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916B1 - LFIA vehicle fuel line pressure regulator and monitoring method - Google Patents
LFIA vehicle fuel line pressure regulator and monito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6916B1 KR100746916B1 KR1020050124956A KR20050124956A KR100746916B1 KR 100746916 B1 KR100746916 B1 KR 100746916B1 KR 1020050124956 A KR1020050124956 A KR 1020050124956A KR 20050124956 A KR20050124956 A KR 20050124956A KR 100746916 B1 KR100746916 B1 KR 1007469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fuel
- fuel line
- line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9—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1—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2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com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5—Failure diagnosis or prevention; Safety measures; Tes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93—Safety devices; Fail-safe meas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엘피아이(LIQUEFIED PETROLEUM GAS INJECTION)차량에서 스프링의 탄성력과 전자석의 자기력이 동시에 제공되는 가변압력조절장치를 적용하여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정하고,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정하는 가변압력조절장치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LIQUEFIED PETROLEUM GAS INJECTION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that provid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and whether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which adjusts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is abnormal. By monitoring
엘피아이 차량이 시동 오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시동 온이 검출되면 메인 릴레이와 연료펌프 릴레이를 온시키며, 가변압력조절장치의 제어를 활성화로 상태로 진입시키는 과정과, 연료 공급라인에 배치되는 멀티밸브 및 셔트 오프 밸브를 개방시켜 인젝터로의 연료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과, 연료라인의 압력을 검출하여 맵 테이블로부터 추출되는 현재 운전 조건에서의 목표 압력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압력과 목표 압력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변압력조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여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연료라인의 압력 조절 이후에 검출되는 연료압력과 압력 조절 이전에 검출된 압력을 비교하여 가변압력조절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f Elpia detects a start-up while the vehicle is kept off, the main relay and fuel pump relay are turned on, the control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is activated, and the multi-valve disposed in the fuel supply line. And controlling the fuel supply to the injector by opening the shut-off valve,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and comparing it with the target pressure in the current operating conditions extracted from the map table, and the current pressure and the target pressure.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comparing the fuel pressure detected after the pressure adjustment of the fuel line with the pressure detected before the pressure adjustment, the variable pressur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device has failed.
엘피아이 차량, 인젝터 누출, 가변압력조절장치, 모니터링 ELPIEY vehicle, injector leak, variable pressure regulator, monitoring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엘피아이 차량의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of a typical Elpia vehicle.
도 2는 종래의 엘피아이 차량에 적용되는 다이어프램식 연료압력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aphragm typ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applied to a conventional ELPI vehic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피아이 차량에 적용되는 가변압력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Elp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피아이 차량에서 연료라인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4 is a flow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lpia performing fuel line monitoring in a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엘피아이(LIQUEFIED PETROLEUM GAS INJECTION)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력과 전자석의 자기력이 동시에 제공되는 가변압력조절장치를 적용하여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정하고,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정하는 가변압력조절장치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라인 압력 조절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IQUEFIED PETROLEUM GAS INJECTION)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by applying a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ELPI for monitoring the abnormality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vehicle relates to a fuel line pressure adjusting device and a monitoring method.
예컨대, 엘피아이 차량이라고 함은 기존 LPG 차량의 가스 봄베내에 연료펌프를 장착하여 LPG를 액상의 상태에서 압송하여 가스 인젝터에서 분사되도록 하는 연료 계통을 채택하고 있는 차량을 지칭하며, 이러한 엘피아이 차량은 환경 규제 대응과 기존의 LPG 차량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n Elpia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employs a fuel system in which a fuel pump is installed in a gas cylinder of an existing LPG vehicle to pump LPG in a liquid state to be injected from a gas injector. Responding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he problems of existing LPG vehicles can be solved.
LPG 연료는 액상의 연료가 온도 상승 또는 압력강하에 의하여 기상으로 상변화하게 되면 부피가 250배로 증가하게 된다.LPG fuel increases its volume by 250 times when liquid fuel phase changes into the gas phase due to temperature rise or pressure drop.
