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587B1 -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Google Patents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5587B1 KR100795587B1 KR1020060104482A KR20060104482A KR100795587B1 KR 100795587 B1 KR100795587 B1 KR 100795587B1 KR 1020060104482 A KR1020060104482 A KR 1020060104482A KR 20060104482 A KR20060104482 A KR 20060104482A KR 100795587 B1 KR100795587 B1 KR 1007955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key
- temporary key
- message
- tempor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GNFTZDOKVXKIBK-UHFFFAOYSA-N 3-(2-methoxyethoxy)benzohydrazide Chemical compound COCCOC1=CC=CC(C(=O)NN)=C1 GNFTZDOKVXKIBK-UHFFFAOYSA-N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 및 그의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의 전자키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로부터 임시키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임시키 전송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체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키와 매칭되는 임시키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임시키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임시키를 저장하도록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제2 단말기로부터 임시키 저장에 따른 응답을 수신한다.The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temporary key transmission request from a first terminal and generates a temporary key matching with an electronic key for performing lock / unlock of the door lock device which is sto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emporary key transmission request. The first control message is then transmitted to the temporary terminal to store the temporary key based on the generated temporary key. Then, a response according to the temporary key stor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방문자의 이동 단말기로 임시키를 제공함으로써, 방문자의 방문 시에 도어락 장치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temporary key to the visitor's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it can be expected to effect that the door lock device can be easily released when the visitor visit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키 제공 시스템의 전자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4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key providing method of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자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임시 키를 발급을 위한 전자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a temporary key capable of releasing a door lock.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보안성과 사용성이 뛰어난 잠금 장치를 많이 사용한다. 기존의 기계식이었던 잠금 장치는 점차 디지털식이나 더 나아가 지문과 같 은 생체 인식 가능한 잠금장치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렇게 발전된 잠금 장치는 통상"도어락(Door Locker)"이라 칭해진다.Many homes and offices use locks that are highly secure and easy to use. Conventional mechanical locks are increasingly being developed into digital or even biometric locks, such as fingerprints, which are commonly referred to as "Door Lockers."
도어락의 종류에는 비밀 번호 입력 인식이나 지문인식, 홍채인식, 음성인식 등 다양한 방식들이 있으며, 예컨데 비밀번호 입력과 지문 인식 등 두 가지가 결합된 방식의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door locks such as password input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and voice recognition. For example, door locks in which a combination of the two, such as password input and fingerprint recognition, are mainly used.
또한, 보안의 중요성에 의해 근래의 도어락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도어락 잠김/해제 등에 따라 도어락의 활성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문자로 제공하도록 진보되었다.In addition, due to the importance of security, door locks have recently been connected with a network, and have been advanced to provide text information on the activation of door locks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door lock locking / unlocking.
이러한, 도어락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 2005-0118455호에 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가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RF(Radio Frequency) 무선부와 적외선 송출부를 포함하여 도어락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도어락에 대한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uch a door lock, there is a "door lock control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118455. This prior art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locking / unlocking a door lock by generating a door lock control signal including a radio frequency (RF) radio unit and an infrared ray transmitting unit.
또한, 도어락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2005-0121086호에 "씨아이디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개패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발신자 식별번호(CID)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어락 장치에 CID를 인식할 수 있는 통신 및 제어 모듈을 탑재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a door lock,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121086 discloses a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using a CD".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a caller identification number (CID), and discloses a technology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igital door lock by mounting a communication and control module that can recognize the CID in the door lock device.
한편,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 장치들은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다양한 도어락 개폐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등록된 사용자(등록된 RF무선 장치를 갖고 있거나, 등록된 CID를 갖는 장치를 갖은 사용자를 포함함.)만이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락을 인증할 수 있는 장치를 분실할 경우에 도어락을 개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thes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s disclose various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techniqu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ut only registered users (including a user who has a registered RF wireless device or a device having a registered CID). Since the door lock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oor lock can not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device capable of authenticating the door lock is lost.
