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6415B1 -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 Google Patents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415B1
KR100756415B1 KR1020060065372A KR20060065372A KR100756415B1 KR 100756415 B1 KR100756415 B1 KR 100756415B1 KR 1020060065372 A KR1020060065372 A KR 1020060065372A KR 20060065372 A KR20060065372 A KR 20060065372A KR 100756415 B1 KR100756415 B1 KR 100756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groove
layer
fo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to KR102006006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41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열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공과, 관통공을 중심으로 단열재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단열재의 구속력을 강화시키는 홈부와, 홈부를 연결하여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단홈부와, 단열재의 하부에 절단홈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하부절단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단열재에 있어서,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과, 관통공이 형성된 단열재와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는 단열 완충재가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 완충재층과, 단열 완충재층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과, 난방용 배관이 매설되도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마감 처리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가 제공된다.
단열 완충재, 우레탄폼, 우레탄 마운트, 댐핑 시트, 하니컴 부재

Description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Shock-absorbing material and floor impact noise reduction structure of building}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단열 완충재에 중량충격원이 가해졌을 시 슬래브에 전달되는 에너지가 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200,300,400 : 단열 완충재 10,210 : 관통공
20 : 홈부 30 : 절단홈부
40 : 하부절단홈부 50 : 우레탄 마운트
110,310 : 발포홈 410 : 댐핑 시트
420 : 하니컴 부재 500 :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510 : 콘크리트 슬라브층 520 : 단열 완충재층
530 :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540 : 모르타르층
541 : 난방용 배관 600 : 단열재
본 발명은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중량충격음을 감쇄시키기 위해서 단열재에 홀이나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셀 구조를 가지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의 소음에 대한 문제는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다수의 가구가 벽이나 바닥 한장을 경계로 인접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경우, 최근 경제성을 중시한 건물의 고층화, 경량화가 도모되어 벽, 바닥의 차음성능이 오히려 저하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뜬 바닥 공법(Floating Floor system)은 습식에 의한 것과 건식에 의한 것으로 대별되며, 습식공법에 의한 뜬 바닥 구조는 완충재, 방수피복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뜬바닥층 및 바닥 마감재 등으로 구성된다.
층간소음 저감방안은 일반적으로 슬래브 바닥의 두께를 늘이거나 밀도를 높 여 중량화하는 방법, 강성을 높이는 재료나 구조로 하는 방법, 완충재를 사용한 뜬바닥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유연한 바닥마감재를 사용하는 방법, 하부 층의 천장 및 벽체를 차음구조로 하여 상부 층 슬래브로부터 전달되는 음을 추가적으로 차단하는 방법 등에 대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충격음은 충격력, 슬래브의 탄성 및 저항계수, 밀도 , 두께, 경계조건, 하부층의 크기, 흡음력 등에 따라 달라지며 차음성능에 대한 질량법칙 특성과 마찬가지로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저감효과가 적고 고주파수로 갈수록 저감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특성을 나타낸다.
뜬바닥 구조를 구성하는 것은 가장 일반적인 층간소음 저감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존의 뜬바닥 구조는 어린이가 띄어 다님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과 같은 충량충격음을 저감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물론 하부층의 벽체와 천장의 추가적인 차음시공에 의해서도 저감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나 저감효과 대비 비용의 과다, 내부사용 공간 축소 등은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최근에는 차선책으로 바닥 구조용 슬래브의 두께를 늘이거나 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중량충격음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추가비용 문제와 더불어 구조 및 공간적 제한이 있어 특히 고층인 아파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현실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종래 선행기술 한국특허공개 제2003-17026호(2003.03.03)는 지지 평판에 높이가 동일한 다수의 돌기를 형성(뜬 구조체)하여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면 시공시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충격음 저감 및 차음, 방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구성에 의하면, 중량충격음원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가 뜬 구조체에 의한 뜬바닥구조에 의해 감쇄없이 거의 대부분 슬래브에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이 비슷하지만 뜬 구조체에 의해 거동시켜야 할 질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슬래브의 거동 속도가 더욱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중량충격음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에 홀이나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직접 발포하여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에 의해 중량충격음이 발생시 우레탄 마운트가 수축하면서 중량충격음을 감쇄시키는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공과, 관통공을 중심으로 단열재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단열재의 구속력을 강화시키는 홈부와, 홈부를 연결하여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단홈부와, 단열재의 하부에 절단홈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하부절단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단열재에 있어서,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포홈 과, 발포홈을 중심으로 단열재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단열재의 구속력을 강화시키는 홈부와, 홈부를 연결하여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단홈부와, 단열재의 하부에 절단홈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하부절단홈부와, 발포홈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통공이 형성된 단열재와,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홈이 형성된 단열재와, 발포홈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과, 관통공이 형성된 단열재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는 단열 완충재가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 완충재층과, 단열 완충재층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과, 난방용 배관이 매설되도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마감 처리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단열 완충재에 중 량충격원이 가해졌을 시 슬래브에 전달되는 에너지가 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1)는 관통공(10), 홈부(20), 절단홈부(30), 하부절단홈부(40), 우레탄 마운트(50)를 포함한다.