따라서, 엔진 작동 중에 액상 연료의 상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실제로 연소실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은 1/250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엔진 정지가 발생되므로, 주행중(아이들 포함) 엔진의 복사열에 의한 LPG연료의 상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봄베내의 충전된 연료를 가압하여 분사하고 있다.Therefore, if the phase change of the liquid fuel occurs during engine operation, the engine stop occurs because the amount of fuel actually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s only 1/250. Therefore, the phase change of the LPG fuel due to radiant heat of the engine during driving (including children) The fuel is injected by pressurizing the fuel in the cylinder so as not to occur.
이러한 LPI 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G 연료를 액상의 상태로 수용하는 봄베(10)와 엔진(40)의 연소실에 장착되는 인젝터(50)는 연료 공급라인(20)과 연료 리턴라인(30)으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the LPI vehicle includes a
상기 연료 공급라인(20)에는 봄베(10)내에서 연료를 가압하여 압송하는 연료펌프(11)가 배치되고, 이 연료펌프(11)에 하류측에 멀티밸브(12)와 셔트 오프 밸브(21) 및 연료온도 센서(22)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The
상기 연료 리턴라인(30)에는 인젝터(50)에 액상의 상태로 대략 5bar 정도의 압력이 걸리도록 조정하는 압력 조절장치(31)와 인젝터(50)에 걸리는 연료의 압력을 검출하는 연료 압력센서(32)가 배치된다.The
상기 인젝터(50), 연료펌프(11), 멀티밸브(12), 셔트 오프 밸브(21), 연료온도 센서(22), 연료 압력센서(32)는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전자제어유닛(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The
또한, 흡기계통(60)에는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 센서(61), 공기량을 검출하는 맵 센서(62), 아이들 스피트 액츄에이터(63), 가속페달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64) 등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배기계통(70)에는 산소센서(71)를 구비하고, 엔진(40) 자체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센서(41) 및 엔진(40)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크랭크 샤프트의 각도를 크랭크 포지션 센서(42)등을 구비된다.The
상기 흡기계통(60)과 배기계통(70) 및 엔진(40)에 장착되는 각 구성 요소는 엔진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제어유닛(90)에 공급하거나 전자제어유닛(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면서 최적의 상태로 운전이 이루어지게 한다.Each component mounted in the
상기에서 연료 리턴라인(30)에 배치되는 압력 조절장치(31)는 연료 공급라인(20)상의 압력을 봄베(10) 내부의 압력과 대비하여 대략적으로 5bar 정도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 준다.The
상기 압력 조절장치(31)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31A)의 하부 중앙에는 연료 출구관(31B)이 형성되어 상기 레귤레이터 하우징의 연료 출구단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밸브 하우징(31A)의 하부 연료 출구관(31B) 둘레에는 다수개의 연료 유입구(31C)가 형성되어 상기 레귤 레이터 하우징의 연료 입구단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2, a
상기 밸브 하우징(31A)의 내부에는 그 중앙에 다이어프램(31D)이 설치되어 밸브 하우징(31A)의 내부를 다이어프램 실(C1)과 연료 유입실(C2)로 구획하게 되며, 상기 다이어프램(31D)의 중앙에는 상기 연료 유입실(C2) 측으로 밸브(31E)가 설치된다. The
즉, 상기한 연료 출구관(31B)은 그 상단이 상기 연료 유입실(C2)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31E)는 그 하부면에 밸브시트(31F)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밸브시트(31F)에 의해 상기 연료 출구관(31B)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31A)의 다이어프램 실(C1)에는 스프링(31G)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31G)은 그 상단이 밸브 하우징(31A)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는 상부 스프링시트(31H)에 지지되고, 그 하단은 상기 밸브(31E)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스프링시트(31I)에 지지되어 밸브(31E)에 일정 탄성력을 제공한다. A
또한, 상기 밸브(31E)의 상단 중심에는 내측으로 핀 홈(31J)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시트(31H)의 중심에는 코어 핀(31K)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핀 홈(31J)에 끼운 상태로 밸브(31E)의 상하작동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a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압력조절장치(31)는 상기 스프링(31G)의 탄성계수가 일정하게 설정되며, 인젝터(50)로부터 리턴되는 연료 유입구(31C)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스프링(31G)의 탄성력을 극복하면, 상기 다이어프램(31D)을 밀어 올려서 상기 밸브(31E)가 연료 출구관(31B)을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료가 봄베(10)로 리턴된다.Therefore, the
반면, 상기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이 스프링(31G)의 탄성력을 극복하지 못하면, 상기 다이어프램(31D)을 밀어 올리지 못하여 상기 밸브(31E)는 연료 출구관(31B)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여 연료 공급라인(20)내 연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fuel does not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1G), the diaphragm (31D) can not be pushed up, the valve (31E) maintains the fuel outlet pipe (31B) closed fuel supply line The pressure of the fuel in (20) is kept constant.
