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749B1 - How to perform video call o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How to perform video call o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5749B1 KR100795749B1 KR1020070031395A KR20070031395A KR100795749B1 KR 100795749 B1 KR100795749 B1 KR 100795749B1 KR 1020070031395 A KR1020070031395 A KR 1020070031395A KR 20070031395 A KR20070031395 A KR 20070031395A KR 100795749 B1 KR100795749 B1 KR 100795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deo call
- mode
- call
- speakerphone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user interface aspects of conference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매너 모드시 화상 통화가 착신되면, 화상 통화 착신을 표시하는 과정; 통화키 입력시, 통화 모드 선택을 표시하는 과정; 및 스피커폰 모드 선택시, 스피커폰 모드를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모드가 매너 모드일 때 사용자가 스피커폰 사용 여부를 선택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음성 출력을 방지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ecuting a video call of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video call incoming when a video call is received in a silent mode; Displaying a call mode selection when a call key is input; And when the speakerphone mode is selected, performing a video call through the speakerphone mode.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silent mode,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use the speakerphone to prevent unintended audio outpu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실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call execu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실행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3A to 3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video call execu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매너 모드시 화상 통화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executing a video call in a silent mode in a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에 관련된 여러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통신 사업자들은 가입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the spread of portable terminal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As the spread of portable terminals is generalized, communication providers are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subscribers.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로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들의 통화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무선 인터넷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미지, 동영상 및 디지털 방송 서비스, 화상 통화 서비스가 있다.These services include wireless Internet services, short message services (SMS), multimedia message services (MMS), images, video, and digital broadcasting,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making calls between users and other users. Service, video call service.
이중 화상 통화 서비스는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서비스가 아닌, 음성 송수신과 영상 송수신을 동시에 구현하는 서비스이다. 화상 통화 서비스는 통화를 하면서 영상을 통해 상대방의 얼굴을 볼 수 있거나, 상태 등을 알 수 있다는 이점으로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The dual video call service is a service that simultaneously implements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video transmission. In the video call service, the number of users who use the mobile terminal for video call is increasing due to the fact that they can see the other's face through the video or know the status.
종래의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 바로 스피커폰을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정숙을 요하는 상황이나 장소에서 화상 전화를 받으면, 바로 스피커폰을 통해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어서 당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 conventional video call portable terminal, a voice signal is immediately output through a speakerphone when a video call is performed. For this reason, when a user receives a video call in a situation or a place requiring quietn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is immediately output through the speakerphone and may be embarrass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모드가 매너 모드일 때, 화상 통화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executing a video call when th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manner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모드가 매너 모드일 때, 스피커폰을 제어하여 화상 통화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xecuting a video call by controlling the speakerphone when th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silent m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수행 방법은 매너 모드시 화상 통화가 착신되면, 이를 표시하고, 통화키가 입력되면 통화 모드 선택을 표시한다. 그리고 스피커폰 모드가 선택되면, 스피커폰 모드를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ideo call execu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video call when a call is received in silent mode, and displays a call mode selection when a call key is input. If the speakerphone mode is selected, the method includes performing a video call through the speakerphone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비롯한 화상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WCDMA 단말기(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 단말기(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가 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service including a voice call service. For example,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 and a global system for mobile (GSM) It can be an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스피커폰은 화상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소리 신호의 입력과 출력을 같이 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음성 신호는 스피커로 출력되거나 마이크로 입력된 아날로그적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음성 데이터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에서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음성 신호를 의미한다.The speakerphone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put and output of a sound signal can be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service. The voice signal refers to an analog signal output to a speaker or a micro input. Also, the voice data refers to a voice signal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for use a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무선 통신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카메라부(140), 영상 처리부(150), 표시부(160), 저장부(170), 입력부(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가 매너 모드일 때 화상 통화를 수행하게 되면,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스피커폰 사용 선택 창을 팝업으로 표시한다.The
무선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20)는 음성 통신 및 화상 통신을 비롯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The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10)가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K)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음성 통화만을 위한 스피커 및 마이크와 화상 통화를 위한 스피커폰(Speakerphone)을 따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음성 통화와 화상 통화를 위한 스피커폰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카메라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여 광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광신호를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카메라부(140)는 화상 통화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카메라부(140)는 휴대 단말기(100) 제조사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영상 처리부(150)는 카메라부(14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 및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60)의 규격에 맞추어 처리한다. The
표시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 한다. 특히 표시부(160)는 화상 통화시 송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등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The
저장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70)는 화상 통화시 영상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70)는 화상 통화 수행이 끝나면, 화상 통화시 출력되었던 음량을 저장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110)는 화상 통화 초기에 저장되었던 이전 음량을 확인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입력부(18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80)는 터치패드 또는 일반적인 키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80)는 화상 통화를 시작할 때, 사용자로부터 스피커폰 사용 선택을 위해 입력되는 명령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 실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실행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call execu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A to 3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video call execu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를 매너 모드로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2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를 매너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가 매너 모드시 화상 통화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스피커폰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사용 선택에 따라 제어부(11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user selects th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s the manner mode, the
