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2402B1 -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s - Google Patents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402B1
KR100742402B1 KR1020060041143A KR20060041143A KR100742402B1 KR 100742402 B1 KR100742402 B1 KR 100742402B1 KR 1020060041143 A KR1020060041143 A KR 1020060041143A KR 20060041143 A KR20060041143 A KR 20060041143A KR 100742402 B1 KR100742402 B1 KR 10074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contact portion
electrode
terminal
insulating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팔
김상룡
신건수
황진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402B1/en
Priority to US11/487,316 priority patent/US7668580B2/en
Priority to EP06076565.8A priority patent/EP17769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402B1/en
Priority to US12/588,694 priority patent/US8214009B2/en
Priority to US13/473,258 priority patent/US8473025B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ue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신체에 부착되는 생체용 전극 및 생체용 전극에 부착되는 신호 처리 부재를 포함한다. 생체용 전극은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절연 시트, 절연 시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장치 접촉부 및 절연 시트의 저면에 형성되며 관통 홀을 통해 장치 접촉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신체 접촉부를 포함하며, 신호 처리 부재는 장치 접촉부와 면접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단자,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A/D 신호변환부 및 디지털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생체용 전극에서 장치 접촉부와 신체 접촉부가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 신호 처리 부재를 바로 부착시킬 수 있으며,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여 정확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가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bioelectrode attached to a body and a signal processing member attached to the bioelectrode. The bioelectrode includes an insulating sheet including a through hole, a device contact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a body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vice contact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signal processing member includes: Externally exposed terminals for interview with device contacts, analog signal processors, A / D signal converters and digital signal processors. In the biological electrode, the devic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so that the signal processing member can be directly attached, and noise generation can be suppressed to accurately measure a bio signal.

Description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Electrode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도 1은 종래의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도 2는 도 1의 생체용 전극이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state in which the bioelectrode of FIG. 1 is attach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ioelectrode and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3.

도 5는 도 3의 신호 처리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unction of the signal processor of FIG. 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생체용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a bio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living body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은 도 7의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bioelectrode and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 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생체용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biological electrode of FIG. 9.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living body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yet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생체신호 측정장치 110:신호 처리기100: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110: signal processor

120: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130:A/D 변환부120: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130: A / D conversion unit

140:디지털 신호 처리부 150:무선 송신 모듈140: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50: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200:생체용 전극 210:절연 시트200: biological electrode 210: insulating sheet

220:전극 부재 222:장치 접촉부220: electrode member 222: device contact portion

224:신체 접촉부224 : Body contact

본 발명은 생체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생체로부터 얻어지는 전기적 신호를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으며, 간단한 전극 구조를 형 성할 수 있는 생체용 전극 및 그 전극을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a living bod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logical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ode, which can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obtained from a living body without loss and can form a simple electrode structure.

신체도 일종의 도체이며, 신체 내에는 많은 미량의 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신체로부터 이러한 미량의 전류를 감지하거나 외부 자극에 대한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신체 내부의 특성을 측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심전도(ECG), 근전도(EMG), 뇌전도(EEG), 피부저항(GSR), 안구운동(EOG), 신체온도, 맥박, 혈압 및 신체 움직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생체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생체용 전극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The body is also a conductor, and a large amount of current is generated in the body. Therefore,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can be measured by sensing such a small amount of current from the body 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with respect to an external stimulus. Using these principles, you can measure ECG, EMG, EKG, skin resistance, eye movement, EGO, body temperature, pulse rate, blood pressure and body movement. Biological electrodes are commonly used to detect changes in the signal.

도 1은 종래의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생체용 전극이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ioelectrode of FIG. 1 is attach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생체용 전극(10)은 절연성을 가지며 원형으로 형성된 점착성 시트(20) 및 금속 전극(30)을 포함한다. 금속 전극(30)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에서 넓게 형성된 밀착부(32)와 밀착부(32)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34)를 포함한다. 점착성 시트(20)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고정 돌기(34)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고정 돌기(34)는 홀을 통해 점착성 시트(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점착성 시트(20)의 저면에는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생체용 전극(10)을 신체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onventional electrode 10 for a living body includes an adhesive sheet 20 and a metal electrode 30 that are insulative a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metal electrode 3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ncludes a close contact portion 32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ixing protrusion 34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32. A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dhesive sheet 20 to allow the fixing protrusion 34 to pass through, and the fixing protrusion 3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dhesive sheet 20 through the hole. An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20 so that the biological electrode 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body.

생체신호 측정기(1)는 메인 컨트롤러(40), 생체용 전극(10) 및 접속 케이블(50)를 포함한다. 접속 케이블(50)의 단부에는 소켓(52)이 장착되며, 소켓(52)에는 고정 돌기(34)와 결속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금속 전극(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접속 케이블(50)은 소켓(52)을 이용하여 생체용 전극(10)과 연결 될 수 있으며, 반대쪽의 플러그를 이용하여 메인 컨트롤러(40)와 연결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 includes a main controller 40, a bioelectrode 10, and a connection cable 50. A socket 52 is mount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cable 50, and a groove for engaging with the fixing protrusion 34 is formed in the socket 52, so that the socket 5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electrode 30. The connection cable 50 may be connect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10 using the socket 5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40 using a plug on the opposite side.

생체용 전극(10)이 신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러(40)는 필요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신호들로부터 심전도(ECG), 근전도(EMG), 뇌전도(EEG), 피부저항(GSR), 안구운동(EOG), 신체온도 등을 측정할 수가 있다. The main controller 40 can measure the necessary biosignals with the bioelectrode 10 attached to the body, and from the measured signals, electrocardiogram (ECG), electromyogram (EMG),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skin resistance. (GSR), eye movement (EOG), and body temperature can be measured.

일반적으로 생체용 전극(10)의 저면으로는 금속 전극(30)이 직접 노출되어 있으며, 주변의 점착성 시트(20)가 있다고 해도 금속 전극(30)과 피부 간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젤(gel) 상태의 전해 물질(60)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된 전해 물질을 매개로 피부와 금속 전극(30)이 비교적 안정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general, the metal electrode 30 is directly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oelectrode 10, and even if the adhesive sheet 20 is around, the contact between the metal electrode 30 and the skin may be unstable. Therefore, the gel electrolytic material 60 may be applied to the skin, and the skin and the metal electrode 30 may maintain a relatively stable connection state through the applied electrolytic material.

하지만, 젤을 사용한다고 해도, 종래의 생체용 전극을 이용한 연결은 안정된 연결을 방해할 수 있는 몇몇 요소에 의해서 쉽게 영향을 받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피부부터 메인 컨트롤러(40)까지 피부-젤-금속 전극(30)-소켓(52)-메인 컨트롤러(40)의 과정을 거쳐 생체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생체신호가 약해지거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가 있다. 특히, 금속 전극(30)과 소켓(52)은 고정 돌기(34)에 점(point) 접촉을 하기 때문에 전기적 연결 상태가 매우 불안하며, 정확한 측정을 방해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될 수 있다.However, even with gels, connections with conventional bioelectrodes can be easily affected by several factors that can interfere with stable connections. For example, the biosignal may be weakened or noise may be generated while the biosignal is transferred from the skin to the main controller 40 through the process of the skin-gel-metal electrode 30, the socket 52, and the main controller 40. There is a number. In particular, since the metal electrode 30 and the socket 52 make point contact with the fixing protrusion 34,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is very unstable, and may be the biggest reason for preventing accurate measurement.