예를 들면, 스프링(31G)의 탄성계수를 연료 공급라인(20) 내 연료압이 5Bar (현재 LPI 양산 차종은 5Bar로 설정되어 있음) 이상일 때, 상기 밸브(31E)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설정한다면, 연료 유입구(31C)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5Bar 이상이 되면, 밸브(31E)가 연료 출구관(31B)을 열어 연료가 봄베(10)로 리턴된다.For example, if the elasticity modulus of the
그러나, 상기 연료 유입구(31C)에 5Bar 미만의 연료 압력이 걸리게 되면, 밸브(31E)가 연료 출구관(31B)을 닫아 연료가 봄베(10)로 리턴되지 않도록 한다.However, when a fuel pressure of less than 5 Bar is applied to the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압력조절장치는 그 내부의 스프링(31G)의 탄성계수가 결정되면, 상기 연료 공급라인(20) 내부의 연료압이 고정되는 바, 시스템의 필요에 의해 압력 조절장치(31)의 설정압력을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In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elastic modulus of the
즉, 엘피아이 차량에서 압력 조절장치(31)의 설정압이 5Bar로 고정되면, 엔진 운행 중에는 모든 시스템이 5Bar에 맞추어 설계되지만, 엔진 정지 시에는 엔진룸 영역 내에 배치되는 연료 공급라인(20) 상의 연료의 온도가 엔진룸 내부열에 의해 상승하는 과정에서 인젝터(50) 또는 인젝터(50)와 연료 공급라인(20)의 연결부에서 연료가 누설(Leak)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set pressure of the
물론, 상기 엔진 정지 시에도, 연료 공급라인(20) 내 연료압이 압력 조절장치(31)에 설정된 압력까지 올라가게 되면, 압력조절장치(31)의 밸브(31E)가 연료 출구관(31B)을 개방시켜 연료가 봄베(10)측으로 리턴되어 압력이 다소 내려가기는 하지만, 설정압력 전까지는 연료 공급라인(20) 내의 연료압력 상승에 의해 인젝터(50)를 통한 일시적인 연료 누설의 문제점은 해소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다.Of course, even when the engine is stopped, if the fuel pressure in the
또한, 상기한 압력 조절정치가 장착되는 종래의 엘피아이 차량에서는 봄베(10)와 셔트 오프 밸브(21) 사이의 연료 공급라인(20)에 대한 연료 압력의 정상유무는 판정이 가능하나, 셔트 오프 밸브(21)를 거치지 않는 압력 조절장치(31)와 봄베(10) 및 엔진(40)의 인젝터(50)에 이르는 연료라인 대한 압력의 정상유무는 판정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ELPAI vehicle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pressure regulation politic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uel pressure for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피아이 차량에 스프링의 탄성력과 전자석의 자기력으로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정하는 가변 압력조절장치를 장착하고, 가변 압력조절장치의 제어와 연계하여 연료라인의 전구간에서 연료압력의 정상/비정상 유무를 판정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Elpia is equipped with a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uel pressure is normal or abnormal in all sections of the fuel line.
또한, 연료라인내의 연료압력이 특정값 이상으로 상승되거나 특정값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연료라인에 심각한 리크가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거나 인젝터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차량 및 엔진의 보호를 위해 림프 홈 로직이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fuel pressure in the fuel line rises above or below a certain value, the limp home logic is activated to protect the vehicle and engine by considering a serious leak in the fuel line or judging it as an injector. It was made possi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과, 연료펌프가 배치되며 LPG가 충전되는 연료봄베, 엔진에 장착되며 연료 공급라인과 연료 리턴라인의 사이에 배치되는 인젝터, 연료펌프와 연결되는 연료 공급라인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멀티밸브 및 셔트 오프 밸브, 연료 리턴라인에 배치되는 압력조절장치, 연료 공급라인에 배치되어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엘피아이 차량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n engine, a fuel pump is disposed, LPG is filled with a fuel cylinder, an injector mount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fuel supply line and the fuel return line, fuel connected to the fuel pump An Elpia vehicle comprising a multi-valve and a shut-off valve sequentially disposed in a supply line, a pressure regulator disposed in a fuel return line, and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a fuel supply line to detect fuel temperature.
