfers back and forth to press the pressure inside the pressure chamber And pressurize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toner.
그리고, 상기 토너주입부의 토너를 주입시키는 주입구에 압력으로 하부로만 개폐되는 충진개폐구를 형성하고, 토너주입부의 주입구에 연결되어 토너를 가압공급시키는 가압부의 토너공급관 하단부에도 하부로만 개폐되도록 공급개폐구를 형성하여 가압부에서 가압공급된 토너를 하부로만 작동되는 공급개폐구와 충진개폐구의 구동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충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lling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only under pressure at the inlet for injecting the toner, and the supply opening and closing opening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oner supply tube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the toner. The toner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moothly filled while preventing the back flow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opening and clos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lling opening and closing onl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카트리지 일측에 형성된 토너주입부의 체결부에 체결되 는 가압부의 공급체결부의 일측으로 결합센서를 형성하여 카트리지와 토너를 가압공급하는 가압부와의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forms a coupling sensor to one side of the supply fastening portion of the pressurization portion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toner injection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artridge to continuously detect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pressurization portion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the cartridge and the to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mprove.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케이싱에 전면 일측으로 계량부의 카트리지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하고, 표시부의 하부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하는 조작부를 형성하여 조작부의 조작으로 설정된 충진량을 계량부의 중량을 표시부로 외부에 표시하면서 콘트롤러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공급부와 가압부를 가동하여 카트리지에 충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form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rtridge weight of the weighing unit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casing, and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by the user under the display unit to form a filling amount se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to the outside of the weighing unit with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fill the cartridge by operating the supply unit and the pressurization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while display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u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structed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를 나타내는 작동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리필장치의 주요부분인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토너 리필장치의 주요부분인 토너주입부에 공급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showing a schematic operating state of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ssurizing portion as a main part of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ly unit is coupled to a toner injection unit as a main part of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100)는 카트리지(1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장착부(112)를 전면에 형성한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는 카트리지(10)의 상부에 토너가 충진되는 토너주입부(12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공급호퍼(131)에 저장된 토너를 공급모터(134)의 구동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30)와, 상기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토너를 충진되는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가압시켜 공급하는 가압부(140)와, 상기 본체부(110)의 카트리지장착부(112)에 하부에 무게를 계량하도록 형성한 계량부(150)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계량부(150)에서 측정된 카트리지(10) 용량에 따라 공급부(130)와 가압부(140)를 작동하여 자동으로 토너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2 to 6, the
