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206B1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 Google Patents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4206B1 KR100754206B1 KR1020060012886A KR20060012886A KR100754206B1 KR 100754206 B1 KR100754206 B1 KR 100754206B1 KR 1020060012886 A KR1020060012886 A KR 1020060012886A KR 20060012886 A KR20060012886 A KR 20060012886A KR 100754206 B1 KR100754206 B1 KR 1007542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power
- heating roller
- heating
- heat gen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mode of operation, e.g. standby, warming-up, erro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1—For photocop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채택한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롤러에 포함된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롤러 전력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a) 단계와,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b) 단계 및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마련된 인쇄매체상에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하는 (c)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에 수행되고, 상기 프린팅 장치가 상기 가압 롤러를 인식한 때부터 상기 (b) 단계의 수행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가열 롤러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isclosed are a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heating roller. A printing apparatus for fixing a toner image employing a heating roller and a pressure roller, the power control method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roller power supplied to a heat generating resistance included in the heating roll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 gradually increasing the maximum level of source power to a predetermined maximum supply level and supplying the source power as the roller power to the heating resistance,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and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B) supplying the source power having the maximum supply level as the maximum level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until the predetermined fixing target temperature and the toner image of the given print data on the print medium provided; (C) fixing by using a heating roller and the pressure roller, and (a)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is turned on or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enters the printing mode from the standby mode, and the printing apparatus recognizes the pressure roller until the completion of the step (b). Preferably, the pressure roller is interlocked with the heating roll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1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principle for a conventional heating roll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device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principle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method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1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도 6의 (a) ~ (g)들 각각은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교류 형태의 입력 소스 전압의 파형도이다.Each of (a) to (g) of FIG. 6 is a waveform diagram of an input source voltage having an alternating current form from an external source.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42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43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 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제430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가압 롤러의 표면을 정착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해 수행되는 플로우챠트이다.FIG. 9 is a flowchart performed to heat the surface of the pressure roller to a fixing target temperature before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9.
도 11의 (a) 및 (b)는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이다.11A and 11B are waveform diagrams for describ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9.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10 : 전원 공급부 220 : 온도 측정부210: power supply unit 220: temperature measuring unit
230 : 토너 정착부 240 : 제1 비교부230: toner fixing unit 240: first comparison unit
250 : 제2 비교부250: second comparison unit
본 발명은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해 사용되는 가열 롤러(IHR : Heating Roll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 롤러가 갖는 발열 저항에 외부의 소스 전력을 공급하는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roller (IHR: Heating Roller) used for toner image fix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heating roller for supplying external source power to a heating resistance of the heating roller. .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프린팅 장치는 인쇄 데이터에 상응하는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정착하고 정착된 인쇄매체를 프린팅 장치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인쇄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 print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or a copying machine, which forms an image of a given print data on a print medium using a developer such as toner, fixes a ton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int data on the print medium, and prints the fixed print medium on the print medium. By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printed matte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이러한 프린팅 장치는 발열 저항이 포함된 가열 롤러(Heating Roller)를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 예를 들어 섭씨 180도 근처의 온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Such a printing device may employ a heating roller including a heating resistance.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fixing to take plac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must be maintained at a fixing target temperature, for example, a temperature near 180 degrees Celsius.
프린팅 장치는 전원이 켜지고 나서 인쇄 지시를 최초로 받거나 대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도중 인쇄 지시를 받는 경우, 인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 때, 인쇄 지시를 받은 시점부터 최초의 인쇄물이 배출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이하, 인쇄대기시간(FPOT : First Print Out Time)이라 명명한다. 결국, 가열 롤러를 채택한 프린팅 장치의 인쇄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보다 신속히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시켜야 한다. The printing apparatus enters the print mode when it receives a print instruction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or receives a print instruction while operating in the standby mode. At this time, the time from when the print instruction is received to the time when the first printed matter is discharged is referred to as FPOT (First Print Out Time). As a result, in order to reduce the printing waiting time of the printing apparatus employing the heating rolle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must be reached to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more quickly.
도 1은 종래의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발열 저항의 저항치가 임계온도 이하의 발열 저항의 온도에 비례하여 결정된다면, 발열 저항에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Vin)(110)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 저항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Ir)(120)가 흐르게 된다. 1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principle for a conventional heating roller. I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heating resistance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esistance below the threshold temperature, when the
이처럼, 발열 저항에 흐르는 전류(Ir)가 발열 저항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 감소한다면, 종래의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원리는, 발열 저항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발열 저항에 과잉 전류가 흘러 전기적인 충격으로 회로를 파괴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게다가, 이 경우 가열 롤러로 교류(Alternating Current) 형태의 높은 전류가 흘러 플리커(flicker) 특성이 심화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여기서, 플리커 특성이란, 주변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을 일시적으로 미약하게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As such, if the current Ir flowing through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gradually decreases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reaches a critical temperature, the conventional power control principle for the heating roller is to generate heat at the tim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Excessive current flows through the resistor, which causes a problem of breaking the circuit due to electric shock. In addition, in this case, a high current in the form of alternating current flows to the heating roller,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eeper flicker characteristics. Here, the flicker characteristic means a phenomenon of temporarily weaken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eripheral circuit.