특히, 생체용 전극은 소모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생체용 전극을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생체용 전극을 교체할 수 있는데, 가끔 생체용 전극과 소켓이 불안정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점 접촉을 하는 종래의 전극 연결방식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In particular, biological electrodes are generally used as disposables as consumables. Therefore, a new bioelectrode may be replaced every time a bioelectrode is used. Sometimes, the bioelectrode and the socket may be unstablely connected, and in the conventional electrode connection method of point contact, it is not easy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이렇게 고정 돌기(34)와 소켓(52)을 이용하는 방식을 스냅(snap) 연결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냅(snap) 연결방식은 생체신호 측정기를 소형화하는 데에 유리하지가 않다. 왜냐하면, 금속 전극(30)에 고정 돌기(34)를 형성하는데 고정 돌기(34)에 의해서 전극을 납작하게 형성할 수가 없으며, 하나의 생체용 전극에 2개 이상의 소켓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도 소켓 간의 최소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생체용 전극의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a method of using the fixing protrusion 34 and the socket 52 may be referred to as a snap connection method, which is not advantageous for miniaturizing a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 Because the fixing protrusions 34 are formed on the metal electrode 30, the electrodes cannot be flattened by the fixing protrusions 34, and even when two or more sockets are connected to one bioelectrode, a minimum between the sockets is required. This is because the area of the biological electrode cannot be made small to secure the gap.

특히, 하나의 몸체에 여러 개의 전극들을 집적화하고자 할 때에도, 생체용 전극에는 여러 개의 고정 돌기 혹은 스냅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극 또는 기기를 소형화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In particular, even when integrat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one body,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electrode or device because the electrodes for living body must have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or snaps.

또한, 하나의 몸체에 여러 개의 스냅을 형성할 때에도 스냅 간 간격은 스냅과 연결되는 소켓의 단자 간 간격과 동일한 것이 좋다. 만약에 스냅 간의 간격이 단자 간의 간격보다 좁으면 소켓이 전극에 장착되지 않을 수가 있으며, 스냅 간의 간격이 단자 간의 간격보다 넓으면 전극의 휨이 발생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forming a plurality of snaps in one body, the spacing between snaps is preferably equal to the spacing between terminals of the socket connected to the snap. If the spacing between the snaps is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the socket may not be mounted on the electrode. If the spacing between the snaps is wid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the electrode may be warp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생체용 전극과 접속 케이블 간의 연결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logical electrode and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iological electrode and the connection ca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미량의 전류를 그대로 전달할 수 있으며,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 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a small amount of current as it is and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패드 상에 복수의 생체용 전극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한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bio-electrodes on one pad at the same time, and to provide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전극에 복수개의 단자를 형성하여도 기기에 전극을 용이하게 장착 및 교체할 수 있는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mount and replace an electrode in a device even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formed in one electro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소형 기기 또는 착용 가능한(wearable) 기기에 적용하여도 기능적으로 유리한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that are functionally advantageous even when applied to a small or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a bio-signa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생체용 전극은 관통 홀을 포함하며 절연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시트 부재 및 관통 홀을 통해 시트 부재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전극 부재를 포함한다. 전극 부재는 시트 부재의 상면에서 측정장치의 단자와 면접하는 장치 접촉부 및 시트 부재의 저면에서 피부에 접하는 신체 접촉부를 포함한다. 장치 접촉부 및 신체 접촉부가 관통 홀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장치 접촉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측정장치의 단자와 넓은 면적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피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미세 전류는 전극 부재 및 단자로 이루어진 간단한 경로를 통해서 전달되며, 점 접촉이 아닌 면 접촉을 통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S/N 비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the biological electrode includes a sheet member formed through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electrode memb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heet me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electrode member includes an apparatus contact portion which contacts the terminal of the measuring device on the top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a body contact portion which contacts the ski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he device contact part and the body contact part ar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device contact part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measuring device through a large area. The microcurrent transmitted through the skin is transmitted through a simple path consisting of an electrode member and a terminal, and is connected through a surface contact instead of a point contact, thereby improving the S / N ratio.

장치 접촉부 및 신체 접촉부는 하이드로 젤(hydro-gel)과 같이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하이드로 젤을 시트 부재의 양면에서 압축 성형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돌기 및 수용부 간의 점 접촉을 통해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종래의 전극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전극은 장치 접촉부 및 단자 간의 면 접촉을 통해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하이드로 젤은 자체적으로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돌기나 스냅을 이용하지 않아도 단자 또는 생체신호 측정기 자체를 전극 상에 부착시킬 수가 있다.The devic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using a conductive and tacky material such as hydrogel, and may be formed by compression molding the hydrogel on both sides of the sheet member. Unlike conventional electrodes that transmit electrical signals through point contacts between protrusions and receptacles, the electr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electrical signals through surface contacts between device contacts and terminals. In addition, since the hydrogel is self-adhesive, the terminal or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tself can be attached onto the electrode without using a protrusion or a snap.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극은 돌기 및 수용부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극을 작게 만드는 것에 대해 하한(lowest limit)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장치 접촉부 및 신체 접촉부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들 접촉부를 얇은 평판 형상(planar shape)으로 형성할 수 있어 두께도 얇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접촉하는 부분도 서로 면접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피부부터 회로까지의 신호 전달 과정을 짧게 유지하고 동적 잡음도 줄일 수가 있다. In general, there is a lower limit to making the electrode small because a conventional electrode must form a protrusion and a receiving por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can be made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the contact portion can be formed in a thin planar shape, so that the thickness can be made thin. In addition, the contact part also has a simple structure of interviewing each other, so that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rocess from the skin to the circuit can be kept short and the dynamic noise can be reduced.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절연성 시트 부재에 여러 개의 전극 부재를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시트 부재에 복수개의 관통 홀을 형성하고 각각의 관통 홀을 통해 장치 접촉부와 신체 접촉부를 연결하여, 하나의 생체용 전극을 통해 하나 또는 2이상 종류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관통 홀을 통해 일대일로 연결되는 장치 접촉부 및 신체 접촉부는 다른 장치 접촉 부 및 다른 신체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좋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관통 홀을 달리하는 일부 장치 접촉부 또는 신체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preferable aspect of this invention, several electrode member can be formed in one insulating sheet member. That i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heet member,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are connected through each through hole, so that one or two or more kinds of data can be measured through one biological electrode. The device contacts and the body contacts, which are connected one-to-one through the through holes, are preferably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other device contacts and the other body contacts. However, in some cases, some device contacts or body contacts different from the through hol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t may b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생체용 전극을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크게 신호 처리 부재 및 생체용 전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there can be provide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above-mentioned bio-electrode.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signal processing member and a biological electrode member.

신체 처리 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단자, 단자들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변환부 및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용 전극 부재는 복수개의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절연 시트, 절연 시트의 상면에서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복수개의 장치 접촉부 및 절연 시트의 저면에서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관통 홀을 통해 각각의 장치 접촉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신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접촉부와 신체 접촉부는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돌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The body process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exposed to the outside, an analog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s, an A / D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converted digital signal. It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is formed of an insulating sheet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flat plate shape on the top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a plurality of device contacts that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flat plate shap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may include a body contact that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device contact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devic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may remain attached even without a separate protrus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관통 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전극의 상면 및 저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생체용 전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생체용 전극은 2종류의 절연 시트를 포함하며, 2종류의 절연 시트가 전극 부재의 상면 및 저면 중 서로 다 른 부분을 가리고 다른 부분을 노출시킬 수가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may use a bioelectrode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electrode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To this end, the bioelectrode includes two types of insulating sheets, and the two types of insulating sheets may cover different portions of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electrode member and expose different portions.

