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1321B1 -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321B1
KR100741321B1 KR1020060021236A KR20060021236A KR100741321B1 KR 100741321 B1 KR100741321 B1 KR 100741321B1 KR 1020060021236 A KR1020060021236 A KR 1020060021236A KR 20060021236 A KR20060021236 A KR 20060021236A KR 100741321 B1 KR100741321 B1 KR 10074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altoprofen
soft capsule
weight
grams
polyoxyethyl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모
길영식
정원태
정상영
안기영
박상만
하대철
박희찬
김혜경
Original Assignee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3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12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 D21H5/14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of cellulose fibres only
    • D21H5/16Tobacco or cigarette paper

Landscapes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SAIDs계 약물로 물에 난용성인 잘토프로펜을 활성성분으로 하고 친수성 용매,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오일 등을 포함하는 자가유화에멀젼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용화한 다음 연질캡슐에 충전함으로써 생체 흡수율이 크게 향상되고, 안정성이 확보된 잘토프로펜 함유 연질캡슐에 관한 것이다.
NSAIDs, 잘토프로펜,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자가유화에멀젼시스템, 연질캡슐

Description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Solubilized zaltoprofen formation for soft capsules and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Self-Micro 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MEDDS)을 이용한 신규의 잘토프로펜 가용화제제에 관한 것이다. 물에 난용성인 잘토프로펜을 가용화한 제제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난용성의 잘토프로펜을 친수성 용매,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 등을 포함하는 자가유화에멀젼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한 잘토프로펜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질캡슐제 제형에 관한 것이다.
잘토프로펜(Zaltoprofen)은 통증 치료와 염증 억제에 주로 사용되는 NSAIDs계 약물로, 선택적으로 시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2를 저해하여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합성을 차단, 프로스타글란딘 전구체 생성을 감소시켜 연소성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 및 해열 진통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는 공지의 활성성분이다. 잘토프로펜은 화학명이 2-(10,11-디하이드로-알파-메틸-10-옥소디벤조 [b,f]티에핀-2-일)프로피온산이고, 화학식이 C17H14O3S이며, 분자량은 298.36인 하기의 화학구조를 갖는 물질이다.
Figure 112006016089161-pat00001
잘토프로펜은 옅은 황색의 결정성 분말로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며, 아세톤, 클로로포름에는 잘 녹으며 메탄올에 녹고, 에탄올, 벤젠에는 조금 녹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이러한 수 난용성을 개선하여 흡수율을 증진시킴으로써 생체이용율이 향상된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강력한 관절염 치료 및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잘토프로펜은 현재 정제의 형태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약제학적 제형 중에서 정제의 경우는 경구 투여 시 우선적으로 붕해가 이루어져야만 하고, 부형제 등과 혼합된 약물이 소화액이나 체액에 용해되어야만 흡수가 되는 여러 단계의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제의 경우가 액상의 제제나 연질캡슐 등과 같이 이미 용해되어 있는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 비해 그 효과 발현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기존의 정제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치료약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는 제제를 연구해 오던 중 본 발명에서와 같이 더욱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용화 연질캡슐 제제의 개발에 성공하였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이 인체 내에 흡수되어 생체 내에서 높은 약리 활성을 나 타내려면 우선 신속히 용출되어야 하는데, 약물의 용출속도는 체내에서의 흡수속도를 결정하며 비례하여 혈액 중의 약물농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약물의 용해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약물이 물에 난용성인 경우 용해도가 나쁘기 때문에 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보조용매를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난용성의 물질에 대이온을 붙여서 산 또는 염기의 염을 만드는 방법과 고분자 화합물이나 리간드를 결합시켜 가용성 복합체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및 공용매를 이용하여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된 액으로 연질캡슐제로 하여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물에 난용성인 잘토프로펜을 용해제, 계면활성제, 보조계면활성제, 오일 중에 가용화하고,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약물의 용해도 및 안정성을 한층 더 증진시킨 잘토프로펜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질캡슐제 제형을 개발하여,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우 