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814B1 - Automotive integrated network system and gateway for same - Google Patents
Automotive integrated network system and gateway for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6814B1 KR100786814B1 KR1020060014956A KR20060014956A KR100786814B1 KR 100786814 B1 KR100786814 B1 KR 100786814B1 KR 1020060014956 A KR1020060014956 A KR 1020060014956A KR 20060014956 A KR20060014956 A KR 20060014956A KR 100786814 B1 KR100786814 B1 KR 1007868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ocol
- port
- frame
- gateway
- backb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2—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by ensuring the integrity of packets received through redundant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42—Separate storage for different parts of the packet, e.g. header and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MOST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CAN 프로토콜, LIN 프로토콜, Flexray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MOST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CAN 프로토콜, LIN 프로토콜, Flexray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상호변환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와,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간에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중화된 네트워크 회선을 제공하는 MOST 백본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대응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MOST 백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질적인 기기들을 통합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양한 장비들을 관리, 제어하고, 자동차 내부의 다양한 상태를 모니터링, 진단하여 네트워크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supporting a heterogeneous protocol and a gateway therefor. The automobile integrated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MOST protocol, a Bluetooth protocol, a CAN protocol, a LIN protocol, a Flexray protocol, or an Ethernet protocol. At least one of the devices, at least one gateway converting the MOST protocol, the Bluetooth protocol, the CAN protocol, the LIN protocol, the Flexray protocol, or the Ethernet protocol based on the MOST protocol, and the MOST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gateway. It includes a MOST backbone providing a redundant network circuit based on the at least o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ST backbone through a corresponding gatew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egrate heterogeneous device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and to manage and control various devices supporting heterogeneous protocols by using mobile terminals,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network by monitoring and diagnosing various conditions inside the vehicle. You can.
MOST,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Flexray, 이중화 MOST, Automotive Integrated Network, Flexray, Redundanc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상세 블록도,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gateway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토콜 변환부의 상세 블록도이다.FIG.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protocol converter illustrated in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종 프로토콜 기기 20: 게이트웨이10: heterogeneous protocol device 20: gateway
30: MOST 백본 200: MOST 이중 포트30: MOST backbone 200: MOST dual port
202: 트랜시버 204: MOST 통신부202: transceiver 204: MOST communication unit
210: 프레임 검출 및 경로설정부 220: 프로토콜 변환부210: frame detection and routing unit 220: protocol conversion unit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in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and a gateway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protocols.
최근 자동차관련 전자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전 자 제품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는 자동차 가격의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보 및 멀티미디어의 재생, 엔진 제어 및 배기 가스제어, 인공지능, 에어백의 안정성 제어를 위한 안전 시스템 등 자동차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요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자동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면서도 각 기능을 위한 별도의 전용 배선을 줄일 수 있는 네트워크 버스 구조가 꼭 필요하다.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버스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고대역폭의, 유연성이 높고, 결정적(deterministic) 동작을 제공하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요구하고 있다. Recently, the automotive electronics industry is booming. Software related to electronics installed inside cars is estimated to account for 40% of car prices. Various demands on vehicle system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such as information and multimedia reproduction, engine control and exhaust gas contro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afety systems for stability control of airbag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n efficient automotive system, a network bus structure is required to support these various functions and to reduce separate dedicated wiring for each function. Automotive manufacturers are demanding new protocols that provide high-bandwidth, flexible, and deterministic operation to provide this network bus structure.
최근 배선의 구조와 상위의 레벨의 시스템과의 통신 규약을 정의한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자동차의 기계 또는 전장 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CAN, LIN, Flexray, MOST 등이 그 대표적인 프로토콜들이다. CAN, LIN, Flexray는 자동차의 제어 혹은 각종 센서 정보를 취합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한편,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는 플라스틱 광섬유(POF)를 신호의 전달 매체로 사용하는 고속 통신용 프로토콜로서, 자동차 내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네트워크화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Recently, various protocols that define the structure of wiring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with higher-level systems have been applied to the mechanical or electrical parts of automobiles. CAN, LIN, Flexray, MOST, etc. are typical protocols. CAN, LIN, and Flexray are protocols used to control the vehicle or to collect various sensor information. Meanwhile, 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is a protocol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using plastic optical fiber (POF) as a signal transmission medium, and is a protocol for networking multimedia devices in an automobile.