일 예로, 생체용 전극은 제1 절연 시트, 제1 절연 시트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부재 및 전극 부재 상에 제공되는 제2 절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부재는 제1 절연 시트의 상면에서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일 단부는 상기 제1 절연 시트 상에 위치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절연 시트의 외부로 노출된다. 전극 부재는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장치 또는 신체에 일시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전극 부재 위의 제2 절연 시트는 전극 부재의 상기 일 단부의 상면을 노출시키며, 전극 부재의 상기 타 단부의 상면을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제1 절연 시트에 2개 이상의 전극 부재가 제공되는 경우, 전극 부재들은 서로 같은 또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극 부재의 배치에 따라 제2 절연 시트도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전극 부재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bio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sheet, at least one electrode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insulating sheet, and a second insulating sheet provided on the electrode member. The electrode member is formed in a flat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sheet, one end is located on the first insulating sheet,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insulating sheet. The electrode member is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and can maintain a state temporarily attached to the device or the body. The second insulating sheet on the electrode member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exposes an upper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electrode member and electrically blocks an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member. When two or more electrode members are provided in one first insulating sheet, the electrode members may be disposed in the same or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second insulating sheet may also be integrated or separa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members. Can cover a portion of the top of th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암수 형상을 이용한 스냅 연결방식 단자와 평면 면접촉을 이용한 평판 연결방식 단자를 혼용할 수가 있다. 즉, 신호 처리 부재와 전극 부재를 연결함에 있어, 스냅 연결방식 단자를 이용하여 양 부재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다른 단자를 면접촉 방식의 평판 연결방식으로 연결하여 단자 간의 간격 오차로 인한 전극 부재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기계적 연결이 우월한 스냅 연결방식 단자를 사용하여 양 부재 간의 초기 부착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양 부재를 좀더 강하게 결속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nap connection terminal using the male and female shape and the flat terminal connection using the planar surface contact. That is, in connecting the signal processing member and the electrode member, both members can b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by using a snap connection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by a flat contact method using a surface contact method. The warpage phenomenon of the electrode member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using a snap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superior mechanical connection, the initial attachment position between the two members can be easily confirmed, and the two members can be more firmly bound.

예를 들어, 신호 처리 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스냅 단자 및 스냅 단자에 인접한 평판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생체용 전극 부재는 절연 시트, 절연 시트의 상면에서 스냅 단자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스냅 접촉부, 절연 시트의 상면에서 평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평판 접촉부, 절연 시트의 저면에서 스냅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신체 접촉부 및 절연 시트의 저면에서 평판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신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용 전극 부재에서 스냅 접촉부와 제1 신체 접촉부는 스냅 전극부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평판 접촉부와 제2 신체 접촉부는 스냅 접촉부재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평판 전극부재를 형성할 수가 있다. 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member may include an externally exposed snap terminal and a flat terminal adjacent to the snap terminal, and correspondingly,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may b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nap terminal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the insulating sheet. At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sheet and at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sheet, the first contac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nap contact at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sheet and the bottom contact of the insulating sheet. And a second body contact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late contact. In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the snap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body contact portion may form a snap electrode member, and the plate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body contact portion may form a plate electrode member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snap contact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이, 스냅 전극부재에서 스냅 접촉부와 제1 신체 접촉부는 절연 시트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절연 시트를 우회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평판 전극부재에서 평판 접촉부 및 제2 신체 접촉부도 같은 또는 다른 방법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nap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body contact portion of the snap electrode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sulating sheet,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bypassing the insulating sheet. Of course, the plate contact and the second body contact in the plate electrode member can also be connected in the same or different ways.

또한, 스냅 접촉부는 스냅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삽입된 스냅 접촉부를 축으로 다른 평판 접촉부 또는 스냅 접촉부가 각각 대응하는 평판 단자 또는 스냅 단자에 근접하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nap contact may rotat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nap terminal, and the user may adjust the position so that the other snap contact or snap contact is close to the corresponding flat terminal or snap terminal, respectively, on the axis of the inserted snap contact. .

반대로, 스냅 접촉부 및 스냅 단자를 타원이나 다각형과 같은 비원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기준이 되는 스냅 접촉부를 대응하는 스냅 단자에 삽입하는 것과 동시에 위치 조정도 함께 완료할 수도 있다. Conversely, snap contacts and snap terminals may be formed into non-circular cross sections, such as ellipses or polygons, to prevent rotation, and the user may insert the reference snap contacts into the corresponding snap terminals and complete the position adjustment at the same time. have.

스냅 접촉부 및 스냅 단자 중 어느 하나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냅 접촉부 및 스냅 단자는 탄성력 또는 자력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결속될 수가 있다. Any one of the snap contact portion and the snap terminal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and the snap contact portion and the snap terminal may be mechanically bound by elastic force or magnetic forc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ioelectrode and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신호 처리기(110) 및 생체용 전극(200)을 포함한다. 생체용 전극(200)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에 부착되며, 신호 처리기(110)는 생체용 전극(200) 상에 부착된다. 생체용 전극(200)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해서 전해 물질을 포함하는 전해 크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해 크림을 피부 상에 도포한 후 생체용 전극(200)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된 생체용 전극(200) 상에 신호 처리기(110)를 부착하는데, 이때 신호 처리기(110)의 단자(115)가 생체용 전극(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115)와 생체용 전극(200)은 평평한 접촉면을 통해 면접하기 때문에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며, 넓은 면을 이용하기 때문에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신체 내의 미약한 전기도 신호 처리기(110)의 단자(115)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3 and 4,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110 and a bioelectrode 200.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is attached to the body to be measured, and the signal processor 110 is attach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In order to attach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to the body, an electrolytic cream containing an electrolytic material may be used,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may be attached after the electrolytic cream is applied onto the skin.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10 is attached to the attached biological electrode 200, wherein the terminal 115 of the signal process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The terminal 115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have a wide contact area because they are interviewed through a flat contact surface, and the resistance may be reduced because a wide surface is used. Therefore, weak electricity in the body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5 of the signal processor 110.

생체용 전극(200)는 절연 시트(210) 및 전극 부재(220)를 포함한다. 절연 시트(210)는 비도전성(nonconductive) 또는 절연(insulating)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절연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절연 시트(210)는 대략 원형 또는 기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 홀(212)이 형성된다. 관통 홀(212)은 절연 시트(210)의 상하로 존재하는 전극 부재(220)의 부분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전극 부재(220)는 관통 홀(212)을 통해서 연결되는 장치 접촉부(222) 및 신체 접촉부(224)를 포함한다.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includes an insulating sheet 210 and an electrode member 220. The insulating sheet 210 is formed using a non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generally provided using paper or an insulating resin. The insulating sheet 2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or other polygonal shape, and a through hole 212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through hole 212 may integrally connect portions of the electrode member 220 existing above and below the insulating sheet 210, and the electrode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2. And a body contact 224.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절연 시트(210)에 하나의 관통 홀(212)이 형성되고, 하나의 전극 부재(220)가 제공된다. 다르게는, 다양한 정보를 한번에 획득하기 위해서 하나의 생체용 전극에서 여러 지점의 변화를 측정할 수가 있다. 이때 하나의 절연 시트에 복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각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전극 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신호 처리기 역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각 단자는 각각 대응하는 장치 접촉부에 일대일 관계를 유지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through hole 212 is formed in one insulating sheet 210, and one electrode member 220 is provide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hange of several points in one bioelectrode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at onc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one insulating sheet, and electrode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may be independently provided. The signal processor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each of which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one-to-one relationship to a corresponding device contact.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부재(220)를 구성하는 장치 접촉부(222) 및 신체 접촉부(224)는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전극 부재(220)는 신체의 미세 전기를 신호 처리기(1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접촉부(222)가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신호 처리기(110)의 저면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암수 결합 관계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유효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이드로 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3 and 4,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224 constituting the electrode member 220 are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and the electrode member 220 is formed of a body. The micro electricity may be transferred to the signal processor 110. In addition, since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is sticky, the bottom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or 110 can be attached, and effective adhesion can be maintained even if a male and female coupling relationship consisting of protrusions and grooves is not formed. Materials having conductivity and tackiness can be selected in various ways, but hydrogels are generally used.

