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269B1 - Image frame type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frame typ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4269B1 KR100754269B1 KR1020070000030A KR20070000030A KR100754269B1 KR 100754269 B1 KR100754269 B1 KR 100754269B1 KR 1020070000030 A KR1020070000030 A KR 1020070000030A KR 20070000030 A KR20070000030 A KR 20070000030A KR 100754269 B1 KR100754269 B1 KR 1007542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frame
- roller
- film
- dr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24—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fed one by one from storage place to a display position
- G09F11/3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fed one by one from storage place to a display position the feeding means comprising belts or chains, e.g. endless belts or chai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2011/0009—Roller-band displays
- G09F2011/0027—Roller-band displays illu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의 전면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진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variable frame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frame is variable.
본 발명의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는, 액자틀(frame); 액자틀의 전면에 부착되고, 이미지가 표시된 표시부재; 상기 표시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미지가 표시된 하나 이상의 이동필름; 및 상기 이동필름의 이동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Image-variable photo fram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rame); A display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ame and displaying an image; At least one moving film install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member and displaying an imag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film.
액자, 이미지, 가변, 이동필름, 구동유닛 Frame, image, variable, moving film, driving uni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image fram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의 액자틀, 이동필름, 구동유닛 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 moving film, a driving unit, etc. of the image variable fr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image fram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의 텐션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unit of the image variable fram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텐션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ten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의 사용상태도.Figure 6 is a state of use of the image variable fram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의 표시부재, 고정필름, 이동필름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member, a fixed film, a moving film of the image variable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의 측단면도이다.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variable frame apparatus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액자틀 11 : 표시부재10
20 : 이동필름 30 : 구동유닛20: moving film 30: drive unit
본 발명은 액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의 전면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진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variable frame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frame is variable.
일반적으로 액자는 유화·소묘·수채화·판화 또는 사진 따위의 회화작품을 끼워, 보존과 전시(展示), 이동을 위하여 쓰여지는 틀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니고 있다. 그 명칭도 다양하여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프레임(frame), 프랑스에서는 카드르(cadre), 독일에서는 타펠(Tafel), 이탈리아에서는 코르니체(cornice), 에스파냐에서는 마르코(marco)라고 부른다.In general, a frame is a frame used for preservation, exhibition, and movement by inserting paintings such as oil paintings, sketches, watercolors, prints, or photographs, and has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regardless of the East or the West. Its name is so diverse that it is called a frame in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a cadre in France, a Tafel in Germany, a cornice in Italy, and a Marco in Spain.
이탈리아 르네상스로부터 프랑스의 루이왕조에 걸쳐 가장 많이 발달하여, 루이왕조에 이르러서는 루이 13세식(式), 루이 14세식, 루이 15세식, 루이 16세식으로 변천하면서 각각 특징 있는 양식을 만들었다. 나폴레옹의 제정시대에는 앙피르 양식을 만들었고, 이들 양식은 실내장식이나 가구 등에도 영향을 끼쳤다.The most developed from the Italian Renaissance to the Louis Dynasty in France, and from the Louis Dynasty to the Louis XIII, Louis XIV, Louis XV, and Louis XVI, each produced distinctive styles. In Napoleon's enactment, he created the Enfir style, which also influenced interior decoration and furniture.
루이식은 다시 에스파냐로 건너가 에스파냐풍의 요소가 가미되었고, 독일·네덜란드 등지에서도 독자적인 풍조가 가미된 형태의 액자를 만들었다. 루이왕조시대에 만든 액자는 목조(木彫) 위에 금박을 칠한 일종의 미술공예품이었으나, 그후 목조 대신에 목제로 된 소재(素材) 위에 석고(石膏)로 성형한 부조(浮彫)를 붙이고 거기에 각종 금속분을 칠하여 고상한 기풍을 나타내게 한 것이 많아졌다.Ruizic went back to Spain and added Spanish elements, and made frames i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that had their own style. The frame made in the Louis Dynasty was a kind of art work painted with gold leaf on wooden boards, but after that, instead of wooden boards, a relief made of plaster was attached and various metal powders were attached to it. Many things were painted to show a noble temper.
