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822B1 - Vehicle entrance - Google Patents
Vehicle entr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6822B1 KR100806822B1 KR1020070034943A KR20070034943A KR100806822B1 KR 100806822 B1 KR100806822 B1 KR 100806822B1 KR 1020070034943 A KR1020070034943 A KR 1020070034943A KR 20070034943 A KR20070034943 A KR 20070034943A KR 100806822 B1 KR100806822 B1 KR 100806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upport
- sliding member
- pedestrian
- vehicle entr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근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인도진입과 보행자의 차도진입을 차단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지주부가 기립형성되고,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지주부의 상단에 연결부가 연결된 바디와; 상기 양측 지주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바디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되게 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저면에 용접되어 땅속에 매설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ntrance preventing device installed near a boundary between a roadway and a sidewalk to block entry of a vehicle and entry of a pedestrian driveway, and more specifically, stand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a '┌┐' shape is formed. Bod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portion to be molded into; A slid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both sides of the support so that the body slides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And a fixing part welded to the bottom of the sliding member and embedded in the ground.
따라서, 운전자가 반사부 및 바디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자동차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바디에 충격이 발생하면 지주부는 슬라이딩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고 분산시켜 지주부 또는 연결부가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게 하여 교체와 폐기 및 신설에 의한 예산비용의 손실을 방지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reflector and the body, and when the impact occurs on the body by a car or a pedestrian, the support is slid by the sliding member to mitigate and disperse the impact, thereby crushing the support or the connection. It provides a vehicle entrance guard that allows damage to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preventing loss of budgetary costs due to replacement, disposal and new construc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ehicle entrance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슬라이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member to enlarge the 'A' portion of FIG.
도 2b는 지주부에 충격이 발생했을 때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지주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tate to reliev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support while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when the impact occurs in the support.
도 3은 도 2a의 A - 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vehicle entrance guar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차량 진입 방지구 101 : 차도100: vehicle entrance protection 101: driveway
102 : 인도 103 : 자동차102: India 103: cars
104 : 지주부 105 : 연결부104: holding portion 105: connecting portion
106 : 바디 107 : 슬라이딩부재106: body 107: sliding member
108 : 고정부 110 : 가이드부108: fixed part 110: guide part
111 : 가이딩홈 112 : 가이딩부111: guiding groove 112: guiding part
113 : 탄성부재 114 : 커버부113: elastic member 114: cover part
115 : 반사부 116 : 콘크리트115: reflector 116: concrete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근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인도진입과 보행자의 차도진입을 차단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반사부 및 바디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자동차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바디에 충격이 발생하면 지주부는 슬라이딩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고 분산시켜 지주부 또는 연결부가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게 하여 교체와 폐기 및 신설에 의한 예산비용의 손실을 방지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ntrance preventing device that is installed near a boundary between a roadway and a sidewalk to block entry of a vehicle and entry of a pedestrian road. In particular,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a reflector and a body. When an impact occurs on the body by a car or a pedestrian, the strut part is slid by the sliding member to mitigate and disperse the impact so that the strut part or the connection part is crushed or damaged as much as possible, thereby reducing the budget cost due to replacement, disposal and new construction. It relates to a vehicle entrance guard to prevent the loss of.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주행하는 차도와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근을 경계블럭으로 구분하여 자동차와 보행자가 소통할 수 있게 하였다.In general, the sidewalks in which cars and pedestrians pass are divided by the boundary blocks of the roads and sidewalks so that the cars and pedestrians can communicate.
아울러, 주변 경관을 위하여 경계블럭과 인도 부근에는 가로수를 심어 차도와 인도가 시각적으로 더욱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도를 주행하는 자동차가 인도로 진입하거나 인도로 통행하는 보행자가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by planting trees on the boundary block and sidewalks for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 roadway and sidewalk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ars driving on the roadway enter the sidewalks or the pedestrians entering the sidewalks. To prevent them.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도를 주행하는 자동차가 인도로 진입하여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치는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음주상태이거나 부주의한 상태 또는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부지불식간의 사고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어떠한 이유이든 자동차가 인도로 진 입하는 사태는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에게는 크게 위험할 수밖에 없다.Nevertheless, accidents occur frequently, such as a car driving on a roadway, hitting a pedestrian walking along the sidewalk, and the driver driving the car is drunk, inattentive, or intentional. This can be largely classified as an unintentional accident that has not been made. For any reason, a car entering India can be very dangerous for pedestrians walking through India.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인도로 진입하는 것도 위험하지만,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 중 정신이 올바르지 못한 취객 또는 시각 장애인 등이 차도로 진입하 는 것 또한 보행자 뿐만 아니라 자동차 운전자에게도 큰 손실을 가져다 준다.As described above, it is dangerous for a car to enter India, but an incompetent pedestrian or visually impaired person entering the roadway also causes great loss not only for pedestrians but also for motorists.
