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0586B1 -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586B1
KR100770586B1 KR1020070027630A KR20070027630A KR100770586B1 KR 100770586 B1 KR100770586 B1 KR 100770586B1 KR 1020070027630 A KR1020070027630 A KR 1020070027630A KR 20070027630 A KR20070027630 A KR 20070027630A KR 100770586 B1 KR100770586 B1 KR 10077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layer
electrode film
forming
ohmic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욱
박영호
유성욱
정해윤
Original Assignee
(주)에피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피플러스 filed Critical (주)에피플러스
Priority to KR102007002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투명 전극막, 상기 투명 전극막 상의 발광 구조체 및 상기 투명 전극막에 제공되며, 상기 발광 구조체와 상기 반사층을 연결하는 오믹 콘택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하부면은 상기 반사층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하부면과 상기 투명 전극막의 하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발광 다이오드, 투명 전극막, 오믹 콘택 패턴, 반사층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 1 기판 110: 반사층
120: 투명 전극막 130: 오믹 콘택 패턴
140: p형층 150: 활성층
160: n형층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는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소정 파장의 빛이 방출되는 현상인 전기발광효과(electroluminescence)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이다.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발광 반도체의 밴드 갭(band gap: Eg)에 의해 결정된다. 발광(light emission)은 발광 다이오드의 n형 반도체 및 p형 반도체 사이에 개재된 활성층에서 일어난다.
발광 다이오드의 중요한 지수는 외부 양자 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이다. 외부 양자 효율은 입력 전력에 대한 광출력으로 정의되며, 내부 효율과 광추출 효율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내부 효율은 발광 다이오드 물질의 품질과 층의 구조 및 성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효율이 높다고 하더라도, 상기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자가 모두 밖으로 나오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자들은 다양한 방출 각도를 가지므로, 생성된 광자 중 일부만이 발광에 이용되고 있어 광추출 효율이 낮다. 따라서, 원하는 방출 각도를 벗어나는 광자를 외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층이 필요하다. 상기 반사층과 p형 반도체 사이에 오믹 콘택(ohmic contact)을 형성하면서 높은 투과율을 가지는 추가적인 층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추가적인 층은 상기 반사층과의 접합력(adhesion)이 우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반사층과 접합력이 우수한 투명 전극막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전극막과 접촉 저항을 개선하는 오믹 콘택 패턴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투명 전극막, 상기 투명 전극막 상의 발광 구조체 및 상기 투명 전극막에 제공되며, 상기 발광 구조체와 상기 반사층을 연결하는 오믹 콘택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하부면은 상기 반사층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하부면과 상기 투명 전극막의 하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은 베릴륨과 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막은 인듐 주석 산화막(Indium Tin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금 또는 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투명 전극막, 상기 투명 전극막 상의 피형층, 활성층 및 엔형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피형층의 하부(lower portion)에 제공되는 오믹 콘택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하부면과 상기 피형층의 하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은 제 1 기판을 준비 하는 것,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오믹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것,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상부면을 가지는 투명 전극막을 형성하는 것 그리고 상기 오믹 콘택 패턴과 상기 투명 전극막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오믹 금속막을 형성하는 것, 상기 오믹 금속막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것 그리고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식각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막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덮는 예비 투명 전극막을 형성하는 것 그리고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 상의 상기 예비 투명 전극막을 리프트-오프하여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은 상기 반사층 상에 제 2 기판을 접합하는 것, 상기 제 1 기판을 제거하여 상기 발광 구조체를 노출하는 것 그리고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엔형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은 제 1 기판을 준비하는 것, 상기 제 1 기판 상에 엔형층, 활성층 및 피형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 상기 피형층의 상부(upper portion)에 오믹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것, 상기 피형층 및 상기 오믹 콘택 패턴 상에 투명 전극막을 형성하는 것 그리 고 상기 투명 전극막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상부면은 상기 피형층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피형층 상에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것,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덮는 오믹 금속막을 형성하는 것 그리고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 상의 상기 오믹 금속막을 리프트-오프하여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반사층(110)이 제공된다. 상기 기판(100)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100)은 인(P)이 도핑된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반사층(110)은 발광 다이오드의 파장대의 광자를 반사시키는 데 적합한 금속, 예를 들면 은(Ag) 또는 금(Au)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과 상기 반사층(110) 사이에 접합 메탈(bonding metal)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10) 상에 투명 전극막(120)이 제공된다. 상기 투명 전극막(120)은 높은 투과율(약 90%)를 가지는 인듐 주석 산화막(Indium Tin Oxide:ITO)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막(120) 상에 p형층(140)이 제공된다. 상기 p형층(140)은 레드(red) 발광 다이오드에 사용되는 G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막(120)에 상기 p형층(140)과 상기 반사층(110)을 연결하는 오믹 콘택 패턴(130)이 제공된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은 베릴륨(Be) 또는 금(A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은 상기 반사층(110)과 상기 p형층(140)이 직접 접촉하여 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은 상기 투명 전극막(120)의 일함수(work function)가 상기 p형층(140)의 일함수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의 하부면은 상기 반사층(110)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의 하부면은 상기 투명 전극막(120)의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반사층(110)과 상기 투명 전극막(120)의 접합력(adhesion)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p형층(140) 상에 활성층(150)이 제공된다. 