관통공(10)은 단열재(6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통공(10)은 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20)는 상기 관통공(10)을 중심으로 단열재(600)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홈부(20)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경우 단열재(600)의 구속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단열재(600)의 슬립(slip)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부(20)는 다각형 등 여러 형상으로 할 수 있으나, 원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홈부(30)는 홈부(20)를 연결하며, 절단홈부(30)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경우 단열재(600)의 슬립을 홈부(20)와 더불어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홈부(30)는 폭이 좁은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홈부(30)가 형성됨으로써 단열재(600)를 별도의 도구 없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부절단홈부(40)는 상기 절단홈부(30)와 대응되도록 단열재(6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절단홈부(30)와 같이 단열재(60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절단홈부(40)는 폭이 좁고 긴 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마운트(50)는 상기 관통공(10)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연질의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마운트(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하부가 평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폼을 발포하여 우레탄 마운트(50)로 형성시켰을 때 공기 구멍의 셀 구조체가 형성된다. 이렇게 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에서 중량충격음이 발생되었을 경우 우레탄 마운트(50) 즉 셀 구조체가 수축하며, 셀 구조체 내부에서는 중량충격음원 에너지가 셀 구조체에 충돌해서 산란하거나 열 에너지로 변해 소진된다. 또한, 음의 시간적 축적이 흡음력의 큰 변수인데 셀 구조체에서 중량충격음원이 충돌하므로 통과하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중량충격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우레탄 마운트(50)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조밀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우레탄 마운트(50)는 점성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중량충격음원이 발생 되었을 시 단열 완충재(1)가 슬래브층(510)에 점착되어 전체 질량이 슬래브층(510)과 단열 완충재(1)와 단열 완충재(1)의 상판을 합한 질량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에 비하여 거동시켜야 할 질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슬래브층(510)의 거동 속도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중량충격음이 감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600)는 경질의 폴리우레탄재, MDF재, EPS판, 스티로폼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EPS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단열재(600)에 우레탄폼을 발포하여 우레탄 마운트(50)가 형성된 단열 완충재(1)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먼저 컨베이어 벨트 위에 받침대를 깔고 그 위에 단열재(600)를 뒤집어서 놓는다. 받침대를 놓는 이유는 우레탄폼 발포시 켄베이어 벨트에 우레탄폼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으로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켜 우레탄폼 발포 기계 앞에서 정지시킨다. 기계를 작동시켜 우레탄폼을 관통공(10)에 발포한다. 우레탄폼은 그 자체로 열이 있으므로 단열재(600) 접촉 부분에서 발열하면서 단열재(600)에 접착된다. 단열재(600)에 우레탄 마우트가 접착된 것을 확인 후 컨베이어 벨트에서 완성물을 이동시킴으로서 작업을 마무리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100)는 발포홈(110), 홈부(20), 절단홈부(30), 하부절단홈부(40), 우레탄 마운트(50)를 포함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100)는 제1실시예와 달리 관통공(10)을 발포홈(110)으로 대체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발포홈(110)은 단열재(600)의 하부에 형성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 제1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 없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해 지는 이점이 있다. 나머지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제3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200)는 단열재(600) 즉 EPS판에 관통공(210)을 형성한 후 여기에 상기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공정에 의하여 우레탄폼을 발포하여 형성된다. 나머지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300)는 상기 제3실시예에서와 달리 관통공(210)을 발포홈(310)으로 대체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400)는 제1실시예의 단열 완충재(1)의 상부에 부착되는 댐핑 시트(410)와, 상기 댐핑 시트(410)의 상부에 부착 되는 하니컴 부재(420)를 포함한다.
