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642B1 - Headrest device - Google Patents
Headres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9642B1 KR100789642B1 KR1020070021416A KR20070021416A KR100789642B1 KR 100789642 B1 KR100789642 B1 KR 100789642B1 KR 1020070021416 A KR1020070021416 A KR 1020070021416A KR 20070021416 A KR20070021416 A KR 20070021416A KR 100789642 B1 KR100789642 B1 KR 100789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bracket
- upper mounting
- cam
- ratchet
- paw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설치각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 설치각의 조절시 헤드레스트의 지지면이 탑승자의 후두부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신체부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lp the user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headrest in multiple stages, and to maintain the support surface of the headrest parallel to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during the adjustment of the installation angle, the body part of the occupant in the rear collis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rest device that can be more securely protect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테이 로드(1)에 고정되고 라쳇(102)을 갖춘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과;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에 힌지결합되는 전/후방 링크부재(110,120); 상기 전/후방 링크부재(110,120)에 힌지결합되는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 상기 전/후방 링크부재(110,120) 사이에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을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선회력을 가하는 제1 리턴 스프링(140);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라쳇(102)에 치합되는 폴(150);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시 상기 라쳇(102)과 상기 폴(150) 사이의 치합부위를 다단으로 조절되게 하고,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 한계지점으로 선회시 상기 라쳇(102)과 상기 폴(150)사이의 치합을 해제시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이 후방으로 복원 선회되게 하는 가이드 캠(160); 상기 폴(15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시 상기 가이드 캠(160)의 프로파일을 추종하여 설치각이 변화되고,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각도에 따라 상기 라쳇(102)과 상기 폴(150) 사이의 치합 및 해제를 각각 조절하는 캠(170); 상기 폴(150)을 상기 라쳇(102)에 치합되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제 2 리턴 스프링(180) 및;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시 상기 캠(170)을 상기 가이드 캠(160)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제3 리턴 스프링(1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mounting bracket 100 fixed to the stay rod 1 and having a ratchet 102; Front and rear link members (110 and 120) hinged to the lower mounting bracket (100); An upper mounting bracket 130 hinged to the front and rear link members 110 and 120; A first return spring 140 for applying a turning force in a direction of restoring the upper mounting bracket 130 between the front and rear link members 110 and 120; A pole 150 hinged to the front link member 110 and engaged with the ratchet 102; When the upper mounting bracket 130 is turned,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ratchet 102 and the pawl 150 is adjust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ratchet 102 is turned when turning to the turning limit point of the upper mounting bracket 130. A guide cam (160)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pole and the pawl (150) so that the upper mounting bracket (130) is pivotally restored to the rear; The installation angle is changed by following the profile of the guide cam 160 when the upper mounting bracket 130 is pivoted by being hinged to the pole 150, and the latching ang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urning angle of the upper mounting bracket 130. A cam 170 for regulating engagement and release between the 102 and the pawl 150; A second return spring (180) for pivoting said pawl (150)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with said ratchet (102); And a third return spring 190 that pivots the cam 170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cam 160 when the upper mounting bracket 130 pivots.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헤드레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headrest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도 4는 도 2에서 후방 링크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link member is removed in FIG.
도 5는 도 2에서 전방 링크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link member is removed in FIG.
도 6의 (a) 내지 (h)는 도 2의 Ⅵ-Ⅵ선 단면으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주요 구성요소만으로 도시한 도면.Figure 6 (a) to (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VI line of Figure 2,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main components.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설치각을 다단으로 조절하고, 설치각의 조절시 헤드레스트의 지지면이 탑승자의 후두부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headrest in multiple stages, and to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headrest so that the support surface of the headrest can remain parallel to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Relates to a rest device.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 장치는 차실내의 시트백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안락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후두부에 대한 지지력을 높여 목부위의 부상을 방지하는 일종의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트백의 상부에서 높낮이의 조절과 전후방향으로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In general, the headrest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eatback in the cabin to improve the comfort of the occupant, and serves as a kind of support to prevent injury to the neck by increasing the support for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during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and the inclination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the top of the seat back.