보다 구체적으로 각 프로토콜들의 특성을 살펴본다. More specifically, w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tocol.
먼저, Flexray 프로토콜은 BMW, Bosch, DaimlerChrysler, Freescale, GM, Philps, Volkswagen 등의 기업들이 개발한 프로토콜로서, 자동차의 제어신호를 네트워크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토콜은 최대 10Mbps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며 결정적(deterministic) 동작을 제공하는 장점이 매우 크다. 또한, 구리선으로 된 이중 채널을 제공하며, 보장된 메시지 대기 시간을 제공하며, 확장 가능한 정적 및 동적 메시지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Flexray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은 비동기 전송만을 제공하는 CAN 프로토콜과 비교할 때 융통성이 있어서 동기 전송 또는 비동기 전송으로 각각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나아가, 이 프로토콜은 세계 시간 기준을 통한 클럭 동기화, 충돌 방지 액세스, 식별자를 통한 메시지 발신주소지정, 단일 또는 이중 채널을 이용한 시스템 고장 허용도의 조절 기능 등을 지원한다. First, the Flexray protocol was developed by companies such as BMW, Bosch, DaimlerChrysler, Freescale, GM, Philps, and Volkswagen. It is intended to network control signals of automobiles. This protocol provides communication speeds up to 10Mbps and offers significant advantages for deterministic operation. It also offers dual channels of copper wire, provides guaranteed message latency, and uses scalable static and dynamic message delivery. Systems based on the Flexray protocol are flexible compared to the CAN protocol, which provides only asynchronous transmission, and can be programmed for either synchronous or asynchronous transmiss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otocol supports clock synchronization through world time standards, collision-free access, addressing of originating messages through identifiers, and control of system fault tolerance using single or dual channels.
한편, MOST 프로토콜은 자동차 내에도 멀티미디어 정보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비록 짧은 거리이지만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안정된 전송이 요구됨에 따라 개발된 프로토콜이다. MOST는 플라스틱 광섬유(POF)를 전송매체로 사용하고 LED를 발광소자로, PD(Photo detector)를 수광소자로 이용한다. 최고 155Mbps까지 고속 전송이 가능하여, 배선을 경량화, 단순화하면서도 고속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음향이나 고화질의 영상장치간의 신뢰성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ST protocol is developed as a stable transmission of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although a short distance as the use of multimedia information in the car increases. MOST uses plastic optical fiber (POF) as transmission medium, LED as light emitting device, and PD (Photo detector) as light receiving device. High-speed transmission of up to 155Mbps is possible, and the wiring is light and simple, and high-speed large-capacity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support reliable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sound and high-definition video devices.
이러한 MOST 프로토콜을 기존의 CAN, Lin, Flexray 등의 제어용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면 자동차 전반의 배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패킷과 같은 비동기 신호뿐만 아니라, 실시간 동기 신호를 동일한 프레임에 실어 전송하고, 이들 프레임을 제어하는 제어코드를 전송함으로서 MOST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들간의 연결형태가 다양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용 신호들을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그 응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스타, 링, 버스 구조의 아키텍처를 지원할 수 있다. If the MOST protocol can be interfaced with existing control protocols such as CAN, Lin, and Flexray, the wiring efficiency of the entire vehicle will be maximized. That is, not only asynchronous signals such as packets, but also real-time synchronous signals are carried in the same frame, and a control code for controlling these frames can be transmitted to diversify the connection type between devices connected to the MOST network. This suggests that control signals can be integrated into a network to extend its application range. It can support star, ring, and bus architectures.
그러나, MOST 프로토콜은 링 구조의 네트워크 망을 지원하지만 이중화가 지원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광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온의 장치 부근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However, although the MOST protocol supports a ring network, redundancy is not supported. In addition, since the plastic optical fiber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near a high temperature device.