그밖에 삼나무·자단(紫檀)·흑단 따위의 목제틀과, 거기에 옻칠을 한 것 등 여러 가지를 만들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회화 자체뿐만 아니라 건축 벽면(壁面)과의 조형적·감각적 면에서도 재래의 액자는 조화성을 잃게 되어, 그 장식적 조각을 제거한 단순한 디자인의 액자를 사용하게 되었다.In addition, he made various kinds of wooden frames such as cedar, rosewood, and ebony, and lacquered them. However, in modern times, traditional picture frames lose their harmony not only in the painting itself but also in the formative and sensational aspects with the architectural walls, and the picture frames with simple designs have been removed.
재료도 목재뿐만 아니라 경금속이나 유리·플라스틱을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액자 표면에 유리를 끼우게 되었으나, 그것은 수채화·판화·소묘화 등에 국한되고 유화는 유리를 끼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As well as wood, light metal, glass, and plastic are used. In addition, glass has been put on the surface of the frame, but it is limited to watercolors, prints, drawings, etc., and in principle, oil painting is not put on glass.
한편, 이러한 종래의 액자에는 사진 또는 각종 회화작품 등과 같이 고정된 이미지만이 끼워져 전시 또는 표시되어 왔었다. On the other hand, only a fixed image such as a picture or various paintings has been inserted and displayed or displayed in such a conventional picture frame.
이에 따라, 종래의 액자는 고정 이미지만을 표시함에 따라 수요자에게 보다 다채롭고 입체적인 느낌의 장식감을 부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picture fram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give the consumer a more colorful and three-dimensional impression by displaying only a fixed im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미지가 가변하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장식감을 부여할 수 있는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variable photo frame device that can give a more three-dimensional and lively decoration by implemen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is vari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는, Image variable fram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액자틀(frame);Frame;
액자틀의 전면에 부착되고, 이미지가 표시된 표시부재;A display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ame and displaying an image;
상기 표시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미지가 표시된 하나 이상의 이동필름; 및 At least one moving film install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member and displaying an image; And
상기 이동필름의 이동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It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film.
상기 표시부재 및 이동필름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필름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필름 및 이동필름에는 불투명부 및 투명부가 교대로 형성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One or more fixed films ar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ember and the moving film, and the fixed film and the moving film display an image in which opaque parts and transparent parts are alternately formed.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 하나 이상의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 및 구동모터의 동력을 구동롤러측에 전달하는 전동기구를 포함한다. The drive unit includes a drive motor, one or more drive rollers and driven rollers, and an electric drive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drive roller side.
상기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는 그 외주면에 마찰피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may have a friction coating layer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러 단부에는 텐션을 인가하는 텐션유닛을 구비할 수 있고, At least one roller end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may be provided with a tension unit for applying tension,
상기 텐션유닛은 롤러의 양단부에 구비된 샤프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지지부재 및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액자틀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한다. The tension unit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shaf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a guide memb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It includes a mounting bracket for fixing.
상기 지지부재는 그 일측에 롤러의 샤프트를 회전지지하는 동재질의 부싱을 구비하고, 이 부싱과 샤프트 사이에는 윤활제가 개재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has a bushing of the same material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shaft of the roller on one side thereof, a lubrica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ushing and the shaft.