난용성인 특성을 지닌 잘토프로펜을 적당한 용해제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가용화하고, 안정화제로서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체내에 투여 시 자가미세유화됨으로써 약물의 흡수율을 극대화시키고, 생체이용율을 개선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잘토프로펜 1 내지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트리아세틴을 사용하는 용해제 10 내지 5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천연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수소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10 내지 70 중량%; 디메틸이소소르비드인 공계면활성제 10 내지 50중량%; 중급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류인 오일류 1 내지 10 중량%; 및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메글루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pH 조정제 0.1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잘토프로펜 가용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연질캡슐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잘토프로펜 가용화 조성물의 pH는 6.0 ~ 7.5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잘토프로펜 가용화 조성물 함유 연질캡슐제에서 용해제 : 계면활성제 : 공계면활성제 : 오일의 중량비가 1 ~ 3 : 1 ~ 5 : 1 ~ 4 : 0.1 ~ 0.5의 비율이 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NSAIDs계 약물인 잘토프로펜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활성성분 1 내지 20 중량%, 용해제 10 내지 50 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70 중량%, 공계면활성제 10 내지 50중량%, 오일 1 내지 10 중량% 및 pH 조정제를 0.1 내지 5%로 포함하는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잘토프로펜의 물에 대한 난용성을 해결하기 위해 용해제,계면활성제 및 오일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여 복용 시 체액에서 자가유화됨으로써 약물의 입자를 최소화하여 흡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Self-Micro 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MEDDS)을 이용한 신규의 잘토프로펜 가용화제제에 관한 것이어서, 가용화를 위한 용해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류, 트리아세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또는 글리세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오일 성분과 공계면활성제를 수중에서 안정하게 유화시켜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각종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a) 천연 또는 수소화 식물성 오일과 에틸렌글리콜의 반응 생성물, 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천연 또는 수소화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천연 또는 수소화 피마자유(상품명: 크레모포어(Cremophor), 제조회사: 바스프사),
(b)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모노 또는 트리 라우릴, 팔미틸, 스테아릴 또는 올레일의 에스테르(상품명: 트윈(Tween), 제조회사: ICI),
(c)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르 산 에스테르(상품명: 미리지(Myrj), 제조회사: ICI),
(d)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공중합체(상품명:플루로닉 (Pluronic), 제조회사: 바스프사),
(e)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상품명:폴록사머, 제조회사: 바스프사),
(f) 디옥틸설포숙신산 나트륨 또는 라우릴 설포산 나트륨
(g) 인지질류
(h)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또는 디-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라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리시놀리에이트 또는 상품명 미글리올 840(Miglyol 840, 제조회사: Huls)으로 시판되고 있는 프로필렌 글리콜 카프릴릭-카프릭산 디에스테르,
(i) 천연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폴리알킬렌 폴리올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상품명: 라브라필 엠(Labrafil M), 제조회사: Gattefosse),
(j) 모노-, 디- 또는 모노/디-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카프릴/카프르산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상품명: 임비톨(Imwitor), 제조회사: (Huls)),
(k)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상품명 스판(Span)으로 시판되고 있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릴, 소르비탄 모노팔미틸 또는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릴, 및
(l) 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또는 시토스 테롤 등이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오일 성분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중 천연 또는 수소화 식물성 오일과 에틸렌 글리콜의 반응 생성물인 상품명 크레모포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류인 상품명 트윈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계면활성제로는 친수성 또는 친유성을 모두 가지는 용매로서 에멀젼을 쉽게 분산시킬 수 있고 활성성분과 각종 첨가제 등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계면활성제는 활성 성분에 대해 제제화에 적합한 용해도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물성면에서 친수성과 친유성을 모두 가지므로 제제의 유화에도 도움을 주어 에멀젼이나 마이크로에멀젼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며, 