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863B1 - Surface light source unit and light guide using it - Google Patents
Surface light source unit and light guide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6863B1 KR100776863B1 KR1020067017371A KR20067017371A KR100776863B1 KR 100776863 B1 KR100776863 B1 KR 100776863B1 KR 1020067017371 A KR1020067017371 A KR 1020067017371A KR 20067017371 A KR20067017371 A KR 20067017371A KR 100776863 B1 KR100776863 B1 KR 1007768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region
- light source
- source device
- light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도광체 광출사면의 광입사 단면측 코너부 등의 휘도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시에도 표시 상의 품위 저하가 없는 에지 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로서, 일차 광원(1)과, 광입사 단면(31) 및 광출사면(33) 및 이면(34)을 갖는 판형상의 도광체(3)를 구비한 면광원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도광체광출사면(33)의 주연부를 덮고, 또한 유효 발광부(F)를 획정하는 프레임체(7)를 구비한다. 광확산성의 광출사면(33)에는, 일차 광원(1)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광입사 단면(31) 또는 거기에 인접하는 측단면에 근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 광확산성 영역에서 광확산성이 높은 고 광확산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고 광확산성 영역은 대부분이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에 위치하고 있다.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an edge light type that prevents a decrease in luminance of a light incident cross section side corner portion of a light guide light exit surface, and that does not deteriorate on display even when observed from an inclined direction, comprising: a primary light source 1, There is provided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having a plate-shaped light guide 3 having a light incident end face 31, a light exit face 33, and a back face 34. Here, the frame 7 which covers the periphery of the light guide light emitting surface 33 and defines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is provided. On the light diffusing light emitting surface 33, as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primary light source 1,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close to the light incident end surface 31 or the side cross section adjacent thereto, In the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that occupies most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a high light diffusing region having high light diffusing property is formed. Most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is located outsid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As shown in FIG.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지 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 및 이것에 이용되는 도광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휘도 얼룩의 확인성의 저감을 의도한 면광원 장치 및 이것에 이용되는 도광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는, 예컨대 휴대용 노트북 등의 모니터나 액정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일체형 액정 텔레비젼 등의 표시부로서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에, 또는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각종 기기의 인디케이터(indicator)로서 사용되는 비교적 소형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에, 또는 역이나 공공 시설 등에 있어서의 안내 표시판이나 간판으로서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에, 또는 고속 도로나 일반 도로에 있어서의 교통 표시 등의 표시 장치로서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에 바람직하다. BACKGROUND OF THE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용 노트북 등의 모니터로서, 또는 액정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일체형 액정 텔레비젼 등의 표시부로서, 또한 그 밖의 여러가지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 백라이트와 액정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백라이트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콤팩트화의 관점으로부터 에지 라이트 방식의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로서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도광체의 적어도 1개의 단면을 광입사 단면으로서 이용하고, 상기 광입사 단면에 따라 직관형 형광 램프 등의 선형상 또는 막대형상의 일차 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일차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도광체의 광입사 단면으로부터 도광체 내부에 도입하고, 상기 도광체의 2개의 주면중 한쪽인 광출사면에서 출사시키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widely used as a monitor of a portable notebook or the like, or as a display unit such as a liquid crystal television or a video integrated liquid crystal television, and other various field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sically consists of a backligh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s a backlight, the edge light system is used a lot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actnes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ventionally, as an edge light backlight, at least one cross section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light guide is used as a light incidence cross section, and a linear or rod-shaped primary light source such as a straight tube fluorescent lamp is disposed in accordance with the light incidence cross section. It is widely used to introduc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primary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from the light incidence end face of the light guide, and to emit it from the light output plane which is one of the two main surfaces of the light guide.
그런데, 최근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그 외형 크기에 관한 표시 화면 치수의 비율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하고, 표시 효율을 높이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도, 그 외형 크기에 관한 발광면 치수의 비율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하고, 즉 발광면의 주위에 프레임 형상에 존재하는 구조 부분("액연(額緣)"이라고 불리기도 함)의 치수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그 경우, 도광체의 광입사 단면에 따라 배치되는 선형상 또는 막대형상의 일차 광원의 치수의 저감이 필요하게 된다. 이 치수의 저감은, 한쪽에 있어서는 일차 광원의 폭의 저감, 즉 슬림화에 의해 달성되고, 다른쪽에 있어서는 일차 광원의 길이의 저감, 즉 대향하는 도광체 광입사 단면보다 짧게 함으로써 달성된다.By the way, in rec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he ratio of the display screen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size is made to be as large as possible, and to increase the display efficiency. Therefore, even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with respect to its external size is made as large as possible, that is, the structural portion ("liquid smoke") existing in the frame shape arou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is also called. It is desired to make the dimensions of the () as small as possible. In that cas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dimension of the linear or rod-shaped primary light source arranged along the light incident cross section of the light guide. Reduction of this dimension is achieved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primary light source, i.e., slimming, on one side, and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primary light source, i.e., shorter than the opposing light guide cross sect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차 광원의 길이의 저감을 실현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일차 광원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는 소켓이 부착되어 있고, 이 단부는 현실에는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부가 된다. 이것 때문에, 상기 치수 저감의 결과적으로 비발광부가 광입사 단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되고, 이 비발광부에 대응하는 도광체의 코너부의 광출사면에서 출사하는 광량이 적어지고, 이 부분의 휘도가 저하해서 휘도 얼룩이 발생한다. Nevertheless, when attempting to realize the reduction of the length of the primary light source, the following new problems arise. That is, a socket is attach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primary light source, and this end is a non-light emitting part which does not emit light in reality. For this reason, as a result of the said dimension reduction, a non-light emitting part exists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a light incidence end surface, and the amount of light which exits from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corner part of the light guide body corresponding to this non-light emitting part becomes small, Luminance decreases, resulting in luminance unevenness.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 169033 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도광판의 출광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아지는 영역, 예를 들면 입광측 양쪽 코너부나 측연부에 미소한 각(角)형상 시보를 포개서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 258057 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도광체의 광출사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아지는 각(角)부 근방의 평균 경사각을 다른 부분의 평균 경사각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69033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region in which the luminance is relatively low on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for example, both corners of the light incident side. It is disclosed to superimpose and install a minute square signal on the side edge.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258057 (Patent Document 2) describes an average inclination angle near each corner where the luminance is relatively low on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and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of the other portion. It is disclosed to make larger.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 169033 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69033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 258057 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58057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어느것이나 출광면 또는 광출사면에 있어서 휘도저하가 생기는 영역에 각형상 시보를 형성하거나 평균 경사각을 크게 하거나 하고 있다. 이러한 수법에 의해 도광체 광출사면의 광입사 단면측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휘도저하를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광출사면 법선 방향에 대하여 기운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이 각형상 시보를 형성하거나 평균 경사각을 크게 하거나 한 영역이 눈에 띄어 빛나게 보이고,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표시 화상의 품위 저하를 가져오는 일이 있는 것을 알았다. In both