그리고, 이동필름의 후방에는 조명을 표시부재측으로 조사하는 조명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하나 이상의 조명체 및 상기 조명체에 전원을 공급 함과 더불어 조명체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Further, a rear side of the moving film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unit for irradiating the light to the display member side, the ligh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illuminator and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illuminator while supplying power to the illumina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6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image fram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는 액자틀(10, frame), 표시부재(11), 이동필름(20), 및 구동유닛(30)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image-variable fram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액자틀(10)은 일반적인 액자틀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폐쇄된 형태이다. The
표시부재(11)는 액자틀(10)의 개방된 전면에 부착되고, 유리 또는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The
그리고, 표시부재(11)는 그 표면에 고정이미지(FI, fixed image)가 표시된 표시부(11a)를 구비하고, 이 고정이미지(FI)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동필름(21, 22, 23)의 이동에 따라 구현되는 가변이미지(moving image)에 대한 배경이미지로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표시부재(11)의 가장자리 부분 또는 그외 다양한 위치에는 거울부(11b)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표시부재(11)의 후면에는 투명필름(13)이 부착되어 표시부재(11)의 후면을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하나 이상의 이동필름(21, 22, 23)은 표시부재(11)의 후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표면에 이미지(MI)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동필름(20)의 이미지(MI)는 이동필름(20)의 이동에 의해 표시부재(11)의 고정이미지(FI)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변하는 가변이미지(moving image)로 표현된다. One or more moving
한편, 이러한 이동필름(21, 22, 2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동필름(21, 22, 23)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동필름(21, 22, 23)은 그 이동방향이 동일하거나 교차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이동필름(21, 22, 23)은 그 이동방향이 상호 직교하거나 소정각도로 엇갈리면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moving film (21, 22, 23), as shown in Figure 2 and 3, a plurality of moving film (21, 22, 23) can be installed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lso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구동유닛(30)은 이동필름(20)을 표시부재(11)의 후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이러한 구동유닛(30)은 구동모터(31), 하나 이상의 구동롤러(32a, 33a, 34a) 및 피동롤러(32b, 33b, 34b), 및 구동모터(31)의 동력을 구동롤러(32a, 33a, 34a)측에 전달하는 전동기구(35)를 포함하고, 전동기구(35)는 복수의 전동기어(35a, 35b)로 이루어진 기어전동열 또는 그외 다양한 형태의 전동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구동모터(31)의 동력이 전동기구(35)를 통해 구동롤러(32a, 33a, 34a)측으로 전달되면, 구동롤러(32a, 33a, 34a) 및 피동롤러(32b, 33b, 34b) 사이에 감긴 제1 내지 제3 이동필름(21, 22, 23)들이 개별적으로 권취되면서 이동한다. When the power of the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32a, 32b, 33a, 33b, 34a, 34b)의 각 단부는 액자틀(10)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Then, each end of the driving roller and driven roller (32a, 32b, 33a, 33b, 34a, 34b)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32a, 32b, 33a, 33b, 34a, 34b)는 그 외주면에 고무재질 등과 같은 마찰피복층(36)이 형성되고,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32a, 32b, 33a, 33b, 34a, 34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러의 단부에는 텐션을 인가하는 텐션유닛(4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driving rollers and driven
텐션유닛(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2a, 32b, 33a, 33b, 34a, 34b)의 양단부에 구비된 샤프트(3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1), 상기 지지부재(4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42), 상기 지지부재(41) 및 가이드부재(42)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43), 상기 가이드부재(42)를 액자틀(10)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장착브라켓(44)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ension unit 40 includes a
지지부재(41)는 그 일측에 롤러의 샤프트(37)를 회전지지하는 동재질의 부싱(41a)을 구비하고, 이 부싱(41a)과 샤프트(37) 사이에는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제가 개재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이동필름(21, 22, 23)의 하부에는 소정의 조명을 표시부재(11)측으로 조사하는 조명유닛(50)이 배치되고, 이 조명유닛(50)은 형광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명체(51) 및 이 조명체(51)에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조명체(51)를 지지하는 브라켓(52)을 포함한다.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film (21, 22, 23) is provided with an
액자틀(10)의 소정위치에는 시계(61)가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고, 그외에도 음이온발생기, 산소공급기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구동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하면,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32 a, 33a, 34a, 32b, 33b, 34b) 등의 구동에 의해 이동필름(21, 22, 23)들은 표시부재(11)에 대해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필름(21, 22, 23)의 이미지(MI)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11)의 고정이미지(FI)에 대해 상대이동함으로써 표시부재(11)를 통해 보다 다채롭고 생동감 넘치는 이미지가 구현될 수 있다. 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riving
이때, 본 발명의 이동필름(21, 22, 23)들은 텐션유닛(40)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적절한 텐션(즉, 긴장력)이 부여되어 그 이동 도중에 늘어짐 등이 방지되어 보다 선명한 이동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ving