상기 본체부(110)는 프린터에 장착되어 인쇄용 토너를 공급하는 카트리지(10)가 장착되도록 전면에 카트리지장착부(112)를 구비한 케이싱(111)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개폐구(113)를 형성하고, 카트리지장착부(112)의 일측으로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1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The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카트리지(1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장착부(112)의 일측부에 카트리지(10)를 진동시키는 진동구(115)를 형성하고, 타측부에 진동되는 카트리지(10)를 지지하는 지지구(116)를 형성하여 카트리지(10)의 내부에 충진되는 토너가 카트리지(10) 내부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충진되도록 카트리지(10)에 진동형태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상기 토너주입부(120)는 본체부(110)에 장착되는 카트리지(10) 상부 일측으로 토너가 충진되는 통공형태의 주입구(121)를 형성하고, 주입구(121)의 외주연 측으로 카트리지(10)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공기필터(122)를 형성하며, 주입구(121)의 외측으로 체결되는 체결부(123)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The
상기 공급부(130)는 본체부(130)의 상부 일측으로 토너가 공급되도록 저장하 는 공급호퍼(131)를 형성하고, 공급호퍼(131)의 하측으로 공급모터(134)의 구동으로 토너를 공급관(136) 측으로 공급시키는 공급스크류(13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The
여기서, 상기 공급부(130)는 토너가 저장되는 공급호퍼(131)의 내측으로 기어 형태의 교반치차(132)를 형성하고, 교반치차(132)에 복수로 돌출된 날개형태의 교반날개(133)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시간의 지체로 인해 토너에서 발생되는 굳기현상을 교반날개(133)가 구비된 교반치차(132)의 회전으로 방지시켜 원활하게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가압부(140)는 공급부(130)의 공급관(136)에서 가압공급구(146) 측으로 공급된 토너를 구동모터(145)의 구동으로 가압하여 토너주입부(120)의 주입구(121)와 토너공급관(147)으로 연결하여 토너를 주입하도록 형성하고, 토너공급관(147)에 외측으로 공급체결부(149)를 형성하여 토너주입부(120)의 체결구(123)와 체결되도록 구성한다.The pressurizing
여기서, 상기 가압부(140)는 공급부(130)의 공급관(136)에서 공급되는 토너를 가압공급구(146)의 하부에 공간형태로 형성된 가압실(141)로 공급하고, 가압실(141)의 일측 하부에서 압력을 가압하는 가압판(142)이 구비된 가압블록(143)을 형성하되, 가압블록(143)을 좌우로 이송하도록 결합된 회전구(144)를 구동모터(145)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형성하여 구동모터(145)의 회전으로 회전구(144)가 회전하면서 가압블록(143)을 전후로 이송시키고, 가압블록(143)에 형성된 가압판(142)이 전후로 이송하면서 가압실(141) 내부에 압력을 증가시켜 공급된 토너의 압력을 가 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ressurizing
또한, 상기 토너주입부(120)의 토너를 주입시키는 주입구(121)에 압력으로 하부로만 개폐되는 충진개폐구(124)를 형성하고, 토너주입부(120)의 주입구(121)에 연결되어 토너를 가압 공급시키는 가압부(140)의 토너공급관(147) 하단부에도 하부로만 개폐되도록 공급개폐구(148)를 형성하여 가압부(140)에서 가압 공급된 토너를 하부로만 작동되는 공급개폐구(148)와 충진개폐구(124)의 구동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충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ling
상기 계량부(150)는 본체부(110)의 카트리지장착부(112)의 하측으로 카트리지(10)가 안치되는 카트리지안치부(132)가 구비되어 카트리지(10)의 중량을 계량하는 중량측정구(152)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The
상기 제어부(160)는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계량부(150)에 측정된 중량에 의해 공급부(130)와 가압부(140)를 작동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카트리지(10)에 토너를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161)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카트리지(10) 일측에 형성된 토너주입부(120)의 체결부(123)에 체결되는 가압부(120)의 공급체결부(149)의 일측으로 결합센서(164)를 형성하여 카트리지(10)와 토너를 가압 공급하는 가압부(140)와의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아울러, 상기 제어부(160)는 케이싱(111)에 전면 일측으로 계량부(150)의 카트리지(10)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162)를 형성하고, 표시부(162)의 하부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하는 조작부(163)를 형성하여 조작부(163)의 조작으로 설정된 충진 량을 계량부(150)의 중량을 표시부(162)로 외부에 표시하면서 콘트롤러(161)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공급부(130)와 가압부(140)를 가동하여 카트리지(10)에 충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us,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본체부(110)의 케이싱(111) 전면에 형성된 조작부(163)를 조작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카트리지(10)의 종류에 따른 연산값을 입력하여 제어부(160)의 콘트롤러(161)에서 카트리지(10) 타입에 따른 충진량을 연산한 상태에서 케이싱(111)의 전면에 형성된 개폐구(113)를 오픈하여 카트리지장착부(112)로 카트리지(10)를 장착한다.First, the power is supplied by operating the