이후 제어부(110)가 210단계에서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화상 통화가 착신되는 것이 감지되면, 220단계에서 화상 통화가 착신되고 있음을 도 3a와 같이 표시한다. 표시 방법으로는 표시부(160)에 화상 통화가 수신되고 있음을 설정된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알림 방법(진동, 무음, 램프 등)으로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60)에는 화상 통화를 요청한 상대방에 대한 정보(이름,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160)에는 착신되고 있는 통화가 화상 통화임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230단계에서 입력부(180)를 통해 통화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통화키는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되는 신호로, 입력부(180)에 구비된 통화키, 화상 통화 키 입력이 될 수 있으며, 통화 기능을 위해 입력되는 동작(휴대 단말기의 폴더 또는 슬라이드를 올리는 동작)이 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만약 230단계에서 통화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231단계에서 화상 통화가 일정 시간 경과되어 착신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어부(110)는 233단계에서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화상 통화를 요청한 휴대 단말기(100)에 설정된 안내 멘트를 송출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235단계에서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부재 중 전화를 표시한다. 부재 중 전화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10)는 수신된 전화의 종류가 화상 통화였음을 표시할 수 있으며, 몇 통의 전화가 부재 중 전화로 수신되었는지 표시할 수도 있다.If the call key is not input in
반면에 화상 통화가 착신되었을 때, 사용자가 입력부(180)를 통해 통화키, 화상 통화키를 입력하거나, 통화를 하기 위한 동작을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된 키 신호나 동작 신호를 화상 통화 수행 신호로 감지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240단계에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통화 모드 선택창을 팝업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통화 모드 선택창은 도 3b와 같이 스피커폰을 온(On) 또는 오프(Off)할 것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통화 모드 선택창은 출력 모드를 모두 표시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모드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출력 모드는 이어폰 모드와 스피커폰 모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모드 선택창은 출력 모드 외에도 채팅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성으로 통화하는 대신에 채팅과 같은 기능으로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채팅을 통해 화상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는 제어부(110)는 상대방의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창에 채팅창을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여 채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ideo call is received, the user inputs a call key, a video call key through the
240단계에서 스피커폰 사용 선택을 다시 말해 도 3b와 같이 팝업으로 표시하였다면 제어부(110)는 250단계에서 스피커폰 온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입력부(180)를 통해 스피커폰 온 또는 오프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어떠한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스피커폰 오프가 선택되었다면, 제어부(110)는 251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에 이어폰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이어폰을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하였다면,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출력 모드를 이어폰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270단계에서 이어폰 모드를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10)는 오디오 처리부(130) 를 제어하여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을 통해 출력한다. In other words, if the user selects the use of the speakerphone in
반면에 스피커폰 온이 선택되었다면, 제어부(110)는 260단계에서 출력 모드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270단계에서 스피커폰을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10)는 오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폰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스피커폰이 사용되고 있음을 도 3c와 같이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peakerphone on is selected, th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가 매너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에서 화상 전화 통화가 수행되면, 제어부(110)는 오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스피커폰을 통해 음성 신호를 최소 음량부터 이전 화상 통화 음량까지 점차적으로 크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이어폰을 통해 화상 통화의 음성 신호를 출력할 때, 오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의 크기를 이전 화상 통화 음량으로 출력할 수 있다.Also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video phone call is performed in the normal mode other than the manner mo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wi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 모드가 매너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사용할 때, 스피커폰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음성이 출력되는 구성을 선택하여 화상 통화를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uses a video call while the portable terminal mode is a silent mode, the user can select to use a speakerphone. This allows the user to selec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oice is output and use the video call.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31395A KR100795749B1 (en) | 2007-03-30 | 2007-03-30 | How to perform video call on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31395A KR100795749B1 (en) | 2007-03-30 | 2007-03-30 | How to perform video call on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95749B1 true KR100795749B1 (en) | 2008-01-21 |
Family
ID=3921843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313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5749B1 (en) | 2007-03-30 | 2007-03-30 | How to perform video call on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9574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80397B1 (en) | 2012-06-28 | 2015-01-12 | 주식회사 애드라 | Method of providing commercial content for speaker phone mod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007007A (en) * | 2006-06-30 | 2008-01-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Satellite control device |
-
2007
- 2007-03-30 KR KR1020070031395A patent/KR1007957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007007A (en) * | 2006-06-30 | 2008-01-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Satellite control device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공개특허 제2007-0071854호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80397B1 (en) | 2012-06-28 | 2015-01-12 | 주식회사 애드라 | Method of providing commercial content for speaker phone mod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20142308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a portable terminal | |
| EP1684493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porting a speakerphone call mod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o a calling partner | |
| KR100793299B1 (en) |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 sending phone number in mobile terminal | |
| US7555311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
| US2011010653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oice quality in portable terminal | |
| US20060089180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795749B1 (en) | How to perform video call on mobile terminal | |
| US20100183137A1 (en) | Phone With Child Mode | |
| US20130217447A1 (en) |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output controlling method | |
| KR101151607B1 (en) |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aking Image Call List by Using Captured Image | |
| KR101315953B1 (en) |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isposal multi scene thereof | |
| US2011013648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telephony mode in portable terminal | |
| KR100715794B1 (en) | How to manage call lis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703355B1 (en) | How to receive a call on your mobile device | |
| KR100928888B1 (en) | Terminal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 |
| KR100652179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limiting incoming caller-specified multimedia contents in image call ser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 KR20060078883A (en) | How to invoke a hotkey function specified by a mobile phone user | |
| KR20060072899A (en) | Messeng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swering machine se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1394278B1 (en) | Method for execut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terminal | |
| CN105704334B (en) | Telephone redial method and device | |
| KR100678030B1 (en) | How to perform auto answ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719233B1 (en) | How to use the messenger function on the mobile terminal | |
| KR10062134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work state storage / playback function and work state storage / playback method | |
| KR20060037916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hooting function and call function in camera-equipp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493728B1 (en) | Method for serving free call in mobile telepho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1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