한편, 발열 저항이 임계온도일 때의 발열 저항의 저항치인 임계저항치는 발열 저항마다 고유하게 결정되며, 임계저항치가 낮은 발열 저항을 사용할수록 발열 저항에는 많은 양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보다 신속히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임계저항치가 낮은 발열 저항을 사용할수록, 발열 저항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발열 저항에 보다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술한 문제점들이 두드러지게 된다. 결국, 종래의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원리는, 적당히 낮은 임계저항치를 갖는 발열 저항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그에 따라,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정착 목표 온도까지 증가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에 있어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shold resistance value, which i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heating resistance when the heating resistance is the critical temperature, is uniquely determined for each of the heating resistances. The more the heating resistance with the lower threshold resistance is used, the greater the amount of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ing resistance. The surface temperature can be increased more quickly. However, as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having a lower threshold resistance is used, a larger current flows in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at the tim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thereby making the aforementioned problems stand out. As a result, the power control principle for the conventional heating roller has been forced to use a heat generating resistor having a moderately low threshold resistance value, there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to increas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to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또한,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프린팅 장치가 인쇄를 지시받는다면, 프린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 도시) 예를 들면, 프린팅 장치의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가, 프린팅 장치의 초기화 특히, 제어부의 초기화가 완료된 후에야 비로소, 가열 롤러의 가열을 지시할 수 있다. 결국, 인쇄 대기 시간의 단축에 한계가 있다는 전술한 문제점은, 프린팅 장치가 제어부(미 도시)의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에 인쇄를 지시받는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In addition, if the printing apparatus is instructed to print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is turned on,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generally controls operations performed in the printing apparatus,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printing apparatus. ) Can instruct heating of the heating roller only after the initializa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fter the initialization of the control unit is completed. As a result,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in shortening the print waiting time is more pronounced when the printing apparatus is instructed to print before the initialization of the controller (not shown) is comple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프린팅 장치의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부터 가열 롤러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 롤러에 초반에는 전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공급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공급 가능한 최대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플리커(flicker) 특성을 개선하면서도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빠른 시간내에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power of the printing device is turned on, the heating roller can be heated before the initialization of the printing device is complet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ile gradually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roller at the beginning.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maximum power that can be supplied, thereby providing a power control method for the heating roller, which improves the flicker characteristics and allow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to reach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in a short time. hav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ontrol apparatus for a heating roller that performs the pow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t least one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power control method.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채택한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롤러에 포함된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롤러 전력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a) 단계와,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b) 단계 및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마련된 인쇄매체상에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하는 (c)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에 수행 되고, 상기 프린팅 장치가 상기 가압 롤러를 인식한 때부터 상기 (b) 단계의 수행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가열 롤러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inting apparatus for fixing a toner image employing a heating roller and a pressure roller, the power control method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the roller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ance included in the heating roller (A) gradually increasing the maximum level of sourc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maximum supply level and supplying the source power as the roller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and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And (b) supplying the source power having the maximum supply level as the maximum level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as the roller power until the measured surface temperature reaches a predetermined fixing target temperature and the toner image of the given print data. (C) fixing to the printed media using the heating roller and the pressure roller. Step (a)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is turned on or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enters the printing mode from the standby mode, and the printing apparatus recognizes the pressure roller from the printing apparatus (b).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roller is interlocked with the heating roller until the performing of step) is completed.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상기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상기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제1 또는 제2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고,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고, 상기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으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부와,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롤러와 상기 가압 롤러를 연동시키고, 상기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매체상에 정착하는 토너 정착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을 상기 최대공급레벨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측정된 표면 온도를 상기 정착 목표 온도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3 웜업지시신호 및 상기 정착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웜업지시신호는 상기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 발생되고, 상기 제4 웜업지시신호는 상기 프린팅 장치가 상기 가압 롤러를 인식한 직후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the power control method for the heating roller, the maximum level of the source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first or second warm-up command signal gradually Increase the source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as the roller power, and output the source power having the maximum supply level as the maximum level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as the roller power in response to a third warm-up instruction signal, A power supply for outputting the source power having the temperature holding level as the maximum level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as the roller power in response to a fixing command signal, and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in response to the third warm-up command signal And a temperature measuring part outputting the measured surface temperature and a fourth warm-up instruction signal. A toner fixing unit for interlocking the heating roller and the pressure roller and fixing the toner image on the print medium using the heating roller and the pressure roller in response to the fixing instruction signal, and in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Comparing the increased maximum level with the maximum supply level, and comparing the measured surface temperature with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and a first comparator for generating the second and third warm-up instru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result. And a second compar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third warm-up instruction signal and the fixing instruction signal in response to the comparison result, wherein the first warm-up instruction signal is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is turned on or the printing apparatus is in standby. Is generated immediately after entering the printing mode from the mode, and the fourth warm-up instruction signal is generated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device recognizes the pressing roller. It is preferable to produce.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가열 롤러를 채택한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롤러에 포함된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롤러 전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a) 단계와, 상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상기 소스 전력을 상기 롤러 전력으로서 상기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b) 단계 및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마련된 인쇄매체상에 상기 가열 롤러 및 상기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하는 (c)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further object, a printing apparatus for fixing a toner image employing a heating roller, comprising: storing at least on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roller power supplied to a heating resistance included in the heating roll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the steps of: (a) supplying the source power as the roller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gradually increasing the maximum level of sourc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maximum supply level; (B)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and supplying the source power having the maximum supply level as the maximum level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until the measured surface temperature reaches a predetermined fixing target temperature; and The heating roller and the pressurization on a print medium provided with a toner image of a given print data. It is preferable to store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step (c) of fixing using a roller.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전원 공급부(210), 온도 측정부(220), 토너 정착부(230), 제1 비교부(240) 및 제2 비교부(250)로 이루어진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device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원 공급부(210) 내지 제2 비교부(250) 모두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프린팅 장치 예를 들면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의 정착 시스템에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 상에서, 프린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램프(lamp)가 포함된 가열 롤러(Heating Roller)를 구비한다. Both the
여기서, 각 램프는 발열 저항을 구비한다. 이 때, 발열 저항은 텅스텐 등으로 이루어지며, 저항치가 임계온도 이하의 발열 저항의 온도에 비례하여(또는 반비례하여) 결정되는 가변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저항치가 임계온도 이하의 발열 저항의 온도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경우, 발열 저항은 비례온도(P.T.C :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갖는다고 표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 발열 저항은 비례온도특성을 갖는다고 가정한다.Here, each lamp has a heating resistance. In this case, the heating resistance is made of tungsten or the like, and may have a variable characteristic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or inversely)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esistance below the threshold temperature.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esistance below the threshold temperature, the heating resistance may be expressed a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characteristic.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heating resistance has a proportional temperature characteristic.