한편, 블루투스(bluetooth)는 좁은 공간에서 간단하게 무선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최근 불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헤드셋이나, 휴대폰, PDA 등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전송 속도 및 노드 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Bluetooth is a protocol that simply support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 a narrow space. Recently, wireless headsets, cellular phones, PDAs, etc., using the Bluetooth protocol have been relea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nsmission speed and the number of nodes are limited.
이와 같이, 자동차내의 각기 장점을 가지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토콜들은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고 운용될 뿐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제공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various protocols have been developed which have advantages in automobil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protocols operate independently and operate only and cannot be integrated into one system.
즉, 다양한 프로토콜간의 데이터의 변환을 통해서 이질적인 자동차 내부의 프로토콜을 연결하고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이들 이질적인 프로토콜들을 통합하여 운영하고 자동차 시스템을 진단할 수 있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이 요구된다.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capable of connecting heterogeneous vehicle protocols by converting data between various protocols, integrating and operating heterogeneous protocols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diagnosing a vehicle system.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종의 프로토콜들을 통합한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incorporating heterogeneous protocols providing various functio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종의 프로토콜을 통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teway that supports a network system by integrating heterogeneous protocols.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목적은,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MOST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CAN 프로토콜, LIN 프로토콜, Flexray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MOST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CAN 프로토콜, LIN 프로토콜, Flexray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상호변환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와,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간에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중화된 네트워크 회선을 제공하는 MOST 백본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대응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MOST 백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based on the MOST protocol, the Bluetooth protocol, the CAN protocol, the LIN protocol, the Flexray protocol or at least one of the devices that support the Ethernet protocol in the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based on the MOST protocol At least one gateway for interconverting between the MOST protocol, the Bluetooth protocol, the CAN protocol, the LIN protocol, the Flexray protocol, or the Ethernet protocol, and a MOST backbone providing a redundant network circuit based on the MOST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gateway; At least on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ST backbone via a corresponding gateway.
또한, 게이트웨이는 MOST 프로토콜 프레임을 MOST 백본에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MOST 프로토콜 프레임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MOST 통신부로 구성된 이중 포트(duplicated port)를 구비하며, 이중 포트는 MOST 백본에 각각 이중 네트워크 회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ateway has a duplicated port consisting of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OST protocol frame to the MOST backbone and a MOST communic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MOST protocol frame,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ST backbone by a dual network line It is preferabl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MOST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CAN 프로토콜, LIN 프로토콜, Flexray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연결된 제1 포트로부터 송수신하는 프레임을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MOST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CAN 프로토콜, LIN 프로토콜, Flexray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로 상호변환해주는 프로토콜 변환부와, 변환된 프레임의 경로를 설정해주는 경로설정부와, 변환된 프레임을 송수신하며,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중화된 네트워크 회선을 제공하는 MOST 백본과 연결되는 이중 포트(duplicated po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달성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t least one of devices supporting the MOST protocol, the Bluetooth protocol, the CAN protocol, the LIN protocol, the Flexray protocol, or the Ethernet protocol in the gateway constituting the integrated vehicle network system. A protocol conversion unit which converts a first port connected to the device and a frame transmitted / received from the connected first port to a MOST protocol, a Bluetooth protocol, a CAN protocol, a LIN protocol, a Flexray protocol, or an Ethernet protocol based on the MOST protocol; Path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ath of the converted frame, and a duplicated port (duplicated port) connected to the MOST backbon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he converted frame, and provides a redundant network circuit based on the MOST protocol Achieved by the gateway.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양한 이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10)과, 이종의 프로토콜들과 MOST 프로토콜을 상호변환해 주는 게이트웨이(20)들과, 각각의 게이트웨이 간에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중화된 네트워크 회선을 제공하는 MOST 백본(3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이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10)은 MOST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 CAN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 LIN 프로토콜 을 지원하는 기기, Flexray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이종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은 같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끼리 통합하여 자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lexray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들은 이중화된 구리선 망을 이용하여 Flexray 네트워크 망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프로토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Devices supporting heterogeneous protocols (10) include devices that support the MOST protocol, devices that support the Bluetooth protocol, devices that support the CAN protocol, devices that support the LIN protocol, devices that support the Flex protocol, or Ethernet protocols. Supporting devices may be included. Devices supporting each heterogeneous protocol can form their own network by integrating devices supporting the same protocol. For example, devices that support the Flexray protocol can build a Flexray network using redundant copper networks. The same is true for other protocols.