따라서, 종래에는 인도와 차도를 경계하는 경계블럭 부근의 가로수와 가로수사이에 'l'자형 또는 '┌┐'자형 차량 진입 방지구를 다 수개 매립설치하여 인도로 진입하는 자동차를 강제적으로 저지시키고자 하였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l' or '┌┐' shaped vehicle entrance preventing areas are installed between the roadside trees and the roadsides near the boundary block that borders the sidewalks and the roadway, to forcibly prevent cars entering the sidewalks. It was.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진입 방지구를 설치함에 따라 자동차의 인도진입과 보행자의 차도진입에 의한 사고발생율은 현저하게 감소된 반면, 자동차와 보행자가 차량 진입 방지구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차량 진입 방지구의 외관이 훼손되거나 파손되어 도시경관을 해하게 되어 관할당국에서는 주기적으로 이들 차량 진입 방지구를 교체, 수리 및 신설하는데 많은 비용을 지출하게 되므로 예산의 손실이 점점 증대되고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ccurrence rate of accidents due to the entry of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s driveway is significantly reduced by installing the vehicle entrance prevention device, while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entrance prevention device is caused by the impact of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on the vehicle entrance prevention device. This damage or damage will damage the urban landscape, and the government has to spend a lot of money to replace, repair and install these vehicle entry barriers periodically to increase the budget los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차량 진입 방지구가 자동차와 보행자의 인도진입과 차도진입을 저지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함과 동시에 자동차와의 충돌 및 보행자의 작위적인 충격에 의해서도 크게 훼손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함으로써 교체, 수리 및 신설에 지출되는 예산을 절감시키고자 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ehicle entrance prevention device achieves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entry of vehicles and pedestrians to enter the roadway and at the same time greatly affected by the collision with the car and the violent impact of the pedestrians. Its purpose is to provide vehicle entry barriers to reduce the budget spent on replacement, repair and new construction 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상기한 목적은, 차도(101)와 인도(102)의 경계부근에 설치되어 자동차(103)의 인도(102)진입과 보행자의 차도(101)진입을 차단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에 있어서, 양측에 지주부(104)가 기립형성되고,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지주부(104)의 상단에 연결부(105)가 연결된 바디(106)와; 상기 양측 지주부(104)의 하단에 결합되어 바디(106)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되게 하는 슬라이딩부재(107)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07)의 저면에 용접되어 땅속에 매설되는 고정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100)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 is to be provid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07)는, 상기 양측 지주부(104)의 하단에 용접되며,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가 전,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10a)가 성형되며, 전, 후면이 측방을 향하여 수직면으로 성형되어 양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부(110)와;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 또는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가이딩홈(111)이 상부에 형성된 가이딩부(112)와; 상기 가이드부(110)의 슬라이딩 방향에 해당하는 측면과 이 슬라이딩 방향에 위치하는 가이딩홈(111)의 대향면에 결합되어 가이드부(110)를 탄력지지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13)를 포함한다.Here, the sliding
또한, 가이드부(110) 상단의 지주부(104) 하단에 용접되어 가이딩부(112)의 가이딩홈(111)을 은폐시키도록 된 커버부(11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그리고, 상기 지주부(104)와 연결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자동차(103) 불빛이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반사되게 하는 반사부(1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115)는 볼팅되거나 접합 또는 용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The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l'자형으로 기립성형된 지주부(104)의 상단은 'ㅡ'자형 연결부(105)가 연결되어 '┌┐'자형의 바디(106)가 성형되며, 양측 지주부(104)의 하단에는 슬라이딩부재(107)가 결합되어 지주부(104) 또는 연결부(105)에 충격이 가해지면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바디(106)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07)의 구성요소인 가이딩부(112)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바디(106)가 슬라이딩부재(107)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바, 상기 슬라이딩부재(107)의 저면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 또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고정부(108)가 용접되어 지면에 매설된다.Here, the
뿐만 아니라, 상기한 고정부(108)의 견고한 고정구조를 위해서 고정부(108)의 주변에는 콘크리트(116)를 타설하여 무게중심이 지면 아래에서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지면과의 마찰면적을 증대시켜 고정부(108)의 미동이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placing