여기에서, 본 발명은 외형 크기에 관한 발광면 치수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 액연 치수를 저감하는 것에 따라 생기는 도광체 광출사면의 광입사 단면측 코너부 등의 휘도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의 때에도 표시 화상의 품위 저하가 없는 에지 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어 그 특징적인 기능의 실현에 기여하는 면광원 장치용 도광체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이라고 한다. Here, in order to increase the ratio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siz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 decrease in the luminance of light guide end face side corners and the like of the light guide light exit surface caused by reducing the liquid lead dimens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g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ithout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image even when observing from the inclined direction when used as a backlight.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guide for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hich is used in such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its characteristic function.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일차 광원과, 상기 일차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도광하고, 또한 상기 일차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이 입사하는 광입사 단면 및 도광되는 광이 출사하는 광출사면 및 상기 광출사면의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도광체를 구비한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It has a primary light source, the light incident surface which guides the ligh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from the said primary light source, and also the light incident cross section into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said primary light source enters, the light exit surface which the guided light exits, and the back surface opposite to the said light exit surface.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provided with a light guide,
상기 도광체의 상기 광출사면의 주연부를 덮고, 또한 상기 면광원 장치의 유효 발광부를 획정하는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도광체의 상기 광출사면 및 이면중 적어도 한쪽은 광확산성을 구비하며, 상기 광출사면 및 이면중 상기 광확산성을 갖는 것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일차 광원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며 상기 광입사 단면 또는 거기에 인접하는 측단면에 근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유효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 광확산성 영역에서 광확산성이 높은 고 광확산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은 대부분이 상기 유효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외 및/또는 상기 일차 광원 의 비발광부에 대응하는 저휘도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가 제공된다. And a frame body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guide and defining an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has light diffusing property.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having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is a region other tha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primary light source, and a region adjacent to the light incident cross section or a side cross section adjacent thereto.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diffusing region having a high light diffusivity is formed in a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which occupies most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is mostly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provided, where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located outsid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and / or within the low luminanc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primary light source. .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과 상기 일반 광확산성 영역과의 사이에는 이것들의 영역의 중간의 광확산성을 가지는 중간 광확산성 영역이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광체의 상기 광입사 단면의 측의 적어도 1개의 코너부 또는 그 근방에 대응해서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광확산성은 상기 광출사면 및 이면중 적어도 한쪽의 조면(粗面 : 거친면)화에 의해 부여되어 있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light diffusive region having a light diffusivity in the middle of these regions is located between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and the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is locate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corner portion or the vicinity of the side of the light incident cross section of the light guide.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diffusivity is imparted by roughening at least one of the light exi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면광원 장치는, 상기 도광체의 광출사면 위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광출사면에서 출사하는 광이 입광하는 입광면 및 그 반대측의 출광면을 갖는 광편향 소자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광편향 소자는 상기 입광면에 상기 도광체의 광입사 단면에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된 복수의 프리즘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리즘열의 각각은 상기 도광체의 광출사면에서의 광이 입사하는 제 1 프리즘면과 입사한 광이 내면 반사되는 제 2 프리즘면을 갖는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disposed on a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light deflection element on which the light exiting from the light exit surface is incident and a light exit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It is equipped with more.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deflecting element has a plurality of prism rows extending along the light incidence cross section of the light guide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prism rows It has a 1st prism surface into which light in the light exit surface of a light guide body enters, and a 2nd prism surface in which incident light is reflected internally.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일차 광원은 선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상기 도광체의 광입사 단면에 대향해서 위치하는 비발광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차 광원의 비발광부에 대응해서 위치하고 있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light source has a linear shape and has a non-light emitting portion located at least on one end thereof facing the light incident cross section of the light guide.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non-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primary light source.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경사각의 평균값이 8도 이상 25도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경사각의 도수 분포에 있어서, 경사각 10도 이상의 성분이 3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a(중심선 평균 거칠기)가 0.35㎛ 이상 0.6㎛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z(십점 평균 거칠기)가 3.5㎛ 이상 12㎛ 이하이다.In 1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said high light-diffusion area | region is the average value of the inclination-angle measured by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of 8 degree | times or more and 25 degrees or less.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light-diffusion region has 30% or more of component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10 degrees or more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measured by a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light diffusivity region has a Ra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of 0.35 µm or more and 0.6 µm or less as measured by an ultra-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n 1 aspect of this invention, Rz (ten point average roughness) measured with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of the said high light-diffusion area | region is 3.5 micrometers or more and 12 micrometers or les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광확산성 영역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경사각의 평균값이 4도 이상 12도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광확산성 영역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경사각의 도수 분포에 있어서, 경사각 10도 이상의 성분이 5% 이상 4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광확산성 영역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a가 0.18㎛ 이상 0.43㎛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광확산성 영역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z가 1.6㎛ 이상 4.0㎛ 이하이다. In 1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said average light-diffusion area | region is the average value of the inclination-angle measured by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of 4 degrees or more and 12 degrees or less. In 1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said intermediate light-diffusion area | region is 5%-40% of components of the inclination-angle 10 degree or more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measured with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ve region has a Ra of 0.18 µm or more and 0.43 µm or less as measured by an ultra-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ve region has a Rz of 1.6 µm or more and 4.0 µm or less as measured by an ultra-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에 의하면, 도광체의 광출사면 또는 이면에, 일차 광원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광입사 단면 또는 거기에 인접하는 측단면에 근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유효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 광확산성 영역에서 광확산성이 높은 고 광확산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 광확산성 영역은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상기 유효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외 및/또는 상기 일차 광원의 비발광부에 대응하는 저휘도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액연 치수를 저감하는 것에 따라 도광체 광출사면의 광입사 단면측 코너부 등에 대향해서 일차 광원의 비발광부가 위치했다고 하여도, 거기에 근접하는 유효 발광부에서의 휘도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표시 화상의 관찰의 때의 화상 품위의 저하가 없는 에지 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xi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is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primary light source, and is located in the light incident end surface or in a region adjacent to the side cross section adjacent thereto.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diffusing region having a high light diffusing property is formed in the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which occupies most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and most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is preferably all of the above. Since it is located outsid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and / or in the low luminanc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primary light source, the primary light is opposed to the light incident end surface side corner portion of the light guide surface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liquid smoke dimension. Even when the non-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source is located, the decrease in luminance at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close thereto is prevented, and as a backlight of the display device.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the edge light system which does not deteriorate the image quality at the time of observation of the display image from the inclination direction at the time of using, and the light guide body used for it ar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 일부 절결 부분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ypical partial notch partial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by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면광원 장치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FIG. 1.