상기 연료 리턴라인에 배치되는 압력조절장치는 스프링의 탄성력과 전자석의 자기력으로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정하는 가변압력조절장치로 적용되고, 상기 연료라인의 압력을 검출하여 목표 압력과 비교한 다음 상기 가변압력조절장치의 제어를 통해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절한 다음 조절된 압력과 이전의 압력을 비교하여 연료라인의 이상여부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라인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disposed in the fuel return line is applied as a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is detected and compared with the target pressure. Fuel line pressure control device of the Elpi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through the control of the pressure regulator and then comparing the adjusted pressure and the previous pressure to diagnose the abnormality of the fuel lin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엘피아이 차량이 시동 오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시동 온이 검출되면 메인 릴레이와 연료펌프 릴레이를 온시키며, 가변압력조절장치의 제어를 활성화로 상태로 진입시키는 과정과; 연료 공급라인에 배치되는 멀티밸브 및 셔트 오프 밸브를 개방시켜 인젝터로의 연료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과; 연료라인의 압력을 검출하여 맵 테이블로부터 추출되는 현재 운전 조건에서의 목표 압력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압력과 목표 압력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변압력조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여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연료라인의 압력 조절 이후에 검출되는 연료압력과 압력 조절 이전에 검출된 압력을 비교하여 가변압력조절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라인 압력 조절장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turning on the main relay and the fuel pump relay when the start-up is dete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maintains the start-up of the Elpia, and enters the state of the control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to the activation state; Controlling the fuel supply to the injector by opening the multi-valve and the shut-off valve disposed in the fuel supply line; Detecting a pressure of the fuel line and comparing the target pressure with a target pressure at a current operating condition extracted from the map table;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current pressure and the target pressure; And comparing the fuel pressure detected after the pressure adjustment of the fuel line with the pressure detected before the pressure adjustm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is broken. Provide monitoring method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엘피아이 차량의 시스템은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ystem of the Elpi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structure mentioned in the prior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피아이 차량에 적용되는 가변압력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Elp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연료 리턴라인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압력 조절장치(101)는 밸브 하이징(103)이 설치된다.In the variable
상기 밸브 하우징(103)은 그 하부 중앙에 연료 출구관(105)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 출구관(105) 둘레에는 다수개의 연료 유입구(107)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료 출구관(105)은 도시되지 않은 레귤레이터 하우징의 연료 출구단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연료 유입구(107)는 도시되지 않은 레귤레이터 하우징의 연료 입구단에 대응하게 배치된다The
그리고 밸브 하우징(103)의 내부 중앙에는 다이아프램(109)이 설치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103)의 내부를 다이어프램 실(C1)과 연료 유입실(C2)로 구획한다.In addition, a
상기 다이어프램(109)의 중앙에는 밸브(111)가 다이어프램(109)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밸브(111)는 상기 다이어프램 실(C1)과 연료 유입실(C2)에 걸쳐서 배치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09)에 고정된다. In the center of the
즉, 밸브(111)는 그 하부면에 상기 연료 유입실(C2) 내에서 상기 연료 출구관(105)을 개폐하는 밸브시트(113)를 구성되고, 그 상부는 다이어프램 실(C1)중앙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연장부(115)를 일체로 형성한다. That is, the
상기 연장부(115) 내부 중앙에는 스프링 홈(117)이 형성되고, 스프링 홈(117)의 내측으로는 핀 홈(119)이 연장 형성된다. A
여기서, 스프링 홈(117)은 핀 홈(119)보다 직경이 큰 원형홈으로 형성된다. Here, the