댐핑 시트(410)는 방수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그 자체로 점성이 높아 단열 완충재(1)에 부착된다. 상기 댐핑 시트(410)를 부착함으로써 충격음 성능이 향상되어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더할 수 있다.
하니컴 부재(420)는 PP(Polypropylene) 계열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니컴 부재(420)를 부착함으로써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니컴 부재(420)는 댐핑 시트(410) 위에 직접 부착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댐핑 시트(410)는 점착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도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2,3,4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100,200,300)에도 상기와 같이 댐핑 시트(410)와 하니컴 부재(420)를 부착하여 단열 완충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500)는 콘크리트 슬라브층(510), 단열 완충재층(520),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530), 모르타르층(540)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슬라브층(510)은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구획한다.
단열 완충재층(520)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1)를 사용한 층으로, 상기 단열 완충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6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공(10)과, 상기 관통공(10)을 중심으로 상기 단열재(600)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600)의 구속력을 강화시키는 홈부(20)와, 상기 홈부(20)를 연결하여 상기 단열재(60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단홈부(30)와, 상기 단열재(600)의 하부에 상기 절단홈부(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60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하부절단홈부(40)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10)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50)를 포함하는 단열 완충재(1)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510) 상부에 부착된 것을 말한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530)은 상기 단열 완충재층(520) 상부에 타설된다.
모르타르층(540)은 난방용 배관(541)이 매설되도록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530) 상부에 마감 처리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510), 단열 완충재층(520),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530), 모르타르층(540)을 벽면과 분리시키는 벽부 격리재가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500)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완충재(1)를 사용하였지만 전술한 제2,3,4실시예의 단열 완충재(100,200,300)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주에 따르면, 단열재에 홀이나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직접 발포하여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에 의해 중량충격음 발생시 우레탄 마운트가 수축하면서 중량충격음을 감쇄시키는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단열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구속력을 강화시키는 홈부와, 상기 홈부를 연결하여 상기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단홈부와, 상기 단열재의 하부에 상기 절단홈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하부절단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단열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
  2. 건축용 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포홈;
    상기 발포홈을 중심으로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구속력을 강화시키는 홈부;
    상기 홈부를 연결하여 상기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단홈부;
    상기 단열재의 하부에 상기 절단홈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하부절단홈부; 및
    상기 발포홈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
  3. 관통공이 형성된 단열재; 및
    상기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단열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
  4. 발포홈이 형성된 단열재; 및
    상기 발포홈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단열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마운트는 상기 단열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완충재의 상부에 부착되는 댐핑 시트와, 상기 댐핑 시트의 상부에 부착되는 하니컴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완충재.