도 3은 광편향 소자에 의한 광편향의 모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light deflection by the light deflection element.
도 4는 도 1의 면광원 장치와 투과형 액정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모식적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he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f FIG. 1.
도 5는 일차 광원과 도광체 광출사면의 각 광확산성 영역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light source and each light diffusing region of the light guide surface.
도 6은 도광체 코너부의 저휘도 영역의 설명도이다. 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low luminance region of a light guide corner portion;
도 7은 도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odification of a light guide.
도 8은 도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modification of the light guide.
도 9는 도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modification of the light guide.
도 10은 도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odification of a light guide.
도 11은 도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odification of a light guide.
도 12는 도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odification of a light guide.
도 13은 도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odification of a light guide.
도 14는 도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odification of a light guide.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 일차 광원 1a : 발광관1: primary
1b : 소켓 2 : 광원 리플렉터1b: socket 2: light source reflector
3 : 도광체 4 : 광편향 소자3: light guide 4: light deflecting element
5 : 광반사 소자 7 : 프레임체5
8 : 액정 표시 소자 31 : 광입사 단면8: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1: light incident cross section
32 : 측단면 33 : 광출사면32: side cross-section 33: light exit surface
34 : 이면 41 : 입광면34: back side 41: light incident surface
42 : 출광면 81 : 화상 형성부42: light exit surface 81: image forming portion
82 : 프레임부 A : 일반 광확산성 영역82: frame portion A: general light diffusion region
B : 고 광학산성 영역 C : 중간 광확산성 영역B: high optically diffused region C: intermediate light diffused region
D : 저휘도 영역 F : 유효 발광부D: low luminance region F: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 유효 발광부외 영역 G : 표시부F ': area outside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art G: display p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 일부 절결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면광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측단면을 광입사 단면(31)으로 하고, 이것과 대략 직교하는 하나의 표면을 광출사면(33)으로 하는 도광체(3)와, 이 도광체(3)의 광입사 단면(31)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광원 리플렉터(2)로 덮여진 선형상의 일차 광원(1)과, 도광체(3)의 광출사면 위에 배치된 광편향 소자(4)와, 도광체(3)의 광출사면(33)과는 반대측의 이면(34)에 대향해서 배치된 광반사 소자(5)와, 광편향 소자(4)의 주연부를 덮음으로써 도광체(3)의 광출사면의 주연부를 덮어서 면광원 장치의 유효 발광부(F)를 획정하는 프레임체(7)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체(7)는 면광원 장치의 케이싱을 구성하고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ypical partial notch partial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by this invention, and FIG. 2 is a partially notch top view.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광체(3)는 XY면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체로서 직사각형 판형상을 하고 있다. 도광체(3)는 4개의 단면을 구비하며, 그 중에 YZ면과 평행한 한쌍의 측단면중 적어도 하나의 측단면을 광입사 단면(31)이라고 한다. 광입사 단면(31)은 일차 광원(1)과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일차 광원(1)으로부터 발생한 광은 광입사 단면(31)으로부터 도광체(3)내에 입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컨대 광입사 단면(31)과는 반대측의 측단면(32) 등의 다른 측단면에도 광원을 대향 배치해도 좋다. The
도광체(3)의 광입사 단면(31)에 대략 직교한 2개의 주면은, 각각 XY면과 대략 평행으로 위치되어 있고, 어느 한쪽의 면(도면에서는 상면)이 광출사면(33)이 된다. 이 광출사면(33) 또는 그 이면(34)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조면으로 이루어지는 지향성 광출사 기구를 부여함으로써, 광입사 단면(31)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도광체(3)중을 도광시키면서 광출사면(33)으로부터 광입사 단면(31) 및 광출사면(33)에 직교하는 면(XZ면)내에 있어서 지향성이 있는 광을 출사시킨다. 이 XZ면내 분포에 있어서의 출사광 광도 분포의 피크의 방향(피크 광)이 광출사면(33)과 이루는 각도를 α라고 한다. 유효 발광부(F)의 대부분에 있어서는, 각도(α)는 예를 들면 10도 내지 40도이며, 출사광 광도 분포의 반값 전폭은 예를 들면 10 내지 40도이다. 도광체(3)의 광출사면(33) 또는 이면(34)에 형성하는 조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two main surfaces that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light
또한, 지향성 광출사 기구가 부여되지 않고 있는 것 외의 주면에는, 도광체(3)로부터의 출사광의 일차 광원(1)과 평행한 면(YZ면)에서의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광입사 단면(31)에 대하여 대략 수직의 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렌즈열을 배열한 렌즈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출사면(33)에 조면을 형성하고, 이면(34)에 광입사 단면(31)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렌즈열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렌즈열 형성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형태와는 반대로, 광출사면(33)에 렌즈열 형성면을 형성하고, 이면(34)을 조면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directivity in the surface (YZ surface) parallel to the primary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3)의 이면(34) 또는 광출사면(33)에 렌즈열 형성면을 형성할 경우, 그 렌즈열로서는 대략 X방향으로 연장된 프리즘열, 렌티큘러 렌즈열, V자형상 홈 등을 들 수 있지만, YZ 단면의 형상이 대략 삼각형상의 프리즘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lens row forming surface is formed on the
본 발명에 있어서, 도광체(3)의 이면(34)에 렌즈열 형성면으로서 프리즘열 형성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그 꼭지각을 85도 내지 110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꼭지각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도광체(3)로부터의 출사광을 적당하게 집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면광원 장치로서의 휘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위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도 내지 100도의 범위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sm row forming surface is formed on the
본 발명의 도광체에 있어서는, 소망의 프리즘열 형상을 정확하게 제작하고, 안정한 광학 성능을 얻는 동시에, 조립 작업시나 광원 장치로서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프리즘 정상부의 마모나 변형을 억제할 목적으로, 프리즘열의 정상부에 평탄부 또는 곡면부를 형성해도 좋다. In the light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ortion of the prism row is aimed at accurately producing a desired prism row shape, obtaining stable optical performance, and suppressing abrasion and deformation of the prism top at the time of assembly work or use as a light source device. You may form a flat part or a curved part i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광출사면(33) 또는 그 이면(34)에 형성되는 광출사 기구와 병용하고, 도광체 내부에 광확산성 미립자를 혼입 분산함에 의하는 지향성 광출사 기구를 부가해도 좋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uses together with the light output mechanism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광입사 단면(31)은 XY면내 및/또는 XZ면내에서의 광의 넓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조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면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플라이스 공구 등으로 절삭하는 방법, 숫돌, 샌드페이퍼(sandpaper), 버프 등으로 연마하는 방법, 블라스트 가공, 방전 가공, 전해 연마, 화학 연마 등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블라스트 가공에 사용되는 블라스트 입자로서는, 유리 비즈와 같은 구형의 것, 알루미나 비즈와 같은 다각형상의 것을 들 수 있지만, 다각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쪽이 광을 넓히는 효과가 큰 조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절삭 가공이나 연마 가공의 가공 방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방성의 조면을 형성 할 수 있다. XY 면내에서의 광의 넓이의 조절을 위해서는 Z방향의 가공 방향을 채용해서 Z방향의 근상(筋狀)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XZ 면내에서의 광의 넓이의 조절을 위해서는 Y방향의 가공 방향을 채용해서 Y방향의 근상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조면 가공은 도광체의 광입사 단면에 직접 실시할 수도 있지만, 금형의 광입사 단면에 상당하는 부분을 가공하고, 이것을 성형시에 전사할 수도 있다. The light
