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305B1 - Optic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Optic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4305B1 KR100794305B1 KR1020050130225A KR20050130225A KR100794305B1 KR 100794305 B1 KR100794305 B1 KR 100794305B1 KR 1020050130225 A KR1020050130225 A KR 1020050130225A KR 20050130225 A KR20050130225 A KR 20050130225A KR 100794305 B1 KR100794305 B1 KR 1007943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itride
- oxide
- layer
- zinc
- t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룹 3족 피형 질화물계 반도체(group Ⅲ p-type nitride-based semiconductor) 상층부에 오믹컨택트층(ohmic contact layer)으로 사용되는 일반 금속들보다 전기적으로 우수한 오믹접촉 거동과 광학적 빛투과도를 나타내는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 즉 니켈질화물(Ni-N), 구리질화물(Cu-N), 아연질화물(Zn-N), 인듐질화물(In-N), 또는 주석질화물(Sn-N)을 고투명 피형 오믹컨택트층으로 적용한 광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electrically than ordinary metals used as an ohmic contact layer on a group III p- type nitride-based semiconductor. Thermally decomposed nitride exhibiting excellent ohmic contact behavior and optical light transmission, ie nickel nitride (Ni-N), copper nitride (Cu-N), zinc nitride (Zn-N), indium nitride (In-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element using tin nitride (Sn-N) as a high-transparent, ohmic contact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그룹 3족 질화물계 발광소자(group Ⅲ nitride-based optical device)들은 보통 기판(substrate),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n-type nitride cladding layer), 질화물계 활성층(nitride-based active layer),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p-type nitride cladding layer), 및 다중 피형 오믹컨택트층(multilayered p-type ohmic contact layer)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한 다중 피형 오믹컨택트층은 투명전도성 박막으로서 우수한 전기 및 광학적 특성을 지닌 열분해 질화물계 박막을 적어도 한층 이상 지닌 다층 박막층, 또는 전기 및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한 열분해 질화물 이외에도 금속(metal), 합금(alloy), 고용체(solid solution), 일반 전도성 산화물(conducting oxide), 투명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ide : TCO), 투명전도성 질화물(transparent conducting nitride :TCN), 또는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ynitride :TCNO) 등과 같은 피형 질화물계 반도체 상층부에서 오믹접촉 계면을 형성하는데 유리한 상(phase)들과 접목한 적층 형태도 포함한다.Group III nitride-based optical devices are typically substrates, n- type nitride cladding layers, nitride-based active layers, and nitrides A p- type nitride cladding layer and a multi-layered p- type ohmic contact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multi-type ohmic contact layer is a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and has excellent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Multi-layered thin film layer having at least one layer of pyrolytic nitride-based thin film, or metal, alloy, solid solution, or general conductive oxid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yrolytic nitride for controlling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xide,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 transparent conducting nitride (TCN), or transparent conducting nitrogen oxide (tran) It also includes a layered layer combined with phases that are advantageous for forming an ohmic contact interface on an upper layer of a nitride-based semiconductor such as sparent conducting oxynitride (TCNO).
본 발명에 따라서 개발된 투명전도성 다중 피형 오믹컨택트층을 적용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무엇보다도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p-type nitride cladding layer)과의 접촉된 계면특성이 개선되어 우수한 전류-전압(I-V)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높은 빛투과도로 인해 발광소자의 외부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multi-type ohmic contact layer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interfacial property of the p- type nitride cladding layer is improved. In addition to excellent current-voltage (IV) characteristics, high light transmittance can increase the external light emitting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구리질화물, 니켈질화물, 아연질화물, 인듐질화물, 주석질화물, 열분해 질화물, 투명전도성 산화물, 투명전도성 질화물,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 다중 피형 오믹컨택트층, 그룹 3족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발광소자 Copper nitride, nickel nitride, zinc nitride, indium nitride, tin nitride, pyrolytic nitri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multi-type ohmic contact layer, group III nitride-based cladding layer,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가 적용된 탑에미트형 발광 다이오드(top-emitting light emitting diode : TELED)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op-emitting light emitting diode (TELED) to which a multi-layered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가 적용된 탑에미트형 발광 다이오드(top-emitting light emitting diode : TELED)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op-emitting light emitting diode (TELED) to which the multi-layered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2실시예에 따른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형성되는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p-type multi ohmic contact layer)들의 여러 적층 형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stacked shapes of p- type multi ohmic contact layers formed on an upper layer of a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ccording to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2실시예에 따른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나노미터크기 규모 파티클(nanometer scale particle)을 도입시킨 후에 형성된 피형 다 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p-type multi ohmic contact layer)의 여러 적층 형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4 is a p- type multi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formed after introducing nanometer scale particles into an upper layer of a nitride-based clad lay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stacked forms of layers).
본 발명은 광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룹 3족 피형 질화물계 반도체(group Ⅲ p-type nitride-based semiconductor) 상층부에서 오믹컨택트층(ohmic contact layer)으로 사용되는 일반 금속보다 전기적으로 우수한 오믹접촉 거동과 광학적 빛투과도를 갖는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 즉 니켈질화물(Ni-N), 구리질화물(Cu-N), 아연질화물(Zn-N), 인듐질화물(In-N), 또는 주석질화물(Sn-N)을 고투명 피형 오믹컨택트층으로 적용한 광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normal metal used in the group III nitride-based semiconductor pihyeong (group Ⅲ p -type nitride-based semiconductor) the upper contact layer (ohmic contact layer) Ohmic Thermally decomposed nitrides with excellent electrical ohmic contact behavior and optical light transmission, ie nickel nitrides (Ni-N), copper nitrides (Cu-N), zinc nitrides (Zn-N), and indium nitrides (In- N) or tin nitride (Sn-N) is applied to a highly transparent ohmic contact layer, and an optical el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현재 투명전도성 박막(transparent conducting thin film)은 광전자분야, 디스플레이 분야 및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및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 등의 반도체 발광소자 분야에서는 원활한 캐리어 주입(carrier injection) 및 전류퍼짐(current spreading)성 등의 전기적 특성 이외에도, 반도체 발광소자 활성층(active layer)에서 생성된 포톤(photon)을 최대한 외부로 많이 방출(light emission)시킬 수 있 도록 광학적 특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물질이어야 한다. 특히, 차세대 조명용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그룹 3족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group Ⅲ nitride light emitting diode : Ⅲ nitride LED)와 관련된 국내외 많은 연구 기관에서는 양질의 발광소자용 투명전도성 박막을 개발하고자 활발하게 연구 중에 있다. 그 결과, 널리 알려진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및 여러 불순물이 첨가된 아연산화물(doped zinc oxide : ZnO)등의 투명전도성 물질들은 최근 직접적으로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LED)의 전극으로 사용되고 있다. Currently, transparent conducting thin films are widely used in the optoelectronic field, the display field, and the energy industry. In the field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such as 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laser diodes (LDs), in addition to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mooth carrier injection and current spread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tive layer It should be a material that has both optical properties so that photons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can be emitted as much as possible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many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group III nitride light emitting diodes (III nitride LEDs), which are spotlighted as next generation lighting sources, are actively researching to develop high quality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s for light emitting devices. have. As a result,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well-known indium tin oxide (ITO) and doped zinc oxide (ZnO) have been recently used directly as electrodes of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iodes (LEDs). have.
여러 투명전도성 산화물(TCO)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는 물질은 인듐산화물(In2O3), 주석산화물(SnO2), 카드뮴산화물(CdO), 아연산화물(ZnO), 및 인듐주석산화물(ITO) 등인데, 이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일함수 값과 가시광선 및 자외선 빛의 파장 영역에서 급격한 빛투과도 감소 특성을 지니고 있어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LED)의 투명전극으로 이용 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현재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에서 부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들 물질들이 겪는 문제들은 하기와 같다. Among the various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the most actively researched materials are indium oxide (In2O3), tin oxide (SnO2), cadmium oxide (CdO), zinc oxide (ZnO), and indium tin oxide (ITO). In addition, since they have relatively small work function values and rapid light transmittance reduction characteristics in th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and ultraviolet light, they have many problems when used as transparent electrodes of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iodes (LEDs).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ese materials, which are currently partly used in nitride based light emitting diodes, are as follows.