  7.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
    관통공이 형성된 단열재와, 상기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단열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는 단열 완충재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 완충재층;
    상기 단열 완충재층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및
    난방용 배관이 매설되도록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마감 처리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8.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
    발포홈이 형성된 단열재와, 상기 발포홈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단열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는 단열 완충재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 완충재층;
    상기 단열 완충재층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및
    난방용 배관이 매설되도록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마감 처리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9.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
    단열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구속력을 강화시키는 홈부와, 상기 홈부를 연결하여 상기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단홈부와, 상기 단열재의 하부에 상기 절단홈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하부절단홈부와, 상기 관통공의 일측을 막고 타측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단열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는 단열 완충재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 완충재층;
    상기 단열 완충재층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및
    난방용 배관이 매설되도록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마감 처리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10.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
    단열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포홈과, 상기 발포홈을 중심으로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구속력을 강화시키는 홈부와, 상기 홈부를 연결하여 상기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절단홈부와, 상기 단열재의 하부에 상기 절단홈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하부절단홈부와, 상기 발포홈에 셀 구조를 갖도록 우레탄폼을 발포하여서 단열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우레탄 마운트를 포함하는 단열 완충재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부착되는 단열 완충재층;
    상기 단열 완충재층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및
    난방용 배관이 매설되도록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상부에 마감 처리되는 모르타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20060065372A 2006-07-12 2006-07-12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75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372A KR100756415B1 (ko) 2006-07-12 2006-07-12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372A KR100756415B1 (ko) 2006-07-12 2006-07-12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415B1 true KR100756415B1 (ko) 2007-09-10

Family

ID=3873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3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6415B1 (ko) 2006-07-12 2006-07-12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4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41B1 (ko) 2007-08-23 2008-12-0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층간 차음재 제조 방법
KR101008962B1 (ko) 2008-12-04 2011-0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경량성형재에 의한 비연속 중공슬래브, 및 비연속 중공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연속 경량성형재와 하프pc슬래브
KR101085316B1 (ko) 2011-01-27 2011-11-22 김종찬 철도역사 하부공간을 이용한 영화관의 진동저감장치
KR20220031828A (ko) 2020-09-04 2022-03-14 (주)유창이앤씨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CN119391168A (zh) * 2024-12-31 2025-02-07 都佰城新材料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生物基热塑性预制缓冲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820233B1 (ko) * 2024-01-25 2025-06-17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점지지 다층 층간차음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69Y1 (ko) * 2003-01-07 2003-03-28 이증환 바닥재
KR200357992Y1 (ko) * 2004-04-27 2004-08-02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건축물의 이중 슬래브 구조
KR200387009Y1 (ko) * 2005-03-16 2005-06-16 (주)재현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393594Y1 (ko) * 2005-05-20 2005-08-24 김학원 진동량 저감을 위한 바닥층 댐핑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69Y1 (ko) * 2003-01-07 2003-03-28 이증환 바닥재
KR200357992Y1 (ko) * 2004-04-27 2004-08-02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건축물의 이중 슬래브 구조
KR200387009Y1 (ko) * 2005-03-16 2005-06-16 (주)재현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393594Y1 (ko) * 2005-05-20 2005-08-24 김학원 진동량 저감을 위한 바닥층 댐핑부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41B1 (ko) 2007-08-23 2008-12-0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층간 차음재 제조 방법
KR101008962B1 (ko) 2008-12-04 2011-0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경량성형재에 의한 비연속 중공슬래브, 및 비연속 중공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연속 경량성형재와 하프pc슬래브
KR101085316B1 (ko) 2011-01-27 2011-11-22 김종찬 철도역사 하부공간을 이용한 영화관의 진동저감장치
KR20220031828A (ko) 2020-09-04 2022-03-14 (주)유창이앤씨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102820233B1 (ko) * 2024-01-25 2025-06-17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점지지 다층 층간차음재
CN119391168A (zh) * 2024-12-31 2025-02-07 都佰城新材料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生物基热塑性预制缓冲层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054557B1 (ko) 층간소음재
KR100756415B1 (ko)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1435993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0398073B1 (ko)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뜬바닥 시공방법
KR20060021933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KR100872141B1 (ko) 층간 차음재 제조 방법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0692315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466501Y1 (ko)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제진단열모듈판 및 이를이용한 습식 이중바닥구조
KR200433766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63410B1 (ko)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KR101757059B1 (ko) 복층건물의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0683839B1 (ko)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KR102557476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장치
KR20180015395A (ko) 바닥충격음이 차단되는 바닥구조시스템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453109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160017335A (ko) 층간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소된 층간소음재가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체
KR20140133217A (ko)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단위공간의 방음·방진·단열 구조
KR200473232Y1 (ko) 층간소음재
KR200455544Y1 (ko) 공동주택용 층간차음재
KR100825889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7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56415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9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9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9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