일례로, 종래 헤드레스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의 상단부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테이 로드(1)와, 상기 스테이 로드(1)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후두부를 향해 배치되는 쿠션부(3)로 구성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headrest device includes a
이때, 상기 쿠션부(3)는 내부에 구비된 틸팅장치에 의한 축회전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데, 상기 쿠션부(3)의 선회지점이 상측(5)에 위치하면 상기 쿠션부(3)의 하단부가 보다 많이 선회(5a)하게 되고, 상기 쿠션부(3)의 선회지점이 하측(7)에 위치하면 상기 쿠션부(3)의 상단부가 보다 많이 선회(7a)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헤드레스트 장치에서는 상기 쿠션부(3)의 경사각을 탑승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춰 조절할 때, 상기 쿠션부(3)의 전면에 해당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면과 탑승자의 후두부 사이에서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drest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when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이는, 상기 쿠션부(3)의 전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쿠션부(3)에 대한 경사각의 조절시 선회지점이 쿠션부(3)내의 특정 개소로 한 군데에 국한되어 마련됨에 따른 것이다.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이 결과, 종래 헤드레스트 장치에서는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후두부와 헤드레스트의 지지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크게 하 는 문제가 있었다. 즉,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후두부는 물론 목부위에 대한 상해치를 증가시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headrest device h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degree of injury of the occupant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headrest decreases during a rear collision. In other words, the situ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injury to the back of the occupant as well as the neck of the occupant during the rear collision.
이에 따라,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후두부를 포함한 목부위에 대한 상해치의 저감을 위해 헤드레스트 장치의 설계 개선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the injuries to the neck including the occipital occupant of the occupant during the rear collision, there is a demand for improving the design of the headrest devic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설치각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 설치각의 조절시 헤드레스트의 지지면이 탑승자의 후두부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신체부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issues, to help the user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headrest in multiple stages,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headrest is parallel to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when the installation angle is adjus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rest device that can maintain a state, so that the body of the occupant can be more securely protected in the rear collis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테이 로드에 고정되고 라쳇을 갖춘 하측 마운팅 브라켓과;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lower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stay rod and having a ratchet;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전/후방 링크부재; Front and rear link members hinged to the lower mounting brackets;
상기 전/후방 링크부재에 힌지결합되는 상측 마운팅 브라켓; An upper mounting bracket hinged to the front and rear link members;
상기 전/후방 링크부재 사이에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을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선회력을 가하는 제1 리턴 스프링; A first return spring for applying a turning force in a direction of restoring the upper mounting bracket between the front and rear link members;
상기 전방 링크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라쳇에 치합되는 폴; A pawl hinged to the front link member and engaged with the ratchet;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의 선회시 상기 라쳇과 상기 폴 사이의 치합부위를 다단으로 조절되게 하고,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의 선회 한계지점으로 선회시 상기 라쳇과 상기 폴사이의 치합을 해제시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이 후방으로 복원 선회되게 하는 가이드 캠; When the upper mounting bracket is turned,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ratchet and the pole is adjust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upper mounting bracket is released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ratchet and the pole when turning to the turning limit point of the upper mounting bracket. A guide cam allowing a pivoting recovery to the rear;
상기 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의 선회시 상기 가이드 캠의 프로파일을 추종하여 설치각이 변화되고,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의 선회각도에 따라 상기 라쳇과 상기 폴 사이의 치합 및 해제를 각각 조절하는 캠; When the hinge is coupled to the pole and the installation angle is changed by following the profile of the guide cam when the upper mounting bracket pivots, the engagement and release between the ratchet and the pole are resp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mounting bracket. cam;