한편, 게이트웨이(20)는 이종의 프로토콜들과 MOST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해 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프로토콜과 MOST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해주는 MOST-Bluetooth 게이트웨이, Flexray 프로토콜과 MOST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해주는 MOST-Flexray 게이트웨이, Lin 프로토콜과 MOST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해주는 MOST-Lin 게이트웨이, CAN 프로토콜과 MOST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해주는 MOST-CAN 게이트웨이, Ethernet 프로토콜과 MOST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해주는 MOST-Ethernet게이트웨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자동차 설계자는 지원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전술한 다양한 게이트웨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채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Meanwhile, the
MOST 백본(30)은, 각 게이트웨이(20)들 간에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중화된 네트워크 회선을 제공하며, 각각의 기기들은 자신이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MOST 백본과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MOST 백본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회선을 이중화하여 제공한다. 기존의 MOST 네트워크는 고대역폭의 장점, 실시간 동기신호의 전송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중화가 지원되지 않아 자동차 제작사에서 자동차에의 적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는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이중 포트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망을 구성하는 하나의 회선이 단선되더라도 다른 회선을 통해 안전하게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20)의 상세 블록도이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이트웨이(20)는, 트랜시버(202)와 MOST 통신부(204)로 구성된 이중 포트(200)와, 프레임 검출 및 경로설정부(210, 이하 '경로설정부'로 약칭함), 및 프로토콜 변환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이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도시하지 않음)가 더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먼저 MOST 트랜시버(transceiver)(202)는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발광소자로서 2개의 LED와, 수광소자로 2개의 PD를 구비하며,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흐르는 광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 한다. 광섬유의 단선사고나 LED/PD의 고장이 없는 경우 두 개의 포트에서 동시에 프레임이 인지된다. First, the
경로설정부(210)는 이중 포트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포트의 프레임을 수용하여 통신에 사용한다. 네트워크 회선 중 하나에 단선 사고가 발생할 경우 단선되지 않은 다른 포트에서만 프레임이 인지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경로설정부(210)는 송신의 경우 두 개의 포트로 동시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The
프로토콜 변환부(220)는 수신된 프레임을 MOST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송신할 프레임을 해당 기기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프로토콜 변환부(22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 트랜시버(202) 및 이중 MOST 통신부(204)를 구비한 이중 포트(200)를 구비함으로써 네트워크를 이중화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변환부(220)를 통해 이종의 프로토콜과 MOST 프로토콜간의 변환을 통해 이종의 네트워크 기기들을 통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dual port 200 having a
이에 따라, 각각의 기기들이 지원하는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폰이나 PDA 등의 다양한 기기를 통해 자동차의 시스템을 운용,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휴대폰이나 PDA를 제어 콘솔로 사용하여 자동차의 여러 기계, 전장 장치들을 편리하게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는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자동차를 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unctions supported by the respective devices can be integ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operate and diagnose the system of the vehicle through various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For example, a mobile phone or PDA that supports the Bluetooth protocol can be used as a control console for convenient control and monitoring of various machines and electronic devices in the car. Therefore, the vehicle can be operated more conveniently and stably for the user.