한편, 가열 롤러에 포함된 복수의 램프 즉, 복수의 발열 저항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전력인 롤러 전력은 각 발열 저항마다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lamps included in the heating roller, that is,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resistor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roller power which is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may be independently controlled for each of the heat generating resistors.
이러한 롤러 전력은 롤러 전압 및 롤러 전류가 교류 형태이므로, 교류 형태로 발열 저항에 공급된다. 여기서, 롤러 전압은 발열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하고, 롤러 전류는 발열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한다. This roller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in the alternating form because the roller voltage and the roller current are in the alternating form. Here, the roller voltage means a voltage a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ance, and the roller current mean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eat generating resistance.
전원 공급부(210)는 제1 또는 제2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으로 출력한다. 한편, 전원 공급부(210)는 제3 웜업지시신호 또는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최대 레벨의 변경 없이 입력하는 소스 전력 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으로 출력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외부란 발열 저항의 외부 특히, 전원 공급부(210)의 외부를 의미하며, 소스 전력은 전원 공급부(210)에 입력되는 전력을 의미하고, 롤러 전력은 전원 공급부(210)를 거쳐 발열 저항에 공급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소스 전력은 입력단자 IN 6을 통해 입력된다.In response to the first or second warm-up command signal, the
온도 측정부(220)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를 출력한다. The
토너 정착부(230)는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PR : Pressure Roller)를 연동시키고, 프린팅 장치에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마련된 인쇄매체상에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한다. 여기서, 연동이란 가열 롤러(또는 가압 롤러)가 회전 운동하면, 가압 롤러(또는 가열 롤러)도 가열 롤러(또는 가압 롤러)와 함께 회전 운동하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인쇄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이루어지며, 토너 화상은 인쇄매체상에 페이지별로 정착된다. The
구체적으로, 토너 정착부(230)는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구비하며, 가압 롤러는 제4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가열 롤러와 연동되고 그 결과, 가압 롤러의 표면 온도와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 모두는, 후술할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인쇄매체는 서로 맞물려 회전 운동하는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의 사이에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공급된다. 이 경우, 인쇄매체의 공급 뿐만 아니라,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의 회전 운동도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이처럼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는 회전 운동하며 토너 화상을 그 공급된 인쇄매체상에 정착시키고, 토너 화상이 정착된 그 인쇄매체를 프린팅 장치의 외부로 인쇄물로서 배출한다. Specifically, the
이하, 제1, 제2, 제3, 제4 웜업지시신호, 및 정착지시신호를 상술한다.Hereinafte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arm-up instruction signals and the fixing instruction signal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웜업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1을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그 입력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증가시키고 그 최대 레벨이 증가된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1 웜업지시신호는 프린팅 장치의 전원(power)이 켜진 직후 또는 프린팅 장치가 대기(stand-by) 모드(mode)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 발생된다. 이를 위해, 프린팅 장치에는 그 프린팅 장치의 가열관련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미 도시)(이하, '가열 제어부'라 명명함)와 그 프린팅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모든 작업들 중 가열관련 작업 이외의 작업(이하, '비가열관련 작업'이라 명명함)을 제어하는 제어부(미 도시)(이하, '비가열 제어부'라 명명함)가 서로 구별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가열관련 작업이란 가열 작업과 소정 관련도 이상의 관련도를 갖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 때, 소정 관련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The first warm-up comma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1, and the
예를 들어, 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가열 롤러를 가열 롤러로서 인식하거나, 가열 롤러의 가열을 제어한다. 제1 웜업지시신호는 이러한 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발생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가압 롤러를 가압 롤러로서 인식하거나,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거나, 프린팅 장치에 구비된 광주사 장치(LSU : Laser Scanning Unit)를 제어한다. For example, a heating control part (not shown) recognizes a heating roller as a heating roller, or controls heating of a heating roller. The first warm-up command signal is preferably generated by such a 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Meanwhile, the non-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recognizes the pressure roller as the pressure roller, controls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heating roller and the pressure roller, or controls the laser scanning unit (LSU: Laser Scanning Unit) provided in the printing apparatus.