장치 접촉부(222) 및 신체 접촉부(224)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용융 또는 유동 상태에 있는 하이드로 젤을 절연 시트(210)의 양면에서 성형하여 제작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 홀(212)의 주변에 일면 또는 양면에 유동 상태의 하이드로 젤을 분사하고, 절연 시트(210)의 상하면에서 금형으로 압축하여 장치 접촉부(222) 및 신체 접촉부(224)를 한번에 성형할 수가 있다. The device contact 222 and the body contact 224 are integrally connected, which can be manufactured by molding hydrogel in a molten or flowing state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heet 210. Specifically, the hydrogel in a flow state is spray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212, and the apparatus contact portion 222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224 are molded at a time by compress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210 with a mold. You can do it.

절연 시트(210) 및 전극 부재(220)는 유연성을 가지고 변형할 수 있으며, 부착되는 부분의 형상에 적응하면서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생체용 전극(200)을 용이하게 부착시키기 위해서, 신체 접촉부(224)의 주변에 있는 절연 시트(210)의 가장자리를 접착성 물질로 도포할 수도 있다.The insulating sheet 210 and the electrode member 220 may be deformed with flexibility, and may be easily attached while adapting to the shape of the portion to be attached. 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attach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an edge of the insulating sheet 210 around the body contact part 224 may be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신호 처리기(110)의 저면에는 금속 재질의 단자(115)가 노출되어 있으며, 신호 처리기(110)의 저면이 장치 접촉부(222)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신호 처리기(110)를 생체용 전극(200)에 부착시킬 수가 있다. 단자(115)와 장치 접촉부(222)가 평평한 접촉면을 통해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단자(115)는 넓은 면을 통해서 장치 접촉부(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접촉부(222) 및 단자(115) 간의 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S/N 비율(Signal-to-Noise ratio)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A metal terminal 115 is exposed on the bottom of the signal processor 110, and the signal processor 110 is disposed on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so that the signal processor 110 is disposed on the bioelectrode 200. Can be attached to Since the terminal 115 and the device contact 222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a flat contact surface, the terminal 11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contact 222 through a wide surface. Therefor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between the device contact 222 and the terminal 115 can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improved.

또한, 장치 접촉부(222)는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 구조를 갖지 않아도 신호 처리기(110)와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신호 처리기(110)는 외부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유 지하면서 착용자의 심전도(ECG), 근전도(EMG), 뇌전도(EEG), 피부저항(GSR) 등의 생체신호 자료를 전달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신호 처리기를 생체용 전극에 부착하기 위해서 돌기/홈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장치 접촉부(222)는 하이드로 젤이 갖는 점착성을 이용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has adhesiveness,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may maintain a combined state with the signal processor 110 without having a separate fixing structure. The signal processor 1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and maintains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body while wearing the cardiogram (ECG), electromyogram (EMG), electroencephalogram (EEG), skin resistance (GSR), etc. of the wearer. Can transmit biosignal data. Conventionally, a fastening structure using protrusions / grooves is used to attach a signal processor to an electrode for a living body, but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of this embodiment maintains a bonded state by using adhesiveness of a hydrogel.

도 4를 참조하면, 장치 접촉부(222)와 신체 접촉부(224)는 관통 홀(212)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장치 접촉부(222)와 신체 접촉부(224)가 관통 홀(212)에 대응하는 홀 연결부(226)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224 ar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2, and structurally,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224 ar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12. They are interconnected via corresponding hole connections 226.

도 5는 도 3의 신호 처리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unction of the signal processor of FIG. 3.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기(110)는 저면의 단자(115)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A/D 변환부(130), 디지털 신호 처리부(140) 및 무선 송신 모듈(150)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단자(115)로부터 전달되는 신체의 미세 전기, 즉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증폭 또는 필터링을 하여 A/D 변환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A/D 변환부(130)가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140)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프로그램된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그리고, 그 처리 결과는 무선 송신 모듈(150)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ignal processor 110 may include an analog signal processor 120, an A / D converter 130, a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and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50 sequentially connected from a terminal 115 on a bottom surface thereof. ). The analog signal processor 120 may amplify or filter the body's micro electricity, ie,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15 and transmit the amplified or filtered signal to the A / D converter 130. After the A / D converter 130 converts the transmitt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processe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ccording to a programmed method.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50, or alternatively,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생체용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a bio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6의 신호 처리기(110) 및 생체용 전극(201)은 도 5의 신호 처리기(110) 및 생체용 전극(200)과 거의 동일하다. 단, 도 6의 생체용 전극(201)은 도 5의 생체용 전극(200)에 비해 장치 고정부(230)를 더 포함한다.For reference, the signal processor 110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201 of FIG. 6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ignal processor 110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of FIG. 5. However, the biological electrode 201 of FIG. 6 further includes a device fixing part 230 as compar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of FIG. 5.

도 6을 참조하면, 장치 고정부(230)는 장치 접촉부(222)의 상면 또는 그 주변에 형성되며, 신호 처리기(110)의 하부 가장자리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처리기(110)가 장치 접촉부(222)에 부착된 후, 신호 처리기(110)의 이동은 장치 고정부(230)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장치 고정부(230)는 부착된 신호 처리기(110)가 생체용 전극(20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장치 고정부(230)는 비도전성 물질로 구성되어 절연 특성을 가지며, 연질의 고무나 폼(foam) 등으로 형성되어 신호 처리기(110)를 고정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evice fixing unit 230 may be formed on or around the device contacting unit 222 and may receive a lower edge of the signal processor 110. Thus, after the signal processor 110 is attached to the device contact 222, the movement of the signal processor 110 may be limited by the device fixing unit 230. The device fixing unit 230 prevents the attached signal processor 110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biological electrode 200. In addition, the device fixing part 230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have insulating properties. The device fixing part 230 may be made of soft rubber, foam, or the like to provide a friction force for fixing the signal processor 110.

본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기(110)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결과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or 1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able, and the result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ab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bioelectrode and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7.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생체신호 측정장치(300)는 신호 처리기(310) 및 생체용 전극(400)을 포함한다. 생체용 전극(400)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에 부착되며, 신호 처리기(310)는 생체용 전극(400) 상에 부착된다. 생체용 전극(400)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해서 전해 물질을 포함하는 전해 크림이 사용될 수 있다. 생체용 전극(400) 상에는 신호 처리기(310)를 부착하는데, 신호 처리기(310)의 3개 단 자(315)가 생체용 전극(40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315)와 생체용 전극(400)은 평평한 접촉면을 통해 면접하기 때문에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며, 넓은 면을 이용하기 때문에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신체 내의 미약한 전기도 단자(315)의 넓은 접촉면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7 and 8,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30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310 and a bioelectrode 400.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is attached to the body to be measured, and the signal processor 310 is attach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In order to attach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to the body, an electrolytic cream including an electrolytic material may be used. The signal processor 310 is attached on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and three terminals 315 of the signal processor 3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respectively. The terminal 315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have a wide contact area because they are interviewed through a flat contact surface, and the resistance can be reduced because a wide surface is used. Therefore, the weak electric conduction in the body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using the wide contact surface of the terminal 315.