첫째, 기존의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또는 질화물(TCN)들은 피형 질화물 클래드층(p-type nitride-based cladding layer)의 일함수(work function)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작은 일함수 값을 지니고 있어서, 피형 오믹컨택트층(p-type ohmic contact layer)으로 사용 시 계면에 캐리어 흐름에 대한 높은 에너지 장벽이 형성되어 원활한 홀 주입(hole injection)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하여 높은 외부발광효율을 지닌 그룹 3족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First,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or nitride (TCN) has a much smaller work function than the work function of the p- typ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When used as a p- type ohmic contact layer, a high energy barrier to carrier flow is formed at the interface, making it difficult to inject holes smoothl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a nitride based light emitting diode (LED).
둘째, 기존의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또는 질화물(TCN)들은 질화물계 LED에서 생성 및 출사되는 빛들 중에서 청색 빛을 갖는 파장 영역이하에서는 낮은 빛투과도를 갖기 때문에 단파장 영역의 빛을 발광시키는 LED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Second,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or nitride (TCN) has a low light transmittance below the wavelength range with blue light among the light generated and emitted from the nitride-based LED, so it is applied to the LED emitting light in the short wavelength region Difficult to do
셋째, 기존의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또는 질화물(TCN)들은 빛에 대한 굴절 지수(refractive index)가 약 2 에 가까운 큰 값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들 투명전도성 산화물 전극을 통해서 빛을 공기 중으로 출사시키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Third, conventional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s) or nitrides (TCNs) have a large value near the refractive index of light, which is about 2, so that they can be emitted into the air through thes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electrodes. There is difficulty.
현재 질화물계 반도체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비롯해서 발광 다이오드 (LED) 및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와 같은 광소자를 폭넓게 산업적으로 상품화하고 있는데, 현재 보다 더욱 더 우수한 성능을 갖는 광전자 소자(optoelectronic device)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와 전극간의 계면특성인 접촉 제어(contact control)가 매우 중요하다. Currently, nitride semiconductors are used to commercialize optical devices such as transistors, 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laser diodes (LDs), which are widely used. In order to implement a device, contact control, which is an interface property between a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and an electrode, is very important.
질화갈륨(GaN), 질화인듐(InN), 및 질화알루미늄(AlN)으로 구성된 질화물계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LED)는 탑에미트형 발광 다이오드(top-emitting light emitting diode : TELED)와 플립칩 발광 다이오드(flip-chip light emitting diode : FCLED)로 분류된다. A light emitting diode (LED) using a nitride semiconductor composed of gallium nitride (GaN), indium nitride (InN), and aluminum nitride (AlN) is a top-emitting light emitting diode (TELED) and a flip chip. It is classified as a flip-chip light emitting diode (FCLED).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ELED는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과 접촉하고 있는 피형 오믹컨택트층(p-type ohmic contact layer)을 통해 생성된 빛이 출사되게 형성된다. 반면에 TELED에 비해서 구동시에 발생되는 열 발산이 비교적 용이한 특성을 이용하여 대면적 및 대용량 발광소자로 제작되고 있는 FCLED는 TELED와 는 반대로 활성층에서 생성된 빛을 고 반사성 피형 오믹컨택트층을 이용하여 투명한 사파이어 기판을 통해서 발광시키는 구조이다.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를 이용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의 낮은 홀 농도로 인해서,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에서 사방으로 용이하게 피형 캐리어인 홀(hole)의 전도(transporting)가 어려워서, 이러한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을 이용한 양질의 광전자소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수한 전류퍼짐성을 갖고 있는 양질의 피형 오믹컨택트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시 말하자면,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를 이용한 고품위 차세대 발광 다이오드를 실현화하기 위해서는 측면방향으로의 전류 퍼짐성(current spreading)과 수직방향으로의 홀 주입(hole injecting)이 뛰어나고, 동시에 가시광선 및 단파장 영역의 빛에 대한 광학적 특성(빛투과도 또는 빛반사도)이 우수한 피형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가 개발/형성되어야 한다.Currently widely used TELED is formed so that the light generated through the p- type ohmic contact layer ( p- type ohmic contact layer) in contact with the nitrid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On the other hand, FCLED, which is manufactured with large area and high-capacity light emitting device by using heat dissipation that is relatively easy to generate when driving, compared with TELED, uses high reflective type ohmic contact layer to generate light generated from active layer, as opposed to TELED. It emits light through a transparent sapphire substrate. Light emitting diodes using group III-nitride semiconductors have a low hole concentration in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transport holes that are easily carriers in all directions in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In order to make a high quality optoelectronic device using a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 good quality ohmic contact layer having excellent current spreadability is absolutely requir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alize a high quality next-generation light emitting diode using a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it has excellent current sprea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ole inj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in the visible and short wavelength region An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hav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light transmittance or light reflectance) with respect to light should be developed / formed.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TELED용 피형 오믹컨택트층은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산화된 니켈/금(Ni/Au)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빔 증착기(e-beam evaporator) 등을 이용하여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Ni/Au 얇은 박막층을 순차적으로 증착시키고 산소(O2)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10-3 ~ 10-4 Ω㎠ 정도의 비접촉저항(specific ohmic contact resistance)을 갖는 반투명 오믹컨택트층(semi-transparent ohmic contact layer)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시킨 니켈-금 오믹컨택트층은 청색 빛의 파장 영역인 460 나노미터(nm) 이하에서는 75% 이하의 낮은 빛투과도를 갖고 있어 차세대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용 피형 오믹컨택트층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Currently, the ohmic contact layer for TELED, which is most widely used, is formed of nickel / gold (Ni / Au) oxidized on the nitride nitride clad layer upper layer. A thin film layer of Ni / Au is sequentially deposited on the upper layer of the nitride-based clad layer using an e-beam evaporator, and then heat-treated in an oxygen (O2) atmosphere to obtain a specific contact resistance of about 10-3 to 10-4 Ω㎠. It is known to form a semi-transparent ohmic contact layer with specific ohmic contact resistance. The oxidized nickel-gold ohmic contact layer has a low light transmittance of 75% or less at 460 nanometers (nm) or less, which is a wavelength range of blue light, and thus is not suitable for the next type ohmic layer for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iodes.
상기한 반투명 니켈-금 오믹컨택트층의 낮은 비접촉저항은 500 내지 600도 정도의 온도 및 산소(O2) 개스 분위기에서 열처리할 때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을 이루고 있는 질화갈륨(GaN)과 오믹컨택트층으로 적용된 니켈 금속과의 접촉계면에서 피형 반도체 산화물인 니켈산화물(NiO)이 섬(island) 모양으로 형성되며, 동시에 금(Au) 금속이 섬모양으로 분포되어 있는 니켈산화물 사이와 상층부를 덮고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얇게 증착된 니켈-금을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했을 때 니켈산화물이 형성되는데, 이는 질화갈륨(GaN)과 전극간에 형성된 쇼트키 장벽의 높이 및 폭(Schottky barrier height & width : SBH & SBW)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러한 전극을 통해서 외부전압 인가 시 캐리어를 소자에 용이하게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얇은 Ni/Au으로 이루어진 박막층이 우수한 전기적 특성인 오믹성 거동을 보인 이유는 SBH & SBW 감소를 이끄는 니켈산화물의 역할 이외에도 측면방향으로의 전류 퍼짐성을 주도적으로 향상시키는 금(Au) 금속 성분이다. The low specific contact resistance of the semi-transparent nickel-gold ohmic contact layer is a gallium nitride (GaN) and an ohmic contact layer which forms a nitride nitride cladding layer when heat treated at a temperature of about 500 to 600 degrees and an oxygen (O 2) gas atmosphere. In the contact interface with the applied nickel metal, nickel oxide (NiO), which is a semiconductor oxide, is formed in an island shape, and at the same time, a structure covering the upper layer and between the nickel oxide where gold (Au) metal is distributed in an island shape is formed. It was found to have. In particular, nickel oxide is formed when the thinly deposited nickel-gold on the upper layer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is heat-treated in an oxygen atmosphere, which is used to form a Schottky barrier height & width between gallium nitride (GaN) and the electrode. width: SBH & SBW) is reduced and the carrier is easily supplied to the device when an external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is electrode.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thin Ni / Au thin film layer exhibits excellent ohmic behavior, which is an excellent electrical property, is not only a role of nickel oxide, which leads to reduction of SBH & SBW, but also a gold (Au) metal which leads to the improvement of current sprea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gredient.