또한, 출입/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는 사용자가 도착할 때까지 도어락을 개폐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who is not permitted to access / use cannot open or close the door lock until the user arrives,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임시 키를 발급을 위한 전자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 및 그의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a temporary key that can release a door lock, and a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제1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하며, 도어락 장치와 제2 통신망 통해 연결되는 전자키 제공 시스템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nd is connected through a door lock de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해제할 수 있는 전자키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로의 임시키 전송/삭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키에 대응되는 임시키를 전달 또는 삭제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하는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 및 상기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로부터 임시키 전달/삭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임시키 전달/삭제 요청을 기초로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임시키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도록 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여기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특정 메시지 형식에 따라 인캡슐화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장치를 더 포함한다.Stores an electronic key for locking / unlocking the door lock device, and receives or requests a temporary key transmission / deletion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to transfer or delete the temporary key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key. A wireless information service device generating a request; And receiving a temporary key transfer / deletion request from the wireless information service device, and generating a remote control command to allow the second terminal to store or delete the temporary key based on the temporary key transfer / deletion request. And a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transmitting to the second terminal. Here, a control message which receives the remote control command from the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encapsulates the remot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specific message format to the second terminal.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essage service device for transmitting.
여기서, 상기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로의 임시키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임시키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상기 임시키 전달 요청을 하는 특징을 갖는다.Here, when receiving the temporary key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the wireless information service device includes the temporary key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It has the feature of making a temporary key transfer reques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제1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하며, 도어락 장치와 제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키 제공 시스템의 전자키 제공 방법은,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via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he electronic key providing method of the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is connected via the door lock devic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임시키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임시키 전송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체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키와 매칭되는 임시키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임시키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임시키를 저장하도록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임시키 저장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receiving a temporary key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b) generating a temporary key matched with an electronic key for performing lock / release of the door lock device previously stored according to the temporary key transmission request; c)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message to store the temporary key to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generated temporary key; And d) receiving a response according to the temporary key storage from the second terminal.
여기서, 상기 c) 단계는,Here, step c),
c-1) 상기 생성된 임시키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임시키를 저장하도록 원격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생성된 원격 제어 명령을 특정 메시지 형식에 따라 인캡슐화한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 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1) generating a remote control command to store the temporary key in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generated temporary key; And c-2) transmitting the first control message encapsulated according to a specific message format to the second terminal.
여기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Here, after step d),
e) 상기 도어락 장치로부터 도어락 해제 알림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임시키 삭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g) 상기 임시키 삭제 요청에 따라 임시키 삭제를 위한 제2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 receiving a door lock release notification from the door lock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oor lock notification to the first terminal; f) receiving the temporary key deletion request of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first terminal; g) generating a second control message for deleting a temporary key according to the temporary key deletion request; And h) transmitting the second control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는,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connected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통신부; 저장된 전자키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의 잠김/해제를 수행하며, 임시키 저장/삭제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임시키를 저장/삭제를 수행하는 키(Key) 저장 모듈; 및 상기 통신부, 상기 키 저장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시스템으로 임시키 전달/삭제를 위한 요청을 하고,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메시지 형식의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키 저장 모듈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base station, and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the base station; A key storage module configured to lock / unlock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stored electronic key, and to store / delete the temporary key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storing / deleting the temporary key;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key storage module, making a request for temporary key transfer / deletion to the system,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in a specific message format from the system,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key storage module. It includes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키 저장 모듈은,Here, the key storage module,
상기 전자키 및 상기 임시키를 저장하는 키 저장 모듈; 상기 전자키 또는 임시키를 기초로 생성한 제1 신호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송신하는 RFID 모듈;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키 저장 모듈, RFID 모듈을 제어하는 관리 모듈을 포함 한다.A key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electronic key and the temporary key; An RFID module for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electronic key or the temporary key to the door lock device; And a management module for controlling the key storage module and the RFID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도어락 장치로 특정 ID(Identification)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이 포함된 단말기의 전자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key for a terminal connected to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ing a module for transmitting a 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to a door lock device. Is,
a)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임시키 저장를 위한 제1 제어 명령이 포함된 특정 형식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b) 상기 제1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임시키를 저장하는 기능; 및 c) 상기 저장된 임시키를 이용하여 상기 ID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a) receiving from the system a message of a particular format including a first control command for storing a temporary key; b) storing said temporary key in accordance with said first control command; And c) transmitting the ID signal using the stored temporary key.