한편,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프린팅 장치의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에 해당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중앙처리장치는 가열관련 작업을 제외한 프린팅 장치가 수행 가능한 모든 작업들을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non-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preferably corresponds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printing device. At this tim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s all operations that the printing apparatus can perform except for heating related tasks.
이와 같이, 프린팅 장치가 수행 가능한 작업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프린팅 장치에 가열 제어부(미 도시)와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로서 구별되어 마련됨으로써,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질 경우, 프린팅 장치의 초기화 특히, 중앙처리장치의 초기화가 완료된 후에야 가열관련 작업이 수행될 수 있었던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와 달리, 중앙처리장치의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이라도, 프린팅 장치는 가열 롤러의 가열을 개시할 수 있다. As such,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asks that the printing apparatus can perform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non-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printing device, so that when the power of the printing device is turned on,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power control principle in which heating related operations could be performed only after the initializ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as completed, the printing apparatus may start heating the heating roller even before the initializ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mpleted.
이러한 가열 제어부와 비가열 제어부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별될 수도 있다. The heating control unit and the non-heating control unit may be distinguished in hardware or in software.
제2 웜업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2를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그 입력되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증가시키고 그 최대 레벨이 증가된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1 비교부(240)를 통해 생성된다.The second warm-up comma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2, and the
제3 웜업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3을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1 비교부(240) 또는 제2 비교부(250)를 통해 생성된다.The third warm-up comma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3, and means a signal that causes the
제4 웜업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4를 통해 입력되고, '가열 롤러와 가압 롤 러가 연동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프린팅 장치의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가 가압 롤러를 가압 롤러로서 인식한 후에 비가열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다. 특히, 제4 웜업지시신호는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가 가압 롤러를 가압 롤러로서 인식한 직후에 발생됨이 바람직하다. The fourth warm-up instru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4, and means a signal that causes the heating roller and the pressure roller to interlock, and the non-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printing apparatus recognizes the pressure roller as the pressure roller. After the non-heating control is generated. In particular, the fourth warm-up instruction signal is preferably generated immediately after the non-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recognizes the pressure roller as the pressure roller.
정착지시신호는 입력단자 IN 5를 통해 입력되고, '전원 공급부(210)가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2 비교부(250)를 통해 생성되거나 정착이 수행되는 도중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발생된다.The fixing instru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5, and means a signal that causes the
이하, 제2 및 제3 웜업지시신호와 정착지시신호가 생성되는 원리를 제1 비교부(240) 및 제2 비교부(250)의 동작 설명과 함께 개시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generating the second and third warm-up command signals and the fixing command signal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제1 비교부(240)는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제2 웜업지시신호 및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최대공급레벨은 발열 저항에 최대로 공급 가능한 롤러 전력의 최대 레벨임이 바람직하다. The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이 최대공급레벨보다 작다고 비교되면, 제1 비교부(240)는 제2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그에 반해,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입력한 증가된 최대 레벨이 최대공급레벨에 도달했다고 비교되면, 제1 비교부(240)는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Specifically, when the increased maximum level input from the
한편, 제2 비교부(250)는 온도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를 정착 목표 온도 예를 들면 섭씨 180도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제3 웜업지시 신호 및 정착지시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착 목표 온도란, 토너 화상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의미한다. 이 때, 토너 화상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는 정착가능최저 온도 이상 정착가능최고 온도 이하의 임의의 온도일 수 있으며, 정착 목표 온도는 정착가능최저 온도와 정착가능최고 온도 사이에서 미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온도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보다 작다고 비교되면, 제2 비교부(250)는 제3 웜업지시신호를 생성한다. 그에 반해, 온도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했다고 비교되면, 제2 비교부(250)는 정착지시신호를 생성한다.In detail,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이상에서 언급된 전원 공급부(210), 온도 측정부(220), 제1 비교부(240) 및 제2 비교부(250)의 동작은 가열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으며, 토너 정착부(230)의 동작은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음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s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소스전압 생성부(미 도시)에서 생성된 정현파 형태의 소스 전압(Vin)(300)의 일부 혹은 전부가, 비례온도특성을 갖는 발열 저항에 롤러 전압으로서 인가되고, 그에 따라 발열 저항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롤러 전류(Ir)(320)가 흐르게 된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210)는 소스전압 생성부(미 도시)로부터 소스 전압(300)의 일부 혹은 전부를 입력하고, 입력한 소스 전압(300)을 롤러 전압으로서 발열 저항으로 출력한다. 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principle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part or all of the sinusoidal
여기서, 소스 전압(300), 롤러 전압 및 롤러 전류(320)는 모두 교류 형태의 파형을 갖는다. 그에 따라, 소스 전력 및 롤러 전력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교류 형태의 파형을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력 및 롤러 전력의 포락선(envelope)은 롤러 전류(320)의 포락선(332 및 334) 중 양의 포락선(332)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Here, the
발열 저항에 흐르는 롤러 전류(320)의 파형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최대전력공급구간(312) 및 정착구간(314)의 세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waveform diagram of the roller current 320 flowing through the heat generating resistance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flicker
여기서,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은 전원 공급부(210)가 제1 또는 제2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에서, 전원 공급부(210)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 한편,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이 최대공급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발열 저항에 인가되는 롤러 전압은 소스 전압(300)의 일부이다.Here, the flicker