광입사 단면(31)의 조면화의 정도는, 도광체 두께 방향에서, 평균 경사각(θa)이 1도 내지 5도,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05 내지 0.5㎛, 십점 평균 거칠기(Rz)가 0.5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입사 단면(31)의 조면화의 정도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광출사면에서 명대 또는 암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휘선·암선을 바림해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균 경사각(θa)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2도 내지 4.5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도 내지 3도의 범위이다.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3㎛,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5㎛의 범위이다. 십점 평균 거칠기(Rz)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범위이다. 또한, 광입사 단면(31)의 조면화의 정도는, 길이 방향에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평균 경사각(θa)이 1도 내지 3도,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02 내지 0.1㎛, 십점 평균 거칠기(Rz)가 0.3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경사각(θa)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7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도의 범위이다.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8㎛,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07㎛의 범위이다. 십점 평균 거칠기(Rz)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7㎛,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의 범위이다. As for the degree of roughening of the light
도광체(3)로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입사 단면쪽이 두꺼운 쐐기 형상 등의 가지가지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광편향 소자(4)는 도광체(3)의 광출사면(33)상에 배치되어 있다. 광편향 소자(4)의 2개의 주면(41, 42)은 전체로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각 전체로서 XY면과 평행으로 위치한다. 주면(41, 42)중 한쪽(도광체(3)의 광출사면(33)측에 위치하는 주면)은 입광면(41)이라고 하고, 다른쪽은 출광면(42)이라고 한다. 출광면(42)은 도광체(3)의 광출사면(33)과 평행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입광면(41)은 다수의 Y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열이 서로 평행으로 배열된 프리즘열 형성면으로 되어 있다. 프리즘열 형성면은 인접하는 프리즘열의 사이에 비교적 폭이 좁은 바닥부 평탄부(예컨대, 프리즘열의 X방향 치수와 동일한 정도 또는 그것보다 작은 폭의 평탄부)를 설치해도 좋지만,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점으로부터는 바닥부 평탄부를 설치하는 일이 없이 프리즘열을 X방향에 연속해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3에 광편향 소자(4)에 의한 광편향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 3은 XZ면내에서의 도광체(3)로부터의 피크 광(출사광 분포의 피크에 대응하는 광)의 진행 방향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광체(3)의 광출사면(33)으로부터 각도(α)에서 비스듬히 출사되는 피크 광은 프리즘열의 제 1 프리즘면으로 입사하고 제 2 프리즘면에 의해 내면 전반사되어서 거의 출광면(42)의 법선의 방향으로 출사한다. 또한, YZ면내에서는, 상기와 같은 도광체 이면(34)의 프리즘열의 작용에 의해 광범위한 영역에 있어서 출광면(42)의 법선의 방향의 휘도의 충분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3, the shape of the optical deflection by the
광편향 소자(4)의 프리즘열의 프리즘면의 형상은 단일 평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면 볼록 다각형상 또는 볼록 곡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고휘도화, 협시야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prism face of the prism array of the
광편향 소자(4)에 있어서는, 소망의 프리즘 형상을 정확하게 제작하고, 안정한 광학 성능을 얻는 동시에, 조립 작업시나 광원 장치로서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프리즘 정상부의 마모나 변형을 억제할 목적으로, 프리즘열의 정상부에 정상부 평탄부 또는 정상부 곡면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정상부 평탄부 또는 정상부 곡면부의 폭은 3㎛ 이하로 하는 것이, 면광원 장치로서의 휘도의 저하나 스틱킹 현상에 의한 휘도의 불균일 패턴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상부 평탄부 또는 정상부 곡면부의 폭은 2㎛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In the
일차 광원(1)은 Y방향으로 연재하는 선형상의 광원이며, 상기 일차 광원(1)으로서는 예를 들면 형광 램프나 냉음극관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차 광원(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3)의 한쪽의 측단면에 대향해서 설치할 경우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반대측의 측단면에도 또한 설치할 수도 있다. The primary
광원 리플렉터(2)는 일차 광원(1)의 광을 로스(LA)를 적게 도광체(3)에 유도하는 것이다. 그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에 금속 증착 반사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리플렉터(2)는 광편향 소자(4)를 피해서, 광반사 소자(5)의 단연부 외면으로부터 일차 광원(1)의 외면을 거쳐서 도광체(3)의 광출사면 단연부로 둘러 감아져 있다. 다른쪽 광원 리플렉터(2)는 광반사 소자(5)의 단연부 외면에서 일차 광원(1)의 외면을 거쳐서 광편향 소자(4)의 출광면 단연부에 둘러 감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광원 리플렉터(2)와 동일한 반사 부재를 도광체(3)의 광입사 단면(31) 이외의 측단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광반사 소자(5)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에 금속 증착 반사층을 갖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반사 소자(5)로서 반사 시트 대신에, 도광체(3)의 이면(34)에 금속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된 광반사층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the
본 발명의 도광체(3) 및 광편향 소자(4)는 광투과율이 높은 합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 수지로서는 메타크릴 수지(methacrylic resin),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에스터(polyester)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가 예시될 수 있다. 특히, 메타크릴 수지가 광투과율의 높이, 내열성, 역학적 특성,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최적이다. 이러한 메타크릴 수지로서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메틸이 8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체(3), 광편향 소자(4) 및 광확산 소자(6)의 조면 또는 헤어 라인 등의 표면 구조나 프리즘열 또는 렌티큘러 렌즈열 등의 표면 구조를 형성하는 것에 경우에는, 투명 합성 수지판을 소망의 표면 구조를 갖는 형 부재를 이용하여 열 프레스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스크린 인쇄,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과 동시에 형상 부여해도 좋다. 또한, 열 또는 광경화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구조면을 형성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필름 또는 시트 등의 투명 기재의 표면에, 활성 에너지 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면 구조 또는 렌즈열 배열 구조를 형성해도 좋고, 이러한 시트를 접착,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별개의 투명 기재위에 접합 일체화시켜도 좋다. 활성 에너지 선경화형 수지로서는, 다관능(메타)아크릴 화합물, 비닐 화합물, (메타)아크릴산(acrylic acid) 에스테르류, 아릴 화합물, (메타)아크릴산의 금속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은 일차 광원(1), 광원 리플렉터(2), 도광체(3), 광편향 소자(4), 광반사 소자(5) 및 프레임체(7)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면광원 장치의 발광면(광편향 소자(5)의 출광면(42))위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과형의 액정 표시 소자(8)를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를 백라이트로 구성한 액정 표시 장치가 구성된다. 액정 표시 소자(8)는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형성부(81)와 그 외주에 부착된 프레임부(82)를 갖는다. XY 면내에 있어서, 프레임부(82)의 내주연은 면광원 장치의 유효 발광부(F)의 외주연과 동등 또는 그것보다 내측의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프레임부(82)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부(G)가 획정된다. 즉, XY면내에 있어서, 표시부(G)는 유효 발광부(F)와 동일 또는 그 내측에 위치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도 4에 있어서의 윗쪽으로부터 관찰자에 의해 관찰된다. Light emission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primary
다음에, 도광체(3)의 광출사 기구를 구성하는 조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일차 광원(1)과 도광체 광출사면(33)의 각 광확산성 영역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광출사면(33)에 형성되는 조면은 전체로서 균일한 확산성을 가지는 것과 같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특정한 영역이 높은 광확산성을 가지는 것과 같이 형성된다. Next, the rough surface which comprises the light output mechanism of the