한편, 상기 지주부(104)의 하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107)는, 지주부(104)의 하단에 용접되는 가이드부(110)와, 상기 가이드부(110)를 수용하여 가이드부(110)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딩부(112)와, 상기 가이드부(110)가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110)와 가이딩부(112)에 탄력설치되는 탄성부재(113)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즉, 가이드부(110)는,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110a)가 전,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전, 후면이 측방을 향하여 일직선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도 3과 같이 전, 후면은 수직면을 가지며,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시한 도 2a의 A - A선 단면도인 도 3과 같이 하단이 전,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되었으나, 상단에 돌출부(110a)가 성형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돌출부(110a)의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 2b에서 보이는 부분이 전방이라고 하였을 때, 도 3은 일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므로, 도 3의 우측부분이 전방이 되며, 도 3의 좌측부분이 후방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 후면이 측방을 향하여 일직선으로 슬라이딩된다는 의미는, 도 2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이드부(110) 및 가이드부(110)의 전, 후면에 도 3과 좌, 우측(전, 후면)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10a)가 가이딩부(112)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된다는 의미이며, 이 가이드부(110)의 단면형상을 보았을 때, 도 3은 가이드부의 하단에서 돌출부(110a)가 돌출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凸'과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돌출부(110a)가 돌출된다는 것은 '凸'을 거꾸로 세워놓은 것과 같은 단면형상임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돌출부(110a)가 가이드부(110)의 상단에 형성되든 하단에 형성되든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That is, the
That is, when the part shown in Figure 2b is the fron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one side, the right part of Figure 3 is the front, the left part of Figure 3 is the rear.
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slid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side,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그리고, 가이딩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딩홈(111)이 형성되어 가이드부(110)가 삽입 또는 수용될 수 있게 하며,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04)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딩홈(111)은 장홈형태로 형성된다.And, the
또한,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0)의 슬라이딩 방향의 측면과 이 슬라이딩 방향에 위치하는 가이딩홈(111)의 대향면에는 탄성부재(113)를 결합시켜 이 탄성부재(113)가 가이드부(110)를 탄력지지 하게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상기 탄성부재(113)는 가이드부(110)와 가이딩홈(111)에 각각 용접시켜 탄성부재(113)가 압축되더라도 탄성부재(113)의 양측면이 가이드부(110)와 가이딩홈(111)으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아이볼트 등을 이용하여 걸림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탄성부재(113)의 결합방법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지주부(104)의 하단에는 도 2a와 도 2b 및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4)재를 용접시켜 지주부(104)의 슬라이딩 시 커버부(114)재도 동반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바, 상기 커버부(114)는 지주부(104)가 원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때, 가이딩홈(111) 내측에 설치된 탄성부재(113)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되게 하여 흙, 낙엽,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가이딩홈(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A and 2B, and FIGS. 3 and 4, the
아울러, 상기 지주부(104)와 연결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우레탄 재질로 성형된 반사부(115)를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도록 하여 차도(101)를 주행하는 자동차(103)의 운전자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100)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차도(101)와 인도(102)를 용이하게 식별 및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상기 반사부(115)는 델리네이트라고도 하며, 차량 전조등의 빛을 입사 방향과 근사한 방향으로 재귀하여 야간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 선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벗어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The