그리고, 이동필름(21, 22, 23)들의 후방에서 조명유닛(50)에 의해 적절한 조명이 조사됨으로써 가변이미지의 입체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ppropriate illumination is irradiated by the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표시부재(11)의 후방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필름(75) 및 상기 고정필름(75)의 후방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이동필름(76)을 구비하고, 이동필름(76)의 후방에는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유닛(50)이 배치되고, 이 조명유닛(50)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조명체(51)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7 and 8 are views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of the at least one
그리고, 고정필름(75) 및 이동필름(76)에는 불투명부(75a, 76a) 및 투명부(75b, 76b)가 교대로 배치된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이동필름(76)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기재된 형태 또는 그외의 다양한 구조의 구동유닛(30)에 의해 이동한다.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images in which the
본 실시예는 이동필름(76)의 이동에 따라 이동필름(76)의 불투명부 및 투명부(76a, 76b)가 고정필름(75)의 불투명부(75a, 75b)와 반복적으로 중첩함으로써 물 결의 흐름과 같은 보다 역동적인 가변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필름(76) 및 고정필름(75)의 불투명부 및 투명부(76a, 76b, 75a, 75b)의 중첩되는 햇수 또는 중첩되는 갯수에 따라 그 명암이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mov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미지가 가변하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장식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mplemen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is varia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ive a more three-dimensional and lively decora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00030A KR100754269B1 (en) | 2007-01-02 | 2007-01-02 | Image frame typ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00030A KR100754269B1 (en) | 2007-01-02 | 2007-01-02 | Image frame type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44406A KR20070044406A (en) | 2007-04-27 |
| KR100754269B1 true KR100754269B1 (en) | 2007-09-03 |
Family
ID=3817836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000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4269B1 (en) | 2007-01-02 | 2007-01-02 | Image frame type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5426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00660B1 (en) | 2019-11-15 | 2021-09-08 | 김민성 | Operating method of layered images trading platform |
| KR102369915B1 (en) | 2019-10-25 | 2022-03-03 | 김민성 | Multi-layered image display |
| WO2021080095A1 (en) * | 2019-10-25 | 2021-04-29 | 김민성 | Multi-layered structure imag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rading platform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16571U (en) * | 1999-02-03 | 2000-09-25 | 고광만 | Aaaaa |
| KR20030042366A (en) * | 2001-11-22 | 2003-05-28 | 주식회사좋은인상 | Display apparatus with moving image |
-
2007
- 2007-01-02 KR KR1020070000030A patent/KR10075426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16571U (en) * | 1999-02-03 | 2000-09-25 | 고광만 | Aaaaa |
| KR20030042366A (en) * | 2001-11-22 | 2003-05-28 | 주식회사좋은인상 | Display apparatus with moving imag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44406A (en) | 2007-04-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3186473A (en) | Means for controlling the light entering a room window | |
| US6149285A (en) | Interchangeable decorative tube device for fluorescent lighting | |
| KR100754269B1 (en) | Image frame type device | |
| JPH0894958A (en) | Original display device | |
| ES2857719T3 (en) | Dry Erase Art Board | |
| US6922928B2 (en) | Multi-picture frame | |
| BG63956B1 (en) | Device for advertising display, in particular billboard | |
| EP1901115A3 (en) | Light-source cover and portable device therewith | |
| US20060150452A1 (en) | Multilayer three-dimensional display | |
| US2153595A (en) | Illuminable fixture | |
| US7926211B2 (en) | Illuminated display with simulated motion | |
| KR200329638Y1 (en) | Signboard | |
| JP2008051839A (en) | Environment adaptive display apparatus | |
| KR200254061Y1 (en) | signboard provided with movable display panel | |
| US20090126246A1 (en) | Multi-layer graphic illustrations | |
| US1418157A (en) | Advertising device | |
| JP200135671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ultiple posters | |
| KR960004118Y1 (en) | Aquarium | |
| EP3488735B1 (en) | Artistic dry-erase board | |
| JP3221137U (en) | Wide non-combustible sheet for internally illuminated electric signs | |
| KR100505751B1 (en) | Turn screen billboard | |
| US1638464A (en) | Exhibitor | |
| KR200293016Y1 (en) | The apparatus for advertisement | |
| US6032392A (en) |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 illusion of thickness from a flat image | |
| KR20040040811A (en) | Billboard that change of advertisement contents is possib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7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54269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903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8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82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