여기서, c)단계 이후에,Where after step c),
d)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임시키 삭제를 위한 제2 제어 명령이 포함된 특정 형식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및 e) 상기 제2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임시키를 삭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d) receiving from the system a message of a particular format including a second control command for deleting the temporary key; And e) deleting the temporary key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comman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 또는 "--부"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module" or "--part" described herein refers to one unit for processing a specific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implement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 및 그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for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키 제공 시스템을 통한 임시키 전송에 대하여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로 나누어 설명하며, 제1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이고, 제2 이동 단말기는 방문자가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bile terminal is divided into a first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ing the temporary key transmission through the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used,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used by the visitor.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키 제공 시스템은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 및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를 포함하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된 기지국(200)과 무선링크로 접속된 제1 이동 단말기(100) 및 제2 이동 단말기(110)가 연결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도어락 장치(300)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WISE; Wireless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600)는 이동 단말기(100, 110)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 이동 단말기(100, 110)에 포함된 UICC(Universal IC Card; 이하, "UICC"라고도 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한다. 특히,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는 UICC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키(Electronic Key)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2 이동 단말기(110)로의 임시키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저장되어 있는 전자키를 임시키로 할당하여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 해당 임시키와 제2 이동 단말기(110)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임시키 전달 요청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키는 도어락 장치(300)와 매칭되는 키값으로, 도어락 장치(300)의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키값이다.The wireless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WISE) 600 is a device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of the
또한,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는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2 이동 단말기(110)로의 임시키 삭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 해당 임시키 삭제를 요청한다.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 등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로,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부터 OTA(Over-The-Air; 이하 "OTA"라고도 함.) 메시지를 수신하여 SMS 메시지로 인캡슐화한 후 인캡슐화한 SMS 메시지를 제1 이동 단말기(100) 및 제2 이동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The
또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는 도어락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잠김/해제 메시지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1 이동 단말기(100)로 잠김/해제를 알리기 위한 잠김/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로 SMS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이용하였지만,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의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MS message service to the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UMC; USIM Management Center)(400)는 OTA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이동 단말기(100,110)의 UICC에 대한 원격 관리를 수행한다.The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UMC) 400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OTA service and performs remote management of the UICC of the
여기서,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로부터 임시키 전달 요청 또는 임시키 삭제 요청을 수신하여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로 임시키 저장 또는 임시키 삭제를 위한 OTA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Here, the subscriber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전자키가 저장된 UICC를 포함하고, 무선링크를 통해 기지국(200)에 접속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UICC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에 의해 원격 관리된다. The first
이때,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이동 단말기(110)로 임시키가 저장/ 삭제될 수 있도록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로 요청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제2 이동 단말기(110)는 UICC를 포함하고, 무선링크를 통해 기지국(200)에 접속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이동 단말기(110)에 포함된 UICC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에 의해 원격 관리된다.The second
이때, 제2 이동 단말기(110)는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인캡슐화된 SMS메시지에 포함된 임시키 저장을 위한 OTA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OTA 메시지를 기초로 임시키를 저장한다. 이때, 임시키 저장은 UICC의 EF DATA 중에 RFID 응용과 공유되어 키(Key)로 사용하는 항목을 임시키로 변경하여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second
또한, 제2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임시키 삭제 요청을 인캡슐화된 SMS 메시지로 수신하고, 수신된 OTA 메시지를 기초로 저장된 임시키를 삭제한다. 이때, 임시키 삭제는 임시키 저장과 대응되어 저장된 EF DATA 중에 RFID 응용과 공유되어 키로 사용하는 항목을 널(Null)값으로 변경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도어락 장치(3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이동 단말기(100, 110)에 포함된 UICC의 RFID 신호의 전자키값과 대응되어 잠김/해제를 수행하며, 잠김/해제를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로 알린다.The
이러한, 전자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방문자의 이동 단말기로 임시키를 제공함으로써, 방문자의 방문 시에 도어락 장치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큰 장점이 있다.Such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provides a temporary key to a visitor's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o that the door lock device can be easily released when the visitor visits.