상기 폴을 상기 라쳇에 치합되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제2 리턴 스프링 및; A second return spring for pivoting the pawl in a direction that engages the ratchet;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의 선회시 상기 캠을 상기 가이드 캠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제3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hird return spring that pivots the cam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cam when the upper mounting bracket pivot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 로드(1)는 시트백(도시안됨)의 상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 로드(1)의 상부에는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이 결합되며,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의 일측에는 헤드레스트의 설치각을 조절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시트백의 전후방향을 따라 다단의 치합부를 형성하는 라쳇(102)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에는 전방 링크부재(110)의 하단부와 후방 링크부재(120)의 하단부가 시트백의 전후방향을 따라 선회가능하게 각각 제1 힌지핀(H1)과 제2 힌지핀(H2)을 매개로 이격되어 결합된다.The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의 상단부와 상기 후방 링크부재(120)의 상단부에는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이 각각 제3 힌지핀(H3)과 제4 힌지핀(H4)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전/후방 링크부재(110,120)는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은 헤드레스트와 결합되어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n
즉,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과 전방 링크부재(110)와 후방 링크부재(120) 및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은 일종의 4절 링크의 형태로 결합된다.That is, the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와 상기 후방 링크부재(120) 사이에는 상기 제1 힌지핀(H1)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리턴 스프링(14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1 리턴 스프링(140)은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에 대해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을 시트백의 후방으로 복원 선회시키도록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에 복원 선회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A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에는 폴(150)이 제1 피벗지점(P1)으로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기 폴(150)은 상기 제1 피벗지점(P1)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라쳇(102)에 대한 치합부위를 다단으로 변화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에 대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각도는 다단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The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에는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시, 즉 헤드레스트의 설치각 조절시, 상기 라쳇(102)과 상기 폴(150) 사이의 치합 및 해제를 조절하도록 소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가이드 캠(160)이 고정된다.The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캠(160)은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전방으로 선회시 상기 라쳇(102)과 상기 폴(150) 사이의 치합부위를 다단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 캠(160)은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이 선회 한계지점으로 선회시 상기 라쳇(102)과 상기 폴(150)사이의 치합을 해제시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이 후방으로 복원선회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지점(turningpoint)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폴(150)에는 캠(170)이 제2 피벗지점(P2)으로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기 캠(170)은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시 상기 제2 피벗지점(P2)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가이드 캠(160)의 프로파일을 추종하여 설치각도를 변화하고, 이를 통해 상기 캠(170)은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각도에 따라 상기 라쳇(102)과 상기 폴(150) 사이의 치합 및 해제를 각각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와 상기 폴(150) 사이에는 상기 제3 힌지핀(H3)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 리턴 스프링(18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 리턴 스프링(180)은 상기 폴(150)이 상기 라쳇(102)의 치합부에 치합될 수 있도록 선회력을 제공하게 된다.A
상기 폴(150)과 상기 캠(170) 사이에는 제3 리턴 스프링(19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3 리턴 스프링(190)은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시 상기 캠(170)이 상기 가이드 캠(160)의 프로파일을 추종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선회력을 제공하게 된다.A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리턴 스프링(140,180,190)은 원주방향으로 복원력을 구현하는 토션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first to the third return spring (140, 180, 19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for implementing a restoring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은 상기 스테이 로드(1)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수평면부(104)와, 상기 수평면부(104)의 좌/우측 양단에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돌출되는 측벽부(106) 및, 상기 측벽부(106)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 및 상기 후방 링크부재(120)의 하단부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형성된 핀결합용 구멍(106a,106b)을 갖추고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라쳇(102)은 상기 양측 측벽부(106)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106)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라쳇(102)의 치합부는 상기 측벽부(106)의 전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는 좌/우측 측벽부(112)와, 상기 좌/우측 측벽부(1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부(114)를 갖추고 있는 바, 상기 좌/우측 측벽부(112)는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의 핀결합용 구멍(106a)과 대응되는 핀결합용 구멍(112a)과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핀결합용 구멍(112b)을 각각 양단부에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이 경우, 상기 측벽부(106)의 전방측 선단부에는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의 선회각도에 대한 한계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의 좌/우측 측벽부(112)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벽부(114)중 하부에 위치한 연결벽부(114)의 저면부와 접촉되는 걸림턱(108)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그리고, 상기 후방 링크부재(120)는 좌/우측 측벽부(122)와, 상기 좌/우측 측벽부(12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부(124)를 갖추고 있는 바, 상기 좌/우측 측벽 부(122)는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의 핀결합용 구멍(106b)과 대응되는 핀결합용 구멍(122a)과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핀결합용 구멍(122b)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은 상기 전/후방 링크부재(110,120)의 