생체용 전극(400)는 절연 시트(410) 및 전극 부재(420, 430, 440)를 포함한다. 절연 시트(410)는 비도전성(nonconductive) 또는 절연(insulating)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절연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절연 시트(410)는 밴드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며, 절연 시트(410)를 따라 3개의 전극 부재(420, 430, 440)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절연 시트(410)에는 3개의 관통 홀(412)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 시트(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412)은 절연 시트(410)의 상하로 존재하는 전극 부재(420)의 부분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전극 부재(420, 430, 440)는 관통 홀(412)을 통해서 연결되는 장치 접촉부(422, 432, 442) 및 신체 접촉부(424, 434, 444)를 포함한다.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includes an insulating sheet 410 and electrode members 420, 430, and 440. The insulating sheet 410 is formed using a non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generally provided using paper or an insulating resin. The insulating sheet 410 extends long in a band shape, and three electrode members 420, 430, and 440 are formed side by side along the insulating sheet 410. Three through holes 412 are formed in the insulating sheet 410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form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sheet 410. The through hole 412 may integrally connect portions of the electrode member 420 that exist above and below the insulating sheet 410, and the electrode members 420, 430, and 44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12. Contacts 422, 432, 442 and body contacts 424, 434, 444.

가장 좌측에 위치한 전극 부재(420)를 참조하면, 해당 전극 부재(420)에서 장치 접촉부(422)와 신체 접촉부(424)는 홀 연결부(426)를 통해서 연결되며, 홀 연결부(426)는 관통 홀(4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 부재(420)를 구성하는 장치 접촉부(422) 및 신체 접촉부(424)는 홀 연결부(426)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이드로 젤과 같이 도전성과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 부재(420)는 절연 시트(410)의 좌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생체신호를 감지하 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가장 우측에 위치한 전극 부재(440)는 좌측의 전극 부재(420)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the leftmost electrode member 420, in the electrode member 420, the device contact portion 422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424 are connected through the hole connection portion 426, and the hole connection portion 426 is a through hole. 412 is formed within. The device contact portion 422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424 constituting the electrode member 420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hole connecting portion 426, and are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such as hydrogel. The electrode member 420 is used for detecting a bio signal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insulating sheet 410. The rightmost electrode member 440 has a structure symmetrical with the left electrode member 420.

중앙에 위치한 전극 부재(430)도 역시 장치 접촉부(432)와 신체 접촉부(434)를 포함하며, 장치 접촉부(432) 및 신체 접촉부(434) 역시 홀 연결부(436)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다만, 중앙에 위치한 전극 부재(430)에서 장치 접촉부(432)와 신체 접촉부(434)는 상하 동일한 중심을 갖는다.The centrally located electrode member 430 also includes a device contact 432 and a body contact 434, and the device contact 432 and the body contact 434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hole connection 436. However, the device contact portion 432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434 in the center electrode member 430 has the same center up and down.

도 7를 살피면, 좌측에 있는 전극 부재(420)의 장치 접촉부(422)와 신체 접촉부(424)는 상하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며, 단 공통된 관통 홀(412) 영역을 통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하로 배치되는 장치 접촉부와 신체 접촉부는 상하로 동일한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어긋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하로 공통되는 영역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신체 접촉부(424, 434, 444)의 위치 및 상호 간격과는 무관하게 장치 접촉부(422, 432, 44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편의에 따라 원하는 영역 내에 집중시킬 수도 있다. 장치 접촉부(422, 432, 444)의 위치를 집중시킴으로써, 신호 처리기(31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크기를 더 축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Referring to FIG. 7, the device contact portion 422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424 of the electrode member 420 on the left side are disposed at positions deviated up and down, but are interconnected through a common through hole 412 region. The devic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contact portion which are disposed up and down may be formed at the same center vertically, and may be formed at the displaced position. Furthermore, it may be formed without a region in common up and down.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device contacts 422, 432, 442 can be chang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and the mutual spacing of the body contacts 424, 434, 444, and may be concentrated in a desired area for convenience. By concentrating the positions of the device contacts 422, 432, and 444, the size of the signal processor 310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an be further reduced.

전극 부재(420, 430, 440)는 각각의 영역에서 감지된 생체신호를 신호 처리기(3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접촉부(422, 432, 442)가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신호 처리기(310)의 저면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유효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이드로 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electrode members 420, 430, and 440 may transmit the bio signals detected in the respective areas to the signal processor 310. In addition, since the device contacts 422, 432, and 442 are sticky, the bottom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or 310 can be attached and the effective adhesion can be maintained. Materials having conductivity and tackiness can be selected in various ways, but hydrogels are generally used.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접촉부(422, 432, 442)의 주변으로 절연 접촉부(45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절연 접촉부(452)는 장치 접촉부(422, 432, 442)와 대략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장치 접촉부(452)와 함께 신호 처리기(310)의 저면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절연 접촉부(452)는 비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 접촉부(452)가 비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장치 접촉부(422, 432, 442)를 상호 절연시킬 수 있으며,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장치 접촉부와 함께 신호 처리기(310)를 부착할 수가 있다. As shown, an insulating contact 452 can be formed around the device contacts 422, 432, 442, and the insulating contact 452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the same thickness as the device contacts 422, 432, 442. The bottom of the signal processor 310 may be supported together with the device contacts 452. The insulating contact 45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non-conductive and tacky property. Since the insulating contact 452 is non-conductive, the device contacts 422, 432, and 442 can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because of the adhesiveness, the signal processor 310 can be attached together with the device contact.

또한, 절연 시트(410)의 저면 및 신체 접촉부(424, 434, 444)의 주변으로 절연성을 갖는 접촉부가 형성되거나 절연성을 갖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 접착부(454)가 형성되며, 신체 접촉부(424, 434, 444)와 함께 생체용 전극(400)을 피부에 부착시킬 수가 있다. 절연 시트(410) 및 전극 부재(420, 430, 440)는 유연성을 가지고 변형할 수 있으며, 부착되는 부분의 형상에 적응하면서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ulating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a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410 and around the body contacting portions 424, 434, and 444, or an insulating adhesive may be applied. In this embodiment, an insulating adhesive portion 454 is formed,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can be attached to the skin together with the body contact portions 424, 434, and 444. The insulating sheet 410 and the electrode members 420, 430, and 440 may be deformed with flexibility, and may be easily attached while adapting to the shape of the portion to be attached.

신호 처리기(310)의 저면에는 금속 재질의 단자(315)가 나란히 노출되어 있으며, 신호 처리기(310)의 저면이 장치 접촉부(422)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신호 처리기(310)를 생체용 전극(400)에 부착시킬 수가 있으며, 각 단자(315)와 장치 접촉부가 쌍으로 상호 면접한다. 각 단자(315)와 장치 접촉부(422, 432, 442))가 평평한 접촉면을 통해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단자(315)는 넓은 면을 통해서 장치 접촉부(4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315)과 장치 접촉부 간의 연결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 접촉부(422) 및 단자(315) 간의 독립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S/N 비율(Signal-to-Noise ratio)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A metal terminal 315 is exposed side by side on the bottom of the signal processor 310, and the bottom of the signal processor 310 is positioned on the device contact part 422 so that the signal processor 310 may be placed on the biological electrode 400. ), And each terminal 315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ar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in pairs. Since each terminal 315 and device contacts 422, 432, 442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a flat contact surface, the terminal 315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contact 422 through a wide surface.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each terminal 315 and the device contact is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Thus, an independent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contact 422 and the terminal 315 can be maintained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resulting in an overall improvement in the signal-to-noise ratio.