그리고, 다이어프램 실(C1) 내부에서 밸브(111)의 연장부(115)에는 전자석(121)이 끼워지는데, 전자석(121)은 그 상단이 밸브 하우징(103)의 상부 내면에 구성되는 지지체(123)에 의해 지지되어 전원 공급시 연장부(115)를 통하여 밸브(111)를 닫는 방향으로 자기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In addition, an
여기서, 밸브 하우징(103)의 일측부에는 전자석(12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단자(125)를 연결한 커넥터(127)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그리고 밸브(111)의 스프링 홈(117)에는 스프링(129)이 끼워지며, 스프링(129)의 상단은 지지체(123)에 지지되고, 그 하단은 밸브(111)의 스프링 홈(117) 내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한다.A
또한, 지지체(123)의 중앙에는 코어 핀(131)이 그 상단을 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코어 핀(131)의 하단은 밸브(111)의 스프링 홈(117)을 통하여 핀 홈(119)에 삽입된 상태로 밸브(111)의 상하작동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한다. In addition, the
이 때, 스프링(129)은 코어 핀(13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상기 스프링(129)은 그 자체만으로 연료라인의 압력이 설정 압력, 대략 5bar 보다 낮은 압력에서 상기 밸브(111)를 열어 연료를 봄베로 리턴할 수 있도록 그 탄성계수가 설정된다.The
그리고 상기 전자석(121)은 엔진 구동 시, 연료라인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 밸브(111)가 개방되도록 하는 스프링(129)의 탄성력을 보조하여 전자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밸브(111)를 닫는 방향으로 자기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밸브(111)가 연료 유입구(107)로 공급되는 연료압이 설정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밸브(111)의 개방을 억제해주도록 작동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전자석(121)에의 전원 공급은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와 연결되어 이그니션 키(IG KEY)를 온(ON) 하면, 전자제어유닛에서 메인 릴레이(MAIN RELAY)와 연료펌프 릴레이(FUEL PUMP RELAY)를 온(ON)시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며, 전원 차단은 상기 이그니션 키(IG KEY)를 오프(OFF) 하면, 전자제어유닛은 메인 릴레이와 연료펌프 릴레이를 오프시켜 전원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상기한 가변 압력조절장치(101)의 기본적인 개념은, 엔진 시동 오프(OFF)후에는 상기 전자석(121)의 자기장력을 소멸시켜 연료 공급라인 내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도 봄베측으로 리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basic concept of the variable
또한, 엔진 정지 후 엔지룸 영역에 배치되는 연료 공급라인 내 연료는 온도 상승에 의해 연료압이 상승하지만 가변압력조절장치(101)의 연료 리턴 설정압이 단지 스프링(129)의 탄성력에 따른 설정압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는 연료 공급라인 내부에는 연료 압력의 상승이 크지 않고, 상기 스프링(129)에 의해 결정되는 설정 압력정도로 연료압이 상승하면 가변 압력조절장치(101)를 통해 봄베측으로 리턴된다. In addition, the fuel in the fuel supply line disposed in the engine area after the engine stops increases the fuel pressure due to the temperature rise, but the fuel return set pressure of the variable
이에 따라 연료 공급라인 내의 연료압력은 시동 시보다 낮은 연료압으로 형 성되어 인젝터를 통한 연료 누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엔진 재시동 시 배기가스(EM)를 저감하게 된다.As a result, the fuel pressure in the fuel supply line is formed at a lower fuel pressure than when starting, so that fuel leakage through the injecto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exhaust gas (EM) when the engine is restarted.
상기한 가변 압력조절장치가 장착되는 엘피아이 차량에서 연료라인의 이상여부를 모니터링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4 with respect to the monitoring operation of the fuel line in the Elpia vehicle equipped with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described above as follows.
엔진의 시동이 오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S101), 이그니션 키의 의한 엔진 시동 온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102).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starts to be off (S1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gine start-on by the ignition key is detected (S102).
엔진 시동 온이 검출되면 전자제어유닛은 메인 릴레이 접점과 연료펌프 릴레이 접점을 온으로 하며, 가변압력 조절장치(101)의 제어를 활성화한다(S103).When the engine start-on is detecte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urns on the main relay contact and the fuel pump relay contact, and activates the control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101 (S103).
이후, 봄베측에 배치되는 멀티 밸브와 연료 공급라인에 배치되는 셔트 오프 밸브를 개방하여(S104), 엔진에 배치되는 인젝터로의 연료 공급을 수행한다(S105).Thereafter, the multi-valve disposed on the bombe side and the shut-off valve disposed on the fuel supply line are opened (S104) to perform fuel supply to the injectors arranged in the engine (S105).