아울러, 상기 반사부(115)는 지주부(104) 또는 연결부(105)에 볼팅되거나 접착제에 의한 접합 또는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101)를 주행하는 자동차(103)가 인도(102)로 진입할 때는 진입을 강력하게 저지하여 인도(102)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자동차(103)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100)가 가볍게 접촉할 경우에는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도 2a의 상태에서 지주부(104)는 도 2b의 상태와 같이 탄성부재(113)를 압축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이때, 상기 탄성부재(113)를 압축하면서 지주부(104) 및 바디(106)가 슬라이딩하면 자동차(103)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주부(104)가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지주부(104)에는 자동차(103)와의 충격에 의한 찌그러짐 또는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미려한 외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를 경계하는 부근에 차량 진입 방지구를 설치하여 차량의 인도진입과 보행자의 차도진입을 차단함은 물론 자동차와 본 발명에 따른 바디가 접촉하면, 이때 발생하는 충격을 가이드부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완화 및 분산시켜 지주부 및 연결부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진입 방지구의 외관이 훼손되어 교체하거나 수리 및 신설함에 따른 유지보수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로교통안전을 위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entrance preventing device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oadway and the sidewalk to block entry of the vehicle and entry of the pedestrian road, as well as the contac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and dispersing the shock by sliding the guide part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entrance preventing device is deteriorated,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due to replacement, repair, and new installation. Accordingly,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budget for road traffic safet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34943A KR100806822B1 (en) | 2007-04-10 | 2007-04-10 | Vehicle entr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34943A KR100806822B1 (en) | 2007-04-10 | 2007-04-10 | Vehicle entran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06822B1 true KR100806822B1 (en) | 2008-02-28 |
Family
ID=3938314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349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6822B1 (en) | 2007-04-10 | 2007-04-10 | Vehicle entran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06822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365694A (en) | 1993-04-27 | 1994-11-22 | Ignazio Macaluso | Vehicle anti-theft parking space device |
| KR200401522Y1 (en) | 2005-08-31 | 2005-11-17 | (주)한국해외기술공사 | Bumper Structure for Road Tunnel Inlet |
| KR20070007674A (en) * | 2005-07-11 | 2007-01-16 | 주식회사 재광티에스에프 | Guard rail shock absorber |
-
2007
- 2007-04-10 KR KR1020070034943A patent/KR10080682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365694A (en) | 1993-04-27 | 1994-11-22 | Ignazio Macaluso | Vehicle anti-theft parking space device |
| KR20070007674A (en) * | 2005-07-11 | 2007-01-16 | 주식회사 재광티에스에프 | Guard rail shock absorber |
| KR200401522Y1 (en) | 2005-08-31 | 2005-11-17 | (주)한국해외기술공사 | Bumper Structure for Road Tunnel Inle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96611B1 (en) | interception device in the school zone crosswalk for pedestrian protection | |
| KR102551003B1 (en) | Attachable and detachable road safety barrier guardrail guiding light assembly for smartcity | |
| KR100806822B1 (en) | Vehicle entrance | |
| KR200390565Y1 (en) | A regulation-block for traffic lane | |
| KR200429835Y1 (en) | Cushioned Road Sign | |
| KR20130006465U (en) | A divisional strip | |
| KR101183030B1 (en) | Safety guide apparatus of a road border stone | |
| KR200423327Y1 (en) | Road boundary stone identifier | |
| KR200364650Y1 (en) | Converse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 |
| KR100625468B1 (en) | Road Separators | |
| KR100673306B1 (en) | Road Separators | |
| KR100710877B1 (en) | Buffered road marker for U-turn lane marking | |
| KR200374521Y1 (en) | The barricade device for a railway crossing | |
| CA2530751C (en) | Retro-reflective system for increasing safety of a railroad crossing, and associated method | |
| KR200341904Y1 (en) | Safety fence of boundary having spring structure | |
| KR200184733Y1 (en) | Road sign bottle | |
| KR100964549B1 (en) | Driver danger catch mat for driveway | |
| CN209652785U (en) | A kind of reflective speed reducer | |
| KR102206774B1 (en) | Hump-type crosswalk with buried signal lights | |
| KR200224527Y1 (en) | Kerb for warning a crash and absorbing shock | |
| KR200245956Y1 (en) | A signal ground mark | |
| KR200373179Y1 (en) | Median strip for road | |
| KR200215136Y1 (en) | lane solar | |
| KR200234767Y1 (en) | Road protection apparatus | |
| KR200401523Y1 (en) | Structure for delineator in roa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S14-X000 |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2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22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