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607B1 - Car Trunk Reed Latches - Google Patents
Car Trunk Reed Latch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9607B1 KR100749607B1 KR1020060018966A KR20060018966A KR100749607B1 KR 100749607 B1 KR100749607 B1 KR 100749607B1 KR 1020060018966 A KR1020060018966 A KR 1020060018966A KR 20060018966 A KR20060018966 A KR 20060018966A KR 100749607 B1 KR100749607 B1 KR 100749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terminal
- trunk
- contact
- bas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6—Emergency opening means for persons trapp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트렁크가 오픈 되었을 때 룸램프의 기능을 수행하고, 비상시에 트렁크로부터 탈출이 가능하도록 핸들하우징부에 시프트 핸들이 구비된 트렁크 리드 래치가 설치되되 베이스플레이트를 공통 접지로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단자가 개별적으로 통전 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도금, 도장 및 착색이 가능하게되어 소비자의 요구 사항이나 차량 디자인의 향상이 가능한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room lamp when the trunk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trunk lid latch with a shift handle is installed in the handle housing to enable escape from the trunk in case of emergency, but using the base plate as a common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lid latch for a vehicle that can be plated, painted, and colored on the baseplate by changing each terminal so as to be energized separately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metho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trunk lid la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래치의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면.Figure 2 shows the terminal portion of the trunk lid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의 작동 상태도.Figure 3a to 3d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trunk lid la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 : 베이스플레이트 10 : 포크레버2: base plate 10: fork lever
20 : 파울레버 30 : 스프링20: Foul lever 30: spring
40 : 액츄에이터부 50 : 열림레버40: actuator portion 50: opening lever
52 : 접점브러쉬 60 : 시프트레버52: contact brush 60: shift lever
70 : 핸들하우징부 72 : 시프트 핸들70: handle housing portion 72: shift handle
80 : 터미널부 82 : 제 1단자80: terminal portion 82: first terminal
84 : 제 2단자 86 ; 제 3단자84:
90 : 인너레버 92 : 연결단자90: inner lever 92: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 래치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도금, 도장 및 착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요구 사항이나 차량 디자인의 향상이 가능한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lid latch for a vehicle that can be plated, painted and colored on a base plate on which the trunk lid latch is installed, thereby improving consumer requirements or vehicle design.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 내측에 설치되는 트렁크 리드 래치는 그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과 전기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한 기계식은 트렁크상에 사용자가 갇힌 상태에서 수동으로 트렁크 비상탈출용 당김레버 또는 키셋(Key Set)을 작동시켜 트렁크 리드 래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이다.In general, the trunk lid latch installed inside the trunk of the vehicle can be classified into mechanical and electrical according to its operation. The mechanical type can be manually pulled out or pulled for emergency exit of the trunk with the user trapped on the trunk. The trunk lead latch is operated by operating (Key Set).
상기한 전기식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트렁크 열림레버 또는 버튼을 작동시키거나, 리모콘의 원격신호에 의해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트렁크를 개폐하는 방식이다.The electric type is a method in which a driver opens or closes a trunk by operating a trunk opening lever or a button installed in a driver's seat, or by operating an actuator by a remote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상기한 방식중 기계식은 수동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도 작동 가능한 장점이 있고, 전기식은 운전석에 설치된 트렁크 열림레버에 의한 간단한 조작성과 함께 무선제어장비를 구비하여 원격으로 차량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mechanical type is operated manually,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vehicl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even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unk can be controlled.
상기한 트렁크 리드 래치를 작동시키는 기계식과 전기식 방식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각 방식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각의 방식을 병합하여 사용하고 있다.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methods for operating the trunk lid latches have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recently, each method is combined to use the advantages of each method and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상기한 트렁크 리드 래치에는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는데,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상에는 액츄에이터와 룸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공통접지로 사용하고 있다.The trunk lid latch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installed, and the base plate is used as a common ground to operate the actuator and the room lamp on the base plate.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가 공통접지로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도금 및 착색이 불가능하게 되어 점점 다양해져가는 소비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base plate is used as a common ground, the plating and coloring of the base plate is im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meet the increasingly diverse requirements of consumers.