또한, 장치 접촉부(422, 432, 442)는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 구조를 갖지 않아도 신호 처리기(310)와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신호 처리기(310)는 외부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심전도나 근전도 등의 생체신호 자료를 전달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신호 처리기를 생체용 전극에 부착하기 위해서 돌기/홈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장치 접촉부들은 하이드로 젤이 갖는 점착성을 이용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contacts 422, 432, and 442 have adhesive properties, the device contacts 422, 432, and 442 may mainta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signal processor 310 without having a separate fixing structure. The signal processor 3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transmit biosignal data such as an electrocardiogram or an electrocardiogram of a wearer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worn on a body. Conventionally, a fastening structure using protrusions / grooves is used to attach a signal processor to an electrode for a living body, but device contact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maintain a bonded state using adhesiveness of a hydrogel.

신호 처리기(310)는 저면의 단자(315)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A/D 변환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3개의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를 전달 받으며, 증폭 또는 필터링 등을 통해 A/D 변환부로 전달한다. A/D 변환부가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프로그램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는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310 includes an analog signal processor, an A / D converter,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sequentially connected from the terminal 315 on the bottom. The analog signal processor receives the bio signals transmitted from three terminals and transmits the bio signals to the A / D converter through amplification or filtering. After the A / D converter converts the transmitt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processe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ccording to a programmed method, and the processing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장치 고정부(460)는 양 측에 위치한 장치 접촉부(422, 442)의 상면 또는 그 주변에 형성되며, 신호 처리기(310)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처리기(310)가 장치 접촉부(422)에 부착된 후, 신호 처리기(310)의 이동은 장치 고정부(460)에 의해서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장치 고정부(460)는 비도 전성 물질로 구성되어 절연 특성을 가지며, 연질의 고무나 폼(foam) 등으로 형성되어 신호 처리기(310)를 고정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device fixing part 460 may be formed on or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contact parts 422 and 442 located at both sides, and may receive both edges of the signal processor 310. Thus, after the signal processor 310 is attached to the device contact 422, the movement of the signal processor 310 may be more stably fixed by the device fixing unit 460. The device fixing unit 460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o have insulation properties, and may be formed of soft rubber or foam to provide a friction force for fixing the signal processor 310.

본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기(310)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결과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or 3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able, and the result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abl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생체용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bioelectrode of FIG. 9.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생체신호 측정장치(500)는 신호 처리기(510) 및 생체용 전극(600)을 포함한다. 생체용 전극(600)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에 부착되며, 신호 처리기(510)는 생체용 전극(600) 상에 부착된다. 또한, 신호 처리기(510)의 2개 단자(515)가 생체용 전극(60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515)와 생체용 전극(600)은 평평한 접촉면을 통해 면접하기 때문에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며, 넓은 면을 이용하기 때문에 저항을 줄일 수 있다.9 and 10,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50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510 and a bioelectrode 600. The biological electrode 600 is attached to the body to be measured, and the signal processor 510 is attach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600. In addition, two terminals 515 of the signal processor 5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s 600, respectively. The terminal 515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600 have a wide contact area because they are interviewed through a flat contact surface, and the resistance can be reduced because a wide surface is used.

생체용 전극(600)는 절연 시트(610) 및 전극 부재(620, 630)를 포함한다. 절연 시트(610)는 비도전성(nonconductive) 또는 절연(insulating)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절연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절연 시트(610)의 양측으로 2개의 전극 부재(620, 630)가 제공되며, 절연 시트(610)의 양단으로부터 전극 부재(620, 630)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전극 부재(620, 630)의 상면에는 다른 절연 시트(660)가 제공된다. The biological electrode 600 includes an insulating sheet 610 and electrode members 620 and 630. The insulating sheet 610 is formed using a non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generally provided using paper or an insulating resin. Two electrode members 620 and 630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heet 610, and the electrode members 620 and 6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both ends of the insulating sheet 610. In addition, another insulating sheet 66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electrode members 620 and 630.

이전 실시예와는 달리, 절연 시트(610)에는 관통 홀이 없으며, 절연 시트(610)의 외측 저면으로 노출된 부분이 신체 접촉부가 되며, 절연 시트(610)의 내측 상면으로 노출된 부분이 장치 접촉부가 된다. 전극 부재(620, 630)는 하이드로 젤과 같이 도전성과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생체용 전극(600)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전극 부재(610)의 장치 접촉부가 내측에 집중되기 때문에 신호 처리기(51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크기를 더 축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re is no through hole in the insulating sheet 610,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610 becomes the body contact portion, the portion expos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610 is a device Becomes a contact Since the electrode members 620 and 630 are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such as hydrogel, the electrode 600 for living body can be attached to the body,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of the electrode member 610 is concentrated inside. Therefore, the size of the signal processor 510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an be further reduced.

전극 부재(620, 630)는 각각의 영역에서 감지된 생체신호를 신호 처리기(5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접촉부가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신호 처리기(510)의 저면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유효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The electrode members 620 and 630 may transmit the biosignals detected in the respective areas to the signal processor 510. In addition, since the device contact portion is tacky, the bottom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or 510 can be attached, and an effective adhesion force can be maintained.

또한, 절연 시트(610)의 저면 및 전극 부재(620, 630) 사이에는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생체용 전극(600) 및 신체 간의 접착력 및 생체용 전극(600) 및 신호 처리기(51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610 and the electrode members 620 and 630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biological electrode 600 and the body and between the biological electrode 600 and the signal processor 510. It can be improved.

신호 처리기(510)의 저면에는 금속 재질의 단자(515)가 나란히 노출되어 있으며, 신호 처리기(510)의 저면이 전극 부재(620, 630)의 장치 접촉부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신호 처리기(510)와 생체용 전극(600)에 부착시킬 수가 있으며, 각 단자(515)와 장치 접촉부가 쌍으로 상호 면접한다. A metal terminal 515 is exposed side by side on the bottom of the signal processor 510, and the bottom of the signal processor 510 is positioned on the device contact portion of the electrode members 620 and 630 so that the bottom of the signal processor 510 and the signal processor 510 are disposed. It can be attach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600, and each terminal 515 and a device contact part interview each other in a pair.

신호 처리기(510)는 저면의 단자(515)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A/D 변환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3개의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를 전달 받으며, 증폭 또 는 필터링 등을 통해 A/D 변환부로 전달한다. A/D 변환부가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프로그램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는 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510 includes an analog signal processor, an A / D converter,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sequentially connected from the terminal 515 on the bottom. The analog signal processor receives the bio signals transmitted from three terminals and transmits the signals to the A / D converter through amplification or filtering. After the A / D converter converts the transmitt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processe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ccording to a programmed method, and the processing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living body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생체신호 측정장치(700)는 신호 처리기(710) 및 생체용 전극(800)을 포함한다. 생체용 전극(800)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에 부착되며, 신호 처리기(710)는 생체용 전극(800) 상에 부착되어 생체용 전극(800)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처리 또는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70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710 and an electrode 800 for a living body.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may be attached to a body to be measured, and the signal processor 710 may be attach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to process or transmi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신호 처리기(710)의 저면에는 스냅 단자(720) 및 평판 단자(730)가 제공된다. 스냅 단자(720)는 생체용 전극(800)의 스냅 접촉부(822)에 대응하며, 스냅 접촉부(822)를 수용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평판 단자(730)는 생체용 전극(800)의 평판 접촉부(832)에 대응하며, 평판 접촉부(8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접촉부(822)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냅 단자(720)는 스냅 접촉부(822)를 수용 및 고정하기 위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냅 단자(720)의 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돌기 형상의 스냅 접촉부(822) 하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스냅 단자(720)와 스냅 접촉부(822)가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signal processor 710 is provided with a snap terminal 720 and a flat plate terminal 730. The snap terminal 720 corresponds to the snap contact 822 of the electrode 800 for the living body, and receives the snap contact 822 and is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hereto. The flat plate terminal 730 may correspond to the flat plate contact portion 832 of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plate contact portion 832. As shown, the snap contact portion 822 is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the snap terminal 72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snap contact portion 822. In addition, a locking jaw is formed below the snap terminal 720, and a locking groove is formed below the protruding snap contact portion 822 to maintain a firm binding state between the snap terminal 720 and the snap contact portion 822. .