상기한 Ni/Au 박막층의 오믹성 거동에 대한 메카니즘(mechanism) 이외에도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얇은 니켈-금으로 이루어진 박막층을 형성시킨 후에 열처리하면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내부에 실효 홀 농도(net effective hole concentration)를 제한하고 있는 Mg-H 금속간 화합물을 제거하여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표면에서 마그네슘 도펀트(dopant) 농도를 증가시키는 재활성화(reactivation) 과정을 통해서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표면에서 이러한 실효 홀 농도가 1018 이상이 되게 하여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과 니켈산화물을 함유한 오 믹컨택트층 사이에 터널링 전도(tunneling transport)를 일으켜 낮은 비접촉저항 값을 지닌 오믹성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In addition to the mechanism for the ohmic behavior of the Ni / Au thin film layer, a thin nickel-gold thin film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nd then heat treated to form an effective hole concentration (net effective) in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This effective hole on the surface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is removed through a reactivation process that removes the Mg-H intermetallic compound that limits the hole concent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magnesium dopant concentration on the surface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It is understood that a concentration of 1018 or more causes tunneling transport between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nd the nickel contact-containing ohmic contact layer, thereby exhibiting ohmic behavior with low specific contact resistance.
그러나, 산화시킨 Ni/Au으로 형성되는 반투명 피형 오믹컨택트층을 이용한 TELED는 빛투과도를 저해하고 있는, 즉 LED 활성층에서 생성된 다량의 빛을 흡수하는 금(Au) 금속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외부발광효율이 낮아 향후 대면적 및 대용량 고휘도 조명용 LED 응용에 한계점을 갖고 있다. However, TELED using a translucent type ohmic contact layer formed of oxidized Ni / Au contains gold (Au) metal component that inhibits light transmittance, that is, absorbs a large amount of light generated in the LED active layer. The low efficiency limits the application of large-area and high-capacity high-brightness LED applications in the future.
최근 들어 이러한 탑에미트형 및 플립칩 발광 다이오드의 소자의 한계를 다소나마 극복하고자, 기존에 피형 오믹컨택트층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투명의 니켈-금 구조보다 우수한 빛투과도를 갖는 투명전도성 산화물, 예를 들면 ITO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내용이 문헌[T. Margalith et al., Appl. Phys. Lett. Vol.74. p3930 (1999)]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 최근 ITO 오믹컨택트층을 이용하여 기존의 니켈-금 구조와 비교 시 보다 향상된 출력(output power)을 나타내는 TELED를 구현하였다는 내용이 문헌[Solid-State Electronics vol.47. p849 (2003)]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오믹컨택트층은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동작전압을 나타내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데 그 근본적인 원인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피형 질화물계 반도체의 일함수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지니고 있어,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과 ITO 오믹컨택트층 사이의 계면에 높은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여 원활한 캐리어 주입이 어려워 다량의 열 발생과 이로 인하여 짧은 소자 수명 등을 야기한다. In order to overcome some of the limitations of the devices of the top-emit type and flip chip light emitting diodes in recent years,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for example, than the semi-transparent nickel-gold structure used as the conventional ohmic contact layer, for example, The research aimed at using ITO is described in T. Margalith et al., Appl. Phys. Lett. Vol. 74. p3930 (1999). Recently, the use of the ITO ohmic contact layer to implement TELED exhibiting improved output pow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ickel-gold structure is described in Solid-State Electronics vol.47. p849 (2003). However, the ohmic contact layer of such a structure can increase the outpu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but has a problem of showing a relatively high operating voltage. The root cause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work function value of the nitride-based semiconductor as described above. Because of the high value, a high Schottky barrier i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nd the ITO ohmic contact lay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nject a carrier smoothly, causing a large amount of heat generation and a short device life.
상기한 바와 같이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ITO 및 ZnO와 같은 TCO들을 직접적으로 증착/접촉시키면 높고 두꺼운 SBH 및 SBW가 각각 생성되어 오믹컨택트층을 형성하지 못하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더 최근 들어 국내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연구그룹에서는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과 TCO들 사이에 얇은 제 2의 TCO 층을 삽입하여 열처리하여 100 나노미터(nm) 이하의 입자들(particles)을 만들어 양질의 오믹컨택트층을 형성한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계면에 생성된 나노 입자들은 계면에서 전기장(electric field)을 유발하고, 이처럼 유발된 전기장이 쇼키장벽의 높이 및 폭을 낮추어 주고 쇼키 거동을 보인 TCO 전극을 오믹 거동으로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COs such as ITO and ZnO are directly deposited / contacted on the upper layer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high and thick SBH and SBW are generated, respectively, and do not form an ohmic contact layer. The GIST research group inserts a thin second TCO layer between the typ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nd the TCOs and heats them to form particles of less than 100 nanometers (nm) in order to produce a high quality ohmic contact layer. The results of the formation were announced. The nanoparticles generated at these interfaces generate an electric field at the interface, and this induced electric field lowers the height and width of the schottky barrier and converts the TCO electrode exhibiting the schottky behavior into ohmic behavior. Analyz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양질의 고투명전도성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p-type multi ohmic contact layer) 갖는 질화물계 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 널리 알려진 일반금속, 인듐주석산화물(ITO) 및 아연산화물(ZnO)와 같은 일반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또는 타이타늄 질화물(TiN)와 같은 투명전도성 질화물(TCN)에 비해서 그룹 3족 피형 질화물계 반도체(group Ⅲ p-type nitride-based semiconductor) 상층부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접촉계면 특성면에서 휠씬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는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 즉 니켈질화물(Ni-N), 구리질화물(Cu-N), 아연질화물(Zn-N), 인듐질화물(In-N), 또는 주석질화물(Sn-N)을 이용하여 낮은 비접촉저항과 높은 빛투과도를 제공할 수 있는 고유한 고품위 투명전도성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광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fabricate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high-quality, high-transparent conductivity p- type multi ohmic contact layer. Group III p- type nitride-based semiconductors compared to general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such as zinc oxide (ZnO) or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s (TCN) such as titanium nitride (TiN) ) Thermally decomposed nitride, nickel nitride (Ni-N), copper nitride (Cu-N), and zinc nitride (Zn-), which have excellent advantages in terms of contact interface characteristic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the upper layer. N), Indium Nitride (In-N) or Tin Nitride (Sn-N), a unique high quality transparent conductive type multi-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that can provide low contact resistance and high light transmitt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pply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n-type nitride cladding layer)과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p-type nitride cladding layer) 사이에 질화물계 활성층(nitride-based active layer)을 갖는 질화물계 발광소자(특히, 발광 다이오드 및 레이저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을 포함하고 있는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multi p-type ohmic contact layer)을 구비하고, 상기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은 니켈(Ni), 구리(Cu), 아연(Zn), 인듐(In), 또는 주석(Sn) 등의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성분과 질소(N)성분이 반드시 결합된 물질을 지칭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itride-based nitride layer between an n- type nitride cladding layer and a p- type nitride cladding layer. In a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especially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aser diode) having a nitride-based active layer, a plurality of correlated multiple layers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thermally decomposed nitride on the upper part of the clad nitride-based clad layer A multi p- type ohmic contact layer, wherein the thermally decomposed nitride is nickel (Ni), copper (Cu), zinc (Zn), indium (In), or tin (Sn). The metal refers to a material in which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and nitrogen (N) component are necessarily bonded.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증착된 열분해 질화물은 열처리 시에 금속(metal)과 질소(N) 성분으로 분해되고, 분해되어 나온 질소(N) 성분은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부에 다량으로 존재하면서 피형 오믹전극을 형성하는데 악영향을 미치는 질소공공(nitrogen vacancy)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분해로부터 나온 금속(metal) 성분은 클래드층 상층부에 있는 갈륨(Ga) 성분과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을 생성하여 피형 오믹전극을 형성하는데 유리한 도움을 준다. The pyrolytic nitride deposited on the upper part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is decomposed into metal and nitrogen (N) components during heat treatment, and the decomposed nitrogen (N) component is present in a large amount on the upper part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It removes the nitrogen vacancy that adversely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ohmic electrode, and at the same time, the metal component from decomposition decomposes the gallium (Ga) component and the intermetallic compound in the upper layer of the clad layer. It can be advantageously formed to form an ohmic electr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분해 질화물은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다른 금속 성분들이 도펀트(dopant)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펀트로 적용되는 금속 들은 원소 주기율표상에서 금속으로 분류된 원소가 적용된다. Preferably, the pyrolytic nitride may further include other metal components as dopants to control electrical properties. Here, the metals applied as dopants are applied with elements classified as metals on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고투명 다중 피형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는 열분해 질화물 이외에도 다음과 같이,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서 오믹접촉 전극구조체를 형성하는데 유리한 금속(metal) 및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alloy/solid solution), 일반 전도성 산화물(conducting oxide),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투명전도성 질화물(TCN),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등과 함께 적층 순서와는 무관하게 접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ly transparent multi-type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pyrolytic nitride, metals and metals which are advantageous for forming an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re as follows. Grafting regardless of stacking order with alloy / solid solution, common conducting oxi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TCN),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TCON), etc. Can be formed.