핀결합용 구멍(112b,122b)과 대응되는 핀결합용 구멍(132a,132b)을 갖춘 측벽부(132)와, 상기 측벽부(132)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수직면을 형성하고서 상기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안착벽부(134)를 일체로 갖추고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1 리턴 스프링(140)은 일단이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의 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링크부재(120)의 연결벽부(124)의 배면에 지지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폴(150)은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의 측벽부(112)의 핀결합용 구멍(112c)에 연결핀(152a)을 매개로 힌지결합을 위한 핀결합용 구멍(152)과, 상기 캠(170)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1 보스부(154), 상기 제3 리턴 스프링(190)의 설치를 위한 제2 보스부(156), 상기 제2 리턴 스프링(180)의 일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제1 관통구멍(157) 및, 상기 제3 리턴 스프링(190)의 일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제2 관통구멍(158)을 갖추고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 캠(160)은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의 측벽부(106)에 형성된 핀결합용 구멍(106a,106b)에 고정되기 위한 핀결합용 구멍(162)과,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시 상기 라쳇(102)의 치합부에 대한 상기 폴(150)의 치합부위의 변화가 수반되는 구간에서 상기 캠(170)과 접촉되어 상기 폴 (150)에 대한 상기 캠(170)의 설치각을 예각에서 둔각으로 커지도록 유도하는 일단측 수직 접촉면(164),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 한계지점(위치)으로 선회시 상기 라쳇(102)의 치합부에 대한 상기 폴(150)의 치합 해제를 유도하고 상기 폴(150)에 대한 상기 캠(170)의 설치각을 최대화하는 수평 접촉면(166) 및, 상기 폴(150)에 대한 상기 캠(170)의 역방향 선회를 개시하여 상기 폴(150)에 대한 상기 캠(170)의 설치각을 둔각에서 예각으로 작아지도록 유도하고 상기 라쳇(102)의 치합부에 대한 상기 폴(150)의 치합 해지의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전환지점의 형성용 걸림홈(168)을 갖추고 있다.In addition, the
이 경우, 상기 수직 접촉면(164)과 상기 수평 접촉면(166) 및 상기 걸림홈(168)은 각각 상기 가이드 캠(160)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캠(160)이 가지는 특정한 형태의 프로파일을 이루게 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캠(170)은 상기 폴(150)의 제1 보스부(154)에 힌지결합을 위한 핀결합용 구멍(172)과 상기 제3 리턴 스프링(190)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멍(174a)을 갖춘 보스부(174)를 구비한다. 상기 보스부(174)는 상기 폴(150)의 상단부를 덮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폴(150)이 상기 라쳇(102)에 치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제2 리턴 스프링(180)의 타단부는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의 연결벽부(114)에 형성된 관통구멍(114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동작 설명에 앞서, 헤드레스트의 설치각을 다단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방향은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방향과 동일하고, 헤드레스트의 설치각 복원방향은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복원선회방향과 동일함을 밝혀 둔다.First, prior to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direction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headrest in multiple stages is the same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도 6의 (a)는 헤드레스트의 설치각 조절전 최초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은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에 대해 후방으로 최대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Figure 6 (a) shows the first state before the installation angle adjustment of the headrest. At this time, the
이어,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을 전방으로 선회시키게 되면, 도 6의 (b) 내지 (d)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쳇(102)에 다단으로 형성된 치합부에 대한 상기 폴(150)의 치합위치가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변화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이 경우, 상기 캠(170)은 상기 제3 리턴 스프링(190)이 구현하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피벗지점(P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가이드 캠(160)의 일단측에 형성된 수직 접촉면(164)과 지속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폴(150)은 상기 제2 리턴 스프링(180)이 구현하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피벗지점(P1)을 기준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의 선회를 반복하면서 상기 라쳇(102)에 형성된 다단의 치합부와의 치합부위를 옮겨가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 결과,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에 대한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설치각은 전방을 향해 조금씩 변화하게 하게 되는 데,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설치각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아울러, 이 과정에 있어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 켓(130)의 안착벽부(134)는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헤드레스트의 지지면과 탑승자의 후두부 사이의 접촉부위는 최대로 보장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의 설치각 조절과정에서 상기 폴(150)에 대한 상기 캠(170)의 설치각은 예각에서 둔각으로 점진적으로 커지게 되고, 이러한 상기 캠(170)의 설치각은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선회 한계지점에서 최대가 된다. 이때, 헤드레스트의 선회 한계지점은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의 걸림턱(108)에 상기 전방 링크부재(110)의 연결벽부(114)의 저면부가 접촉되어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의 선회를 제한시키는 위치로 설정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즉, 상기 캠(170)이 상기 제2 피벗지점(P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는 과정중에 상기 가이드 캠(160)의 수평 접촉면(166)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하측 마운팅 브라켓(10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피벗지점(P1)과 상기 제2 피벗지점(P2)의 높이가 거의 동일하게 되고, 이때 상기 폴(150)은 상기 라쳇(102)으로부터 치합이 해제된다.That is, when the