또한, 상기 트렁크는 비상시에 내측에서 오픈 작동 가능하도록 비상 손잡이 노브가 구비되는데, 상기한 비상 손잡이가 설치되는 노브 하우징의 전면이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관통된 영역으로 트렁크에 적재된 화물 또는 길이를 갖는 이물질이 삽입될 경우에 상기 트렁크 리드 래치가 오작동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runk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handle knob to be open-operated from the inside in an emergency, the front of the knob housing in which the emergency handle is installed is penetrated, so that the cargo or cargo loaded into the trunk through the penetrated area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runk lid latch may malfunction when a foreign material having a length is inserted.
상기한 문제점들은 사용자의 반복적인 트렁크 작동으로 인한 불편과 함께, 차량에 대한 불만을 야기시킬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였다.The above problems provide a cause that can cause dissatisfaction with the vehicle, along with inconvenience caused by the user's repeated trunk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렁크 리드 래치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도금 및 착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 충족과 함께 상기 트렁크 리드 래치의 오작동이 방지 가능한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lating and coloring the base plate provided in the trunk lid latch, it is possible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consumers and the vehicle trunk lid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trunk lid latch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atc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요입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포크레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 진출입시에 포크레버와 록킹 또는 언록킹 결합 되는 파울 레버가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plate formed with the recessed portion to enable the entry and exit of the striker, and fork lever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striker, rotatable on the base plate It is installed so that, when the striker entry and exit is provided with a foul lever that is coupled to the fork lever locking or unlocking.
상기 포크레버와 파울레버 사이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부와, 상기 파울레버의 상측에 구비되어 파울레버의 회전 제한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설치되며, 트렁크 오픈 또는 클로즈시에 룸램프를 온(On) 오프(Off) 작동 가능하도록 접점브러쉬가 구비된 열림레버가 구비된다.Both end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ork lever and the foul lever to provide rotational force, an actuator unit installed above the base plate and operated according to a user's remote control signal, and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foul lever. It is installed to release the rotation limit state of the, and the opening lever is provided with a contact brush to enable the operation (On) Off (Off) the room lamp when the trunk is opened or closed.
상기 열림레버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포크레버와 파울레버의 록킹 상태를 해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시프트레버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단부에 구비된 시프트 핸들이 수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어 밀폐된 핸들하우징이 구비되되 상기 핸들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시프트레버가 작동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핸들하우징부가 구비된다.A steering wheel housing recessed inwardly to accommodate the shift lever provided to rotate the opening lever in one direction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fork lever and the foul lever, and the shift hand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hift lever. Is provided but the handle housing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handle housing to enable the shift lever.
일단이 커넥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액츄에이터부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가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단자, 일단이 커넥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룸램프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가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단자, 일단이 커넥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부와 룸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제 1,2단자와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는 제 3단자가 구비된 터미널부가 설치된다.A first terminal, one end of which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apable of supplying a single polarity current separately to the actuator; one end of which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apable of supplying a single polarity current separately to the room lamp The second terminal is provided, one end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terminal portion having a third terminal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actuator portion and the room lamp and supplying a current of a different polarity tha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열림레버와 함께 작동되는 접점브러쉬의 습동이 이루어지는 습동면까지 연장 형성 되도록 상기 제 3단자의 단부와 연결된 제 1연결 단자와, 상기 제 2단자의 단부와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되 접접브러쉬의 습동 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점브러쉬에 의해 접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2연결 단자가 구비된 연결단자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인너레버에 설치된다.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n end of the third terminal and extended to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terminal such that an inner side of the base plate extends to a sliding surface where sliding of a contact brush operated together with an opening lever is performed; A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extending to the sliding surface of the contact brush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brush is installed on the inner lever fixed to the base plate.