즉, 유효 발광부(F)의 대부분은 상기와 같은 광출사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일반 광확산성 영역(A)으로서 형성된다. 일반 광확산성 영역(A)의 조면은 광출사면(33)내에서의 휘도의 균제도(均齊度 : 가지런한 정도 : 균일도)를 도모하는 점으로부터,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예를 들면 일본의 기엔스사가 제조한 VK-8500[상품명])을 이용하여 계측한 경사각에 관련되는 특성이 아래와 같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을 이용하여 계측한 경사각의 평균값이 0.5도 이상 5.0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3.5도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경사각의 도수 분포에 있어서, 경사각 10도 이상의 성분이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a(중심선 평균 거칠기)가 0.05㎛ 이상 0.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 0.2㎛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z(십점 평균 거칠기)가 0.5㎛ 이상 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6㎛ 이하이다. That is, most of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is formed as a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A such that the above light output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Since the rough surface of the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A is designed to achieve a uniformity of luminance in the
이들의 경사각에 관련되는 특성에 대해서는,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도광체(3)의 표면의 거칠기에 근거해 특정할 수 있다. 측정 조건으로서는, 측정 모드 : 칼라 초심도, DISTANCE 5㎛, 피치 0.01㎛를 들 수 있다. 측정 범위내(예를 들면 149㎛×112㎛)의 Ra, Rz를 판독한다. 또한, 이 측정 범위에 대해서 예를 들면 무게 평균 ±12의 조건에서 단면 곡선을 추출하고, 각 측정점에 있어서의 경사 각도의 절대값을 구하고, 이것들을 평균함으로써, 경사각 평균값을 구할 수 있고, 더욱 이것들의 측정값으로부터 경사각의 도수 분포를 구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se inclination angles can be specified based on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the
그런데, 일차 광원(1)은 도 2 및 도 5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도광체 광입사 단면(31)에 대향해서 위치해 실제로 광이 출사하는 발광관(1a)과 그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부설되어 도광체 광입사 단면(31)에 대향해서 위치하는 소켓(1b)을 구비한다. 소켓(1b)은 도광체(3)의 광입사 단면의 측의 코너부에 대응해서 위치한다. 따라서, 도광체의 광출사면에는 광출사 기구를 균일하게 형성했다고 하면, 일차 광원의 소켓(1b)에 대응해서 출사광량이 비교적 적은(즉, 휘도가 비교적 낮은) 영역이 형성된다. 이 저휘도 영역의 대표적인 것은, 소켓(1b)에 대응하는 광입사 단면측의 코너부의 근방이며, 또한 이 코너부에 인접해 광입사 단면에 나란한 측단면의 근방이다. By the way, as shown in FIG.2 and FIG.5, the primary
도 6을 참조하여, 도광체 코너부의 저휘도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차 광원 발광관(1a)과 도광체(광출사 기구는 전면 균일한 것으로 한다)(3)의 광입사 단면(31)과의 사이에 예컨대 지름 1㎜의 핀홀을 형성한 차광판(100)을 배치하고, 도광체 광출사면상에 광편향 소자(도 6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하고, 일차 광원(1)을 점등한다. 이것을 광출사면측에서 관찰하면, 광입사 단면(31)의 법선에 대하여 거의 대칭으로 분포된 출사광이 보인다. 이 분포의 넓이의 각도(광입사 단면(31)의 법선에 관한 각도)를 φ라고 한다. 한편, 일차 광원(1)의 휘도 분포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발광관(1a)의 거의 전장에 걸쳐 발광관 중앙부와 동등한 휘도값(L)을 구할 수 있지만, 발광관(1a)의 소켓(1b)과의 접합부의 근방에서는 급격하게 휘도값이 저하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휘도값이 L/2 이상의 영역을 발광부라고 하고 그 이외의 영역을 비발광부라고 정의한다. 도 6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발광부와 비발광부와의 경계에 대응하는 도광체 광입사 단면 위치로부터 경사각(φ)에서 인출한 선을 경계선으로서 비발광부에 대응해서 저휘도 영역(D)이 형성된다. With reference to FIG. 6, the low luminance area | region of a light guide corner part is demonstrated. A
여기에서, 본 발명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일차 광원(1)의 비발광부에 대응하는 도광체 광출사면(33)의 위치에, 일반 광확산성 영역(A)보다도 광확산성이 높은 고 광확산성 영역(B)을 형성한다. 이 고 광확산성 영역(B)은, 도 6에 도시한 저휘도 영역(D)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지만, 엄밀하게 동일한 영역이 아니더라도 좋다. 고 광확산성 영역(B)은 그 대부분이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영역 외의 폭(w)의 영역(F')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대부분이란 면적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고 광확산성 영역(B)은 그 일부분이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영역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이 부분이 저휘도 영역(D)과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휘도 영역(D)은 도달하는 광의 양이 적기 때문에, 고 광확산성 영역(B)을 설치해도, 확인되기 어렵다. 단지, 고 광확산성 영역(B)은, 바람직하게는 그 전부가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영역 외의 영역(F')에 위치한다. 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t the position of the light guide
고 광확산성 영역(B)의 조면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을 이용하여 계측한 경사각의 평균값이 8도 이상 25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20도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경사각의 도수 분포에 있어서, 경사각 10도 이상의 성분이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며, 경사각 20도 이상의 성분이 2% 이상 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상 10%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a가 0.35㎛ 이상 0.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상 0.6㎛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z가 3.5㎛ 이상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 이하이다. As for the rough surface of the high light-diffusion area | region B, the average value of the inclination-angle measured using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s 8 degree | times or more and 25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 degree | times or more and 20 degrees or less. Moreover,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measured by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the component of the inclination angle of 10 degrees or more is 30%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40% or more, The component of the inclination angle 20 degrees or more is 2% or more and 18% or less, Furthermore, Preferably they are 6% or more and 10% or less. Moreover, Ra measured by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s 0.35 micrometer or more and 0.6 micrometer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0.4 micrometer or more and 0.6 micrometer or less. Moreover, Rz measured with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s 3.5 micrometers or more and 12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4.0 micrometers or more and 10 micrometers or les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의 광확산성과 일반 광확산성 영역(A)의 광확산성과의 중간의 광확산성을 가지는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은 도광체의 광입사 단면(31)에 나란한 측단면의 근방에 있어서 고 광확산성 영역(B)과 일반 광확산성 영역(A)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ntermediate light diffusive region C having a light diffusivity intermediate between the light diffusivity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nd the light diffusing characteristic of the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A is formed. have.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is located between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nd the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A in the vicinity of the sid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light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의 조면은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을 이용하여 계측한 경사각의 평균값이 4도 이상 12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 10도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경사각의 도수 분포에 있어서, 경사각 10도 이상의 성분이 5% 이상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30% 이하이며, 경사각 20도 이상의 성분이 2% 이상 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5%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a가 0.18㎛ 이상 0.4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4㎛ 이하이다. 또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서 계측한 Rz가 1.6㎛ 이상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3.8㎛ 이하이다.As for the rough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ight-diffusion region C, the average value of the inclination-angle measured using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s 4 degrees or more and 12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5 degrees or more and 10 degrees or less. Moreover,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measured by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the component of the inclination angle of 10 degrees or more is 5% or more and 40%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5% or more and 30% or less, and the component of the inclination angle 20 degrees or more is 2% 18% or more, More preferably, they are 2% or more and 15% or less. Moreover, Ra measured by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s 0.18 micrometers or more and 0.43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0.2 micrometers or more and 0.4 micrometers or less. Moreover, Rz measured with the super-depth shape measuring microscope is 1.6 micrometers or more and 4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2.0 micrometers or more and 3.8 micrometers or less.