상기 금속(metal) 및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alloy/solid solution) :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금(Au), 로듐(Rh), 루세늄(Ru), 이리듐(Ir), 은(Ag), 아연(Zn), 마그네슘(Mg), 베릴륨(Be), 구리(Cu), 코발트(Co), 주석(Sn), 희토류 금속들(rare earth metal), 또는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 Metals and alloys / solid solutions based on these metals: platinum (Pt), palladium (Pd), nickel (Ni), gold (Au), rhodium (Rh), ruthenium ( Ru, iridium (Ir), silver (Ag), zinc (Zn), magnesium (Mg), beryllium (Be), copper (Cu), cobalt (Co), tin (Sn), rare earth metals ), Or an alloy / solid solution based on these metals.
상기 일반 전도성 산화물(conducting oxide) : 니켈산화물(Ni-O), 로듐산화물(Rh-O), 루세늄산화물(Ru-O),이리듐산화물(Ir-O), 구리산화물(Cu-O), 코발트산화물(Co-O), 텅스텐산화물(W-O), 또는 타이타늄산화물(Ti-O). The general conducting oxide: nickel oxide (Ni-O), rhodium oxide (Rh-O), ruthenium oxide (Ru-O), iridium oxide (Ir-O), copper oxide (Cu-O), Cobalt oxide (Co-O), tungsten oxide (WO), or titanium oxide (Ti-O).
상기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 인듐산화물(In2O3), 주석산화물(SnO2), 인듐주석산화물(ITO), 아연산화물(ZnO), 마그네슘(MgO), 캐드뮴산화물(CdO), 마그네슘아연산화물(MgZnO), 인듐아연산화물(InZnO), 인듐주석산화물(InSnO), 구리알루미늄산화물(CuAlO2), 실버산화물(Ag2O), 갈륨산화물(Ga2O3), 아연주석산화물(ZnSnO), 아연인듐주석산화물(ZITO), 또는 이들 투명전도성 산화물이 결합된 또 다른 산화물들. Th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indium oxide (In2O3), tin oxide (SnO2), indium tin oxide (ITO), zinc oxide (ZnO), magnesium (MgO), cadmium oxide (CdO), magnesium zinc oxide (MgZnO ), Indium zinc oxide (InZnO), indium tin oxide (InSnO), copper aluminum oxide (CuAlO2), silver oxide (Ag2O), gallium oxide (Ga2O3), zinc tin oxide (ZnSnO), zinc indium tin oxide (ZITO), Or other oxides to which thes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are combined.
상기 투명전도성 질화물(TCN) : 타이타늄질화물(TiN), 크롬질화물(CrN), 텅스텐(WN), 탄탈륨(TaN), 또는 니오븀(NbN). The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TCN): titanium nitride (TiN), chromium nitride (CrN), tungsten (WN), tantalum (TaN), or niobium (NbN).
상기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 인듐(In), 주석(Sn), 아연(Zn), 카드뮴(Cd), 갈륨(Ga),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타이타늄(Ti),몰리브덴늄(Mo), 니켈(Ni),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로듐(Rh), 이리듐(Ir), 루세늄(Ru), 또는 팔라듐(Pd)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산소(O) 및 질소(N)가 반드시 동시에 결합하여 형성된 물질. The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TCON): indium (In), tin (Sn), zinc (Zn), cadmium (Cd), gallium (Ga), aluminum (Al), magnesium (Mg), titanium (Ti), molybdenum Ium (Mo), nickel (Ni), copper (Cu), silver (Ag), gold (Au), platinum (Pt), rhodium (Rh), iridium (Ir), ruthenium (Ru), or palladium (Pd ) A substance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metals as a main component and oxygen (O) and nitrogen (N) must be bonded at the same time.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산화물 및 질화물에 이들 물질들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 3의 물질, 즉 도판트(dopant)를 첨가시킬 수 있다. More preferably, a third material, ie, a dopant, may be added to the above oxides and nitrides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3족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n-type nitride cladding layer)과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p-type nitride cladding layer) 사이에 질화물계 활성층(nitride active layer)을 갖는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roup III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 type nitride cladding layer and a p- type nitride cladding lay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nitride active layer (nitride active layer) between the layers,
가. 기판 상층부에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활성층 및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발광구조체의 상기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적어도 상기한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을 포함하고 있는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end. A multi-layered ohmic contact including at least the above thermally decomposed nitride in an upper portion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 which an en-typ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n active layer and a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Forming an electrode structure;
나. 상기 가 단계를 거쳐서 적층된 다중 전극구조체를 양질의 오믹컨택트층을 형 성하기 위한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 단계에서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은 니켈(Ni), 구리(Cu), 아연(Zn), 인듐(In), 또는 주석(Sn) 등의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성분과 질소(N)가 반드시 결합하여 형성된 물질을 지칭한다. I. And a heat treatment step of forming a high quality ohmic contact layer on the multi-electrode structure laminated through the step of adding, wherein the thermally decomposed nitride is nickel (Ni), copper (Cu), It refers to a material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and nitrogen (N) among metals such as zinc (Zn), indium (In), or tin (Sn).
상기 나 단계에서 행하는 열처리는 100 내지 800도에서 10초 내지 3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at treatment performed in step B is preferably performed at 100 to 800 degrees for 10 seconds to 3 hours.