본 실시예에서는 스냅 단자(720) 및 스냅 접촉부(822)가 탄성을 이용한 물리 적 결합에 의해 상호 기계적으로 결속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성 및 자성체를 이용하여 스냅 단자와 스냅 접촉부가 상호 기계적으로 결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nap terminal 720 and the snap contact portion 822 are mechanically bound to each other by physical coupling using elasticity, but in some cases, the snap terminal and the snap contact portion are mechanically bound to each other by using magnetic and magnetic materials. You can also

평판 단자(730)는 신호 처리기(710)의 저면에 형성되며, 평판 단자(73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체용 전극(800)의 상면에는 평판 접촉부(832)가 형성된다. 평판 접촉부(832)는 하이드로 젤과 같이 점착성 및 도전성을 모두 갖는 물질로 형성되며, 평판 단자(7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평판 접촉부(832)가 갖는 점착성으로도 평판 단자(730)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인접한 스냅 접촉부(822)가 스냅 단자(720)와 더 강한 결속을 형성하기 때문에, 신호 처리기(710)와 생체용 전극(800)은 안정된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lat plate terminal 7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or 710, and the flat plate contact portion 832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flat plate terminal 730. The plate contact portion 83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oth adhesiveness and conductivity, such as hydrogel,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ate terminal 730. The adhesiveness of the flat plate contact portion 832 can also prevent the flat plate terminal 730 from being separated, but because the adjacent snap contact portion 822 forms a stronger bond with the snap terminal 720, the signal processor 710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may maintain a stable attachment state.

또한, 돌기 및 홈 형상으로 형성된 스냅 단자(720) 및 스냅 접촉부(822)에 의해서 신호 처리기(710) 및 생체용 전극(800) 간의 결합 위치가 쉽게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스냅 단자(720)를 스냅 접촉부(822)에 끼우고 나서 바로 신호 처리기(710)와 생체용 전극(800)을 안정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signal processor 710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e snap terminal 720 and the snap contact portion 822 formed in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shape, the user preferentially selects the snap terminal 720. ) May be stably attached to the signal processor 710 and the biocompatible electrode 800 immediately after the snap contact 822 is inserted into the snap contact 822.

무엇보다도, 복수개의 단자를 스냅 연결방식으로 연결하면 제작 오차에 의해서 결합이 어려워지거나 전극이 전체적으로 주름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다. 하지만, 스냅 연결방식과 평판 연결방식을 혼합함으로써, 일정 오차 범위 내에서 신호 처리부와 생체용 전극을 안정하게 부착시킬 수가 있다.Above all, if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connected by a snap connection method, it may be difficult to combine or wrinkle the electrode as a whole due to manufacturing error. However, by mixing the snap connection method and the flat plate connection method,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can be stably attached within a certain error range.

생체용 전극(800)은 절연 시트(810), 절연 시트(810) 상면에 있는 스냅 접촉부(822)와 평판 접촉부(832), 그리고 절연 시트(810)의 저면에 있는 제1 신체 접촉부(824)와 제2 신체 접촉부(834)를 포함한다. 스냅 접촉부(822)와 제1 신체 접촉 부(824)는 절연 시트(810)에 있는 관통 홀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평판 접촉부(832) 및 제2 신체 접촉부(834)는 절연 시트(810)에 있는 다른 관통 홀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includes an insulating sheet 810, a snap contact portion 822 and a flat plate contact portion 832 on the top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810, and a first body contact portion 824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810. And a second body contact 834. The snap contact 822 and the first body contact 82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through hole in the insulation sheet 810, and the flat contact 832 and the second body contact 834 may be insulated from the insulation sheet 810.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other through hole in.

스냅 접촉부(822)와 제1 신체 접촉부(824)는 금속 재질로 하나의 스냅 전극 부재(820)를 형성하고, 평판 접촉부(832) 및 제2 신체 접촉부(834)도 하이드로 젤로 하나의 평판 전극 부재(83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냅 접촉부와 제1 신체 접촉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판 접촉부 및 제2 신체 접촉부도 다른 재질을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nap contact portion 822 and the first body contact portion 824 form a snap electrode member 820 made of metal, and the flat plate contact portion 832 and the second body contact portion 834 also use a single hydrogel gel. 830 may be formed. Alternatively, the snap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body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flat plate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body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by connecting different materials.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신호 처리기(710)는 저면의 단자(720, 730)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A/D 변환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서로 다른 단자(720, 730)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를 전달 받으며, 증폭 또는 필터링 등을 통해 A/D 변환부로 전달할 수 있다. A/D 변환부가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프로그램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는 유무선 송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ignal processor 710 may include an analog signal processor, an A / D converter,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sequentially connected from the terminals 720 and 730 on the bottom. The analog signal processor may receive the bio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different terminals 720 and 730 and transmit the bio signals to the A / D converter through amplification or filtering. After the A / D converter converts the transmitt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processe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ccording to a programmed method, and the processing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llustrates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p view.

참고로, 도 12 및 도 13에서 좌측에는 신호 처리기와 생체용 전극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우측에는 신호 처리기와 생체용 전극이 상호 결속된 상태 로 도시되어 있다.For reference, in FIG. 12 and FIG. 13, the signal processor and the bioelectrode are illustrated as separ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signal processor and the bioelectrode are shown on the right side in a mutually bound state.

도 12를 참조하면, 스냅 단자(720)와 스냅 접촉부(822)가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냅 접촉부(822)에서 신호 처리기(710)와 연결되는 부분이 원형의 단면을 갖기 때문에, 신호 처리기(710)는 스냅 접촉부(82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냅 단자(720)와 스냅 접촉부(822)를 상호 결속시킨 후, 신호 처리기(710)를 회전하여 평판 단자(730)와 평판 접촉부(832)가 서로 적당한 위치에서 부착되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snap terminal 720 and the snap contact portion 822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Since the portion of the snap contact 822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or 71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signal processor 710 may rotate about the snap contact 822. Therefore, after the user binds the snap terminal 720 and the snap contact 822 to each other, the user can rotate the signal processor 710 to adjust the position such that the flat terminal 730 and the flat contact 832 are attached to each other at an appropriate position. have.

하지만, 도 13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기(710')와 생체용 전극(800')이 정해진 방향으로만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스냅 단자(720')와 스냅 접촉부(822')가 비원형의 단면, 예를 들어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과 같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냅 접촉부(822')에서 신호 처리기(710')와 연결되는 부분이 비원형의 단면을 갖기 때문에, 신호 처리기(710')는 스냅 접촉부(822')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기(710')는 스냅 접촉부(82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냅 단자(720')와 스냅 접촉부(822')를 올바르게 결속시키는 과정만으로도, 신호 처리기(710') 및 생체용 전극(800')가 서로 적당한 위치에서 부착되게 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13, the signal processor 710 ′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 may be attached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snap terminal 720 'and the snap contact 822' may have a non-circular cross section, for example, an ellipse, a square, a pentagon, or the like. Since the portion of the snap contact 822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or 710' has a non-circular cross section, the signal processor 710 'can be inserted only in a fix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nap contact 822', The signal processor 710 'may not rotate about the snap contact 822'. Accordingly, the user may allow the signal processor 710 'and the biological electrode 800' to be attached to each other at a proper position only by properly binding the snap terminal 720 'and the snap contact 822'.