이렇게, 카트리지(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카트리지(10)의 상부에 형성된 토너주입부(120)의 체결부(123)에 가압부(140)의 공급체결부(149)를 체결하여 토너주입부(120)의 주입구(121) 측으로 토너공급관(147)이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설치가 완료되면 공급체결부(149)의 일측에 형성된 제어부(160)의 결합센서(164)가 감지하여 콘트롤러(161)로 결합상태의 신호를 송출한다.Thus,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때, 가압부(140)의 공급체결부(149) 일측에 형성된 결합센서(164)는 가압부(140)에서 토너가 가압공급되는 토너공급관(147)과 카트리지(10) 내부에 토너를 충진하는 토너주입부(120)의 주입구(121)의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결합이 해제되면 제어부(160)의 콘트롤러(161)에서 토너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토너가 누출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본체부(110)에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장착부(112)에 장착하여 카트리지(10)의 상부에 형성된 토너주입부(120)를 가압부(140)와 결합시킨 상태로 전면에 개폐구(113)를 차단하면 카트리지(10) 하부에 형성되어 카트리지안치부(152)에 카트리지(10)를 정위치로 안치한 상태로 중량측정구(151)에서 정확한 중량을 계량하여 케이싱(111)의 전면에 형성된 표시부(162) 측으로 계량된 중량을 표시하면서 콘트롤러(161)에 조작부(163)로 설정된 카트리지(10) 타입과 토너 잔량에 따른 충진량을 연산하도록 계량부에서 측정된 중량을 신호화 하여 송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렇게, 제어부(160)에 콘트롤러(161)에서 계량부(150)에서 카트리지(10)의 중량을 입력받아 조작부(163)에 조작에 의해 결정된 토너의 량 만큼의 공급을 시작하면 본체부(110)의 상부에 토너가 저장된 공급호퍼(131)의 교반날개(133)가 복수로 형성된 교반치차(132)를 회전하면서 장시간 보관되어 응집된 토너를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고른 입자가 되도록 교반한 상태로 하부에 형성된 공급스크류(135)로 공급한다.In this way, when the
상기와 같이, 공급스크류(135)로 교반된 토너가 공급되면 제어부(160)의 콘트롤러(161)에 의해 공급모터(134)가 회전하면서 공급스크류(135)가 연동되어 공급관(136) 측으로 토너를 공급시키고, 공급관(136)과 연결된 가압부(140)의 가압공급구(146)를 거쳐서 가압실(141)로 공급되면 구동모터(145)를 구동하여 연동되는 회전구(144)에 나사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가압판(142)이 구비된 가압블록(143)을 가압 측으로 이송하여 가압실(141) 내부에 토너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토너공급관(147) 측으로 토너를 공급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ner stirred by the
이렇게, 가압부(140)에서 가압한 상태로 공급체결부(149)로 카트리지(10)의 일측에 형성된 토너주입부(120)에 체결부(123)로 결합시킨 주입구(121) 측으로 토너공급관(147)에 공급된 토너를 주입시키고, 카트리지(10) 일측으로 주입되는 토너의 적층을 골고루 하도록 토너장착부(112)의 양단부에 진동구(115)와 지지구(116)를 형성하여 카트리지(10)를 좌우로 진동하면서 충진시킨다.In this way, the toner supply pipe (to the injection hole 121) coupled to the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10)의 내부에 일정량의 토너가 충진되면 계량부(150)로 카트리지(10)의 내부에 토너의 충진량을 외부에 표시부(162)에서 표시하면서 조작부(163)에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제어부(160)의 조작으로 충진을 중단함으로써, 조작부의 한번의 설정으로 카트리지를 자동으로 충진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toner is filled 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카트리지가 삽입 장착되도록 카트리지장착부를 전면에 구비한 케이싱의 내부에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형성하며, 카트리지의 상부에 일측으로 토너가 주입되는 토너주입부를 형성하고, 본체부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토너주입부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공급부를 형성하며, 공급된 토너를 가압하여 토너로 공급시키는 가압공급구를 카트리지에 형성된 토너주입부에 연결 설치하여 제어부의 동작으로 자동으로 토너를 카트리지에 공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As such,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ction part for sucking foreign matter in the casing having the cartridge mounting part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 cartridge is inserted and mounted, and a toner injection part for injecting the toner to one side of the cartridge. And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oner to the toner injection unit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the toner injection unit, and a pressure supply port for pressurizing the supplied toner and supplying the toner to the toner is connected to the toner injection unit formed in the cartridge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controller. By supplying the toner to the cartridg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본체부의 카트리지장착부의 일측으로 진동구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지지부를 형성하여 카트리지의 공급 되는 토너가 한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트리지를 진동시켜 내부에 골고루 적층되어 충진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vibrating hole on one side of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cartridge is inserted, and forms a support portion on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toner supplied from the cartridge from being stacked in one direction, thereby vibrating the cartridge, thereby Evenly stacked on the to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filling efficiency.