또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오믹컨택트 전극체가 내장된 반응기내에 질소(N2), 산소(O2), 수소(H2), 공기, 아르곤(Ar), 또는 헬륨(He) 개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heat treatment step is a gas containing at least one of nitrogen (N2), oxygen (O2), hydrogen (H2), air, argon (Ar), or helium (He) gas in the reactor containing the ohmic contact electrode body. Perform in the atmosphe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그룹 3족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group group III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에서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가 적용된 발광 다이오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diode to which the multi-type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세하게는 도 1(a)은 절연성 성장기판인 사파이어(10) 상층부에 적층/성장된 그룹 3족 질화물계 탑에미트형 발광 다이오드(TELED)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반면에 도 1(b)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갖는 기판, 즉 실리콘카바이드(SiC), 아연산화물(ZnO),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또는 이미 많은 문헌 등에서 공지된 일렉트로 프레이팅(electroplating)/본딩 트랜스퍼(bonding transfer)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금속(Cu, Ni, Al, 등) 또는 합금(alloy)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층 상층부에 형성된 그룹 3족 질화물계 탑에미트형 발광 다이오드(TELED)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In detail, FIG. 1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roup III nitride-based top-emitting type light emitting diode (TELED) stacked / grown on an upper layer of
도면1을 참조하면, 발광소자는 기판(10), 저온 핵생성층(20), 질화물계 버퍼층(30),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40), 질화물계 활성층(50),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 오믹컨택트층(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80은 피형 전극패드이고, 90은 엔형 전극패드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여기서, 기판(10)으로부터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까지가 발광구조체에 해당하고,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 상층부에 적층된 구조체가 피형 전극구조체에 해당한다. Here, the
기판(10)은 사파이어(Al2O3), 실리콘카바이드(SiC), 아연산화물(ZnO),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또는 이미 많은 문헌 등에서 공지된 일렉트로프레이팅(electroplating)/본딩 트랜스퍼(bonding transfer)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금속(Cu, Ni, Al, 등) 또는 합금(alloy)등과 같은 물질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저온 핵생성층(20)은 700도 이하의 저온에서 형성된 비정질(amorphous) 질화갈륨(GaN) 또는 질화알루미늄(AlN)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The low
질화물계 버퍼층(30)으로부터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까지의 각 층은 3족 질화물계 화합물의 일반식인 AlxInyGazN(x, y, z : 정수) 중 선택된 어느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여 형성되고,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40) 및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60)은 해당 도펀트가 첨가된다. Each layer from the
또한, 질화물계 활성층(50)은 단층, 다중 양자 우물(multi quantum well : MQW), 다중 양자 점/선(multi quantum dot/wire), 또는 양자 점/선 및 우물이 섞여 있는 층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itride-based
일예로서 질화갈륨(GaN) 화합물을 적용하는 경우, 버퍼층(30)은 GaN으로 형성되고,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40)은 GaN에 엔형 도펀트로서 Si, Ge, Se, Te등이 첨가되어 형성되고, 활성층은 InGaN/GaN MQW 또는 AlGaN/GaN MQW로 형성되며,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은 GaN에 피형 도펀트로서 Mg, Zn, Ca, Sr, Ba 등이 첨가되어 형성된다. For example, when a gallium nitride (GaN) compound is applied, the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40)과 엔형 전극패드(90) 사이에는 엔형 오믹컨택트층(미도시)이 개제될 수 있고, 엔형 오믹컨택트층은 타이타늄(Ti)과 알루미늄(Al)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층구조 등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An en-type ohmic contact layer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en-typ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특허의 핵심기술인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은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 상층부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 즉 니켈(Ni), 구리(Cu), 아연(Zn), 인듐(In), 또는 주석(Sn) 등의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성분과 질소(N) 성분이 반드시 결합된 물질인 질화물이 적층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분해 질화물은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다른 금속 성분들이 도펀트(dopant)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펀트로 적용되는 금속들은 원소 주기율표상에서 금속으로 분류된 원소가 적용된다. Preferably, the pyrolytic nitride may further include other metal components as dopants to control electrical properties. Herein, the metals applied as dopants are applied with elements classified as metals on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고투명 다중 피형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는 열분해 질화물 이외에도 다음과 같이,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서 오믹접촉 전극구조체를 형성하는데 유리한 금속(metal) 및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alloy/solid solution), 일반 전도성 산화물(conducting oxide),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투명전도성 질화물(TCN),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등과 함께 적층 순서와는 무관하게 접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ly transparent multi-type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pyrolytic nitride, metals and metals which are advantageous for forming an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re as follows. Grafting regardless of stacking order with alloy / solid solution, common conducting oxi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TCN),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TCON), etc. Can be formed.
상기 금속(metal) 및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alloy/solid solution) :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금(Au), 로듐(Rh), 루세늄(Ru), 이리듐(Ir), 은(Ag), 아연(Zn), 마그네슘(Mg), 베릴륨(Be), 구리(Cu), 코발트(Co), 주석(Sn), 희토류 금속들(rare earth metal), 또는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 Metals and alloys / solid solutions based on these metals: platinum (Pt), palladium (Pd), nickel (Ni), gold (Au), rhodium (Rh), ruthenium ( Ru, iridium (Ir), silver (Ag), zinc (Zn), magnesium (Mg), beryllium (Be), copper (Cu), cobalt (Co), tin (Sn), rare earth metals ), Or an alloy / solid solution based on these metals.
상기 일반 전도성 산화물(conducting oxide) : 니켈산화물(Ni-O), 로듐산화물(Rh-O), 루세늄산화물(Ru-O),이리듐산화물(Ir-O), 구리산화물(Cu-O), 코발트산화물(Co-O), 텅스텐산화물(W-O), 또는 타이타늄산화물(Ti-O). The general conducting oxide: nickel oxide (Ni-O), rhodium oxide (Rh-O), ruthenium oxide (Ru-O), iridium oxide (Ir-O), copper oxide (Cu-O), Cobalt oxide (Co-O), tungsten oxide (WO), or titanium oxide (Ti-O).
상기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 인듐산화물(In2O3), 주석산화물(SnO2), 인듐주석산화물(ITO), 아연산화물(ZnO), 마그네슘(MgO), 캐드뮴산화물(CdO), 마그네슘아연산화물(MgZnO), 인듐아연산화물(InZnO), 인듐주석산화물(InSnO), 구리알루미늄산화물(CuAlO2), 실버산화물(Ag2O), 갈륨산화물(Ga2O3), 아연주석산화물(ZnSnO), 아연인듐주석산화물(ZITO), 또는 이들 투명전도성 산화물이 결합된 또 다른 산화물들. Th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indium oxide (In2O3), tin oxide (SnO2), indium tin oxide (ITO), zinc oxide (ZnO), magnesium (MgO), cadmium oxide (CdO), magnesium zinc oxide (MgZnO ), Indium zinc oxide (InZnO), indium tin oxide (InSnO), copper aluminum oxide (CuAlO2), silver oxide (Ag2O), gallium oxide (Ga2O3), zinc tin oxide (ZnSnO), zinc indium tin oxide (ZITO), Or other oxides to which thes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are combined.
상기 투명전도성 질화물(TCN) : 타이타늄질화물(TiN), 크롬질화물(CrN), 텅스텐 (WN), 탄탈륨(TaN), 또는 니오븀(NbN). The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TCN): titanium nitride (TiN), chromium nitride (CrN), tungsten (WN), tantalum (TaN), or niobium (NbN).