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토콜 변환부(220)의 상세 블록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20)를 구성하는 프로토콜 변환부(220)는, 프레임 분리부(2201), FIFO 구동회로(2202), 헤더 FIFO(2203), 페이로드 FIFO(2204), 국부 마이크로프로세서(2205), 룩업 저장 메모리부(2206), 디코더 및 타이밍 발생부(2207) 및 프레임 재조립부(2208)를 구비한다. 각각의 블록들은 타이밍 버스, 프레임 버스, CPU 데이터 버스 등에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는다. 물론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블록들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연결구조도 변형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the
국부 마이크로프로세서(2205)는 각 블록을 초기화하고, 하부 노드의 각종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프레임 분리부(2201)는, 유입되는 프레임을 인지하고 프레임의 헤더부와 페이로드부를 구분하는 타이밍을 발생한다. 또한 프레임의 비트 오류(CRC)를 확인하여 현재의 프레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 발생 시 알람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발생한다. 프레임 포기 행위는 단지 FIFO구동 회로로 하여금 관련 FIFO Write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프레임의 조합을 이루는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해 마지막 메시지(Last Message) 신호를 발생한다. 결국 페이로드 FIFO에는 전체 메시지(Message)가 조립된 상태에서 저장된다. 헤더 FIFO(2203)에는 분리된 헤더부가, 페이로드 FIFO(2204)에는 분리된 페이로드부가 저장되어 있다.The
FIFO 구동회로(2202)는 프레임 분리부(2201)로부터 제공받은 헤더부와 페이로드부의 구분 타이밍을 이용하여 헤더 FIFO(2203)와 페이로드 FIFO(2204)의 쓰기(Write) 신호를 발생한다. 쓰기(Writer) 신호는 FIFO 구동회로(2202)로부터 제공받고, 읽기(Read) 신호는 국부 마이크로프로세서로(2205)로부터 제공받아 읽어들인 프레임의 헤더부를 해석하고 하부 노드의 정보를 획득한다. The
이 과정에서 프레임 ID가 확인되고 자신의 노드 정보라는 것이 확인되면, 페이로드 FIFO(2204)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다른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이란 다른 프로토콜용 헤더를 붙인다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새로운 헤더가 붙은 상태로 디지털 프레임이 전송된다. In this process, if the frame ID is confirmed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nod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yload FIFO (2204) is converted back to another protocol. Translation is used here in the generic sense of prefixing headers for other protocols. The digital frame is sent with the new header attached.
프레임재조립부(2208)는 내부에 저장된 다른 프로토콜의 헤더를 먼저 전송하 고, 이어서 페이로드FIFO(2204)의 내용을 전송한다. 프레임 꼬리(Frame trailer) 및 CRC를 계산하여 프레임 마지막부분에 조립하는 과정 역시 수행한다.The
디코더 및 타이밍발생부(2207)는 국부 마이크로프로세서(2205)가 각 기능 블록에 접근하는 디코드 타이밍을 발생한다. 헤더정보로부터 추출한 노드 정보는 하부노드 룩업 저장메모리(2206)에 저장된다. 역방향도 동일 구조로 작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coder and
이중의 MOST 트랜시버(202)를 통해 이중화 네트워크 회선에 접속되고, 이는 다시 이중의 MOST 통신칩(204)에 연결되어 이중화 MOST 네트워크 망을 구축할 수 있다. 이중화 구조에서 선택된 MOST 프레임의 디지털 데이터는, 현재 노드가 MOST 노드인 경우(예를 들면, MOST M-Auto PC) 내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되며, 현재 노드가 MOST-이종 프로토콜 게이트웨이(20)인 경우에는 프로토콜 변환부(220)로 전달되어 MOST 프로토콜(수신시) 또는 이종 프로토콜(송신시)로 변환된다. 변환된 프레임은 해당 포트를 통해 전송된다. It is connected to the redundant network circuit through the dua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프레임 변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프레임 변환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rame conversion method of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reated by a computer program.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The program is also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frame conversion metho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integrated network system supporting heterogeneous protocols and a gateway therefor are provided.