최대전력공급구간(312)은 전원 공급부(210)가 제3 웜업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대전력공급구간(312)에서, 전원 공급부(210)는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으로 공급한다. 한편, 최대전력공급구간(312)에서, 소스 전압(300)은 모두 롤러 전압으로서 발열 저항에 인가된다.The maximum
정착구간(314)은 전원 공급부(210) 및 토너 정착부(230)가 정착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착구간(314)에서, 전원 공급부(210)는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으로 공급하고, 토너 정착부(230)는 그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이 롤러 전력으로서 공급되는 가열 롤러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정착한다. 한편, 정착구간(314)에서, 발열 저항에 인가되는 롤러 전압은 소스 전압의 일부이다.The fixing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이 공급되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는 정착 목표 온도와 소정 근사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이 공급되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는 정착 목표 온도의 95% ~ 105%에 속한다. 이 때,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이 공급되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는 정착가능최저 온도와 정착가능최고 온도 사이의 온도이어야 한다.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supplied with the source power having the temperature holding level as the maximum level has a predetermined approximation with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For exampl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supplied with the source power having the temperature holding level as the maximum level is in the range of 95% to 105% of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supplied with the source power having the temperature holding level as the maximum level should be a temperature between the minimum settable temperature and the maximum settable temperature.
만일, 인쇄 데이터가 적은 페이지 예를 들어 두 페이지로 이루어졌다면,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한 가열 롤러에 더 이상 롤러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그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 모두에 대해 정착이 완료되기 까지 표면 온도가 정착가능최저 온도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210)는 전술한 바와 달리,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지 않을 수 있고, 이처럼 정착구간(314)에서 롤러 전력이 추가적으로 공급되지 않더라도 토너 정착부(230)는 토너 화상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If the print data is composed of fewer pages, for example, two pages, fixing is completed for all of the toner images of the print data even if the roller power is no longer supplied to the heating roller whose surface temperature reaches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The surface temperature may not drop below the settable minimum temperature.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 the
그러나, 인쇄 데이터가 많은 페이지 예를 들어 수 십 페이지로 이루어졌다 면,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한 가열 롤러에 더 이상 롤러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그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 모두에 대해 정착이 완료되기 전에 표면 온도가 정착가능최저 온도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여야 한다. However, if the print data is made up of many pages, for example, tens of pages, when the roller power is no longer supplied to the heating roller whose surface temperature has reached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it is fixed to all the toner images of the print data. The surface temperature may drop below the settable minimum temperature before this is complet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및 최대전력공급구간(312)에서는, 가열 롤러에 포함된 모든 발열 저항들 각각마다 롤러 전력이 공급되지만, 정착구간(314)에서는, 그 모든 발열 저항들 중 선택된 발열 저항에만 롤러 전력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licker
이 때, 선택은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수행되며, 가열 제어부는 그 선택되는 발열 저항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변경한다. 즉, 정착 구간(314)에서, 롤러 전류(320)가 흐르는 시간 영역은 발열 저항 자신이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선택된 시간 영역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selection is performed by a non-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heating control unit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changes the selected heating resistance. That is, in th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발열 저항에 롤러 전력이 공급되는 모습을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최대전력공급구간(312) 및 정착구간(314) 각각마다 달리 제어함으로써, 플리커 특성을 개선하면서도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빠른 시간내에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들(제410~ 43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method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of the roller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 resistance resistance flicker
전원 공급부(210)는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410 단 계). 이 때, 제410 단계는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수행될 수도 있고,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The
제410 단계 후에, 온도 측정부(220)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전원 공급부(210)는, 그 측정된 표면 온도가 소정의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420 단계). After
제420 단계 후에, 전원 공급부(210)는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고, 토너 정착부(230)는 주어진 인쇄 데이터의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한다(제430 단계). After
이상에서 언급된 제410 단계 및 제420 단계의 수행은 가열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으며, 제430 단계의 수행은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410, 제420 및 제430 단계들 각각은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최대전력공급구간(312) 및 정착구간(314) 각각에 해당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of
한편, 제430 단계 후에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제430 단계 후 소정의 대기모드진입결정시간이 경과하는 도중 인쇄 데이터가 주어졌는지 판단하고, 제430 단계 후 대기모드진입결정시간이 경과하는 도중 인쇄 데이터가 주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프린팅 장치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킨다.On the other hand, after
이 경우,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된 후 인쇄 데이터가 주어졌는지 판단하고,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된 후 인쇄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판단되면, 프린팅 장치를 인쇄 모드로 진입시키고, 전원 공급부(210)가 제410 단계를 수행할 것을 지시한다.In this case, the non-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determines whether print data has been given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enters the standby mod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 data has been given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enters the standby mode, prints the printing apparatus. Enter the mode, and th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1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410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소정의 최대공급레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단계들(제510 ~ 53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FIG. 5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전원 공급부(210)는 소스 전력을 제1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제2 소정 시간동안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510 단계). 이 때, 제1 소정 시간은 제2 소정 시간 이상이고, 가변 가능한 제2 소정 시간과 달리 가변 불가능함이 바람직하다. The