이상과 같은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이 존재함으로써, 이들의 영역에서의 광확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것들의 영역 또는 그 근방이며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광출사면 부분의 영역에서의 출사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고 광확산성 영역(B)은 대부분이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영역외 또는 저휘도 영역(D)에 대응하는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의 때에도, 그 존재는 거의 눈에 띄지 않고, 표시 화상의 품위 저하가 없다. Since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as described above exist, the light diffusivity in these regions can be enhanced, and thus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is located in or near these region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emitted light in the region of the light exit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Since most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is located outsid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or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w luminance region D, the high light diffusive region B is from the inclination direction when used as a backlight of the display device. Even at the time of observation, the presence is hardly noticeable and there is no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image.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은, 광확산 효과가 고 광확산성 영역(B)만큼 크지는 않지만, 고 광확산성 영역(B)만큼 눈에 뜨이는 일이 없으므로,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지장은 없다.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은, 고 광확산성 영역(B)과 일반 광확산 영역(A)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고 광확산성 영역(B)의 존재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작용도 갖는다.Although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is not as large as the light diffusing region B, the light diffusing effect is not as noticeable as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Even if it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re is no problem.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is located between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nd the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A, and the effect of making the presence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inconspicuous. Have
이상과 같은 광확산성의 영역(A, B, C)의 형성의 때의 조면화의 방법으로서는, 숫돌, 샌드페이퍼, 버프 등에 의한 연마, 블라스트 가공, 방전 가공, 전해 연마, 화학 연마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블라스트 가공이 바람직하다. 블라스트 가공에 사용되는 블라스트 입자로서는 유리 비즈와 같은 구형의 것, 알루미나 비즈와 같은 다각형상의 것을 들 수 있고, 구형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비교적 광확산성이 낮은 일반확산성 영역(C)을 형성하고, 다각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비교적 광확산성이 높은 중간 광확산성 영역(C) 및 고 광확산성 영역(B)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조면화 가공은 도광체의 표면에 직접 실시할 수도 있지만, 금형의 전사면을 가공하고, 이것을 성형시에 전사할 수도 있다. As a method of roughening at the time of formation of the above-mentioned light-diffusion area | regions A, B, and C, grinding | polishing by a grindstone, sandpaper, buff, etc., blast processing,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lytic polishing, chemical polishing, etc. are mentioned. . Especially blasting is preferable. Examples of the blast particles used in the blasting process include spherical ones such as glass beads and polygonal ones such as alumina beads. By using spherical ones, a general diffusion region (C) having a relatively low light diffusivity is formed. By using a polygonal thing, the intermediate light-diffusion region C and the high light-diffusion region B which are comparatively high light diffusivity can be formed. Although this roughe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a light guide body, you may process the transfer surface of a metal mold | die, and may transfer this at the time of shaping | molding.
다음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광체의 변형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 등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고 있다. Next, the modification of the light guide i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se drawings,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part etc. which have the same function as the said FIG.
도 7의 예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으로서, 도광체 코너부에 위치하는 영역 부분(B1)과 상기 영역 부분(B1)의 근방이며 일차 광원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 부분(B2)을 설치하고 있다. 고 광확산성 영역 부분(B2)은 그 전부가 영역(F')내에 위치한다. 고 광확산성 영역 부분(B2)이 존재함으로써, 이 영역에서의 광확산성을 높일 수 있고, 여기에서 확산된 광의 일부가 상기 저휘도 영역(D)에 대응하는 영역 또는 그 근방이며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광출사면 부분의 영역에 진행하고, 여기에서의 출사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은 고 광확산성 영역(B), 특히 그 영역 부분(B2)과 일반 광확산성 영역(A)과의 사이의 전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특히 고 광확산성 영역(B)의 영역 부분(B2)의 존재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7, as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 region portion B1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light guide and a region portion B2 near the region portion B1 and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light source light emitting portion. Is installing.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portion B2 is located entirely in the region F '. By the presence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portion B2,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in this region can be increased, and a part of the light diffused here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 luminance region D or near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It proceeds to the area | region of the light emission surface part corresponding to (F), and can increase the output light quantity here. In this example,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is located at the entire boundary between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in particular, the region portion B2 and the general light diffusing region A. FIG. Thereby, especially, presence of the area | region part B2 of the high light-diffusion area | region B can be made inconspicuous.