상기 접점브러쉬는 트렁크 클로즈시에는 습동면의 절연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 1,2연결단자와 미접점 접촉되고, 상기 트렁크가 오픈시에는 습동면의 절연영역에서 제 1,2연결단자 쪽으로 이동되어 접점 접촉된다.The contact brush is located in the insulating area of the sliding surface when the trunk is closed, and the non-contacted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and when the trunk is opened, the contact brush is moved from the insulating area of the sliding surface towar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Contacts are in contac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래치의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trunk lid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portion of the trunk lid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라이커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요입부(2a)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포크레버(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 진출입시에 포크레버(10)와 록킹 또는 언록킹 결합 되는 파울레버(20)가 구비된다.1 to 2, the
상기 포크레버(10)와 파울레버(20)에는 베이스플레이트(2)상에서 원할하게 작동 되도록 지지핀(6)이 설치된다. The
상기 포크레버(10)와 파울레버(20) 사이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부(40)가 구비된다.Both end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상기 액츄에이터부(40)는 액츄에이터 모터에 구비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 와 치형 결합되어 파울레버(20)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연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파울레버(20)의 상측에 구비되어 파울레버(20)의 회전 제한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설치되며, 트렁크 오픈 또는 클로즈시에 룸램프를 온(On) 오프(Off)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접점브러쉬(52)가 구비된 열림레버(50)가 설치된다. 상기 접점브러쉬(52)는 열림레버(50)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열림레버(5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포크레버(10)와 파울레버(20)의 록킹 상태를 해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시프트레버(60)와, 상기 시프트레버(60)의 단부에 구비된 시프트 핸들(72)이 수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어 밀폐된 핸들하우징(74)이 구비되되 상기 핸들하우징(74)의 내측 하부에 시프트레버(60)가 작동 가능하도록 관통공(76)이 형성된 핸들하우징부(70)가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76)은 시프트레버(60)의 작동을 간섭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
상기 핸들하우징부(70)는 상기 액츄에이터모터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하우징부(70)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브라켓(8)이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8)은 중량 절감을 위해 관통홀을 형성하였다.The
일단이 커넥터(4)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액츄에이터부(40)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가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단자(82)와, 일단이 커넥터(4)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룸램프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가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단자(84)와, 일단이 커넥터(4)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부(40)와 룸램프(미도시)에 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제 1,2단자(82,84)와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는 제 3단자(86)가 구비된 터미널부(80)가 구비된다.One end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4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상기 커넥터(4)에 위치한 터미널부(80)의 제 1,2단자(82,84)에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인가된“+”전류가 연결되고, 제 3단자(86)에는“-”전류가 연결된다."+" Current applied from a battery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상기 제 2단자(84)는 배터리의“+”단자와 연결되되, 상기 룸램프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Th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내측에는 열림레버(50)와 함께 작동되는 접점브러쉬(52)의 습동이 이루어지는 습동면(94)까지 연장 형성 되도록 상기 제 3단자(86)의 단부와 연결된 제 1연결 단자(92a)와, 상기 제 2단자(84)의 단부와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되 접접브러쉬(52)의 습동면(94)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점브러쉬(52)에 의해 접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2연결 단자(92b)가 구비된 연결단자(92)가 베이스플레이트(2)에 고정되는 인너레버(90)에 설치된다.The first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상기 접점브러쉬(52)는 트렁크 클로즈시에는 습동면(94)의 절연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 1,2연결단자(92a,92b)와 미접점 접촉되고, 상기 트렁크가 오픈시에는 습동면(94)의 절연영역에서 제 1,2연결단자(92a,92b) 쪽으로 이동되어 접점 접촉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 리드 래치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trunk lid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 리드 래치는 리모콘에 의한 전자식 작동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기계식 작동으로 사용 가능하며, 첨부된 도 3a는 기계식 작동 관계 중심으로 설명한다.Trunk lid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electronic operation by the remote control and the mechanical operation by the user's key operation, the attached Figure 3a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chanical operation relationship.