제510 단계 후에, 제1 비교부(240)는 제510 단계에서 공급된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이 최대공급레벨보다 작은지 판단한다(제520 단계).After
제520 단계에서 작다고 판단되면, 제1 비교부(240)는 제2 소정시간을 증가시키며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을 증가시키고 전원 공급부(210)가 제510 단계를 재차 수행할 것을 전원 공급부(210)에 지시한다(제530 단계).If it is determined in
그에 반해, 제520 단계에서 작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420 단계로 진행한다.In contrast, if it is determined in
이처럼, 제2 소정 시간은 소스 전력의 최대 레벨이 최대공급레벨에 근접함에 따라 증가된다. 이로써,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지거나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하여 발열 저항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발열 저항에 롤러 전력이 과잉 공급되어 발생되는 플리커 특성이 완화된다. As such,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is increased as the maximum level of source power approaches the maximum supply level. This alleviates the flicker characteristic caused by excessive roller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at the time when the power of the printing device is turned on or when the printing device enters the printing mode from the standby mode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도 6의 (a) ~ (g)들은 소스 전압(300)의 10%, 20%, 25%, 33%, 50%, 67% 및 100%가 롤러 전압으로서 발열 저항에 인가됨을 음영으로 표현한 소스 전압의 파형도들로서, 제2 소정 시간이 점진적으로 증가됨을 나타낸다.6A to 6G are shaded sources in which 10%, 20%, 25%, 33%, 50%, 67% and 100% of the
각 파형도에 보여진 음영 처리된 부분(이하, 풀 온(full on) 구간이라 한다)은 발열 저항으로 소스 전압(300)이 공급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하, 음영 처리되지 않은 부분을 풀 오프(full off) 구간이라 한다. The shaded por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ull on intervals) shown in each waveform diagram represent the time when the
제2 소정 시간은 제1 소정 시간(A) 중 풀 온 구간이 차지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에서는, 도 6의 (a)에서 도 6의 (g)로 진행하는 것과 같이, 제2 소정 시간이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means a time occupied by the pull-on period amo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A. FIG. In the flicker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42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420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는 단계들(제710~ 73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온도 측정부(220)는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제710 단계), 제2 비교부(250)는 제710 단계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인지 판단한다(제720 단계).The
제710 단계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제720 단계), 전원 공급부(210)는 최대공급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한다(제730 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measured in
그에 반해, 제710 단계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라고 판단되 면(제720 단계), 제430 단계로 진행한다.In contras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measured in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43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430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발열 저항에 공급하며 토너 화상을 정착하는 단계들(제810~ 83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가열 롤러에 포함된 복수의 발열 저항들 중 하나 이상의 발열 저항을 선택한다(제810 단계).The non-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selects one or more heating resistors among the plurality of heating resistors included in the heating roller (operation 810).
제810 단계 후에, 전원 공급부(210)는 제810 단계에서 선택된 발열 저항에 온도유지레벨을 최대 레벨로서 갖는 소스 전력을 롤러 전력으로서 공급한다(제820 단계).After
제820 단계 후에, 토너 정착부(230)는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상에 가열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이용하여 정착한다(제830 단계).After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제430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가압 롤러의 표면을 정착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해 수행되는 플로우챠트로서, 프린팅 장치의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가 가압 롤러를 인식한 직후부터 도 4에 도시된 제42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될 때까지, 가압 롤러의 표면을 가열하는 단계들(제910~ 97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FIG. 9 is a flowchart performed to heat the surface of the pressure roller to a fixing target temperature before
한편,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11의 (a)는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에 의할 경우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의 타이밍도(1110)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 원리에 의할 경우 가열 롤러 의 표면 온도의 타이밍도(1120)이다. 이하, 도 9를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chart shown in Figure 9, Figure 11 (a) is a timing diagram 1110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al power control principle, 11B is a timing diagram 1120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control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IG.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만 정착 목표 온도이고, 가압 롤러(1020)의 표면 온도는 정착가능최저 온도 미만의 낮은 온도인 경우, 정착을 위해 인쇄매체(1030)가 공급되면, 가열 롤러(1010)는 자신이 갖던 열을 가압 롤러(1020)에게 빼앗기게 되고, 그에 따라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는 정착가능최저 온도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토너 화상(1040)은 인쇄매체(1030)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없고, 그에 따른 인쇄물(1050)의 인쇄 상태는 좋지 않게 된다. When on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결국, 토너 화상(1040)이 인쇄매체(1030)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 및 가압 롤러(1020)의 표면 온도 모두가 정착 목표 온도(STt)이어야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제430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와 가압 롤러(1020)의 표면 온도 모두는 정착 목표 온도(STt)에 도달하여야 한다.As a result, in order for the
이처럼, 가압 롤러(1020)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가압 롤러(1020)가 가열 롤러(1010)와 연동하면서 가열 롤러(1010)가 갖는 열을 빼앗아야 한다. 이는 가압 롤러(1020)는 가열 롤러(1010)와 달리, 발열 저항을 갖지 않음에 기인한다. As such, in order fo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및 최대전력공급구간(312)에서,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이하 설명한다.In view of this point, how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에 의할 경우, 가열관련 작업과 비가열관련 작업 모두 는, 동일한 제어부(미 도시)의 제어를 받는다. 이 경우,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지거나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하면(t(이하, 'time'을 의미함)= 0), 프린팅 장치의 제어부(미 도시)는 시간 T1(t= 0~ t1)동안 초기화된다. 여기서, 제어부(미 도시)는 프린팅 장치의 중앙처리장치(CPU)임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ower control principle, both the heating-related work and the non-heating work are controlled by the same control unit (not shown). In this case, when the printing device is turned on or the printing device enters the printing mode from the standby mode (t (hereinafter, means 'time') = 0),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printing device has a time T1 (t = 0 ~ t1). Here,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preferabl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printing device.