제제의 보존 중에도 활성 성분의 경시변화가 없고 조성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는 공계면활성제로는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1,2-디하이드록시프로판),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200 내지 600의 것), 프로필렌 카보네이트(4-메틸-2-옥소-1,3-디옥솔란), 트랜스큐톨(transcutol: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글리코퓨롤(glycofurol: 테트라하이드로퓨르퓨릴 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테르) 및 디메틸 이소소르비드(1,4:3,6-디안하이드로-2,5-디메틸-D-글루시톨)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은 공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와 잘 혼화되고 수중에서 유화되어 안정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약물과 화합물을 잘 녹일 수 있는 것으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각종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a)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바람직하게는 중급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분별된 코코넛 오일(상품명: 미글리올812N, 제조회사: Huls),
(b) 모노-, 디- 또는 모노/디-글리세라이드류, 바람직하게는 올레산의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류,
(c) 지방산과 일가 알칸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특히 탄소수 8 내지 20개의 지방산과 탄소수 2 또는 3개의 일가 알칸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리놀리에이트 또는 에틸 올리에이트,
(d) 천연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예를 들면 옥수수유, 올리브유, 대두유(soybean oil) 또는 어유(fish oil),
(e)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스쿠알렌 또는 스쿠알란,
(f) 유리지방산류,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 및
(g) 토코페롤류, 예를 들면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dl-α-Tocopheryl acetat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나노에멀젼농축액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pH인 6.0 ~ 7.5로 조정하기 위하여 pH 조정제를 첨가하는데, 특히 알칼리화제인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메글루민 등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구 투여용으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방향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잘토프로펜의 가용화방법은 잘토프로펜을 용해제, 계면활성제, 보조계면활성제 및 오일 중에 가용화하고,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약물의 용해도 및 안정성을 한층 더 증진시켜 액상의 내용물을 얻고 통상의 연질캡슐 제조법으로 경구투여가 용이하고 흡수율이 증가된 잘토프로펜 연질캡슐제를 얻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성분은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활성 성분의 양이 20 중량%보다 많으면 용해도가 급격하게 낮아져 보관 중 침전이 생기거나 함량이 저하되는 등 안정성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반면 활성 성분이 1% 미만으로 첨가되면 용해성 및 안정성은 증가하지만 투여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 계면활성제는 전체 중량 대비 약 10 내지 70 중량% 정도가 적합한데, 이는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자가유화능이 불량해지며, 7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연질캡슐로 성형할 경우 젤라틴의 접착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보관 중 접착면이 벌어지거나 터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 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1]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00그램, 디메틸이소소르비드 350그램 및 크레모포어 RH-50 455그램을 혼합한 후 80℃를 유지하면서 잘 섞어주고, 미글리올 812N 15그램을 넣은 다음 교반하여 잘 섞어준다.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된 것을 확인한 다음 잘토프로펜 80그램을 넣고 동일한 방법으로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시킨 후 디에탄올아민 15그램을 가하여 pH를 6.7로 맞춘다.
[실시 예2]
프로필렌글리콜 100그램, 디메틸이소소르비드 295그램, 크레모포어 RH-50 255그램, 크레모포어 RH-40 255그램을 혼합한 후 80℃를 유지하면서 잘 섞어주고, 미글리올812N 15그램을 넣은 다음 교반하여 잘 섞어준다.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된 것을 확인한 다음 잘토프로펜 80그램을 넣고 동일한 방법으로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시킨 후 메글루민 5그램과 디에탄올아민 10그램을 가하여 pH를 6.7로 맞춘다.
[실시 예3]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00그램, 디메틸이소소르비드 230그램, 폴록사머124 250그램, 크레모포어 RH-50 325그램을 혼합한 후 80℃를 유지하면서 잘 섞어주고, 미글리올812N 15그램을 넣은 다음 교반하여 잘 섞어준다.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된 것을 확인한 다음 잘토프로펜 80그램을 넣고 동일한 방법으로 완전히 투명하게 용 해시킨 후 모노에탄올아민 10그램을 가하여 pH를 6.7로 맞춘다.
[실시 예4]
트리아세틴 80그램, 디메틸이소소르비드 245그램, 크레모포어 RH-40 340그램, 크레모포어 RH-50 240그램을 혼합한 후 80℃를 유지하면서 잘 섞어주고, 미글리올812N 15그램을 넣은 다음 교반하여 잘 섞어준다.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된 것을 확인한 다음 잘토프로펜 80그램을 넣고 동일한 방법으로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시킨 후 트리에탄올아민 17그램을 가하여 pH를 6.7로 맞춘다.