상기 활성층(150)은 다중양자우물(multi-quantum well:MQW)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50) 상에 n형층(160)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발광 구조체는 p형층(140), 활성층(150) 및 n형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형층(160) 상에 n형 전극(170)이 제공된다. n형 전극(170)은 외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키는 투명 전극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반사층(210)이 제공된다. 상기 기판(200)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200)은 인(P)이 도핑된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반사층(210)은 발광 다이오드의 파장대의 광자를 반사시키는 데 적합한 금속, 예를 들면 은(Ag) 또는 금(Au)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200)과 상기 반사층(210) 사이에 접합 메탈(bonding metal)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210) 상에 투명 전극막(220)이 제공된다. 상기 투명 전극막(220)은 높은 투과율(약 90%)를 가지는 인듐 주석 산화막(Indium Tin Oxide:ITO)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막(220) 상에 p형층(240)이 제공된다. 상기 p형층(240)은 레드(red) 발광 다이오드에 사용되는 G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형층(240)의 하부(lower portion)에 상기 투명 전극막(220)과 접촉하는 오믹 콘택 패턴(230)이 제공된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230)은 베릴륨(Be) 또는 금(A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230)은 상기 반사층(210)과 상기 p형층(240)이 직접 연결되면 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오믹 콘택 패턴(230)은 상기 투명 전극막(220)의 일함수(work function)가 상기 p형층(240)의 일함수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230)의 하부면은 상기 p형층(240)의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반사층(210)과 상기 투명 전극막(220)의 접합력(adhesion) 및 상기 투명 전극막(220)과 p형층(240)의 접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p형층(240) 상에 활성층(250)이 제공된다. 상기 활성층(250)은 다중양자우물(multi-quantum well:MQW)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50) 상에 n형층(260)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발광 구조체는 p형층(240), 활성층(250) 및 n형층(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형층(260) 상에 n형 전극(270)이 제공된다. n형 전극(270)은 외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키는 투명 전극일 수 있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기판(180) 상에 n형층(160), 활성층(150) 및 p형층(140)이 차례로 성장된다. 상기 제 1 기판(180)은 GaA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50)은 다중양자우물(multi-quantum well:MQW)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형층(140)은 GaP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발광 구조체는 상기 n형층(160), 활성층(150) 및 p형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p형층(140) 상에 오믹 금속막(130a)이 형성된다. 상기 오믹 금속막(130a)은 베릴륨(Be) 또는 금(Au)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믹 금속막(130a)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135)이 형성된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35)은 아래에서 설명된 오믹 콘택 패턴(130)이 형성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35)을 마스크로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오믹 콘택 패턴(130)이 형성된다.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은 상기 p형층(140)과 금속층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35) 및 상기 p형층(140)을 덮는 예비 투명 전극막(120a)이 형성된다. 상기 예비 투명 전극막(120a)은 인듐 주석 산화막(Indium Tin Oxide:ITO)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투명 전극막(120a)은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퍼터링 방법은 측벽 커버리지를 감소시키도록 방향성이 강화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35)의 측벽이 노출되거나 상대적으로 얇은 상기 예비 투명 전극막(12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35)이 제거되어, 상기 p형층(140) 상에 투명 전극막(120)이 형성된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35)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35) 상의 상기 예비 투명 전극막(120a)을 리프트-오프(lift-off)하여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막(120)과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과 상기 투명 전극막(120) 상에 반사층(110)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층(110)은 은(Ag) 또는 금(Au)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막(120)과 상기 오믹 콘택 패턴(13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 면을 이루므로, 상기 투명 전극막(120)과 상기 반사층(110)의 접합력(adhesion)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10) 상에 제 2 기판(100)이 접합된다. 상기 제 2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80)이 제거되어 상기 발광 구조체가 노출된다. 상기 제 1 기판(180)은 예를 들면,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엔형 전극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기판(280) 상에 n형층(260), 활성층(250) 및 예비 p형층(240a)이 차례로 성장된다. 상기 제 1 기판(280)은 GaA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50)은 다중양자우물(multi-quantum well:MQW)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p형층(240a)은 Ga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예비 p형층(240a) 상에 오믹 콘택 패턴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235)이 형성된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235)을 마스크로 상기 예비 p형층(240a)에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p형층(240)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발광 구조체는 상기 n형층(260), 활성층(250) 및 p형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235) 및 상기 p형층(240) 상에 오믹 금속막(230a)이 형성된다. 상기 오믹 금속막(230a)은 베릴륨(Be) 또는 금(Au)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믹 금속막(230a)은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퍼터링 방법은 측벽 커버리지를 감소시키도록 방향성이 강화 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235)의 측벽이 노출되거나 상대적으로 얇은 상기 오믹 금속막(23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형층(240) 상의 오믹 금속막(230a)은 상기 p형층(24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235)을 제거하여 오믹 콘택 패턴(230)이 형성된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235)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235) 상의 상기 오믹 금속막(230a)을 리프트-오프(lift-off)하여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형층(240) 및 상기 오믹 콘택 패턴(230) 상에 투명 전극막(220)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 전극막(220)은 인듐 주석 산화막(Indium Tin Oxide:ITO)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전극막(220) 상에 반사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층(210)은 은(Ag) 또는 금(Au)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형층(240)의 상부면과 상기 오믹 콘택 패턴(230)의 상부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므로, 상기 투명 전극막(220)과 상기 반사층(210)의 접합력(adhesion)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210) 상에 제 2 기판(200)이 접합된다. 상기 제 2 기판(200)은 실리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280)이 제거되어 상기 발광 구조체가 노출된다. 상기 제 1 기판(280)은 예를 들면,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엔형 전극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전극막의 상부면과 오믹 콘택 패턴의 상부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투명 전극막과 반사층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형층의 상부면과 오믹 콘택 패턴의 상부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투명 전극막과 반사층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3)