상기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 인듐(In), 주석(Sn), 아연(Zn), 카드뮴(Cd), 갈륨(Ga),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타이타늄(Ti),몰리브덴늄(Mo), 니켈(Ni),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로듐(Rh), 이리듐(Ir), 루세늄(Ru), 또는 팔라듐(Pd)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산소(O) 및 질소(N)가 반드시 동시에 결합하여 형성된 물질. The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TCON): indium (In), tin (Sn), zinc (Zn), cadmium (Cd), gallium (Ga), aluminum (Al), magnesium (Mg), titanium (Ti), molybdenum Ium (Mo), nickel (Ni), copper (Cu), silver (Ag), gold (Au), platinum (Pt), rhodium (Rh), iridium (Ir), ruthenium (Ru), or palladium (Pd ) A substance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metals as a main component and oxygen (O) and nitrogen (N) must be bonded at the same time.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산화물 및 질화물에 이들 물질들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 3의 물질, 즉 도판트(dopant)를 첨가시킬 수 있다. More preferably, a third material, ie, a dopant, may be added to the above oxides and nitrides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또한,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은 1 나노미터 내지 1000 나노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을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증착온도는 20도 내지 1500도 범위 내에서, 증착기 내의 압력은 대기압 내지 10-12 토르(torr) 정도에서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deposition temperature applied to form the formed multiple
또한,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을 형성한 후에는 열처리(annealing)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annealing)는 반응기내의 온도를 100도 내지 800도에서 진공 또는 가스 분위기에서 10초 내지 3시간 정도 수행한다. 열처리시 반응기 내에 투입되는 가스는 질소, 아르곤, 헬륨, 산소, 수소, 공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가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go an annealing process after the formation of the multilayered
피형 전극패드(80)는 니켈(Ni)/금(Au), 은(Ag)/금(Au), 타이타늄(Ti)/금(Au), 니켈(Ni)/금(Au), 팔라듐(Pd)/금(Au), 또는 크롬(Cr)/금(Au)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층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The
각 층의 형성방법은 전자빔 또는 열 증착기(e-beam or thermal evaporator), 레이저 에너지원을 이용한 PLD(pulsed laser deposition), 이중형의 열증착기(dual-type thermal evaporator) 스퍼터링(sputtering) 등의 물리적인 증착 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 PVD)와 일렉트로플레이팅(electroplating), 금속 유기 화학 증기 증착법(metalo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인 증착 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 CVD)에 의해 형성 된다. The method of forming each layer is physical such as electron beam or thermal evaporator, pulsed laser deposition using laser energy source, dual-type thermal evaporator sputtering, etc. It is form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using chemical reactions such as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electroplating, and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가 적용된 발광 다이오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iode to which the multi-type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세하게는 도 2(a)는 절연성 성장기판인 사파이어(10) 상층부에 적층/성장된 그룹 3족 질화물계 탑에미트형 발광 다이오드(TELED)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반면에 도 2(b)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갖는 기판, 즉 실리콘카바이드(SiC), 아연산화물(ZnO),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또는 이미 많은 문허등에서 공지된 일렉트로프레이팅(electroplating)/본딩 트랜스퍼(bonding transfer)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금속(Cu, Ni, Al, 등) 또는 합금(alloy)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층 상층부에 형성된 그룹 3족 질화물계 탑에미트형 발광 다이오드(TELED)를 나타낸 단면이다. In detail, FIG. 2 (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roup III-nitride-based top-emitting type light emitting diode (TELED) laminated / grown on an upper layer of
무엇보다도 상기한 제 1실시예와는 확연히 다른 적층구조로서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60상층부에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을 형성시키기 전에 터널 정션층(tunnel junction layer : 100)이 삽입된 적층구조를 갖고 있다. First of all, the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이처럼 도입된 터널 정션층(100)은 그룹 3-5족 원소로 구성되는 AlaInbGacNxPyAsz (a, b, c, x, y, z ; 정수)로 표현한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여 50 나노미터(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된 단층(single layer), 바람직하게는 이중층(bi-layer), 삼중층(tri-layer), 또는 그 이상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는 이미 여러 문헌에서 공지된 슈퍼래티스 구조(superlattice structure)를 터널 정션층(100)로 한다. 일예로 InGaN/GaN, AlGaN/GaN, AlInN/GaN, AlGaN/InGaN, AlInN/InGaN, AlN/GaN, 또는 AlGaAs/InGaAs 등처럼 그룹 3-5족 원소들로 형성된 얇은 적층구조로서 반복적으로 최대 30쌍(30 pairs)까지를 적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perlattice structure already known in the literature is referred to as the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룹 2족 원소(Mg, Be, Zn) 또는 그룹 4족 원소(Si, Ge)가 첨가된 단결정(epitaxy), 다결정(poly-crystal), 또는 비정질(amorphous) 물질층을 말한다. More preferably, it refers to a single crystal, poly-crystal, or amorphous material layer to which group group elements (Mg, Be, Zn) or group group elements (Si, Ge) are added.
도면 2를 참조하면, 발광소자는 기판(10), 저온 핵생성층(20), 질화물계 버퍼층(30),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40), 질화물계 활성층(50),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 오믹컨택트층(70), 및 터널 정션층(1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80은 피형 전극패드이고, 90은 엔형 전극패드이다. Referring to FIG. 2,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여기서 기판(10)으로부터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까지가 발광구조체에 해당하고,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 상층부에 적층된 구조체가 피형 전극구조체에 해당한다. The
기판(10)은 사파이어(Al2O3), 실리콘카바이드(SiC), 아연산화물(ZnO), 실리콘 (Si), 갈륨비소(GaAs), 또는 이미 많은 문헌 등에서 공지된 일렉트로프레이팅(electroplating)/본딩 트랜스퍼(bonding transfer)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금속(Cu, Ni, Al, 등) 또는 합금(alloy)등과 같은 물질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저온 핵생성층(20)은 700도 이하의 저온에서 형성된 비정질(amorphous) 질화갈륨(GaN) 또는 질화알루미늄(AlN)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The low
질화물계 버퍼층(30)으로부터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까지의 각 층은 3족 질화물계 화합물의 일반식인 AlxInyGazN(x, y, z : 정수) 중 선택된 어느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여 형성되고,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40) 및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은 해당 도펀트가 첨가된다. Each layer from the
또한, 질화물계 활성층(50)은 단층, 다중 양자 우물(multi quantum well : MQW), 다중 양자 점/선(multi quantum dot/wire), 또는 양자 점/선 및 우물이 섞여 있는 층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itride-based
일예로서 질화갈륨(GaN) 화합물을 적용하는 경우, 버퍼층(30)은 GaN으로 형성되고,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40)은 GaN에 엔형 도펀트로서 Si, Ge, Se, Te등이 첨가되어 형성되고, 활성층은 InGaN/GaN MQW 또는 AlGaN/GaN MQW로 형성되며,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은 GaN에 피형 도펀트로서 Mg, Zn, Ca, Sr, Ba 등이 첨가되어 형성된다. For example, when a gallium nitride (GaN) compound is applied, the
엔형 질화물계 클래드층(40)과 엔형 전극패드(90) 사이에는 엔형 오믹컨택트층(미도시)이 개제될 수 있고, 엔형 오믹컨택트층은 타이타늄(Ti)과 알루미늄(Al)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층구조 등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An en-type ohmic contact layer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en-typ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특허의 핵심기술인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은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 상층부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 즉 니켈(Ni), 구리(Cu), 아연(Zn), 인듐(In), 또는 주석(Sn) 등의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성분과 질소(N) 성분이 반드시 결합된 물질인 질화물이 적층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분해 질화물은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다른 금속 성분들이 도펀트(dopant)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펀트로 적용되는 금속들은 원소 주기율표상에서 금속으로 분류된 원소가 적용된다. Preferably, the pyrolytic nitride may further include other metal components as dopants to control electrical properties. Herein, the metals applied as dopants are applied with elements classified as metals on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고투명 다중 피형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는 열분해 질화물 이외에도 다음과 같이,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서 오믹접촉 전극구조체를 형성하는데 유리한 금속(metal) 및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alloy/solid solution), 일반 전도성 산화물(conducting oxide),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투명전도성 질화물(TCN),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등과 함께 적층 순서와는 무관하게 접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ly transparent multi-type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pyrolytic nitride, metals and metals which are advantageous for forming an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re as follows. Grafting regardless of stacking order with alloy / solid solution, common conducting oxi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TCN),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TCON), etc. Can be formed.