프린팅 장치의 제어부(미 도시) 이외의 부분은 제어부의 초기화가 완료된 시점(t= t1)부터 시간 T2(t= t1~ t3)동안 초기화된다. 즉, 제어부(미 도시)는 이 구간(T2)의 어느 한 시점부터, 프린팅 장치의 가압 롤러(1010)를 가압 롤러로서 인식하기 시작함은 물론, 가열 롤러(1020)를 가열 롤러로서 인식하기 시작한다.Portions other than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printing apparatus are initialized for a time T2 (t = t1 to t3)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initialization of the control unit is completed (t = t1). That is, the control unit (not shown) starts to recognize the
또한, 제어부(미 도시)가 가열 롤러(1020)를 인식한 시점부터 발열 저항에는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예컨대, 제어부(미 도시)가 가열 롤러(1020)를 t= t2부터 인식하였다면,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t= t2부터 상승하게 된다. In addi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from the time when the controller (not shown) recognizes the
한편,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는 t= t3부터 시간 T4가 경과한 시점(t= t4)에 소정의 정착 대기(ready) 온도(STr) 예를 들면, 섭씨 160도[??]에 도달하고, 가압 롤러(1020)는 그 시점(t= t4)부터 가열 롤러(1010)와 연동하게 된다. 가압 롤러(1020)가 자신이 인식된 직후부터 가열 롤러(1010)와 연동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는, 't=4+~5에서의 기울기'로 t= t3부터 상승하게 되므로, 신속히 상승할 수 없어, 가열 롤러(1010)와 가압 롤러(1020)는 그 시점(t= t4)부터 연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그에 따라, 가압 롤러(1020)의 표면 온도는 t= t4부터 상승하고, 이로 인해,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는 t=0~ t4- 구간에 비해, t=4+~ 5 구간에서 덜 신속히 상승하게 된다. 또한,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와 가압 롤러(1020)의 표면 온도 모두는 t= t4부터 시간 T5가 경과한 시점(t= t5)에 정착 목표 온도(STt)에 도달한다.According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결과적으로, 종래의 전력 제어 원리에 의하면, 프린팅 장치가 전원이 켜진 직후(t=0+) 인쇄를 지시받거나, 대기 모드에 있는 프린팅 장치가 인쇄를 지시받은(t=0) 경우, 인쇄 대기 시간이 T3 + T4 미만이 될 수 없다.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ower control principle, when the printing apparatus is instructed to print immediately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t = 0 +), or when the printing apparatus in the standby mode is instructed to print (t = 0), the print waiting time It cannot be less than T3 + T4.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진 직후 또는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모드로 진입한 직후(t=0+), 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가열 롤러(1010)를 가열 롤러로서 인식하고, 전원 공급부(210)가 발열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하도록 전원 공급부(210)에 지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T3에 해당하는 시간이 인쇄 대기 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is turned on or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apparatus enters the printing mode from the standby mode (t = 0 +), the heating control unit (not shown) uses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롤러(1020)는,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가 정착 대기 온도(STr)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에 의해 인식된 직후(t=t6+)부터 가열 롤러(1010)와 연동함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가압 롤러(1020)의 표면 온도는 t= t6부터 상승하고, 이로 인해,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는 t=0~ t6- 구간에 비해, t=6+~ 7 구간에서 덜 신속히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t6은 t1과 동일한 값을 가지며, 플리커특성개선구간(310) 또는 최대전력공급구간(312)에 포함된다. 한편,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와 가압 롤러(1020)의 표면 온도 모두는 t= t7에 정착 목표 온도(STt)에 도달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제430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수행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teps are performed before the
먼저,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지거나 프린팅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인쇄 모드로 진입한다(제910 단계). 제910 단계 후에,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가 초기화된다(제920 단계). First, the printing apparatus is turned on or the printing apparatus enters the printing mode from the standby mode (step 910). After
제920 단계 후에,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가 가압 롤러(1020)를 가압 롤러(1020)로서 인식한 직후부터 가압 롤러(1020)는 가열 롤러(1010)와 연동한다(제930~ 960 단계들).After
즉, 제920 단계 후에,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자신을 제외한 프린팅 장치의 각 부분들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을 인식하고(제930 단계), 가압 롤러(1020)가 가압 롤러(1020)로서 인식된 바 있는지 판단한다(제940 단계). That is, after
제940 단계에서 인식된 바 없다고 판단되면, 비가열 제어부(미 도시)는 아직 인식되지 않은 각 부분들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을 인식하고, 제940 단계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그에 반해, 제940 단계에서 인식된 바 있다고 판단되면, 토너 정착부(230)는 가압 롤러(1020)와 가열 롤러(1010)를 연동시키고(제960 단계), 제2 비교부(250)는 가열 롤러(1010)의 표면 온도가 정착 목표 온도(STt)에 도달했는지 판단한다(제970 단계).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in
제970 단계에서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제430 단계로 진행하는 반면, 제970 단계에서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960 단계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bov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열 롤러를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프린팅 장치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프린팅 장치의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부터 가열 롤러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 롤러에 초반에는 전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공급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공급 가능한 최대의 전력을 공 급할 수 있어, 플리커(flicker) 특성을 개선하면서도 가열 롤러의 표면 온도가 빠른 시간내에 정착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he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of the printing apparatus is turned on, can heat the heating roller before the initializa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is completed, Increasing the power gradually and supplying the maximum power that can be supplied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hereby improving the flicker characteristics and allow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er to reach the fixing target temperature in a short time. Has an effect.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2886A KR100754206B1 (en) | 2006-02-10 | 2006-02-10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