도 8의 예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이 전부 영역(F')내에 위치한다.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의 형상이 도 7의 예와 상이하고,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의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영역내에서의 면적을 저감하고 있다. 저휘도 영역이 전부 영역(F')에 존재할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이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8, all the high light-diffusion areas B are located in area F '. The shape of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 of FIG. 7, and the area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of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is reduced. In the case where all of the low luminance regions exist in the region F ', such a configuration can be preferably used.
도 9의 예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으로서 일차 광원(1)의 소켓(1a)에 대응하는 도광체 코너부로부터 광입사 단면과 인접해서 연장되고 있는 측단면에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설치하고 있다.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은 고 광확산성 영역(B)과 일반 광확산성 영역(A)과의 사이의 전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특히 측단면에 도달하는 광을 확산시켜서, 그 근방이며 유효 발광부(F)에 대응하는 광출사면 부분의 영역에 진행시켜, 여기에서의 출사광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9,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extends along the side cross section extending from the light guide corn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도 10의 예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의 길이가 도 9의 예와 상이하지만, 본질적으로는 도 9의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10, although the lengths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IG. 9, essentially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example of FIG. 9 can be obtained.
도 11의 예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의 형상이 도 9의 예와 상이하지만, 본질적으로는 도 9의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11, although the shape of the high light-diffusion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diffusion region C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 of FIG. 9, the effect similar to the example of FIG. 9 can be acquired essentially.
도 12의 예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으로서 도 8의 예와 도 10의 예를 조합한 것과 같은 형태의 것을 사용하고 있고, 이것들의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12, the high light-diffusion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diffusion region C use the same form as the combination of the example of FIG. 8 and the example of FIG. 10, and the same as those of these examples. The working effect can be obtained.
도 13의 예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의 형상을 다각형상으로 해서, 고 광확산성 영역(B)이 전부 영역(F')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광을 확산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고 광확산성 영역(B)이 확인되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13, the shapes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are polygonal, so that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is entirely located in the region F '. have.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diffusing light, the high light diffusivity region B is difficult to be identified.
도 14의 예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으로서 도 5의 예와 도 9의 예와 도 11의 예를 조합한 것과 같은 형태의 것을 사용하고 있고, 이것들의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14, as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one having the same form as the example of FIG. 5, the example of FIG. 9, and the example of FIG. 11 is used.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se examples can be obtained.
이상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의 배치를 면광원 장치의 유효 발광부(F)와의 관계에서 규정했지만, 마찬가지로 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부(G)와의 관계에서 규정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즉, 면광원 장치를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실제로 확인되는 것은 표시부(G)이기 때문에,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의 배치를 표시부(G)와의 관계에서 규정하는 쪽이 합리적이다. 단지, XY면내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부(G)가 면광원 장치의 유효 발광부(F)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은 실제로는 아니므로, 고 광확산성 영역(B)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을 유효 발광부(F)와의 관계에서 소정 범위내로 되도록 설정해 두면, 액정 표시 장치로서는 과잉 품질로 되는 일이 있어도 표시 화상 품위가 저하하는 일은 없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arrangement of the high light diffusing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ng region C has been defined in relation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but the display por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similarly applied. It can also be prescribed in relation to (G). That is, whe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used as the backlight of the display device, since it is actually the display portion G, the arrangement of the high light diffusion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on region C is shown in the display portion G. It is reasonable to prescribe in relation to In the XY plane, however, the display portion G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not actually located outside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hus the high light diffusion region B and the intermediat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If the area C is set so as to fal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relation to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portion F, the display image quality does not deteriorate even i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have excessive quality.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6, 14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광체, 면광원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In the present Example, the light guide body,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hich were demonstrated in embodiment of FIGS. 1-6, 14,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ere produced.
경면 마무리를 행한 유효 면적 230㎜×290㎜, 두께 3㎜의 스테인리스판의 표면 전체에 대해서, 유리 비즈를 이용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실행했다. 이어서, 상기 스테인리스판의 표면의 하나의 긴변측의 양 단부에 근접하는 짧은변측 단부 근방의 구형 영역 이외의 부분을 덮도록 아크릴 수지제 차폐판을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20㎜ 떨어지게 배치하고, 알루미나 비즈에 의해 제 1 블라스트 처리를 실행했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판의 표면의 상기 하나의 긴변측의 양쪽 코너부 근방의 삼각형 영역 이외의 부분을 덮도록 아크릴 수지제 차폐판을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20㎜ 떨어지게 배치하고, 알루미나 비즈에 의해 제 2 블라스트 처리를 실행했다. 이에 의해,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일반 광확산성 영역(A), 고 광확산성 영역 B1(X방향 최대치수 5.0㎜, Y방향 최대 치수 4.0㎜ : 이들의 치수는 도광체(3)의 X방향 짧은변 및 Y방향 긴변을 포함해서 형성되는 영역의 치수임[이하, 동일]), B2(X방향 최대 치수 11.0㎜, Y방향 치수 0.5㎜)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 C1(X방향 최대 치수 7.5㎜, Y방향 치수 7.0㎜), C2(X방향 최대 치수 14㎜, Y방향 치수 3.5㎜)를 갖는 도광체 광출사면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었다. 또한, 제 1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고 광확산성 영역(B2)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2)에 대응하는 전사면 영역이 형성되고, 제 2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고 광확산성 영역(B1) 및 중간 광확산성 영역(C1)에 대응하는 전사면 영역이 형성되었다. 한편, 경면 마무리를 행한 유효 면적 230㎜×290㎜, 두께 3㎜의 다른 스테인리스판의 표면에, 도 1에 도시하는 것 같은 프리즘열 형성면으로 이루어지는 도광체 이면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면을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했다. 프리즘열 형성면의 프리즘열은 꼭지각 100°, 정상부 선단 곡률 반경 15㎛, 배열 피치 50㎛이었다. 또한, 프리즘열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스테인리스판의 긴변과 수직으로 되도록 했다. The blasting process was performed using the glass beads about the whol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plate of the effective area 230 mm x 290 mm and