다음은 전자키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로 OTA 메시지를 통해 임시키를 제공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providing a temporary key through an OTA message from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to a mobi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통신부(420), OTA 메시지 생성부(430), 데이터베이스(440) 및 제어부(4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ubscriber
통신부(42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1에 도시한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 제1 이동 단말기(100) 및 제2 이동 단말기(11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The
OTA 메시지 생성부(430)는 이동 단말기(100, 110)의 UICC에 저장된 정보를 삽입/변경/삭제하기 위한 OTA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특히, OTA 메시지 생성부(430)는 EF DATA 중에 RFID 응용과 공유되어 키로 사용하는 항목에 임시키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도록 UICC를 제어하기 위한 OTA 메시 지를 생성한다.In particular, the
데이터베이스(440)는 이동 단말기(100, 110)에 대한 정보(사용자 정보, 전화번호, UICC 정보, 아이피 주소, 포트 주소)등을 저장한다.The
제어부(410)는 통신부(420), OTA 메시지 생성부(430), 데이터베이스(440)를 제어 및 관리하며, 통신부(420)를 통해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로부터 수신된 임시키 전달/삭제 요청에 따라 OTA 메시지 생성부(430)를 제어하며, OTA 메시지 생성부(430)로부터 생성된 OTA 메시지를 통신부(420)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로 전달한다.The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110)는 디스플레이부(101), 통신부(102), 메시지부(104), UICC(105) 및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디스플레이부(101)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통신부(102)는 상기 도1에 도시한 기지국(2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02 include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ICC(105)는 키 저장 모듈(107), RFID 모듈(108) 및 관리 모듈(106)을 포함하며, OTA 메시지에 기초하여 키 저장 모듈(107)에 임시키를 저장/삭제한다.The
키 저장 모듈(107)은 전자키 정보 및 임시키 정보를 저장한다.The
RFID 모듈(108)은 저장되어 있는 전자키 정보 또는 임시키 정보를 기초로 도어락 장치(300)로 RFID 신호를 송출한다.The
관리 모듈(106)은 OTA 메시지에 기초하여 키 저장모듈(107)의 EF DATA 중에 RFID 응용과 공유되어 키(Key)로 사용하는 항목의 값을 변경하여 임시키를 저장하거나 삭제한다. 즉, OTA 메시지가 임시키 저장에 따른 메시지이면, EF DATA 중에 RFID 응용과 공유되어 키(Key)로 사용하는 항목의 값에 OTA 메시지에 포함된 임시키를 저장하고, OTA 메시지가 임시키 삭제에 따른 메시지이면, EF DATA 중에 RFID 응용과 공유되어 키(Key)로 사용하는 항목의 값을 Null로 변경한다.The
제어부(103)는 통신부(102) 및 디스플레이부(101)를 제어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로 도어락 장치(300)의 잠김/해제를 위한 임시키 저장/삭제를 요청한다. 이때, 요청에는 임시키 저장/삭제를 할 이동 단말기(100, 110)의 정보가 포함된다.The
또한, 제어부(103)는 통신부(102)로부터 수신된 SMS 메시지에 포함된 OTA 메시지를 UICC(105)에 제공하고, UICC(105)의 동작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키 제공 시스템의 전자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4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key providing method of a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키 제공 시스템은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2 이동 단말기(110)로의 임시키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임시키 전송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4, the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temporary key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first
이때,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2 이동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방문자로부터 SMS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전화 통화를 통해 도어락 장치의 임시키를 요청한 상태라고 가정한다.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a user of the first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이동 단말기(110)로 임시키 전송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로 도어락 장치(300)의 잠김을 해제할 수 있는 임시키를 제2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하도록 임시키 전송을 요청한다(S100).The first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는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임시키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임시키를 검색한다(S102). 그리고 나서,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는 제2 이동 단말기(100)로 검색된 임시키를 전달하도록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 요청한다(S104).The wireless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로부터 임시키 요청을 전달받고, 제2 이동 단말기(110)로 임시키를 전달하기 위한 OTA 메시지를 생성한다(S106). 이때, OTA 메시지는 임시키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다.The subscriber
그리고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생성된 OTA 메시지를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로 전송한다.The subscriber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는 OTA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OTA 메시지를 인캡슐화한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108).The
제2 이동 단말기(110)는 수신된 SMS 메시지에 포함된 OTA 메시지를 기초로 임시키를 저장하고(S110), 저장된 임시키를 기초로 도어락 장치(300)에 인증을 수 행한다(S112). 이때, 임시키는 UICC(105)의 EF DATA 중에 RFID 응용과 공유되어 키(Key)로 사용하는 항목을 변경하여 저장한다.The second
여기서, 제2 이동 단말기(110)는 임시키 저장에 따른 알림을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 알린다(S111).Here, the second