| US11/656,439 US7826759B2 (en) | 2006-01-24 | 2007-01-23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o heat a heating roller |
| DE602007007828T DE602007007828D1 (en) | 2006-01-24 | 2007-01-24 | Power control for a heating roller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CN2007101266093A CN101067738B (en) | 2006-01-24 | 2007-01-24 | Power control method for heating roller and device |
| JP2007014297A JP2007199719A (en) | 2006-01-24 | 2007-01-24 | Power control method for heating roller, power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
| EP07101095A EP1811345B1 (en) | 2006-01-24 | 2007-01-24 | Power control for a heating roller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2/889,714 US8050584B2 (en) | 2006-01-24 | 2010-09-24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o heat a heating roller |
| US13/174,927 US8180241B2 (en) | 2006-01-24 | 2011-07-01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o heat a heating roller |
| US13/454,451 US8532517B2 (en) | 2006-01-24 | 2012-04-24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o heat a heating roller |
| JP2012146106A JP5714538B2 (en) | 2006-01-24 | 2012-06-28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3/965,396 US20130330098A1 (en) | 2006-01-24 | 2013-08-13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o heat a heating ro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2886A KR100754206B1 (en) | 2006-02-10 | 2006-02-10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81174A KR20070081174A (en) | 2007-08-16 |
| KR100754206B1 true KR100754206B1 (en) | 2007-09-03 |
Family
ID=3861113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128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4206B1 (en) | 2006-01-24 | 2006-02-10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542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29735B1 (en) * | 2006-02-10 | 2013-1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or Instant Heating Roller |
| JP7062452B2 (en) * | 2018-01-26 | 2022-05-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297760A (en) * | 1992-04-22 | 1993-11-12 | Seiko Epson Corp | Fixing device |
| JPH09106215A (en) * | 1995-10-13 | 1997-04-22 | Ricoh Co Ltd | Heater control device |
| JPH1010914A (en) | 1996-06-19 | 1998-01-16 | Ricoh Co Ltd |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
| KR20020063663A (en) * | 2001-01-30 | 2002-08-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or Instant Heating Roller |
| JP2003122183A (en) | 2001-10-11 | 2003-04-25 | Konica Corp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5091965A (en) | 2003-09-19 | 2005-04-07 | Ricoh Co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
-
2006
- 2006-02-10 KR KR1020060012886A patent/KR1007542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297760A (en) * | 1992-04-22 | 1993-11-12 | Seiko Epson Corp | Fixing device |
| JPH09106215A (en) * | 1995-10-13 | 1997-04-22 | Ricoh Co Ltd | Heater control device |
| JPH1010914A (en) | 1996-06-19 | 1998-01-16 | Ricoh Co Ltd |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
| KR20020063663A (en) * | 2001-01-30 | 2002-08-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or Instant Heating Roller |
| JP2003122183A (en) | 2001-10-11 | 2003-04-25 | Konica Corp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5091965A (en) | 2003-09-19 | 2005-04-07 | Ricoh Co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81174A (en) | 2007-08-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39796B1 (en)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 |
| EP1811345B1 (en) | Power control for a heating roller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 KR100846785B1 (en)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and phase control circuit for same | |
| JP2014113752A (en) | Image formation apparatus, image form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KR100754206B1 (en)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 |
| KR100677631B1 (en)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heating roller | |
| KR100788679B1 (en)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heating roller | |
| EP1843444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Fixing Unit | |
| US863125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fixing unit | |
| JP4539453B2 (en) | HEATER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DEVICE, HEAT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KR10132973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or Instant Heating Roller | |
| KR100788680B1 (en)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heating roller and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n a computer. | |
| JP2008148385A (en) |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thereof | |
| KR10116318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or Heating Roller and Pressure Roller | |
| KR100846784B1 (en)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 |
| KR10121415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 |
| EP183544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using synchronization signal | |
| JP2010152014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 KR20080021173A (en) | Fixing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8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82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