첨부된 도 3a를 참조하면, 운전자에 의해 트렁크 오픈 레버(미도시)가 작동되거나, 트렁크(미도시) 내부를 통해 비상 탈출을 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핸들하우징부(70)에 구비된 시프트 핸들(72)을 도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작동시킨다.Referring to FIG. 3A, when a driver opens a trunk open lever (not shown) or makes an emergency escape through a trunk (not shown), a shift provided in the
상기 시프트 핸들(72)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 핸들(72)과 연결 설치된 시프트레버(60)가 일 방향으로 작동된다. 즉, 상기 시프트레버(60)의 단부가 열림레버(50)의 일단을 록킹해제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면서 상기 열림레버(50)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파울레버(20)가 베이스플레이트(2) 상에서 회전 작동된다.As the shift handle 72 is operated, the
상기 시프트 핸들(72)이 설치된 핸들하우징부(70)는 내측으로 요입된 밀폐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트렁크상에 길이를 갖고 적재되는 적재물에 의해 오작동이 일어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다.The
첨부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울레버(20)가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파울레버(20)에 결합된 스프링(30)이 인장되기 시작한다.As shown in FIG. 3A, as the
첨부된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시프트 핸들(72)이 오픈 방향으로 완전히 작동되면서 상기 시프트레버(60)는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해제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게되며, 상기 열림레버(50)는 시프트레버(60)에 의해 연동하여 작동된다. 상기 시프트 핸들(72)은 트렁크가 클로즈 되었을 때 위치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야광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3B, the shift handle 72 is fully operated in the open direction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상기 열림레버(50)와 연결 설치된 파울레버(20)가 해제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스프링(30) 또한 파울레버(20)에 의해 인장되어 타단에 연결된 포크레버(10)를 록킹 해제 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포크레버(10)가 회전 작동된다.As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열림레버(50)의 후면에 구비된 접점브러쉬(52)는 습동면(94)의 절연영역에서 제 1,2연결단자(92a,92b)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접점브러쉬(52)의 양단부와 제 1,2연결단자(92a,92b)간의 접점 접촉이 이루어진다.At the same time, the
상기와 같이 접점브러쉬(52)에 의해 제 1,2연결단자(92a,92b)와 접점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터미널부(80)(도 2참조)에 구비된 제 2,3단자(84,86)(도 2참조)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brushes 52 make contact with the first and
상기 제 2단자(84)에는“+”전류가 인가되되 배터리(미도시)로 부터 각각 제 2단자(84)와 룸램프(미도시)로 전류가 인가된 상태이고, 상기 제 3단자(86)에는“-”전류가 인가되어 있어서, 상기 제 1,2연결단자(92a,92b)의 접점브러쉬(52)에 의한 접점 접촉에 의해 룸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진다.The “+” current is applied to the
첨부된 도 3c를 참조하면, 트렁크 오픈 방향으로 작동되었던 시프트 핸들(72)이 원위치 하면서, 상기 시프트 핸들(72)과 연결 설치된 시프트레버(60)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원위치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트렁크가 오픈되면서 비상 탈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C, the shift handle 72 which has been operated in the trunk open direc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는 트렁크 리드 래치에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가 도금, 도장 및 착색이 가능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 사항과 차량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unk lid la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lating, painting, and coloring the base plate provided in the trunk lid latch to cope with various consumer requirements and vehicle designs.