[실시 예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그램, 트리아세틴 50그램, 디메틸이소소르비드 300그램, 크레모포어 RH-40 350그램을 혼합한 후 80℃를 유지하면서 잘 섞어주고, 미글리올812N 15그램을 넣은 다음 교반하여 잘 섞어준다.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된 것을 확인한 다음 잘토프로펜 20그램을 넣고 동일한 방법으로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시킨 후 디에탄올아민 12그램을 가하여 pH를 6.7로 맞춘다.
피막의 제조
본 발명에서의 연질캡슐 피막은 젤라틴, 가소제를 함유하는 일반적인 연질캡슐 제조 성분을 사용하여, 1캡슐(332mg)당 젤라틴 234mg, 글리세린 67.0mg, D-솔비톨액 28.8mg 에틸바닐린 1.4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7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 로필 0.1mg 등을 함유하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은 가용화된 잘토프로펜 제제의 연질캡슐 생산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로타리식 자동충진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충진방법으로 Oblong #9.5에 성형한 다음 건조 및 선별공정을 거쳐 시제품으로 한다.
[비교 예1]
전호화전분 20그램을 정제수 35그램에 넣고 호화한 액을 결합액으로 하여 잘토프로펜 80그램, 미결정셀룰로오스 120그램, 유당 120그램과 섞어 습식과립을 실시한 다음 건조하고 정립한 후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20그램과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그램을 넣어 혼합한 후 타정하여 정제로 만든 다음 비교 예로 사용한다.
[비교 예2]
실시 예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pH를 5.5로 맞춘 다음 성형하여 비교 예로 한다.
[비교 예3]
실시 예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pH를 8.0로 맞춘 다음 성형하여 비교 예로 한다.
<실험 예1> : 용출률 시험 및 비교평가
용출률의 비교평가는 잘토프로펜을 가용화한 연질캡슐제와 시판 중인 정제를 가지고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의 잘토프로펜 연질캡슐의 용출 시험은 자사에서 설정한 용출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온도 : 37℃
▶용출법 : Paddle 법
▶교반속도 : 100rpm
▶분석방법 : 용출시험 시작 후 5, 10, 15, 20분에 용출액을 채취하고, 0.45㎛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액을 검액으로 하여, 자외가시부 흡광광도계를 사용하여 3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1] pH 6.5 완충액에서의 용출시험 결과
용출시간 (분) 용출률(%)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5 12.4 8.2 8.7 7.6 8.9 9.6
10 22.3 89.1 88.4 85.6 79.8 69.6
15 50.3 98.1 96.3 97.1 91.3 87.3
20 80.3 100.4 97.7 97.6 97.2 92.4
* pH6.5의 완충액 조제 : 0.05M 인산이수소칼륨시액에 0.05M 인산일수소나트륨시액을 가하고, pH 6.5로 조정한다.
<실험 예2> : 안정성 경시변화 비교평가
[표 2] 잘토프로펜 제제의 안정성 시험 결과(함량시험, 가속조건)
경과시간(개월) 함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0 100.3 100.4 100.6 100.4 99.8 100.1 100.3 100.4
1 99.1 91.8 93.1 98.1 98.5 97.1 97.8 98.9
2 98.2 87.2 85.2 98.5 98.1 97.6 98.5 97.8
4 98.4 69.2 70.2 97.1 97.2 98.1 97.3 97.2
6 98.2 67.1 66.1 97.2 97.7 97.5 97.0 97.5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pH를 조정한 방법으로 제조한 연질캡슐제는 함량저하가 발생되지 않았지만, pH를 조정하지 않은 비교 예는 함량저하가 발생했다.