즉, Flexray, MOST, LIN, CAN, Bluetooth 프로토콜과 MOST 프로토콜 간의 변환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를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이질적인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양한 장비들을 관리, 제어하고, 자동차 내부의 다양한 상태를 모니터링, 진단하여 네트워크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heterogeneous networks can be integrated by connecting gateways that provide translation between Flexray, MOST, LIN, CAN, Bluetooth and MOST protocol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Bluetooth protocol can manage and control various devices supporting heterogeneous protocols, and monitor and diagnose various conditions inside the vehicle to increase the utility of the network.
즉,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동차에 구비된 멀티미디어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모바일 콘텐츠를 즐길 수 있어 자동차 문화의 발전을 유도할 수 있다. MOST-Flexray를 지원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자동차의 제어배선 체계와 연계하여 다양한 자동차의 상태를 취합하고, 특히, 불루투스-MOST를 지원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자동차의 상태를 이동 단말기로 진단하고 고장 유무를 판단하도록 하여 휴대폰이나 기타 무선 단말기가 자동차의 콘솔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by constructing a network based on the MOST protocol, a user can enjoy various multimedia mobile contents using a multimedia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thereby inducing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culture. Through the gateway supporting MOST-Flexray, it collects various vehicle statuses in connection with the vehicle's control wiring system.In particular, through the gateway supporting Bluetooth-MOST, the status of the vehicle can be diagnosed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resence of failure can be determined. The cell phone or other wireless terminal can be used as the console of the car.
나아가, 자동차 네트워크의 백본망을 이중화된 MOST로 구성하고, MOST 인터페이스가 있는 각종 게이트웨이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단선이나 트랜시버의 고장 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 자동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Furthermore, by configuring a backbone network of a car network with a redundant MOST and providing various gateways having a MOST interface,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caused by disconnection of a network or a failure of a transceiver an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a car system.
또한, 자동차 내 복잡한 배선을 단순화함으로서 자동차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MOST기술이 일반화되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자동차에 채택되는 비율이 높아져 관련 장치의 생산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기 대되며, 이로 인해 제조분야를 대표하는 자동차 제조 분야에 IT 분야가 결합하여 시장 규모가 동반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complicated wiring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of the vehicle to increase productivity. In addition, if MOST technology is generalized, the adoption of multimedia devices in automobiles is expected to increase,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scale of related devices. It is expected to rise together.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4956A KR100786814B1 (en) | 2006-02-16 | 2006-02-16 | Automotive integrated network system and gateway for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4956A KR100786814B1 (en) | 2006-02-16 | 2006-02-16 | Automotive integrated network system and gateway for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82299A KR20070082299A (en) | 2007-08-21 |
| KR100786814B1 true KR100786814B1 (en) | 2007-12-18 |
Family
ID=3861200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149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6814B1 (en) | 2006-02-16 | 2006-02-16 | Automotive integrated network system and gateway for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86814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73291B1 (en) * | 2009-06-18 | 2011-10-1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Network system of in-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02660A (en) * | 2011-12-01 | 2014-08-22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Senso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yload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to a bu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
| KR101651077B1 (en) * | 2015-03-31 | 2016-08-26 |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 Hybrid fault tolerant system and method using ethernet based wired and wireless in vehicle network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11336B1 (en) * | 2007-12-12 | 2009-08-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ssage conversion device between FlexRay and CAN communication and matching method of CANID and FlexRay slot |
| KR101272911B1 (en) * | 2007-12-13 | 2013-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entral Gateway Apparatus for Storing Vehicle Data through Vehicle Networks |
| CN101488942B (en) * | 2008-01-18 | 2013-03-13 |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 Multimedia data sharing system and method in vehicle-mounted media guidance system transmission network |
| KR100919397B1 (en) * | 2008-02-04 | 2009-09-2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in a vehicle |
| KR101417103B1 (en) * | 2008-09-03 | 2014-07-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Network System |
| KR20120072135A (en) | 2010-12-23 | 2012-07-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automobile diagnostic information |
| WO2013053977A1 (en) * | 2011-10-11 | 2013-04-18 |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 A method, system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
| KR101380118B1 (en) * | 2012-01-11 | 2014-04-01 | 한국과학기술원 | Ethernet network for vehicles and vehicles using the same |