또한, 트렁크에 적재되는 적재물에 의해 트렁크 리드 래치가 오작동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고객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malfunction of the trunk lid latch does not occur due to the load loaded on the trunk,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the custome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8966A KR100749607B1 (en) | 2006-02-27 | 2006-02-27 | Car Trunk Reed Latch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8966A KR100749607B1 (en) | 2006-02-27 | 2006-02-27 | Car Trunk Reed Latch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49607B1 true KR100749607B1 (en) | 2007-08-14 |
Family
ID=386029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189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9607B1 (en) | 2006-02-27 | 2006-02-27 | Car Trunk Reed Latch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4960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24987B1 (en) * | 2009-05-21 | 2011-03-25 |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Automotive Tailgate Latch Assembly |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36996A (en) * | 1999-05-27 | 2000-12-05 | Mitsubishi Motors Corp | Trunk room equipment |
| JP2001182400A (en) * | 1999-12-28 | 2001-07-06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Latch device for vehicle trunk lid |
| KR200249869Y1 (en) * | 2001-06-30 | 2001-11-16 | 노용식 | apparatus of emergence escape in trunk |
| KR20020031795A (en) * | 2000-10-24 | 2002-05-03 | 이계안 | Tail-gate Locking Apparatus for Hatch-back Car |
| KR20040039724A (en) * | 2002-11-04 | 2004-05-12 | 평화정공 주식회사 | Trunk lid latch |
| KR20040039725A (en) * | 2002-11-04 | 2004-05-12 | 평화정공 주식회사 | Automobile door or trunk lid latch having 2 point connector structure circuit |
| KR200374116Y1 (en) * | 2004-11-02 | 2005-01-27 | 평화정공 주식회사 | Lamp switch structure and latch using the same |
| KR20050036053A (en) * | 2003-10-14 | 2005-04-2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Trunk lid latch assembly of a vehicle |
-
2006
- 2006-02-27 KR KR1020060018966A patent/KR1007496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36996A (en) * | 1999-05-27 | 2000-12-05 | Mitsubishi Motors Corp | Trunk room equipment |
| JP2001182400A (en) * | 1999-12-28 | 2001-07-06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Latch device for vehicle trunk lid |
| KR20020031795A (en) * | 2000-10-24 | 2002-05-03 | 이계안 | Tail-gate Locking Apparatus for Hatch-back Car |
| KR200249869Y1 (en) * | 2001-06-30 | 2001-11-16 | 노용식 | apparatus of emergence escape in trunk |
| KR20040039724A (en) * | 2002-11-04 | 2004-05-12 | 평화정공 주식회사 | Trunk lid latch |
| KR20040039725A (en) * | 2002-11-04 | 2004-05-12 | 평화정공 주식회사 | Automobile door or trunk lid latch having 2 point connector structure circuit |
| KR20050036053A (en) * | 2003-10-14 | 2005-04-2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Trunk lid latch assembly of a vehicle |
| KR200374116Y1 (en) * | 2004-11-02 | 2005-01-27 | 평화정공 주식회사 | Lamp switch structure and latch using the sam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24987B1 (en) * | 2009-05-21 | 2011-03-25 |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Automotive Tailgate Latch Assembl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730867B2 (en) |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 |
| US20250083506A1 (en) | Touch Release Handle | |
| US20030116977A1 (en) | Motor vehicle doorlock with combined central locking and opening actuator | |
| US6722714B2 (en) | Vehicul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 |
| CN107250475A (en) | Door latch device for motor vehicle | |
| GB2379713A (en) | Latch device for vehicle tailgate | |
| US20050077734A1 (en) | Truck lid latch assembly of a vehicle | |
| KR101273515B1 (en) | A motor vehicle trunk lid latch assembly | |
| CN112302437B (en) | Electric door lock for vehicle | |
| US4850625A (en) | Automotive door lock device with anit-theft structure | |
| KR100535081B1 (en) | Structure of latch of tail gate for automobile | |
| KR100622727B1 (en) | Car Trunk Lead Latch Assembly | |
| KR100749607B1 (en) | Car Trunk Reed Latches | |
| CN111356815A (en) | Motor vehicle door handle device with operating module | |
| KR100959311B1 (en) | Garnish integral tailgate handle structure | |
| JP2001311339A (en) | Door lock operating device | |
| CN111433425A (en) | Motor vehicle door handle device with emergency actuating lever | |
| CN113123687B (en) | Two-stage opening back door | |
| KR100610913B1 (en) | Remote controller of car slide door | |
| KR100558416B1 (en) | Inside door handle for car | |
| US20080041445A1 (en) | Energy capture system | |
| KR101480741B1 (en) | Trunk lid latch assembly | |
| JP2002106226A (en) | Trunk for vehicle | |
| KR20100064830A (en) | Opening apparatus of the trunk lid for automobile | |
| KR101198668B1 (en) | Door inside handle assembly with override function for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8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8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