도어락 장치(300)는 제2 이동 단말기(11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락 장치(300)의 도어락이 해제되었음을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로 알린다(S114).When the authentication for the second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는 도어락 장치(300)로부터 도어락 해제를 수신하고, 해당 제1 이동 단말기(100)로 도어락 해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114).The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도어락 해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증에 따른 도어락 장치(300)가 해제되었음을 알린다.The first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도어락 장치 해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임시키 삭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에 따라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로 임시키 삭제를 요청한다(S116).The first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는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임시키 삭제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 임시키 삭제를 요청한다(S118).The wireless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무선 정보 서비스 장치(600)로부터 임시키 삭제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이동 단말기(110)에 저장된 임시키를 삭제하기 위한 OTA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로 전송한다(S120).The subscriber
메시지 서비스 장치(500)는 수신된 OTA 메시지를 인캡슐화한 SMS 메시지를 제2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122).The
제2 이동 단말기(110)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SMS 메시지에 포함된 OTA 메시지를 기초로 UICC(105)에 저장되어 있는 임시키를 삭제한다(S124). 그리고 나서, 제2 이동 단말기(110)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 임시키가 삭제되었음을 알린다(S125).The second
이때, 임시키는 UICC(105)의 EF DATA 중에 RFID 응용과 공유되어 키(Key)로 사용하는 항목의 값을 Null로 변경하여 삭제된다.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item which is shared with the RFID application and used as a key in the EF DATA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을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방문자의 이동 단말기로 임시키를 제공함으로써, 방문자의 방문 시에 도어락 장치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temporary key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visitor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request by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release the door lock device when the visitor visits.
특히, 전자키를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고, 전자키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도어락 장치를 잠금/해제 할 수 있는 전자키를 요청하여 이동 단말기로 임시 저장함으로써, 분실/삭제등에 의한 전자키 소실에 대하여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으며, 도어락 장치의 이용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n electronic key, the user who holds the electronic key requests an electronic key for locking / unlocking the door lock device and temporarily stores it in the mobil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nic key from being lost or deleted. Effective coping can be achieved,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se of the door lock device can be expected.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4482A KR100795587B1 (en) | 2006-10-26 | 2006-10-26 |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4482A KR100795587B1 (en) | 2006-10-26 | 2006-10-26 |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95587B1 true KR100795587B1 (en) | 2008-01-21 |
Family
ID=392183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104482A Active KR100795587B1 (en) | 2006-10-26 | 2006-10-26 |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95587B1 (en)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91658B1 (en) * | 2010-03-26 | 2010-11-04 | 주식회사 솔라시아 | Door lock setting system using usim card and method thereof |
| KR100992802B1 (en) * | 2010-03-26 | 2010-11-08 | 주식회사 솔라시아 | System for temporary opening/closing door lock and method thereof |
| KR101218707B1 (en) | 2010-10-13 | 2013-01-2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oorlock and control method of it |
| KR101259546B1 (en) * | 2011-11-04 | 2013-04-30 | 주식회사 아이레보 | Method for smart-key service |
| KR101595897B1 (en) | 2014-12-09 | 2016-02-19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Digital door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44571B1 (en) * | 2015-06-11 | 2017-06-09 | (주)서진테크 | A smart door-lock |
| CN110288747A (en) * | 2019-07-23 | 2019-09-27 | 谈建中 | Based on RFID distance sensing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
| CN111354109A (en) * | 2020-03-16 | 2020-06-30 | 广州鸿森资本管理有限公司 | Security anti-thef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
| CN115996865A (en) * | 2020-07-22 | 2023-04-21 |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 Virtual vehicle ke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vehicles |
| US12047385B2 (en) | 2022-05-09 | 2024-07-23 | T-Mobile Usa, Inc. | Interoperable unlocking technology for wireless devices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40123A (en) * | 2000-11-23 | 2002-05-30 | 조정남 | System of home security using a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of |
| KR20020087911A (en) * | 2002-10-17 | 2002-11-23 | 이운영 | device for door lock using Caller ID, and Methode for as the same |
| JP2004133797A (en) | 2002-10-11 | 2004-04-30 | Tokai Rika Co Ltd |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ode switching method in security system |