  1.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투명 전극막;
    상기 투명 전극막 상의 발광 구조체; 및
    상기 투명 전극막에 제공되며, 상기 발광 구조체 및 상기 반사층에 직접 접촉하는 오믹 콘택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하부면은 상기 반사층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하부면과 상기 투명 전극막의 하부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발광 다이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은 베릴륨과 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막은 인듐 주석 산화막(Indium Tin Oxide)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금 또는 은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5.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투명 전극막;
    상기 투명 전극막 상의 피형층, 활성층 및 엔형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피형층의 하부(lower portion)에 제공되는 오믹 콘택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하부면과 상기 피형층의 하부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발광 다이오드.
  6. 제 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오믹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의 상부면을 가지는 투명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오믹 콘택 패턴과 상기 투명 전극막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오믹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믹 금속막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식각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덮는 예비 투명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 상의 상기 예비 투명 전극막을 리프트-오프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상에 제 2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을 제거하여 상기 발광 구조체를 노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광 구조체 상에 엔형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
  11. 제 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 상에 엔형층, 활성층 및 피형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피형층의 상부(upper portion)에 오믹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피형층 및 상기 오믹 콘택 패턴 상에 투명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투명 전극막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의 상부면은 상기 피형층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형층 상에 상기 오믹 콘택 패턴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덮는 오믹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 상의 상기 오믹 금속막을 리프트-오프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형성방법.
KR1020070027630A 2007-03-21 2007-03-21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7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630A KR100770586B1 (ko) 2007-03-21 2007-03-21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630A KR100770586B1 (ko) 2007-03-21 2007-03-21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586B1 true KR100770586B1 (ko) 2007-10-26

Family

ID=3881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6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0586B1 (ko) 2007-03-21 2007-03-21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5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536A (ko) * 2003-10-31 2005-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JP2005203788A (ja) 2004-01-16 2005-07-28 Shogen Koden Kofun Yugenkoshi オーム金属接触部を有する接着性有機発光装置
KR20050091579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18184A1 (en) 2005-07-20 2007-01-25 Goldeneye, Inc. Light emitting diodes with high light extraction and high reflecti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536A (ko) * 2003-10-31 2005-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JP2005203788A (ja) 2004-01-16 2005-07-28 Shogen Koden Kofun Yugenkoshi オーム金属接触部を有する接着性有機発光装置
KR20050091579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18184A1 (en) 2005-07-20 2007-01-25 Goldeneye, Inc. Light emitting diodes with high light extraction and high reflectiv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3109B2 (en) Light-emitting diode with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KR101552366B1 (ko) 개선된 led 구조
US8946744B2 (en) Light emitting diode
JP5949294B2 (ja) 半導体発光素子
US8461618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8365065A (zh) 发光元件
CN110797443A (zh) 发光元件
JP2009059969A (ja) 半導体発光素子、発光装置、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10556457B (zh) 发光二极管以及具有该发光二极管的发光元件
JP2007123517A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CN110120450B (zh) 发光元件
KR101246733B1 (ko) 분할된 전극구조를 갖는 발광다이오드
KR100832070B1 (ko)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소자
US9553239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N100481532C (zh) 发光二极管元件、覆晶式发光二极管封装结构与光反射结构
US8049241B2 (en) Light emitting devic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KR100770586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CN103489980A (zh) 一种发光元件及其制作方法
KR20120036572A (ko)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8633171A (zh) 微型led结构和微型显示面板
KR101305746B1 (ko) 반도체 발광소자
JP7227476B2 (ja)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56842B1 (ko) 광추출용 컬럼들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TWI804437B (zh) 發光元件
TWI781867B (zh) 發光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0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02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