[표 3] 잘토프로펜 함유 제제의 안정성 시험 결과
구분 6개월 가속조건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성상변화 - - - - - - -
침전유무 +++ +++ - - - - -
[침전(성상) : 아주 많음++++ 많음 +++ 보통 ++ 조금 + 없음 -]
표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연질캡슐제는 성상 변화나 침전이 발생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물에 매우 난용성인 잘토프로펜의 가용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잘토프로펜을 용해제, 계면활성제, 보조계면활성제 및 오일 중에 가용화시키고,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약물의 용해도 및 안정성을 한층 더 증진시켜 액상의 내용물을 얻는 가용화 조성물 및 경구투여가 용이하고 흡수율이 증가된 잘토프로펜 연질캡슐제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기존의 제제가 해결하지 못했던 난용성 약물의 용출율 증대 및 체내 흡수율 개선한 새로운 제형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Claims (3)

  1. 잘토프로펜 가용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연질캡슐제에 있어서,
    상기 연질캡슐제 내용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잘토프로펜 1 내지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트리아세틴을 사용하는 용해제 10 내지 5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천연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수소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10 내지 70 중량%;
    디메틸이소소르비드인 공계면활성제 10 내지 50중량%;
    중급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류인 오일류 1 내지 10 중량%; 및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메글루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pH 조정제 0.1 내지 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캡슐제의 피막은 젤라틴, 글리세린, D-솔비톨액, 에틸바닐린,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및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토프로펜 가용화 조성물 함유 연질캡슐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정제로 pH를 6.0 ~ 7.5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토프로펜 가용화 조성물 함유 연질캡슐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제 : 계면활성제 : 공계면활성제 : 오일의 중량 비가 1 ~ 3 : 1 ~ 5 : 1 ~ 4 : 0.1 ~ 0.5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토프로펜 가용화 조성물 함유 연질캡슐제.
KR1020060021236A 2006-03-07 2006-03-07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236A KR100741321B1 (ko) 2006-03-07 2006-03-07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236A KR100741321B1 (ko) 2006-03-07 2006-03-07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321B1 true KR100741321B1 (ko) 2007-07-20

Family

ID=3849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2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1321B1 (ko) 2006-03-07 2006-03-07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4661A (zh) * 2016-08-30 2016-12-14 佛山市弘泰药物研发有限公司 一种扎托布洛芬软胶囊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409A (ko) * 2003-09-18 2005-03-23 한국화학연구원 자가 미세 유화형 약물 전달 시스템을 이용하는 소염 진통활성을 갖는 약제 조성물
KR20050030281A (ko) * 2003-09-25 2005-03-30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가용성 로바스타틴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409A (ko) * 2003-09-18 2005-03-23 한국화학연구원 자가 미세 유화형 약물 전달 시스템을 이용하는 소염 진통활성을 갖는 약제 조성물
KR20050030281A (ko) * 2003-09-25 2005-03-30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가용성 로바스타틴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4661A (zh) * 2016-08-30 2016-12-14 佛山市弘泰药物研发有限公司 一种扎托布洛芬软胶囊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6912B (en) Composition in form of emulsion or microemulsion pre-concentrate for oral administration and its uses
KR100342942B1 (ko) 카르두스 마리아누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실리빈을함유하는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KR101025641B1 (ko) 매스틱 자가유화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캡슐
US8486983B2 (en) Self-emulsifying formulations of CETP inhibitors
CA2383916C (en) Dispersion formulations containing lipase inhibitors
US20020025337A1 (en) Lipid vehicle drug delivery composition containing vitamin e
KR100880859B1 (ko) 자발분산성 n-벤조일-스타우로스포린 조성물
SK285809B6 (sk) Mikroemulzný prekoncentrát cyklosporínu alebo makrolidu
KR19990076462A (ko) 사이클로스포린-함유 마이크로에멀젼 예비농축액 조성물
KR100712823B1 (ko) 가용성 코엔자임 큐10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570450B1 (ko) 가용성 로바스타틴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41321B1 (ko)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JP4690334B2 (ja) ビフェニルジメチルジカルボキシレート及びシリビンを含む経口用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100569595B1 (ko) 가용성 심바스타틴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342945B1 (ko) 항진균제의 외용 약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35141B1 (ko) 난용성 항진균제의 경구투여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47056A (ko)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의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조성물
RU2397759C2 (ru) Микроэмульсио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антагонисты вещества р
KR101469953B1 (ko)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52089B1 (ko) 페노피브레이트를 함유하는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KR101279568B1 (ko)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학 조성물
KR100455216B1 (ko) 난용성 항진균제의 경구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2540158A (ja) レトロウイルスプロテアーゼインヒビター用医薬エマルジョン
KR20100010208A (ko) 아젤라스틴 액상 제제
JP2005255677A (ja) シクロスポリン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23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41321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72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7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71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