| KR101356108B1 (en) * | 2012-01-11 | 2014-01-29 | 한국과학기술원 | Real-time ethernet network and vehicle |
| KR101534923B1 (en) * | 2013-09-23 | 2015-07-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thernet backbone network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il safe of the ethernet backbone network system |
| KR101578064B1 (en) * | 2013-11-01 | 2015-12-16 | (주)티에이치엔 |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
| US9118651B2 (en) | 2013-11-22 | 2015-08-25 | Hyundai Motor Company | Control unit for in-vehicle ethern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1506228B1 (en) * | 2014-02-13 | 2015-03-27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Active safety system for Ethernet-based Automobile using Fault-tolerant Ethernet |
| KR101536141B1 (en) * | 2014-02-13 | 2015-07-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signal between ethernet and can in a vehicle |
| KR101598852B1 (en) * | 2015-02-12 | 2016-03-02 | 국방과학연구소 | Integration gateway for warship network |
| EP4342161B1 (en) * | 2021-06-16 | 2025-04-30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Frame normalization for heterogeneous networks in automotive gateways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10834A (en) * | 2003-06-12 | 2006-02-02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Vehicl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packets in a vehicle network |
| KR20060045250A (en) * | 2004-11-12 | 2006-05-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ost Serial Data Transceiver Gateway |
-
2006
- 2006-02-16 KR KR1020060014956A patent/KR1007868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10834A (en) * | 2003-06-12 | 2006-02-02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Vehicl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packets in a vehicle network |
| KR20060045250A (en) * | 2004-11-12 | 2006-05-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ost Serial Data Transceiver Gateway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73291B1 (en) * | 2009-06-18 | 2011-10-1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Network system of in-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02660A (en) * | 2011-12-01 | 2014-08-22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Senso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yload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to a bu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
| KR101998902B1 (en) | 2011-12-01 | 2019-07-10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Senso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yload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to a bu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
| KR101651077B1 (en) * | 2015-03-31 | 2016-08-26 |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 Hybrid fault tolerant system and method using ethernet based wired and wireless in vehicle network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82299A (en) | 2007-08-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86814B1 (en) | Automotive integrated network system and gateway for same | |
| JP6345755B2 (en) | Two-wire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speed data and power distribution | |
| US9946680B2 (en) | Peripheral device diagnostics and control over a two-wire communication bus | |
| KR101095583B1 (en) | Integrated Gatewa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n In-vehicle Network | |
| KR101033793B1 (en) | Vehicle integrated control system | |
| Talbot et al. | Comparision of fieldbus systems can, ttcan, flexray and lin in passenger vehicles | |
| KR101515546B1 (en) | Electronic control unit for vehicle having high energy efficiency and Network for vehicle | |
| JP4958619B2 (en) | Relay connection unit | |
| US1161684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communication node using network management function in vehicle network | |
| CN110225071A (en) | Vehicle intelligent gateway and automobile | |
| CN102035702A (en) | An Ethernet network component | |
| EP257367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lot table entry address for a communications device | |
| CN103558780B (en) | A kind of automobile mounted bus controller | |
| JP2011182123A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 |
| US7843966B2 (en) | Communication system for flexible use in different application scenarios in automation technology | |
| KR101082338B1 (en) | Network integration device between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s (MOST)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 Umair et al. |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network protocols of automotive systems | |
| CN222706518U (en) | Transmission system | |
| EP2573981A2 (en) |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 slot table for a communications controller | |
| US2019030598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backup path in vehicle network | |
| KR101075019B1 (en) | Network converting device between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s (MOST) for vehicle | |
| KR20030060584A (en) | Multimedia control system in automobile using most network | |
| KR100737806B1 (en) | MOS-to-Ethernet matching device and MOS-to-Ethernet network using the same | |
| KR100433761B1 (en) | Ring Topology Network Design Method using Token Ring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and Full-Duplex Fast Ethernet Method | |
| KR101165854B1 (en) | Self-Diagnosis System For MOST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4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86814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121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2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21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