본 발명의 생체용 전극은 외부 단자 또는 신호 처리기와의 연결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넓고 평평한 영역을 통해 접해 있기 때문에 미세한 전기로 원활 하게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안정된 접속을 유지하기 때문에 노이즈 발생이 적으며, S/N 비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The biological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aintain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or a signal processor, and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fine electricity because it is contacted through a wide and flat area. In addition, since a stable connection is maintained, noise is less generated, and an improvement in the S / N ratio can be expected.

또한, 하나의 패드 상에 복수의 생체용 전극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접촉부의 위치, 크기 및 형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고, 종래에 비해 소형화 및 슬림화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iological electrodes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on one pad, and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contact portion can be freely adjus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miniaturized and slimmer product.

또한,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스냅 연결방식 단자와 면접촉을 이용한 평판 연결방식 단자를 혼용하여 두 연결방식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 부재와 전극 부재를 연결함에 있어, 스냅 연결방식 단자를 이용하여 양 부재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다른 단자를 면접촉 방식의 평판 연결방식으로 연결하여 단자 간의 간격 오차로 인한 전극 부재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may utilize the advantages of both connection methods by using a snap connection terminal and a flat panel connection terminal using surface contact. That is, in connecting the signal processing member and the electrode member, both members can b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by using a snap connection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by a flat contact method using a surface contact method. The warpage phenomenon of the electrode member can be prevented.

또한, 상대적으로 기계적 연결이 우월한 스냅 연결방식 단자를 사용하여 양 부재 간의 초기 부착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양 부재를 좀더 강하게 결속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snap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superior mechanical connection, the initial attachment position between the two members can be easily confirmed, and the two members can be more firmly boun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신체와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I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biosignal in contact with the body, 외부로 노출되는 스냅 단자 및 상기 스냅 단자에 인접한 평판 단자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부재; 및A signal processing member including a snap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lat terminal adjacent to the snap terminal; And 절연 시트, 상기 절연 시트의 상면에서 상기 스냅 단자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스냅 접촉부, 상기 절연 시트의 상면에서 상기 평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평판 접촉부, 상기 절연 시트의 저면에서 상기 스냅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신체 접촉부 및 상기 절연 시트의 저면에서 상기 평판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신체 접촉부를 포함하는 생체용 전극 부재;An insulating sheet, a snap contac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nap terminal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 flat plate contac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plate terminal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formed of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and the insulating sheet A biological electrode member comprising a first body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nap contact portion at a bottom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body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ate contact portion at a bottom of the insulating sheet; 를 구비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 처리 부재는 상기 스냅 단자 및 상기 평판 단자들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The signal processing member may include an analog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alo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nap terminal and the flat panel terminals, an A / D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냅 접촉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냅 단자는 상기 스냅 접촉부에 삽입되어 기계적으로 고정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The snap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the snap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nap contact portion is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chanically fix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냅 접촉부는 상기 스냅 단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생체신호 측정장치.And the snap contact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nap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냅 접촉부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스냅 단자에 대해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And the snap contact has a non-circular cross section and maintains a fixed posture with respect to the snap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냅 접촉부 및 상기 스냅 단자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자석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The snap contact portion and the snap terminal are formed in a corresponding concave-convex shape,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chanical connection using a magnet. 신체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생체용 전극에 있어서,In the living body electrode for connecting the body and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절연 시트;Insulation sheet; 상기 절연 시트의 상면에 위치한 스냅 접촉부 및 상기 절연 시트의 저면에서 상기 스냅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신체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냅 전극부 재; 및A snap electrode portion material including a snap contact portion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a first body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nap contact por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상기 절연 시트의 상면에 위치하며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평판 접촉부 및 상기 절연 시트의 저면에서 상기 평판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신체 접촉부를 포함하는 평판 전극 부재;A plate electrode memb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including a plate contact portion formed of a conductive and adhesive material and a second body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ate contact por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를 구비하는 생체용 전극.Biological electrode hav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냅 접촉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 전극.The snap contact part is a living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rojection shap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냅 접촉부에서 상기 생체용 측정장치와 연결되는 부분은 원형 또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 전극.And a portion of the snap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biometric measuring device has a circular or non-circular cross sec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냅 접촉부는 상기 생체용 측정장치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 전극.And the snap contact part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material provided adjacent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biometric measuring device.
KR1020060041143A 2005-10-20 2006-05-08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s Expired - Fee Related KR100742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143A KR100742402B1 (en) 2006-05-08 2006-05-08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s
US11/487,316 US7668580B2 (en) 2005-10-20 2006-07-17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EP06076565.8A EP1776922B1 (en) 2005-10-20 2006-08-11 Biosignal electrode
US12/588,694 US8214009B2 (en) 2005-10-20 2009-10-23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US13/473,258 US8473025B2 (en) 2005-10-20 2012-05-16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143A KR100742402B1 (en) 2006-05-08 2006-05-08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402B1 true KR100742402B1 (en) 2007-07-24

Family

ID=3849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1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2402B1 (en) 2005-10-20 2006-05-08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40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94B1 (en) 2010-12-17 2012-10-08 (주)디자인퓨즈 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KR20190067596A (en) * 2017-12-07 2019-06-17 울산과학기술원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096443A (en) * 2020-12-31 2022-07-07 (주)와이브레인 Electrode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585A (en) * 2001-02-09 2002-08-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de member for organism
KR20050054773A (en) * 2003-12-06 200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instruments using human feature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585A (en) * 2001-02-09 2002-08-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de member for organism
KR20050054773A (en) * 2003-12-06 200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instruments using human feature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94B1 (en) 2010-12-17 2012-10-08 (주)디자인퓨즈 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KR20190067596A (en) * 2017-12-07 2019-06-17 울산과학기술원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17128B1 (en) 2017-12-07 2019-10-21 울산과학기술원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096443A (en) * 2020-12-31 2022-07-07 (주)와이브레인 Electrode module
KR102439846B1 (en) * 2020-12-31 2022-09-02 (주)와이브레인 electrode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6922B1 (en) Biosignal electrode
KR101674579B1 (en)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AU636019B2 (en) Low profile electrode connector
US8251736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lead to an electrode
CN104665806B (en) Electrode, biosigna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biosignal
US20070015984A1 (en) Electrode for measuring biosignal
US20150313499A1 (en) Electrode patch for measuring electrical signal from body and physiolog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768450A (en) monitoring device
US20210128042A1 (en) System for capturing biosignals
US9705239B2 (en) Flexible electrode assembly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physiological signals
JPS62233144A (en) Bracelet device
US20240164684A1 (en) Elastic electroencephalography dry electrode, electroencephalography device and application system
KR100773447B1 (en)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s
GB2088151A (en) Electrical terminal
CN111419218A (en) Wear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0742402B1 (en)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devices
US7379768B2 (en) Medical electrode and method of use
KR100855247B1 (en) Biological electrodes and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19835620U (en) Electrocardiogram patch
CN218045120U (en) Electric signal collecting head and bioelectric signal collecting equipment
JP6215987B2 (en) B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
WO2022176559A1 (en) Bioelectrode
CN222841025U (en) Electrocardiogram
JP7456230B2 (en) Biological electrode
US20230066856A1 (en) Dry Electrode And Wear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7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71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