그리고,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토너를 주입하도록 카트리지의 일측으로 내부로 관통하여 토너가 주입되는 주입구에 충진압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를 형성하고, 주입구에 연결되도록 체결되어 공급부에서 공급된 토너를 가압시켜 공급하는 가압공급부의 토너공급관 측으로 충진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공급개폐구를 형성하여 공급부에서 공급된 토너를 가압부에서 가압시켜 충진압력으로 개폐되는 공급개폐구와 카트리지에 형성된 개폐구를 거쳐서 주입됨으로써, 토너의 역류를 방지시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into one side of the cartridge to inject the toner to form 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by filling pressure in the injection hole into which the toner is injected, and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hole to supply the toner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By forming a supply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by the filling pressure to the toner supply pipe side of the pressure supply to supply the pressurized supply to be inject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formed in the cartridg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formed in the cartridge to pressurize the toner supplied from the supply to the pressurizing section It prevents outflow to the outside by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the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fill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토너를 주입하도록 카트리지의 일측으로 중앙에 주입구를 형성하고 충진 시 발생되는 공기압을 외부로 방출하는 공기필터를 형성하며 주입구의 외측으로 체결구를 형성한 토너주입부를 형성하여 가압부에서 가압된 토너를 토너공급관에 공급체결구로 연결하여 토너를 공급하는 것으로, 공기필터로 공기가 순환됨에 따라 내부에 충진되는 토너의 주입이 원활하게 주입됨에 따라 토너의 충진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jection hole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cartridge to inject the toner, and forms an air filter for releasing air pressure generated during filling to the outside, and a toner injection unit having a fastener formed outside the injection hole. It is formed by connecting the toner pressurized by the pressurization part to the toner supply pipe to supply the toner. The toner filling efficiency is smoothly injected as the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air filter, thereby improving the toner filling efficiency. It provides an effect.
그리고,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토너를 공급하도록 본체부의 상부에 공급호퍼를 형성하고, 공급호퍼의 하측으로 공급모터의 구동으로 공급스크류를 회전시켜 토너를 공급하도록 형성하되, 공급호퍼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교반치차를 형성하고, 교반치차에 복수의 날개 형태의 교반날개를 형성하여 교반치차와 교반날개의 회전으로 공급호퍼의 내측에 형성된 토너를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토너의 특성 중에 장시간이 지체되면 굳거나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토너를 공급하여 공급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And,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form a supply hoppe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 supply the toner, and to supply the toner by rotating the supply screw to drive the supply motor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ly hopper, the inside of the supply hopper A rotating stirring gear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wing-shaped stirring blades are formed on the stirring gear to continuously stir the toner formed inside the feed hopper by stirring the stirring gear and the stirring blade. Or agglomeration is prevented from occurring to provide a smooth supply of toner to improve the supply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공급호퍼에 투입된 토너를 공급스크류의 회전으로 공급관으로 공급시키면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의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구의 회전으로 가압판이 구비된 가압블록을 좌우로 이송하면서 가압실에 공급된 토너를 가압시켜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토너의 공급되는 충진압력을 상승시켜 카트리지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충진함에 따라 충진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ner injected into the supply hopper is supplied to the supply pipe by the rotation of the supply screw, the pressure block provided with the pressure plate is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tool which is rotated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of the pressurization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By pressurizing the toner supplied to the pressurizing chamber while transferring to the cartridge side, the toner supplied to the cartridge side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filling efficiency of the toner as it smoothly fills the inside of the cartridge.