상기와 같이 인젝터에 연료의 공급을 수행함에 따라 연료 공급라인과 연료 리턴라인에 분포되는 연료의 압력을 검출하여 설정된 목표 압력과 비교한다(S106).As the fuel is supplied to the injector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of the fuel distributed in the fuel supply line and the fuel return line is detected and compared with the set target pressure (S106).
상기 S106에서의 비교 결과 현재 검출되는 연료라인의 압력이 설정된 목표 압력 이하의 값을 갖는지를 판단하며(S107), 목표 압력 이하의 값을 갖는 상태이면 전자제어유닛은 가변압력 조절장치를 작동시키는 듀티를 감소 제어하여 가변압력 조절장치를 폐쇄 제어함으로써 연료라인의 압력을 상승시킨다(S108).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10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sure of the currently detected fuel line has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arget pressure (S107). If the stat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arget pressur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By reducing the control to close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S108).
상기와 같이 가변압력 조절장치를 폐쇄한 이후 연료라인의 압력을 검출하여(S109) 현재 검출되는 압력과 가변압력 조절장치를 폐쇄 제어하기 이전에 검출된 압력을 비교하여 현재의 압력이 이전에 검출된 압력 보다 작은 값을 갖는지를 판단한다(S110).After closing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is detected (S109), and the current pressure is previously detected by comparing the currently detected pressure with the detected pressure before closing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ssure (S110).
상기에서 현재의 압력이 이전에 검출된 압력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상태가 아니면 상기 S107의 과정으로 리턴되고, 현재의 압력이 이전에 검출된 압력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상태이면 전자제어유닛은 가변압력 조절장치의 개방 고착(단락) 혹은 인젝터의 고장으로 판정한다(S111).If the present pressure is not a state having a value less than the pressure previously detec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7, and if the current pressure has a value less than the previously detected pressur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djusts the variable pressure. It is determined by the open fixation (short circuit) of the apparatus or the failure of the injector (S111).
이후, 고장 코드를 저장한 다음 엔진의 보호를 위하여 림프 홈 모드를 수행한다(S112).Thereafter, the fault code is stored, and then the lymph groove mode is performed to protect the engine (S112).
그러나, 상기 S107의 판단에서 연료라인에서 검출되는 현재의 압력이 설정된 목표 압력 이하로 판단되지 않으면, 목표 압력 이상을 유지하는지 판단한다(S113).However, if the current pressure detected in the fuel line is not determined to be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target pressure in the determination of S107, it is determined whether to maintain the target pressure or more (S113).
상기 S113의 판단에서 현재의 압력이 설정된 목표 압력 이상으로 판단되면 가변압력 조절장치를 작동시키는 듀티를 증가 제어하여 가변압력 조절장치를 개방 제어함으로써, 연료라인의 압력을 낮추어 준다(S114).If it is determined in S113 that the current press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arget pressure, the duty of operating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is increased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thereby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S114).
상기와 같이 가변압력 조절장치의 밸브 개방을 통해 연료라인의 압력을 낮추는 제어가 수행되면 연료라인의 압력을 검출하여(S115) 현재의 압력이 이전에 검출된 압력 보다 높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16).When the control to lower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is performed by opening the valve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is detected (S115)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pressure is higher than the previously detected pressure (S116). ).
상기 S116의 판단 결과 현재의 압력이 이전에 검출된 압력보다 높은 상태이면 상기 S113으로 리턴되고, 현재의 압력이 이전에 검출된 압력보다 낮은 상태이면 가변압력 조절장치의 닫힘 고착(단선) 또는 연료계통에 심각한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11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116, if the current pressure is higher than the previously detected pressure, the flow returns to S113. If the current pressure is lower than the previously detected pressure, the closed pressure (disconnection) or fuel system of the variable pressure regulator is clos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erious leak in (S117).