상기 금속(metal) 및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alloy/solid solution) :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금(Au), 로듐(Rh), 루세늄(Ru), 이리듐(Ir), 은(Ag), 아연(Zn), 마그네슘(Mg), 베릴륨(Be), 구리(Cu), 코발트(Co), 주석(Sn), 희토류 금속들(rare earth metal), 또는 이들 금속을 모체로 하는 합금/고용체. Metals and alloys / solid solutions based on these metals: platinum (Pt), palladium (Pd), nickel (Ni), gold (Au), rhodium (Rh), ruthenium ( Ru, iridium (Ir), silver (Ag), zinc (Zn), magnesium (Mg), beryllium (Be), copper (Cu), cobalt (Co), tin (Sn), rare earth metals ), Or an alloy / solid solution based on these metals.
상기 일반 전도성 산화물(conducting oxide) : 니켈산화물(Ni-O), 로듐산화물(Rh-O), 루세늄산화물(Ru-O),이리듐산화물(Ir-O), 구리산화물(Cu-O), 코발트산화물(Co-O), 텅스텐산화물(W-O), 또는 타이타늄산화물(Ti-O). The general conducting oxide: nickel oxide (Ni-O), rhodium oxide (Rh-O), ruthenium oxide (Ru-O), iridium oxide (Ir-O), copper oxide (Cu-O), Cobalt oxide (Co-O), tungsten oxide (WO), or titanium oxide (Ti-O).
상기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 인듐산화물(In2O3), 주석산화물(SnO2), 인듐주석산화물(ITO), 아연산화물(ZnO), 마그네슘(MgO), 캐드뮴산화물(CdO), 마그네슘아연산화물(MgZnO), 인듐아연산화물(InZnO), 인듐주석산화물(InSnO), 구리알루미늄산화물(CuAlO2), 실버산화물(Ag2O), 갈륨산화물(Ga2O3), 아연주석산화물(ZnSnO), 아연인듐주석산화물(ZITO), 또는 이들 투명전도성 산화물이 결합된 또 다른 산화물들. Th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indium oxide (In2O3), tin oxide (SnO2), indium tin oxide (ITO), zinc oxide (ZnO), magnesium (MgO), cadmium oxide (CdO), magnesium zinc oxide (MgZnO ), Indium zinc oxide (InZnO), indium tin oxide (InSnO), copper aluminum oxide (CuAlO2), silver oxide (Ag2O), gallium oxide (Ga2O3), zinc tin oxide (ZnSnO), zinc indium tin oxide (ZITO), Or other oxides to which thes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are combined.
상기 투명전도성 질화물(TCN) : 타이타늄질화물(TiN), 크롬질화물(CrN), 텅스텐(WN), 탄탈륨(TaN), 또는 니오븀(NbN). The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TCN): titanium nitride (TiN), chromium nitride (CrN), tungsten (WN), tantalum (TaN), or niobium (NbN).
상기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 인듐(In), 주석(Sn), 아연(Zn), 카드뮴(Cd), 갈륨(Ga),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타이타늄(Ti),몰리브덴늄(Mo), 니켈(Ni),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로듐(Rh), 이리듐(Ir), 루세늄(Ru), 또는 팔라듐(Pd)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산소(O) 및 질소(N)가 반드시 동시에 결합하여 형성된 물질. The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TCON): indium (In), tin (Sn), zinc (Zn), cadmium (Cd), gallium (Ga), aluminum (Al), magnesium (Mg), titanium (Ti), molybdenum Ium (Mo), nickel (Ni), copper (Cu), silver (Ag), gold (Au), platinum (Pt), rhodium (Rh), iridium (Ir), ruthenium (Ru), or palladium (Pd ) A substance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metals as a main component and oxygen (O) and nitrogen (N) must be bonded at the same time.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산화물 및 질화물에 이들 물질들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 3의 물질, 즉 도판트(dopant)를 첨가시킬 수 있다. More preferably, a third material, ie, a dopant, may be added to the above oxides and nitrides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또한,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은 1 나노미터 내지 1000 나노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을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증착온도는 20도 내지 1500도 범위내에서, 증착기 내의 압력은 대기압 내지 10-12 토르(torr) 정도에서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deposition temperature applied to form the shaped multiple
또한,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을 형성한 후에는 열처리(annealing)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annealing)는 반응기내의 온도를 100도 내지 800도에서 진공 또는 가스 분위기에서 10초 내지 3시간 정도 수행한다. 열처리시 반응기 내에 투입되는 가스는 질소, 아르곤, 헬륨, 산소, 수소, 공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가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go an annealing process after the formation of the multilayered
피형 전극패드(80)는 니켈(Ni)/금(Au), 은(Ag)/금(Au), 타이타늄(Ti)/금(Au), 니켈(Ni)/금(Au), 팔라듐(Pd)/금(Au), 또는 크롬(Cr)/금(Au)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층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The
각 층의 형성방법은 전자빔 또는 열 증착기(e-beam or thermal evaporator), 레이저 에너지원을 이용한 PLD(pulsed laser deposition), 이중형의 열증착기(dual-type thermal evaporator) 스퍼터링(sputtering) 등의 물리적인 증착 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 PVD)와 일렉트로플레이팅(electroplating), 금속 유기 화학 증기 증착법(metalo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인 증착 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 CVD)에 의해 형성 된다. The method of forming each layer is physical such as electron beam or thermal evaporator, pulsed laser deposition using laser energy source, dual-type thermal evaporator sputtering, etc. It is form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using chemical reactions such as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electroplating, and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2실시예에 따른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 상층부에 형성되는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70)의 여러 적층 형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stacked shapes of the multiple-type ohmic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70)는 상기한 바와 같 이, 니켈(Ni), 구리(Cu), 아연(Zn), 인듐(In), 또는 주석(Sn) 등의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과 질소(N)가 반드시 결합된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을 적어도 한층 이상 포함하고 단층 또는 두층 이상의 다중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ulti-ohmic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보인 바와 같이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단층(70a)으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금속, 합금, 고용체, 일반 전도성 산화물,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투명전도성 질화물, 또는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등과 같이 적층순서와는 무관하게 접목한 도 3(b), 3(c), 또는 3(d) 등의 다중형태가 좋다. More preferably, metal, alloy, solid solution, general conductive oxi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rather than being formed of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TC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층부에 나노미터크기 규모 파티클(nanometer scale particle)을 도입시킨 후에 형성되는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p-type multi ohmic contact layer)의 여러 적층 형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4 is a p- type multi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formed after introducing nanometer scale particles into an upper layer of a nitride-based cladding lay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stacked forms of layers).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 전극구조체(70)를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60) 상층부에 형성시키기 전에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클래드층(60)과 전극구조체(70) 사이의 계면에서 캐리어들의 전하 흐름(charge transport)을 조절하는 쇼키배리어의 높이 및 폭(Schottky barrier height and width)을 조절할 수 있는 금속(metal), 합금(alloy), 고용체(solid solution), 일반 전도성 산화물(conducting oxide),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투명전도성 질화물(TCN),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또는 열분해 질화물로 구성된 나노미터크기 규모 파티클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니켈(Ni), 구리(Cu), 아연(Zn), 인듐(In), 또는 주석(Sn) 등의 금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성분과 질소(N) 성분이 반드시 결합된 열분해 질화물을 적어도 한층 이상 포함하고 단층 또는 두층 이상의 다중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rrie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group III-nitride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a)에 보인 바와 같이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 단층(70a)으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금속, 합금, 고용체, 일반 전도성 산화물,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투명전도성 질화물, 또는 투명전도성 질소산화물(TCON)등과 같이 적층순서와는 무관하게 접목한 도 4(b), 4(c), 또는 4(d) 등의 다중형태가 좋다. More preferably, metal, alloy, solid solution, general conductive oxi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rather than being formed of transparent conductive nitrogen oxide (TCON)