그리고,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토너를 충진시키도록 형성된 카트리지장착부의 하부에 카트리지의 무게를 계량하도록 상부에 카트리지안치부를 형성한 중량측정구를 형성하여 카트리지의 중량을 제어부의 콘트롤러를 통하여 표시부로 표시하고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정해진 카트리지의 토너 용량에 따라 정확한 토너량을 콘트롤러에서 연산하여 중량측정구에 중량에 따라 공급부와 가압부를 가동시켜 카트리지에 적정량의 토너를 정확하게 자동으로 공급시키는 것으로 충진효율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eighing sphere formed with a cartridge settlement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cartridg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to fill the toner, the controller of the controller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correct amount of toner according to the toner capacity of the cartridge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anel, and automatically supplies the correct amount of toner to the cartridge automatically by operating the supply unit and the pressurizing unit according to the weight in the weighing unit. 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filling efficiency and ease of use.
아울러, 본 발명의 토너 리필장치는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토너를 가압부에서 가압시켜 토너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토너공급관을 체결하는 공급체결구의 일측으로 결합센서를 형성하여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주입부의 체결부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토너공급관을 체결시키는 것을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전달함에 따라 토너의 공급에 따라 충진 시에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토 너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출사고를 지속적으로 감지함에 따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upling sensor to one side of the supply fastening port for fastening the toner supply tube formed to pressurize the toner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by the pressurizing unit to supply the toner so that the toner in the state where the cartridge is mounted in the cartridge mounting unit. By detecting the fastening of the toner supply pipe to supply the toner to the fastening part of the injection part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ler, it continuously detects the binding state during filling according to the supply of the toner and prevents the toner from leaking. As a result, 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stabilit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6361A KR100738948B1 (en) | 2006-02-20 | 2006-02-20 | Toner Refil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6361A KR100738948B1 (en) | 2006-02-20 | 2006-02-20 | Toner Refill Devi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60004659U Division KR200415237Y1 (en) | 2006-02-20 | 2006-02-20 | Toner Refill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38948B1 true KR100738948B1 (en) | 2007-07-18 |
Family
ID=3849871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163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8948B1 (en) | 2006-02-20 | 2006-02-20 | Toner Refill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38948B1 (en)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92392B1 (en) * | 2009-01-19 | 2009-04-10 | (주)유로시스템 |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Device |
| KR101004286B1 (en) * | 2009-04-24 | 2011-01-03 | 주식회사 에코티스 (Ecotis) | Cartridge toner auto feeder |
| KR101068248B1 (en) * | 2010-02-09 | 2011-09-28 | 주식회사 에코티스 (Ecotis) |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
| KR101226096B1 (en) | 2012-12-28 | 2013-01-24 | 주식회사 서광양행 | Toner powder collecting apparatus of cartridge |
| KR101531991B1 (en) * | 2014-12-08 | 2015-06-26 | 지필묵하나전산 주식회사 | A Recycling Method of Toner Cartridge |
| KR101583710B1 (en) * | 2014-12-08 | 2016-01-12 | 하나전산(주) | A Charging Toner Worktable for Cartridge |
| WO2019208874A1 (en) * | 2018-04-27 | 2019-10-3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upplying refill toner to mounted toner cartridge |
| US11506991B2 (en) | 2019-05-24 | 2022-11-2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toring information in toner refill kit during toner refill |
| US11592780B2 (en) | 2018-08-30 | 2023-02-2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Combination cartridg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143193A (en) | 1997-11-06 | 1999-05-28 | Mita Ind Co Ltd | Toner supplying device for image forming machine and toner cartridge used for the toner supplying device |
| JP2004145312A (en) | 2002-09-30 | 2004-05-20 | Canon Inc | How to recycle the developer supply unit |