이후, 그에 대한 고장코드를 출력한 다음 림프 홈 모드를 수행한다(S118).Thereafter, the fault code is outputted therefor and then the lymphatic groove mode is performed (S118).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피아이 차량에서 가변압력 조절장치를 적용하여 연료라인내의 압력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인젝터에서 분사 압력과 엔진 시동 오프후 인젝터에서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Elpia applies the variable pressure control device in the vehicle to actively adjust the pressure in the fuel line, thereby preventing the injection pressure from the injector and the leakage from the injector after the engine is turned off, thereby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reliability.
또한, 연료라인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가변압력 조절장치의 이상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계통에 대한 진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onitoring the pressure of the fuel line to diagnose the abnormality of the variable pressure control device, Elpia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diagnosis on the fuel system of the vehicl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24956A KR100746916B1 (en) | 2005-12-17 | 2005-12-17 | LFIA vehicle fuel line pressure regulator and monito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24956A KR100746916B1 (en) | 2005-12-17 | 2005-12-17 | LFIA vehicle fuel line pressure regulator and monitoring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64479A KR20070064479A (en) | 2007-06-21 |
| KR100746916B1 true KR100746916B1 (en) | 2007-08-07 |
Family
ID=383641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1249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6916B1 (en) | 2005-12-17 | 2005-12-17 | LFIA vehicle fuel line pressure regulator and monito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46916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40871B1 (en) * | 2007-06-07 | 2008-06-23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LPI direct injection system |
| KR101876354B1 (en) * | 2016-12-07 | 2018-07-09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fault diagnosis in bi-fuel automobil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2619A (en) * | 1992-06-22 | 1994-01-11 | Nippon Carbureter Co Ltd | Gas fuel supply system of engine |
| KR20000042264A (en) * | 1998-12-24 | 2000-07-15 | 정주호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taining fuel pressure in regulator of automobile using lpg as fuel |
-
2005
- 2005-12-17 KR KR1020050124956A patent/KR10074691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2619A (en) * | 1992-06-22 | 1994-01-11 | Nippon Carbureter Co Ltd | Gas fuel supply system of engine |
| KR20000042264A (en) * | 1998-12-24 | 2000-07-15 | 정주호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taining fuel pressure in regulator of automobile using lpg as fuel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40871B1 (en) * | 2007-06-07 | 2008-06-23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LPI direct injection system |
| KR101876354B1 (en) * | 2016-12-07 | 2018-07-09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fault diagnosis in bi-fuel automobi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64479A (en) | 2007-06-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47210B1 (en) | Elpia 2 Engine System | |
| KR100747240B1 (en) | LFAI gas injector system and fuel leakage prevention method and starting failure prevention method using same | |
| JP4840340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 US830781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heating of a fuel pump | |
| US856021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gas injection system of a gas fuel and a liquid fuel opera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KR20020086739A (en) | Fuel system, method for operating the fuel system, computer programme and control device and /or regulator for controlling said system | |
| EP104026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ving a differential pressure across a gaseous fuel admission valve of a dual fuel engine | |
| US7360408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a fuel pressure related fault and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ased on the fault | |
| KR20040054881A (en) | fuel feeding system for an LPI engine | |
| KR100407879B1 (en) | Fuel suppl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KR100746916B1 (en) | LFIA vehicle fuel line pressure regulator and monitoring method | |
| KR20020046946A (en) | Method for driv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uter program, control and/or regulation device an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KR100840871B1 (en) |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LPI direct injection system | |
| WO2013018131A1 (en) | Fuel supply device | |
| JP4138395B2 (en) | Liquefied gas fuel supply device | |
| WO2014091680A1 (en)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vehicle fuel injection system | |
| KR100898204B1 (en) | Variabl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ELPIEI fuel pressure regulator | |
| KR100748663B1 (en) | How Elpia Monitors Fuel Meters in Vehicles | |
| KR100667629B1 (en) | Variable pressure regulator for Elpiai system | |
| KR100957155B1 (en) | How to diagnose fuel line | |
| KR20070080327A (en) | Electronic Fuel Pressure Control LP System | |
| KR20060031212A (en) | Fuel recover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fuel line when LPI engine starts off | |
| CN210122942U (en) | Fuel pressure monitoring system for a carburetor | |
| KR20060110129A (en) | Control Method for Fuel Leakage Improvement in the Injector of LPG Liquid Injection System | |
| KR100851468B1 (en) | Pressure variable fuel system for Elpiai engine and its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8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8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