이후,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을 전방으로 더욱 선회시키게 되면,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170)은 상기 가이드 캠(160)의 걸림홈(168)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 시점에서부터 상기 폴(150)은 도 6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피벗지점(P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역선회를 개시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아울러, 상기 상측 마운팅 브라켓(130)도 도 6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리턴 스프링(140)이 구현하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후방을 향해 역선회하 게 되므로, 헤드레스트의 설치각은 복원방향을 향해 변화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의 설치각 조절전의 상태로 전환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의 설치각 복원과정에서 상기 캠(170)은 제3 리턴 스프링(190)이 구현하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캠(160)의 수평 접촉면(166)과 지속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폴(150)의 제2 피벗지점(P2)은 상기 제1 피벗지점(P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라쳇(102)과 상기 폴(150) 사이의 치합은 해제된 상태를 지속하게 된다.In the restoring installation angle of the headrest, the
또한,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의 설치각 복원과정에서 상기 폴(150)에 대한 상기 캠(170)의 설치각은 둔각에서 예각으로 다시 작아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의 설치각 조절전 최초의 상태로 전환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에 의하면, 시트백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설치각을 탑승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맞춰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ad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headrest for the seatback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r preference of the occupant, thereby helping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헤드레스트 설치각의 조절시 헤드레스트의 지지면이 탑승자의 후두부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지지면과 탑승자의 후두부 사이의 접촉면적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후두부와 목부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surface of the headrest can maintain a parallel state with respect to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when adjusting the headrest installation angl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surface of the headrest and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can be secured to the maximum. This makes it safer to protect the occupant's back and neck in the event of a rear collision.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21416A KR100789642B1 (en) | 2007-03-05 | 2007-03-05 | Headres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21416A KR100789642B1 (en) | 2007-03-05 | 2007-03-05 | Headrest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89642B1 true KR100789642B1 (en) | 2007-12-27 |
Family
ID=3914823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214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9642B1 (en) | 2007-03-05 | 2007-03-05 | Headrest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89642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037483A (en) * | 2019-04-04 | 2019-07-23 | 敏华家具制造(惠州)有限公司 | headrest adjusting device |
| KR20190118340A (en) | 2018-04-10 | 2019-10-18 |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 Headrest Tilting Apparatus using Track Cam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86011A (en) * | 2002-08-28 | 2004-03-18 | Seiko Epson Corp | Water repellent low refractive index coating composition and optical article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
2007
- 2007-03-05 KR KR1020070021416A patent/KR1007896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86011A (en) * | 2002-08-28 | 2004-03-18 | Seiko Epson Corp | Water repellent low refractive index coating composition and optical article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공개특허공보 제2004-86011호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18340A (en) | 2018-04-10 | 2019-10-18 |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 Headrest Tilting Apparatus using Track Cam |
| CN110037483A (en) * | 2019-04-04 | 2019-07-23 | 敏华家具制造(惠州)有限公司 | headrest adjusting device |
| CN110037483B (en) * | 2019-04-04 | 2024-01-12 | 敏华家具制造(惠州)有限公司 | Headrest adjus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647331B2 (en) | Vehicle seat with headrest | |
| US20130076092A1 (en) | Vehicle seat backrest with flexural joint motion-control | |
| JP5852326B2 (en) | Vehicle seat | |
| JP2017039468A (en) | Vehicle seat and vehicle | |
| US20100066145A1 (en) | Vehicle seat | |
| US11975636B2 (en) | Vehicle seat backrest | |
| JPH07156704A (en) | Reclining seat | |
| WO2007123219A1 (en) | Vehicle seat | |
| KR100789642B1 (en) | Headrest device | |
| JP2008230391A (en) | Seat for vehicle | |
| US20210162903A1 (en) | Ratcheting headrest assembly | |
| JP2012136082A (en) | Anteroposterior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headrest | |
| JP2011105239A (en) | Vehicle seat | |
| KR20090099185A (en) | Car seat lumbar support | |
| JP7111780B2 (en) | vehicle seat | |
| JP4445244B2 (en) | Back tilting device | |
| JP5297954B2 (en) |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 |
| JP6527555B2 (en) | Vehicle seat | |
| KR20200073611A (en) |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 |
| KR102522891B1 (en) | Height adjusting device of armrest for seat | |
| KR20080101357A (en) | Headrest device | |
| KR101168714B1 (en) | 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 |
| KR101850730B1 (en) | headrest for vehicle | |
| KR100494550B1 (en) | Back support-structure for working together lumbarsupport-device for automobile | |
| JP6527556B2 (en) | Vehicle sea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012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22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