| KR20060064920A (en) * | 2004-12-09 | 2006-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Unlocking system |
| KR100665351B1 (en) | 2004-12-10 | 2007-01-04 | 주식회사 아이레보 |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temporary authentication means and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method |
-
2006
- 2006-10-26 KR KR1020060104482A patent/KR1007955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40123A (en) * | 2000-11-23 | 2002-05-30 | 조정남 | System of home security using a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of |
| JP2004133797A (en) | 2002-10-11 | 2004-04-30 | Tokai Rika Co Ltd |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ode switching method in security system |
| KR20020087911A (en) * | 2002-10-17 | 2002-11-23 | 이운영 | device for door lock using Caller ID, and Methode for as the same |
| KR20060064920A (en) * | 2004-12-09 | 2006-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Unlocking system |
| KR100665351B1 (en) | 2004-12-10 | 2007-01-04 | 주식회사 아이레보 |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temporary authentication means and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method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91658B1 (en) * | 2010-03-26 | 2010-11-04 | 주식회사 솔라시아 | Door lock setting system using usim card and method thereof |
| KR100992802B1 (en) * | 2010-03-26 | 2010-11-08 | 주식회사 솔라시아 | System for temporary opening/closing door lock and method thereof |
| KR101218707B1 (en) | 2010-10-13 | 2013-01-2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oorlock and control method of it |
| KR101259546B1 (en) * | 2011-11-04 | 2013-04-30 | 주식회사 아이레보 | Method for smart-key service |
| KR101595897B1 (en) | 2014-12-09 | 2016-02-19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Digital door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44571B1 (en) * | 2015-06-11 | 2017-06-09 | (주)서진테크 | A smart door-lock |
| CN110288747A (en) * | 2019-07-23 | 2019-09-27 | 谈建中 | Based on RFID distance sensing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
| CN111354109A (en) * | 2020-03-16 | 2020-06-30 | 广州鸿森资本管理有限公司 | Security anti-thef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
| CN115996865A (en) * | 2020-07-22 | 2023-04-21 |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 Virtual vehicle ke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vehicles |
| US12047385B2 (en) | 2022-05-09 | 2024-07-23 | T-Mobile Usa, Inc. | Interoperable unlocking technology for wireless devic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95587B1 (en) |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
| JP5496652B2 (en) | Method for ensuring secure access to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of a mobile terminal | |
| TWI491790B (en) | A smart lock structur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20130257589A1 (en) | Access control using an electronic lock employ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mobile device | |
| EP219604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wireless devices | |
| US9779569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 |
| US8565725B2 (en) | Secure control system for opening locking devices by encrypted acoustic accreditations | |
| CN103793960B (en) | Method for mobile key service | |
| US933642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 RFID reader | |
| KR101296863B1 (en) | Entry authentication system using nfc door lock | |
| US9258281B2 (en) | Secur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lock devices from messages implementing a symmetrical encryption | |
| US10290164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 |
| JP2011511350A (en) | Access control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 |
| US20090143048A1 (en) | Method for destructive readout of data in case of mobile theft | |
| KR100969594B1 (en) | Door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WO2005073843A1 (en) | Secure device, terminal device, gate device, and device | |
| CN106341383B (en) | Auxiliary device for inducing an action | |
| CN104952128A (en) | Intelligent handheld terminal based electronic unlocking system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 |
| CN102568061A (en)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chieving entrance guard control | |
| CN110197545A (en) | A kind of smart lock and its management method, system | |
| US20070159296A1 (en) | RF-mode temporary door-lock opening method and device in home network environments | |
| KR101744571B1 (en) | A smart door-lock | |
| CN105957214A (en) | Remote-control door control equipment, door control system thereof and control method | |
| KR100944246B1 (en) |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
| CN112652098A (en) | Face recognition electronic lock authority control method and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