바람직한 피형 다중 오믹컨택트층(70) 일예들로, 니켈질화물(Ni-N)/인듐주석산화물(ITO) 또는 아연산화물(ZnO), 니켈질화물(Ni-N)/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구리질화물(Cu-N)/루세늄(Ru)/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주석질화물(Sn-N)/이리듐(Ir)/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니켈질화물(Ni-N)/은(Ag)/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아연질화물(Zn-N)/루세늄산화물(Ru-O)/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주석질화물(Sn-N)/이리듐산화물(Ir-O)/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니켈질화물(Ni-N)/은(Ag) 또는 금(Au)/인듐주석산화물(ITO) 또는 아연산화물(ZnO), 주석질화물(Sn-N)/루세늄(Ru)/은(Ag) 또는 금(Au)/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구리질화물(Cu-N)/이리듐(Ir)/은(Ag) 또는 금(Au)/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니켈질화물(Ni-N)/니켈산화물(Ni-O)/은(Ag) 또는 금(Au)/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주석질화물(Sn-N)/루세늄산화 물(Ru-O)/은(Ag) 또는 금(Au)/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아연질화물(Zn-N)/이리듐산화물(Ir-O)/은(Ag) 또는 금(Au)/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구리질화물(Cu-N)/인듐주석산화물(ITO) 또는 아연산화물(ZnO)/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 니켈질화물(Ni-N)/인듐주석질소산화물(ITON) 또는 아연질소산화물(ZnON)/인듐주석산화물(ITO) 또는 아연산화물(ZnO) 등의 여러 각종 적층구조가 있다. Examples of preferred multi-type ohmic contact layers 70 include nickel nitride (Ni-N) / indium tin oxide (ITO) or zinc oxide (ZnO), nickel nitride (Ni-N)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Copper Nitride (Cu-N) / Ruthenium (Ru)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Tin Nitride (Sn-N) / Iridium (Ir)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Nickel Nitride (Ni-N) / Silver (Ag)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Zinc Nitride (Zn-N) / Ruthenium Oxide (Ru-O)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Tin Nitride (Sn-N) / Iridium Oxide (Ir-O)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nickel nitride (Ni-N) / silver (Ag) or gold (Au) / indium tin oxide (ITO) or zinc oxide (ZnO), tin nitride (Sn-N) / rucenium (Ru) / Silver (Ag) or Gold (Au)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ation (ZnON), copper nitride (Cu-N) / iridium (Ir) / silver (Ag) or gold (Au) / indium tin nitrous oxide (ITON) or zinc nitrous oxide (ZnON), nickel nitride (Ni-N) / Nickel Oxide (Ni-O) / Silver (Ag) or Gold (Au)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Tin Nitride (Sn-N) / Ruenium Oxide (Ru-O) / Silver (Ag) or Gold (Au)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Zinc Nitride (Zn-N) / Iridium Oxide (Ir-O) / Silver (Ag) or Gold (Au )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ZnON), Copper Nitride (Cu-N) / Indium Tin Oxide (ITO) or Zinc Oxide (ZnO) / Indium Tin Nitrogen Oxide (ITON) or Zinc Nitrogen Oxide ( ZnON), nickel nitride (Ni-N) / indium tin nitrous oxide (ITON) or zinc nitrous oxide (ZnON) / indium tin oxide (ITO) or zinc oxide (ZnO) has various laminated structures.
본 발명에서 고안 제시된 고투명 피형 다중오믹컨택트층으로 구성된 전극 구조체는 절연성 물질인 사파이어 기판 상층부에 형성 제조된 그룹 3족 질화물계 상부 발광 다이오드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으로 절연성 기판물질이 아닌 전도성 기판들, 즉 Si, SiC, GaAs, ZnO, 또는 MgZnO 등과 같은 기판 상부에 형성 제조된 그룹 3족 질화물계 수직형 상부 발광 다이오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The electrode structure composed of the high-transparent, multi-ohmic contact layer designed an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Group III nitride-based upper light emitting diode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sapphire substrate, which is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not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bstrate materia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group III-nitride-type vertical top light emitting diode formed on a substrate such as Si, SiC, GaAs, ZnO, or MgZnO.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3족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전기 및 광학적 특성이 일반금속, 투명전도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이용한 투명전도성 박막전극보다 훨씬 더 뛰어난 질화물계 피형 오믹전극 특성을 지닌 열분해 질화물(thermally decomposed nitride)을 그룹 3족 질화물계 상부 발광 다이오드의 피형 오믹전극으로 적용함으로써 피형 질화물계 클래드층과의 오믹접촉 계면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우수한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투명전극이 가져야 하는 높은 빛투과도로 인해 고효율 고휘도 그룹 3족 질화물계 상부 발광 발광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so far, according to the Group III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a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electrode using the general metal,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or nitride. Thermally decomposed nitride, which has better nitride-based ohmic electrode characteristics, is applied as a type ohmic electrode of a group III nitride-based upper light emitting diode to dramatically improve the ohmic contact interface property with the nitride-based cladding layer. In addition to exhibiting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the high-light transmittance that the transparent electrode must have makes it possible to fabricate a high-efficiency, high-brightness group III-nitride top light emitting device.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30225A KR100794305B1 (en) | 2005-12-27 | 2005-12-27 | Optic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PCT/KR2006/004426 WO2007074969A1 (en) | 2005-12-27 | 2006-10-27 | Group-iii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
| JP2008548372A JP5244614B2 (en) | 2005-12-27 | 2006-10-27 | Group III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
| CN200680049728.7A CN101351898B (en) | 2005-12-27 | 2006-10-27 | Group III Nitride Light-Emitting Devices |
| US12/159,084 US7910935B2 (en) | 2005-12-27 | 2006-10-27 | Group-III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30225A KR100794305B1 (en) | 2005-12-27 | 2005-12-27 | Optic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68534A KR20070068534A (en) | 2007-07-02 |
| KR100794305B1 true KR100794305B1 (en) | 2008-01-11 |
Family
ID=3850441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130225A Active KR100794305B1 (en) | 2005-12-27 | 2005-12-27 | Optic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94305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54729B1 (en) | 2008-06-12 | 2010-04-23 |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with INNN quantum island capping layer |
| CN103400917A (en) * | 2008-04-21 | 2013-11-20 | Lg伊诺特有限公司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47676B1 (en) * | 2007-12-17 | 2010-03-16 | 주식회사 에피밸리 |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101025948B1 (en) * | 2007-12-21 | 2011-03-30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WO2009110539A1 (en) * | 2008-03-06 | 2009-09-11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lamp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
| KR100946102B1 (en) * | 2008-03-31 | 2010-03-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63293A (en) * | 2003-12-22 | 2005-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Flip-chip light emitting di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20050091579A (en) * | 2004-03-12 | 2005-09-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2005
- 2005-12-27 KR KR1020050130225A patent/KR1007943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63293A (en) * | 2003-12-22 | 2005-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Flip-chip light emitting di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20050091579A (en) * | 2004-03-12 | 2005-09-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400917A (en) * | 2008-04-21 | 2013-11-20 | Lg伊诺特有限公司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100954729B1 (en) | 2008-06-12 | 2010-04-23 |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with INNN quantum island capping lay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68534A (en) | 2007-07-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487344B2 (en) |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CN101331620B (en) |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US7910935B2 (en) | Group-III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 |
| KR100706796B1 (en) | Nitride-type top emitte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CN101351898B (en) | Group III Nitride Light-Emitting Devices | |
| KR100720101B1 (en) | Top-Emitt Type Nitride Light Emitting Diode Using Nanostructured Multifunctional Ohmic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JP5084099B2 (en) | Top-emitting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20070046224A (en) | Structure f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100832102B1 (en) | Structure for Light-Emit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Element | |
| KR100794305B1 (en) | Optic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784384B1 (en) |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20060007948A (en) | Top-Emitt type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784382B1 (en) | Optic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20070099076A (en) | Fabrication of Group III-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by developing high-performance ohmic contact electrode structure | |
| KR100611642B1 (en) | Top-Emitt type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611639B1 (en) | Top-Emitt type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601971B1 (en) | Top emitt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 KR100574105B1 (en) | Top-Emitt type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574104B1 (en) | Flip chip type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574103B1 (en) | Flip chip type 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70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