| KR20050047778A (en) * | 2003-11-18 | 2005-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Tonor refill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
2006
- 2006-02-20 KR KR1020060016361A patent/KR1007389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143193A (en) | 1997-11-06 | 1999-05-28 | Mita Ind Co Ltd | Toner supplying device for image forming machine and toner cartridge used for the toner supplying device |
| JP2004145312A (en) | 2002-09-30 | 2004-05-20 | Canon Inc | How to recycle the developer supply unit |
| KR20050047778A (en) * | 2003-11-18 | 2005-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Tonor refill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Cited B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92392B1 (en) * | 2009-01-19 | 2009-04-10 | (주)유로시스템 |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Device |
| KR101004286B1 (en) * | 2009-04-24 | 2011-01-03 | 주식회사 에코티스 (Ecotis) | Cartridge toner auto feeder |
| KR101068248B1 (en) * | 2010-02-09 | 2011-09-28 | 주식회사 에코티스 (Ecotis) |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
| KR101226096B1 (en) | 2012-12-28 | 2013-01-24 | 주식회사 서광양행 | Toner powder collecting apparatus of cartridge |
| KR101531991B1 (en) * | 2014-12-08 | 2015-06-26 | 지필묵하나전산 주식회사 | A Recycling Method of Toner Cartridge |
| KR101583710B1 (en) * | 2014-12-08 | 2016-01-12 | 하나전산(주) | A Charging Toner Worktable for Cartridge |
| WO2019208874A1 (en) * | 2018-04-27 | 2019-10-3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upplying refill toner to mounted toner cartridge |
| CN112041757A (en) * | 2018-04-27 | 2020-12-04 |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 Supplies replenishment toner to the installed toner cartridge |
| US11333995B2 (en) | 2018-04-27 | 2022-05-1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upplying refill toner to mounted toner cartridge |
| CN112041757B (en) * | 2018-04-27 | 2024-04-05 |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 Supplies replenishment toner to the installed toner cartridge |
| US11592780B2 (en) | 2018-08-30 | 2023-02-2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Combination cartridge |
| US11506991B2 (en) | 2019-05-24 | 2022-11-2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toring information in toner refill kit during toner refill |
| US11644768B2 (en) | 2019-05-24 | 2023-05-0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toring information in a toner refill kit during toner refil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38948B1 (en) | Toner Refill Device | |
| TWI504554B (en) | Fluid filling device | |
| KR200415237Y1 (en) | Toner Refill Device | |
| CN206140903U (en) | 3D (Three dimensional) printer with residual material alarm device | |
| JP6052487B2 (en) | Liquid supply device | |
| CN214210384U (en) | Feed mechanism and gypsum cast powder mixer | |
| CN101468783A (en) | Ink injection means capable of accurately setting ink injection amount and injecting ink from inlet channel without damaging ink cartridge | |
| KR101806493B1 (en) | a Test apparatus and a Test Mehtod for Air Content of Freshly mixed Concrete | |
| CN100457466C (en) | Ink jet recording device | |
| US2008017202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 |
| CN214021462U (en) | Automatic feeding spraying machine | |
| CN217674562U (en) | Storage tank capable of adding solid sodium bicarbonate into closed container in metering manner | |
| US6138724A (en) | Shipboard paint dispensing system | |
| JP2008036619A (en) | Liquid discharging method with air pressure using syringe and its apparatus | |
| CN114851552A (en) | Powder feeding device for powder ink-jet bonding printing | |
| CN211025905U (en) | Curing agent dispenser with integrated pipeline structure | |
| CN109982787A (en) | The bonding agent feeding device and binder supply method of molding sand | |
| KR100422243B1 (en) | Ink Filling Machine for Ink Cartridge and Ink Filling Method | |
| CN102390180B (en) | Intelligentized ink box regeneration system | |
| CN218479555U (en) | Device for grouting sleeve in grouting | |
| CN216063985U (en) | Two-component glue dispenser | |
| CN212391708U (en) | Carbon powder filling mechanism | |
| CN218261946U (en) | Hybrid filling machine | |
| CN219334088U (en) | Feeding mechanism of stirrer | |
| CN218615470U (en) | 3D of continuous feed prints feeder machi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70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7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70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