상기 2개의 스테인리스판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짧은변 230㎜, 긴변 290㎜의 직사각형에서, 두께가 한쪽의 긴변으로부터 다른쪽의 긴변에 걸쳐서 2.2㎜로부터 0.7㎜까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쐐기형의 도광체(3)를 제조했다. 도광체중의 몇개의 위치에서 표면 형상을 측정했다. 측정을 행한 위치의 좌표를 취하는 방법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도광체(3)의 X방향 짧은변과 Y방향 긴변과의 1개의 교점을 좌표 원점이라고 했다. 도광체의 표면 형상 측정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mold made of the two stainless steel plates, the thickness was continuously changed from 2.2 mm to 0.7 mm over one long side and the other long side in a rectangle of short side 230 mm and long side 290 mm. The wedge-shaped
표 1Table 1
도광체(3)의 한쪽의 긴변에 대응하는 측단면(두께 2.2㎜의 측단면)에 대향하도록 하고, 긴변에 따라 양 단부에 길이 4㎜의 비발광부를 갖는 길이 290㎜의 냉음극관(1)을 광원 리플렉터(일본의 레코사제품 은반사 필름)(2)로 덮어 배치했다. 또한, 그 밖의 측단면에 광확산 반사 필름(일본의 도오레사제품 E60)을 부착하고, 프리즘열 형성면(이면)(34)에 대향하는 것과 같이 반사 시트(5)를 배치했다. 이 구성에서는, 도광체 광입사 단면(31)의 양 단부의 길이 4㎜의 영역이 냉음극관(1)의 비발광부와 대향하고 있고, 도광체 광출사면(33)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광도 분포(XZ면내)의 최대 피크는 광출사면 법선 방향에 대하여 70도, 반값 전폭은 22.5도이었다. A
한편, 굴절율 1.5064의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한쪽의 프리즘면이 곡률 반경 1000㎛의 볼록 곡면 형상에서 또한 다른쪽의 프리즘면이 평면 형상인 다수의 프리즘열을 피치 50㎛에서 병렬로 연설해서 구성되는 프리즘열 형성면(41)을, 두께 1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한 프리즘 시트(4)를 제작했다. 제조된 프리즘 시트(4)를 상기 도광체(3)의 광출사면(매트면)(33)측에 프리즘열 형성면이 향하고, 도광체의 광입사 단면(31)에 프리즘열의 능선이 평행이 되고, 도광체의 광입사 단면(31)의 쪽에 각 프리즘열의 평면 형상 프리즘면이 향하도록 해서 얹어 놓았다. On the other hand, using an acrylic ultraviolet curable resin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064, a plurality of prism rows whose one prism face is convex curved shape having a curvature radius of 1000 μm and the other prism face is planar shape are addressed in parallel at a pitch of 50 μm. The prism sheet |
이상의 구성을 프레임체(7)에 조립해서 면광원 장치를 제조했다. 도 5에 도시하는 영역(F')의 폭(w)은 1.5㎜이었다. The above structure was assembled to the
이상과 같이 해서 제조된 면광원 장치에 대해서, 일차 광원(1)을 점등시켜서 유효 발광부(F)를 육안에 의해 정면 및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바, 일차 광원측 양 코너부의 휘도 저하나 눈에 뜨여서 보이는 현상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With respect to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primary
또한, 프리즘 시트(4)위에 액정 표시 소자(8)를 배치하고,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했다. 도 4에 도시하는 표시부(G)의 외주연은 전체 주위에 있어서, 면광원 장치의 유효 발광부(F)의 바깥 둘레로부터 0.5㎜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Moreover, the liquid
이상과 같이 해서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면광원 장치를 점등시켜 액정 표시 소자를 구동해서 표시부(G)를 육안에 의해 정면 및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바, 일차 광원측 양 코너부의 휘도 저하나 눈에 뜨여서 보이는 현상 등은 확인되지 않고, 양호한 표시 화상 품위를 얻을 수 있었다. With respec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as turned on to drive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the display portion G was observed from the front and inclined directions by visual observation. No visible phenomenon or the like was observed, and good display image quality could be obtained.
Claims (1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04-00021606 | 2004-01-29 | ||
| JP2004021606A JP2005216666A (en) | 2004-01-29 | 2004-01-29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theref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16233A KR20060116233A (en) | 2006-11-14 |
| KR100776863B1 true KR100776863B1 (en) | 2007-11-16 |
Family
ID=348238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70173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6863B1 (en) | 2004-01-29 | 2005-01-26 | Surface light source unit and light guide using it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JP (1) | JP2005216666A (en) |
| KR (1) | KR100776863B1 (en) |
| CN (1) | CN100510514C (en) |
| TW (1) | TW200528864A (en) |
| WO (1) | WO2005073623A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329710A (en) * | 1996-06-12 | 1997-12-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llumination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JP2003075836A (en) | 2001-09-05 | 2003-03-12 |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 Back 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10123A (en) * | 2000-01-31 | 2001-08-03 | Mitsubishi Electric Corp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3965298B2 (en) * | 2000-12-27 | 2007-08-29 | 三菱化学株式会社 | LIGHT EMITTING STRUCTURE, LIGHT EMITTING METHOD, AND LIGHTING BODY |
| JP4424641B2 (en) * | 2001-02-27 | 2010-03-03 |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
2004
- 2004-01-29 JP JP2004021606A patent/JP2005216666A/en active Pending
-
2005
- 2005-01-26 WO PCT/JP2005/001001 patent/WO200507362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1-26 CN CNB2005800031780A patent/CN10051051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1-26 KR KR1020067017371A patent/KR1007768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1-27 TW TW94102427A patent/TW200528864A/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329710A (en) * | 1996-06-12 | 1997-12-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llumination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JP2003075836A (en) | 2001-09-05 | 2003-03-12 |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 Back 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16233A (en) | 2006-11-14 |
| WO2005073623A1 (en) | 2005-08-11 |
| CN100510514C (en) | 2009-07-08 |
| CN1914459A (en) | 2007-02-14 |
| TW200528864A (en) | 2005-09-01 |
| JP2005216666A (en) | 2005-08-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736045B2 (en) | Area light source and lightguide used therefore | |
| KR100967755B1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therefor | |
| US6502947B2 (en) |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
| KR100799807B1 (en) | Light source device | |
| WO2011043466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KR101107828B1 (en) | Optical deflector element and light source device | |
| KR100950613B1 (en) | Light guide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
| KR20110086632A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for it | |
| JP2008218418A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therefor | |
| JP2006108032A (en) | Light guide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
| KR100927513B1 (en) | Light guide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
| KR100776863B1 (en) | Surface light source unit and light guide using it | |
| JP4761422B2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therefor | |
| KR100737021B1 (en) | Light guide for area light source, its production method, and area light source | |
| JP5371125B2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therefor | |
| JP4778279B2 (en) | Optical mixing element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 |
| JP4807814B2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therefor | |
| JP4372665B2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therefor | |
| JP5495585B2 (en) | Light deflection element and light source device | |
| CN100406998C (en) | Light source device | |
| JP2010027564A (en) |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ing the same | |
| JP2010198902A (en) | Light guide body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
| JP2013161743A (en) | Planar light source device | |
| JP2002258059A (en) | Light guide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11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110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